박영석 (군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영석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육군 방첩부대장과 육군본부 정보참모부 차장을 역임했으며, 준장으로 예편했다. 예편 후에는 서울신문, 한국일보, 경향신문 등 언론사에서 고문을 지냈고, 서울방림방적 사장, 국민대학교 객원교수 등을 역임했다. 2014년 사망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치원교동초등학교 동문 - 인교진
인교진은 2000년 MBC 공채 탤런트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드라마와 예능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대중에게 알려졌고, 2018년 KBS 연기대상 남자 조연상을 수상했으며 배우 소이현과 결혼하여 두 딸을 두고 있다. - 조치원교동초등학교 동문 - 이준섭
이준섭은 해병대 소위로 임관하여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고 5·16 군사 정변에 가담한 군인이자, 중앙정보부 보직과 국회의원을 거쳐 한국석유개발공사 부사장과 대한송유관공사 사장을 지낸 정치인 겸 기업인이다. - 대전고등보통학교 동문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대전고등보통학교 동문 - 박병권
박병권은 연희전문학교 졸업 후 일본군 소위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육군 대장과 국방부 장관을 지낸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박정희 정권의 민정 참여에 반대하고 한일 기본 조약 비준 반대 운동에 참여하는 등 정치적 활동을 했다. - 여수·순천 사건 - 김창룡
김창룡은 일제강점기 관동군 헌병으로 항일 조직 색출에 참여한 군인으로,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에서 정보 및 방첩 업무를 담당하며 숙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특무부대장으로서 인권 침해 및 사건 조작 의혹, 김구 암살 사건 연루 의혹 등 각종 논란 속에 암살당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여수·순천 사건 - 혁명의용군 사건
혁명의용군 사건은 1948년 최능진, 서세충, 김진섭 등이 국군 내 세력과 연계하여 대한민국 정부 전복을 기도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으로, 이들은 남로당 연계 및 공산정부 수립 시도 혐의를 받았으나 민족 통일을 위한 의도였다고 주장했으며, 최능진은 유죄 판결 후 한국전쟁 중 처형되었고, 2009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해당 판결이 부당하다고 결론지었다.
박영석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영석 |
아호 | 한사랑(韓史郞) |
출생일 | 1928년 2월 11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
사망일 | 2014년 1월 5일 (85세)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묘소 | 대한민국 국립 대전현충원 안장 |
국적 | 대한민국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본관 | 밀양(密陽) |
종교 | 개신교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오필환(吳弼煥) |
자녀 | 1남 5녀 (그 가운데 장녀 박미숙, 막내아들 박관수) |
형제 | 아우 박경석(朴慶錫) |
친인척 | 처남 오영환(吳榮煥) |
학력 | |
학력 |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1961년 2월) |
군 경력 | |
복무 기간 | 1948년 ~ 1965년 |
계급 | 육군 준장 |
근무 | 육군 제5사단 육군 제9사단 육군 제8사단 육군 제5군단 육군 방첩부대 육군본부 |
참전 | 제주 4·3 사건 여순 사태 한국 전쟁 |
지휘 | 육군 제5사단 예하 연대장 육군 제9사단 예하 연대장 육군 제8사단 예하 연대장 육군 제8사단 예하 참모장 육군 제5군단 예하 참모장 육군 방첩부대장 육군본부 정보참모부 차장 |
주요 보직 | |
국방부 공보비서관 | 1960년 2월 13일 ~ 1960년 3월 12일 |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 1961년 5월 23일 ~ 1961년 7월 9일 |
내각사무처 행정사무차장 | 1961년 7월 9일 ~ 1963년 12월 16일 |
국방부 군사연구위원 | 1972년 2월 29일 ~ 1974년 8월 22일 |
정당 | |
정당 | 무소속 |
서훈 | |
훈장 | 을지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 보국훈장 삼일장 |
경력 | |
경력 | 서울신문 상임고문(1968년~1970년) 한국일보 상임고문(1970년~1971년) 경향신문 전임고문(1981년~1982년) 서울방림방적 CEO 사장(1982년~1983년) 서울방림방적 고문(1983년~1984년) 방림 고문(1984년~1986년) 대전일보 전임고문(1986년~1991년)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객원교수(1994년) 국방홍보원 전임고문(2000년~2001년)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보트 비전 - 박영석 전직 서울방림방적 고문 |
국방부 차관보 | |
국방부 장관 | 이종찬 |
국방부 차관 | 최세황 |
대통령 | 이승만 |
부통령 | 장면 |
2. 경력
박영석은 1948년 육사 5기로 임관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하는 등 군 복무를 하였고,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서울신문, 한국일보 등 주요 언론사의 고문을 역임하였으며, 서울방림방적 사장 등을 지냈다. 국민대학교 객원교수, 국방홍보원 전임고문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
2. 1. 주요 이력
박영석은 1948년 육사 5기로 임관하여 육군 소위가 되었고, 1949년 보병학교를 수료하였다. 1950년부터 1953년까지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1956년 국방대학교에서 행정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61년에는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육군 제5사단, 육군 제9사단, 육군 제8사단 예하 연대장, 육군 제8사단 및 육군 제5군단 참모장, 육군 방첩부대장, 육군본부 정보참모부 차장을 역임한 후 1965년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이후 서울신문, 한국일보 상임고문, 경향신문, 대전일보 전임고문을 역임했다. 서울방림방적 사장 및 고문, 방림 고문을 지냈으며,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객원교수, 국방홍보원 전임고문을 역임하였다.
2. 1. 1. 군 경력
- 1948년 육사 5기로 임관하여 육군 소위가 되었다.
- 1949년 육군보병학교를 수료하였다.
- 1950년부터 1953년까지 3년간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
- 1956년 국방대학교 1기로 행정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 육군 제5사단, 육군 제9사단, 육군 제8사단에서 연대장을 역임하였다.
- 육군 제8사단 참모장, 육군 제5군단 참모장을 역임하였다.
- 육군 방첩부대장을 역임하였다.
- 육군본부 정보참모부 차장을 역임하였다.
- 1961년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 1965년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2. 1. 2. 언론계 경력
서울신문, 한국일보 상임고문, 경향신문, 대전일보, 국방홍보원 전임고문을 역임하였다.2. 1. 3. 기업 경력
서울방림방적 CEO영어 사장을 역임하였고, 이후 서울방림방적 고문과 방림 고문을 역임하였다.2. 1. 4. 기타 경력
2. 2. 군 시절과 직계 가족 관계
1948년 육사 5기로 임관한 이후 1949년 보병학교를 졸업하고, 1956년 국방대학교 1기에서 행정학사, 1961년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육군 방첩부대장, 육군본부 정보참모부 차장 등을 지냈으며 예비역 육군 준장 출신이다. 배우자 오필환 여사와의 사이에 1남 5녀(6남매)를 두었다.2. 3. 군직 분야 은퇴 이후
1965년 육군 준장으로 예편한 후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서울신문 상임고문을, 1970년부터 1971년까지 한국일보 상임고문을 역임하였다. 그 후 대전일보와 국방홍보원 전임고문을 지냈다.3. 사후
2014년 1월 5일 서울특별시에서 별세하였으며,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