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순 (탁구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영순은 1972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탁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1975년과 1977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여자 단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4년 아시안 게임 복식 동메달, 1976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복식 및 단체전 금메달, 1977년 세계 선수권 대회 복식 금메달,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1974년부터 1981년까지 아시아 및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메달을 획득했다. 은퇴 후 지도자로 활동하다가 1987년 사망했으며, 사후 평양시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삭주군 출신 - 최수일 (1936년)
최수일은 평안북도 삭주군 출신으로, 조선인민군 해군 복무 후 남파되었다가 체포되어 34년간 수감 생활을 하고 6·15 남북 공동선언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송환된 시인이자 비전향 장기수이다. - 삭주군 출신 - 최기일
최기일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대학교수로, 일제강점기 신의주고등보통학교와 게이오기주쿠고등부를 졸업하고 광복 후 윤치영, 이승만 밑에서 비서로 활동했으며, 미국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대학교수로 활동했고, 김대중을 지지했으나 DJP 연합에 실망하여 지지를 철회했으며, 저서로 《자존심을 지킨 한 조선인의 회상》이 있다. - 1974년 아시안 게임 탁구 참가 선수 - 이에리사
이에리사는 1970년대 국가대표 탁구 선수로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업적을 남겼고, 은퇴 후 태릉선수촌장 등을 역임했으며, 국회의원으로 정치 활동을 하였고 현재는 한국여성의정 감사 및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로 활동 중인 인물이다. - 1974년 아시안 게임 탁구 참가 선수 - 정현숙 (탁구 선수)
정현숙은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이며, 1973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고, 1985년과 1986년에 광고에 출연했다. - 로력영웅 수훈자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로력영웅 수훈자 - 계순희
계순희는 평양 출신의 유도 선수로,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여자 유도 48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2체급을 제패한 북한 유도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박영순 (탁구 선수)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박영순 |
로마자 표기 | Bak Yeong-sun |
한자 표기 | 朴英順 |
출생일 | 1956년 8월 22일 |
출생지 | 평안북도 삭주군 |
사망일 | 1987년 7월 14일 |
사망지 | 평양시 |
소속팀 | 2월 8일 체육단 |
키 | 알 수 없음 |
몸무게 | 알 수 없음 |
선수 정보 | |
운동 스타일 | 알 수 없음 |
사용 손 | 왼손 |
그립 | 알 수 없음 |
전형 | 알 수 없음 |
앞면 러버 | 알 수 없음 |
뒷면 러버 | 알 수 없음 |
블레이드 | 알 수 없음 |
메달 정보 | |
여자 탁구 | |
세계 선수권 대회 | 1975 캘커타 단식 금메달 1977 버밍엄 단식 금메달 1979 평양 단체전 은메달 1977 버밍엄 단체전 동메달 1981 노비사드 단체전 동메달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1976 평양 단식 동메달 1976 평양 복식 금메달 1976 평양 단체전 금메달 |
아시안 게임 | 1974 테헤란 복식 동메달 |
기타 정보 | |
최고 세계 랭킹 | 알 수 없음 |
최고 랭킹 날짜 | 알 수 없음 |
단급 | 알 수 없음 |
라켓 | 알 수 없음 |
코치 | 알 수 없음 |
학력 | 알 수 없음 |
데뷔 년도 | 알 수 없음 |
은퇴 년도 | 알 수 없음 |
통산 경기 | 알 수 없음 |
통산 승리 | 알 수 없음 |
통산 승률 | 알 수 없음 |
세계 선수권 출전 횟수 | 알 수 없음 |
세계 선수권 첫 출전 | 알 수 없음 |
세계 선수권 마지막 출전 | 알 수 없음 |
국내 기록 | 알 수 없음 |
수상 내역 | 알 수 없음 |
기록 | 알 수 없음 |
2. 경력
박영순은 1956년 8월 22일 평안북도 삭주군에서 태어났다. 1972년 국가대표로 발탁된 후, 1973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3대륙 친선 대회를 통해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11]
주요 국제 대회 경력은 다음과 같다.
대회 | 년도 | 장소 | 종목 | 결과 |
---|---|---|---|---|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 1974 | 일본 요코하마 | 단식, 복식 | 8강 |
1974년 아시안 게임 | 1974 | 이란 테헤란 | 복식 | 동메달 (김창애와 함께) |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 1975 | 인도 캘커타 | 단식 | 금메달 |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 1976 | 북한 평양 | 단식 | 동메달 |
복식 | 금메달 (김창애와 함께) | |||
단체전 | 금메달 | |||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 1977 | 영국 버밍엄 | 단식 | 금메달 |
복식 | 금메달 (양잉과 함께) | |||
단체전 | 은메달 | |||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 1978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단체전 | 은메달[12] |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 1979 | 북한 평양 | 단체전 | 은메달 |
단식 | 4강 | |||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 1980 | 인도 캘커타 | 단체전 | 은메달 |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 1981 | 유고슬라비아 노비사드 | 단체전 | 동메달 |
2. 1. 선수 경력
박영순은 1974년부터 1981년까지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와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단식, 복식, 단체전에서 여러 메달을 획득했다.[3] 특히 1975년과 1977년 세계 선수권 대회 단식에서 금메달 2개를 획득했다.[4][5]1982년 은퇴 후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고, 1983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대표팀 코치를 맡았다. 이후 4.25 체육단과 대표팀 코치로 활동했으며, 1985년 로력영웅 칭호를 받았다.

2. 1. 1. 초기 활동
1956년 8월 2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삭주군에서 태어났다. 1972년에 처음으로 국가대표로 발탁되었으며,[9] 같은 해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 주니어 탁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11] 1973년 9월 베이징에서 열린 3대륙 친선 대회를 통해 처음으로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11]1974년 4월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1974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으며, 단식과 김창애와 함께 출전한 복식 경기에서 모두 8강에 올랐다. 같은 해 9월 이란 테헤란에서 열린 1974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여 김창애와 함께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1975년 2월 인도 캘커타에서 열린 1975년 세계 선수권 대회 단식에서 중국의 장리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10] 1975년과 1977년 세계 선수권 대회 여자 단식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1976년 4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에서 열린 1976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단식 동메달을 획득했고, 김창애와 함께 출전한 복식에서 중국의 장더이, 장리 조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단체전에서도 중국팀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7년 3월 영국 버밍엄에서 열린 1977년 세계 선수권 대회 단식에서 다시 장리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복식에서도 중국의 양잉과 함께 출전하여 주샹윈과 웨이리제 조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도 중국팀의 뒤를 이어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1978년 11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1978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단식 예선 첫 경기에서 인도의 인두 푸리에게 패하여 탈락했다. 단체전에서도 중국의 차오옌화에게 패하는 등 부진했으나, 중국팀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12] 같은 해 12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1978년 아시안 게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대표팀이 불참하면서 출전하지 못했다.
1979년 4월 평양에서 열린 1979년 세계 선수권 대회 단체전에서 첫 상대인 체코슬로바키아의 마리에 흐라호바와 일로나 우흘리코바에게 패했으나, 대표팀은 중국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대회 단식에서는 4차전에서 중국의 퉁링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1980년 5월 인도 캘커타에서 열린 1980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단식 1차전에서 패하여 탈락했으며,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11월 유고슬라비아 자그레브에서 열린 유고슬라비아 오픈에 참가하여 준결승까지 올랐고, 12월에는 스웨덴 칼스크로나에서 열린 스칸디나비아 오픈과 파리에서 열린 프랑스 오픈에 참가했으나, 중국과 대한민국에게 우승을 내줬다.
1981년 4월 유고슬라비아 노비사드에서 열린 198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2. 1. 2. 국제 대회 활약
박영순은 1972년에 처음으로 국가대표로 발탁되었으며, 1973년 9월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열린 3대륙 친선 대회를 통해 처음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11] 1974년 4월에는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1974년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단식과 복식에서 모두 8강에 올랐다. 같은 해 9월에는 이란 테헤란에서 열린 1974년 아시안 게임에서 김창애와 함께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다.1975년 2월 인도 캘커타에서 열린 1975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단식에서 중국의 장리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6] 1976년 4월에는 평양에서 열린 1976년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단식 동메달, 김창애와 함께 출전한 복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도 중국팀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7년 3월 영국 버밍엄에서 열린 1977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단식에서 다시 장리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7] 또한 복식에서도 중국의 양잉과 함께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도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1978년 11월에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1978년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으나 단식과 단체전에서 부진했다.[12]
1979년 4월 평양에서 열린 1979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단식에서는 4차전에서 탈락했다. 1980년 5월 인도 캘커타에서 열린 1980년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1년 4월 유고슬라비아 노비사드에서 열린 1981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박영순은 1974년부터 1981년까지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와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단식, 복식, 단체전에서 여러 개의 메달을 획득했다.[3] 특히 1975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와 1977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단식에서 2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4][5]
2. 2. 지도자 경력
1982년에 현역에서 은퇴하여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으며,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대표팀 코치를 맡았다.[11] 이후 현역 시절 소속팀이었던 4.25 체육단과 대표팀 코치로 활동했고, 1985년에 로력영웅 칭호를 받았다.[12]3. 수상 및 서훈
연도 | 대회 | 종목 | 성적 |
---|---|---|---|
1974 | 아시안 게임 | 여자 복식 | 동메달 |
1975 | 세계 선수권 대회 | 여자 단식 | 금메달 |
1976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여자 단식 | 동메달 |
여자 복식 | 금메달 | ||
여자 단체전 | 금메달 | ||
1977 | 세계 선수권 대회 | 여자 단식 | 금메달 |
여자 복식 | 금메달 | ||
여자 단체전 | 은메달 | ||
1978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여자 단체전 | 은메달 |
1979 | 세계 선수권 대회 | 여자 단체전 | 은메달 |
1980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여자 단체전 | 은메달 |
1981 | 세계 선수권 대회 | 여자 단체전 | 동메달 |
1985년 로력영웅 칭호를 받았다.[3] [4] [5] [6] [7] [8]
4. 사망
1987년 7월 14일 3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8]
5. 대중 문화
2022년 4월 3일 조선중앙TV에서 장편 소설 '사라지지 않은 혜성'을 바탕으로 제작한 TV 연속극 '마지막 한 알'이 방영되었다. 이 드라마는 1975년 인도 캘커타에서 열린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단식 8강전 5세트 막바지 장면으로 시작되었는데, 대한민국의 정현숙 선수와 맞붙은 경기였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Immortal Youth
http://www.naenara.c[...]
2016-03-25
[2]
서적
History of U.S. Table Tennis
http://www.usatt.net[...]
2008
[3]
웹사이트
ITTF_Database - PAK Yung Sun (PRK)
http://www.ittf.com/[...]
[4]
웹사이트
Table Tennis World Championship medal winners
http://sports123.com[...]
Sports123
[5]
웹사이트
Profile
https://tabletennis.[...]
Table Tennis Guide
[6]
서적
A-Z of Sport, pages 699-700
The Bath Press
[7]
서적
The Guinness Encyclopaedia of Sports Records and Results, pages 309-312
https://archive.org/[...]
Guinness Superlatives
[8]
뉴스
DPRK's Sports Aces (6) - World table-tennis queen Pak Yong Sun
http://www.kcna.co.j[...]
2014-03-03
[9]
웹사이트
ITTF_Database - PAK Yung Sun (PRK)
http://www.ittf.com/[...]
[10]
서적
人民の楽園
外国文出版社
1978
[11]
뉴스
北韓男女준결進出 中共탁구개인전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73-09-06
[12]
뉴스
북한 朴英順 亞洲탁구 選手權 上位圈 탈락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78-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