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는 국제 탁구 연맹(ITTF)이 주관하는 탁구 대회로,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나뉘어 격년으로 개최된다. 1926년 시작되어 2024년 부산 대회까지 이어졌으며, 1999년 개인전, 2000년 단체전이 처음 별도로 개최되었고, 2003년부터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2021년부터 개인전과 단체전의 참가 자격이 제한되었다. 대회 우승자에게는 스웨이드링 컵, 코르비용 컵 등 7개의 주요 트로피가 수여되며, 중국이 역대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은 1959년부터 대회에 참가했으며, 1991년 남북 단일팀 '코리아'로 출전하여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주요 경기는 SPOTV, STN 스포츠 등 스포츠 전문 채널과 ITTF 공식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중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 2017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는 2017년 5월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되었으며,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남자 단식과 남자 복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 2015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15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는 중국 쑤저우에서 개인전 5개 종목으로 개최되어 중국이 4개 종목 금메달을 휩쓸고 혼합 복식에서는 중국과 대한민국의 조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2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혼바쇼
    혼바쇼는 스모의 공식 토너먼트를 지칭하며 에도 시대부터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어 일본 스모 협회 설립 후 연간 6회 홀수 달에 15일간 진행되고 각 등급별 우승자를 가린다.
  • 192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는 유럽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수영 대회로, 수구 종목이 분리된 후 수영, 다이빙, 아티스틱 스위밍, 오픈 워터 스위밍, 하이 다이빙 등의 종목으로 구성되며, 동독, 헝가리, 러시아, 이탈리아 등이 메달 순위에서 강세를 보인다.
  • 2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발틱컵
    발트 3국을 중심으로 시작된 발틱컵은 주변 국가들이 초청되어 참가하기도 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소련 점령기에 중단되었다가 발트 3국 독립 이후 재개되어 발트 3국의 축구 발전과 국제적 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 2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세계태권도연맹 주관의 국제 대회로, 1973년 서울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압도적인 메달 획득 수를 기록하고 있지만 최근 다른 국가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기본 정보
2009 WTTC (요코하마, 일본)
종목세계 스포츠 이벤트
시작 연도1926년
시기대략 4월–5월
빈도매년
주최ITTF
역대 우승자
남자 단식 (2023)판젠동(樊振東)
여자 단식 (2023)쑨잉샤(孫穎莎)
남자 복식 (2023)판젠동(樊振東) / 왕추친(王楚欽)
여자 복식 (2023)천멍(陳夢) / 왕이디(王芸迪)
혼합 복식 (2023)왕추친(王楚欽) / 쑨잉샤(孫穎莎)
남자 단체 (2024)중국(판젠동(樊振東)/왕추친(王楚欽)/마롱(馬龍)/량징쿤(梁靖崑)/린가오위안(林高遠))
여자 단체 (2024)중국(천멍(陳夢)/쑨잉샤(孫穎莎)/왕만위(王曼昱)/왕이디(王芸迪)/천싱통(陳幸同))
최다 우승자 (1926~1999)
남자 단식빅토르 바르나(ビクトル・バルナ) (5회)
여자 단식안젤리카 로제아누(アンジェリカ・ロゼアヌ) (6회)
남자 복식빅토르 바르나(ビクトル・バルナ) (8회) /
여자 복식마리아 메드냐스키(メドニヤンスキ・マリア) (7회)
혼합 복식마리아 메드냐스키(メドニヤンスキ・マリア) (6회)
전 종목 (남자)빅토르 바르나(ビクトル・バルナ) (22회) /
전 종목 (여자)마리아 메드냐스키(メドニヤンスキ・マリア) (18회)
최다 우승자 (2000년대)
남자 단식마롱(馬龍) (3연패, 2015, 2017, 2019)
남자 단식왕리친(王励勤) (3회, 2001, 2005, 2007)
전 종목 (남자)마롱(馬龍) (12회)
기타 정보
이전/다음 대회
이전 단체전2022 단체전
다음 단체전2024 단체전
이전 개인전2023 개인전
다음 개인전2025 개인전

2. 역대 대회

국제 탁구 연맹(ITTF)이 주최하는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는 1926년 런던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된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기간(1940~1946년)을 제외하고 초기에는 매년, 1957년 스톡홀름 대회 이후로는 2년마다 개최되었다.[2]

1999년과 2000년부터 개인전과 단체전이 분리되어 번갈아 개최되기 시작했다. 1999년에는 개인전이, 2000년에는 단체전이 처음으로 별도 개최되었으며, 2001년 오사카 대회를 마지막으로 개인전과 단체전이 함께 개최되는 대회는 없어졌다. 2003년부터는 홀수 해에는 개인전, 짝수 해에는 단체전이 열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

2021년 휴스턴 대회부터는 개인전에 128명, 단체전에 32개 팀이 참가 자격을 얻는 것으로 변경되었다.[2]

초기에는 헝가리 선수들이 강세를 보였으나, 1936년 프라하 대회 이후 체코, 오스트리아, 미국 선수들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1952년 뭄바이 대회부터 아시아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특히 일본 선수들이 여러 종목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

1960년대에는 중국이 탁구 강국으로 부상했지만, 문화 대혁명의 영향으로 1967년과 1969년 대회에는 불참했다. 이후 일본의 핑퐁 외교 노력과 저우언라이의 결단으로 1971년 대회에 복귀한 이후, 중국은 탁구 최강국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여자 탁구에서는 중국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다.[8]

1980년대 후반 스웨덴을 필두로 한 유럽 세력이 잠시 강세를 보였으나, 199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이 다시 남자 탁구에서도 최강국 지위를 회복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남녀 모두 중국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독일, 일본, 한국, 홍콩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2]

2. 1. 대회 목록 (1926년 ~ 2026년)

횟수연도개최지
11926런던
21928스톡홀름
31929부다페스트
41930베를린
51931부다페스트
61932프라하
71933.1바덴
81933.12파리
91935웸블리
101936프라하
111937바덴
121938웸블리
131939카이로
141947파리
151948웸블리
161949스톡홀름
171950부다페스트
181951
191952봄베이
201953부쿠레슈티
211954웸블리
221955위트레흐트
231956도쿄
241957스톡홀름
251959도르트문트
261961베이징
271963프라하
281965류블랴나
291967스톡홀름
301969뮌헨
311971나고야
321973사라예보
331975캘커타
341977버밍엄
351979평양
361981노비사드
371983도쿄
381985예테보리
391987뉴델리
401989도르트문트
411991지바
421993예테보리
431995톈진
441997맨체스터
451999에인트호번
452000쿠알라룸푸르
462001오사카
472003파리
472004도하
482005상하이
482006브레멘
492007자그레브
492008광저우
502009요코하마
502010모스크바
512011로테르담
512012도르트문트
522013파리
522014도쿄
532015쑤저우
532016쿠알라룸푸르
542017뒤셀도르프
542018할름스타드
552019부다페스트
-2020 부산
562021휴스턴
562022청두
572023더반
572024부산
582025도하
582026런던



국제 탁구 연맹(ITTF)은 1999년에 개인전, 2000년에 단체전을 처음으로 별도로 개최했으며, 2001년이 개인전과 단체전이 함께 개최된 마지막 대회였다. 2003년부터 개인전과 단체전이 다시 분리되어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다.


  • 1929년부터 2020년까지: 모든 선수와 팀에게 개방.
  • 2021년부터: 개인전과 단체전에 각각 128명의 선수와 32개 팀이 참가 자격을 얻음.

2. 2. 대회 진행 방식의 변화 (1999년 ~ 현재)

국제 탁구 연맹(ITTF)은 1999년에는 개인전을, 2000년에는 단체전을 처음으로 분리하여 개최하였다. 2001년 대회는 개인전과 단체전이 함께 개최된 마지막 대회였다. 2003년부터 개인전과 단체전은 다시 분리되어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다.[2]

2021년부터 개인전에는 128명의 선수, 단체전에는 32개 팀이 참가 자격을 얻게 되었다.[2]

회차연도개최 도시개최 국가세부 종목
451999 아인트호벤네덜란드5
2000 쿠알라룸푸르말레이시아2
462001 오사카일본7
472003 파리프랑스5
2004 도하카타르2
482005 상하이중국5
2006 브레멘독일2
492007 자그레브크로아티아5
2008 광저우중국2
502009 요코하마일본5
2010 모스크바러시아2
512011 로테르담네덜란드5
2012 도르트문트독일2
522013 파리프랑스5
2014 도쿄일본2
532015 쑤저우중국5
2016 쿠알라룸푸르말레이시아2
542017 뒤셀도르프독일5
2018 할름스타드스웨덴2
552019 부다페스트헝가리5
2020 부산대한민국 (취소)
562021 휴스턴미국5
552022 청두중국[2]2
572023 더반남아프리카 공화국[3]5
562024 부산대한민국[4]2
582025 도하카타르[5]5
572026 런던잉글랜드2


3. 주요 트로피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각 종목별 우승자에게 7개의 트로피가 수여되며, 우승 협회에서 보관하다가 다음 대회에 반환한다.[1]


  • 단체전
  • 남자 단체전: 스웨이드링 남작 부인이 기증한 '''스웨이드링 컵'''
  • 여자 단체전: 마르셀 코르비용이 기증한 '''코르비용 컵'''
  • 단식
  • 남자 단식: C. 코르티 우드콕이 기증한 '''세인트 브라이드 화병'''
  • 여자 단식: 가스파르 가이스트 박사가 기증한 '''Gaiszt-díj|가이스트 상hu'''
  • 복식
  • 남자 복식: 이란 샤가 수여한 '''이란 컵'''
  • 여자 복식: W.J. 포프가 기증한 '''W.J. 포프 트로피'''
  • 혼합 복식: 즈데네크 헤이두세크가 기증한 '''헤이두세크 컵'''


1939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가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렸을 때 이집트 국왕 파루크가 기증한 '''이집트 컵'''은 다음 세계 선수권 대회 개최국에 수여된다.[1]

3. 1. 남자 단체전: 스웨이드링 컵

'''스웨이드링 컵'''은 1926년 초대 ITTF 회장인 아이버 몬태규의 어머니 스웨이드링 남작 부인이 기증한 것으로,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남자 단체전에 수여된다.[1]

3. 2. 여자 단체전: 코르비용 컵

1933년 프랑스 탁구 협회 회장 마르셀 코르비용이 여자 단체전에 수여하기 위해 코르비용 컵을 기증했다.[1] 원래 컵은 1939년 독일 팀이 획득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를린 점령 기간 동안 사라졌다.[1] 현재의 코르비용 컵은 1949년에 제작된 복제품이다.[1]

3. 3. 남자 단식: 세인트 브라이드 화병

'''세인트 브라이드 화병'''은 1929년 런던의 세인트 브라이드 탁구 클럽 회원 C. 코르티 우드콕이 프레드 페리가 부다페스트에서 우승한 후 기증한 트로피로,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남자 단식 우승자에게 수여된다.[1]

3. 4. 여자 단식: 가이스트 상

Gaiszt-díj|가이스트 상hu은 1931년 헝가리 탁구 협회 회장인 가스파르 가이스트 박사가 기증했으며, 여자 단식에 수여된다.[1]

3. 5. 남자 복식: 이란 컵

이란 컵은 1947년 이란 샤가 수여한 남자 복식 우승 트로피이다.[1]

3. 6. 여자 복식: W.J. 포프 트로피

국제 탁구 연맹(ITTF) 명예 사무총장 W.J. 포프가 1948년에 기증한 트로피이다.[1]

3. 7. 혼합 복식: 헤이두세크 컵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협회 사무총장이었던 즈데네크 헤이두세크가 기증했다.[1] 2013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북한의 김혁봉과 김종이 이 컵을 획득했다.

2013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혼합 복식 트로피인 헤이두세크 컵을 획득한 북한의 김혁봉과 김종

3. 8. 이집트 컵

1939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가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렸을 때 이집트 국왕 파루크가 기증한 트로피로, 다음 세계 선수권 대회 개최국에 수여된다.[1]

4. 메달 집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중국140102153395
2헝가리6858.575.5202
3일본483472154
4체코2834.559121.5
5루마니아16.5101945.5
6잉글랜드1427.556.598
7스웨덴131412.539.5
8미국9.522031.5
9오스트리아615.535.557
10독일516.520.542
11대한민국4.5184466.5
1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91326
13유고슬라비아31113.527.5
14소련34714



2024년 부산 대회한국어까지의 기록이며, 복식조는 0.5점으로 계산되었다.[6]

4. 1. 역대 메달 순위 (2024년 기준)

2024년 부산 대회까지의 메달 순위
순위국가합계
1중국158105170.5433.5
2헝가리685973.5200.5
3일본484277167
4체코슬로바키아2836.558.5123
5루마니아1710.518.546
6스웨덴151314.542.5
7잉글랜드1426.55797.5
8미국10319.532.5
9오스트리아713.53555.5
10대한민국4.5184466.5
11독일415.521.541
1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581223.5
13유고슬라비아31113.527.5
14소련34714
15프랑스23.52025.5
16중화 타이베이13913
17싱가포르1258
18서독1247
19 코리아1135
20스코틀랜드111.53.5
21폴란드03.56.510
22홍콩0224.526.5
23벨기에0213
24웨일스01.534.5
24벨라루스01.51.53
26동독0112
27크로아티아00.52.53
28룩셈부르크00.511.5
29스페인00.500.5
30이집트002.52.5
31인도0022
32그리스001.51.5
33덴마크0011
33이탈리아0011
33포르투갈0011
33베트남0011
37네덜란드000.50.5


4. 2. 주요 메달리스트 (남자)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9개 이상 획득한 남자 선수는 12명이다.[6]

순위선수국가시작종료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빅토르 바르나Viktor Barna|빅토르 버르너hu
Victor Barna영어
192919542271241
2미클로시 서바도스Szabados Miklós|서바도시 미클로시hu19291937156324
3마롱马龙|마룡중국어20062024141419
4보후밀 바냐Bohumil Váňa|보후밀 바냐cs193519551310730
5오기무라 이치로荻村 伊智朗|오기무라 이치로일본어19541965125320
6왕리친王励勤|왕리친중국어19972013114520
7쉬신许昕|쉬신중국어20092019101213
8이반 안드레아디스Ivan Andreadis|이반 안드레아디스cs19471957910827
9페렌츠 시도Sidó Ferenc|시도 페렌츠hu1947196199826
10마린马琳|마린중국어1999201397420
11왕하오王皓|왕하오중국어2003201494316
12판젠둥樊振东|판전둥중국어2014202492213


4. 3. 주요 메달리스트 (여자)

다음은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8개 이상 획득한 여자 선수 11명의 명단이다.[6]

순위선수국가시작종료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메드냐인츠키 마리아Mednyánszky Mária|메드냐인츠키 마리아hu18bgcolor="#DCE5E5"|bgcolor="#FFDAB9"|bgcolor="#E7FAEC"|
안젤리카 로제아누Angelica Rozeanu|안젤리카 로제아누ro17bgcolor="#DCE5E5"|bgcolor="#FFDAB9"|bgcolor="#E7FAEC"|
왕난王楠|왕난중국어15bgcolor="#DCE5E5"|bgcolor="#FFDAB9"|bgcolor="#E7FAEC"|
안나 시포스Sipos Anna|시포스 안나hu11bgcolor="#DCE5E5"|bgcolor="#FFDAB9"|bgcolor="#E7FAEC"|
기젤라 파르카스Farkas Gizella|파르카스 기젤라hu10bgcolor="#DCE5E5"|bgcolor="#FFDAB9"|bgcolor="#E7FAEC"|
궈웨郭跃|궈웨중국어10bgcolor="#DCE5E5"|bgcolor="#FFDAB9"|bgcolor="#E7FAEC"|
장이닝张怡宁|장이닝중국어10bgcolor="#DCE5E5"|bgcolor="#FFDAB9"|bgcolor="#E7FAEC"|
리샤오샤李晓霞|리샤오샤중국어9bgcolor="#DCE5E5"|bgcolor="#FFDAB9"|bgcolor="#E7FAEC"|
덩야핑邓亚萍|덩야핑중국어9bgcolor="#DCE5E5"|bgcolor="#FFDAB9"|bgcolor="#E7FAEC"|
딩닝丁宁|딩닝중국어8bgcolor="#DCE5E5"|bgcolor="#FFDAB9"|bgcolor="#E7FAEC"|
류스원刘诗雯|류스원중국어8bgcolor="#DCE5E5"|bgcolor="#FFDAB9"|bgcolor="#E7FAEC"|



1952년 뭄바이에서 열린 제19회 대회는 처음으로 아시아에서 개최된 대회였다. 이 대회에서 일본 선수들이 남녀 복식, 여자 단체, 남자 단식 4종목에서 우승하면서 세계 탁구계는 아시아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60년대에 중국이 탁구 강국으로 부상했지만, 문화 대혁명의 영향으로 1967년, 1969년 대회는 불참했다. 이후 일본의 핑퐁 외교 노력과 저우언라이의 결단으로 1971년 대회에 복귀[8]하면서, 1970년대 이후에는 중국의 탁구 전성 시대가 이어졌다. 특히 여자 탁구에서는 중국의 패권이 매우 강하다.

5. 대한민국 탁구의 발자취

1959년 도르트문트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참가한 한국 탁구는 이후 꾸준히 성장했다. 1973년 사라예보 대회에서 이에리사, 정현숙, 박미라가 여자 단체전 우승을 차지했다.[8] 1991년 지바 대회에서는 남북한이 단일팀으로 출전, 현정화, 리분희, 유순복 등이 여자 단체전 우승을 이끌며 한반도 평화와 화합의 상징을 만들었다.[8]

2000년대 이후에도 한국은 세계 선수권 대회에 꾸준히 참가하며 세계 정상급 실력을 유지하고 있다. 남자 대표팀은 지속적으로 메달을 획득하며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남자 탁구는 중국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독일, 일본, 한국, 홍콩 등이 강국으로 꼽힌다.[8] 2024년 부산 대회에서 남녀 대표팀 모두 4강에 진출했다.

5. 1. 초기 참가와 성장 (1959년 ~ 1980년대)

1959년 도르트문트 대회에 처음 참가한 이후, 한국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1973년 사라예보 대회에서 이에리사, 정현숙, 박미라 선수가 여자 단체전 우승을 차지하며 세계를 놀라게 했다.[8]

5. 2. 남북 단일팀 '코리아'의 쾌거 (1991년)

1991년 지바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북한이 '코리아'라는 이름의 단일팀으로 출전하여 여자 단체전 우승을 차지하는 역사적인 순간을 만들었다.[8] 현정화, 리분희, 유순복 등 남북한 선수들이 하나 되어 이룬 쾌거는 한반도 평화와 화합의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다.

5. 3. 지속적인 도전과 발전 (2000년대 ~ 현재)

대한민국은 꾸준히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며 세계 정상급 실력을 유지하고 있다. 남자 대표팀은 2000년대 이후 꾸준히 메달을 획득하며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남자 탁구에서도 중국이 완전한 1강 상태이며, 중국 외에는 독일, 일본, 한국, 홍콩 등이 현재 실력 있는 국가(지역)로 꼽힌다.[8] 2024년 부산 대회에서는 남녀 대표팀 모두 4강에 진출하며 홈 팬들에게 큰 기쁨을 선사했다.

6. 미디어 중계

대한민국에서는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가 TV로 중계되지 않지만, TV 도쿄유튜브 채널 'TV 도쿄 탁구 채널'을 통해 일부 경기를 시청할 수 있다.

6. 1. TV 중계

テレビ中継일본어

2005년부터 TV 도쿄 계열에서 일본 선수 경기를 중심으로 생중계 또는 녹화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8] 2009년부터는 BS TV 도쿄 (구 BS 재팬)에서도 위성 방송을 통해 중계하고 있다.[8] 과거에는 NHK (2001년 오사카 대회)와 J 스포츠에서도 중계한 바 있다.[8]

6. 2. 온라인 중계

TV 도쿄유튜브 채널 'TV 도쿄 탁구 채널'에서 지상파 방송 시간 외 경기를 실황 해설과 함께 제공하고 있다.[8] 2012년부터 시작되었다.[8] 2018년부터는 Paravi에서 일본전 전 경기를 유료로 라이브 배포하고 있다.[8] 2022년부터는 TVer에서 일본전 전 경기를 배포하고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The World Championship Trophies – A Retrospective https://www.ittf.com[...] ITTF 2010-06-22
[2] 뉴스 China's Chengdu bidding to host 2022 World Table Tennis Championships https://web.archive.[...] 2021-11-28
[3] 웹사이트 South Africa to host World Table Tennis Championships for first time after Durban beats Düsseldorf in 2023 race https://www.insideth[...] 2021-11-28
[4] 뉴스 Busan to host 2024 table tennis world championships http://www.koreahera[...] 2021-11-28
[5] 웹사이트 Doha Selected to Host the 2025 ITTF World Table Tennis Championships Finals https://www.ittf.com[...] 2022-12-07
[6] 웹사이트 Medalists of World Table Tennis Championships https://tabletennis.[...] 2011-11-08
[7] 웹사이트 2017年ITTFカレンダー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国際舞台復帰に奔走―森武さん(2) =停滞期経て日中交流揺るがず= http://sports.jiji.c[...] 시사통신 2012-05-22
[9] 문서 アン・ヘイドン=ジョーンズの父
[10] 웹사이트 河北町 あゆみ http://town.kahoku.y[...]
[11] 문서 한국과 북朝鮮의 합동팀
[12] 문서 テレビ東京制作のBSジャパンオリジナルプログラム。
[13] 웹사이트 放送情報:世界卓球マレーシア2016 https://www.tv-tokyo[...]
[14] 문서 全仏オープンテニスは衛星波は『BSテレ東』では放映していないため。
[15] 웹사이트 放送情報|世界卓球2024 団体戦 https://www.tv-tokyo[...] 2024-02-08
[16] 웹사이트 テレビ東京『世界卓球』がインターネットでも同時配信! https://world-tt.com[...] 2017-05-25
[17] 웹사이트 世界卓球 日本戦の中継が男子から女子に切り替わり「マジかよ」「この判断はどうなんだろ」「両方映すのは無理?」「張本のチョレイ見たい」の声 https://www.daily.co[...] 2024-02-23
[18] 웹사이트 世界卓球 日本男子初戦はまさかの不戦勝 テレ東痛恨、2時間のBS中継枠 福澤朗アナ「番組編成が大変なことに」 解説の水谷隼らが苦肉の繫ぎ https://www.daily.co[...] 2024-02-16
[19] 웹사이트 日本男子 ナイジェリアに不戦勝。世界12位の相手エースが棄権【世界卓球】 https://www.tv-tokyo[...] 테레비도쿄 2024-02-16
[20] 웹사이트 男子日本代表は不戦勝スタート ナイジェリアがエース食中毒&選手到着遅れで棄権<世界卓球2024> https://rallys.onlin[...] 2024-02-16
[21] 문서 一例としては2024年大会『男子』(BSテレ東)で日本対ナイジェリア戦
[22] 웹사이트 世界卓球 完全中継したテレビ東京に感謝の声「テレ東には足を向けて寝られない」「無限延長に感謝」「やっぱ卓球といえばテレビ東京」 https://www.daily.co[...] 2024-02-24
[23] 문서 2005年大会時に、女子の福原愛選手の試合を生中継する予定だったが、前の試合が長引いてしまったため。放送枠に埋まらず、同試合が始まってわずか13分で放送終了となったケースがある.\n\nこれを受けて2006年大会以降は最大で30分まで延長する措置を取り、それ以降の番組編成を時間を繰り下げる措置をとっていた。現在は、試合が終わるまで完全に中継を行っている。
[24] 문서 一方で、BSテレ東での中継の場合は、試合延長時はマルチ編成「サブチャンネル」を活用して試合を中継する場合がある.\n\nまた、日本勢の結果次第では、テレ東とBSテレ東が同時放送する場合もある。
[25] 웹사이트 テレ東アニメ「SPY×FAMILY」第1話の録画視聴率、7月クール全局全番組で最高6・0% https://www.nikkansp[...] 2022-10-27
[26] 웹사이트 SPY×FAMILY”録画失敗続出”のテレ東社長「本当に申し訳ないことを…すぐに再放送」と陳謝 https://www.chunichi[...] 2022-10-27
[27] 웹사이트 テレ東「SPY×FAMILY」再放送検討 世界卓球影響で録画失敗苦情「絶メシロード」も https://www.daily.co[...] 2022-10-11
[28] 트윗 "#世界卓球 2022🇨🇳 📺#BSテレ東 で生中継!" 2022-10-07
[29] 문서 2023年大会の場合、2023年5月27日に本来『土曜スペシャル ザキヤマの街道歩き旅』(18:30 - 21:54)を放送予定だったが、日本代表の早田ひな選手が女子シングルス準決勝進出したため、急遽組み込まれた。
[30] 문서 一例をあげると、アニメ番組で2006年の『[[いぬかみっ!]]』や2022年の『[[SPY×FAMILY]]』が挙げられる。
[31] Youtube 【1位 20.8%】世界卓球 瞬間最高視聴率ランキング TOP5|世界卓球ヤミツキTV #2 https://www.youtube.[...] 2024-02-08
[32] 웹사이트 |世界卓球2024 団体戦:テレ東 https://www.tv-tokyo[...] 2024-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