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곡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곡궁은 활을 의미하며, 고대부터 사냥과 전투에 사용되었다. 다양한 민족들이 합성궁을 사용했으며, 재갈궁은 이집트와 아시아로 퍼져나갔다. 로마 제국, 오스만 제국, 몽골 제국 등에서 활은 중요한 무기로 사용되었고, 고구려에서도 활쏘기가 중시되었다. 현대에는 리커브 활이 올림픽 등에서 사용되며, 첨단 기술과 재료로 제작된다. 양궁 장비는 활, 화살, 조준기, 안정기, 클리커, 플런저, 탭, 암 가드, 체스트 가드 등으로 구성된다. 양궁 기술은 스탠스, 세트, 노킹, 셋업, 드로잉, 풀 드로우, 릴리스, 팔로우 스루 등으로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궁시 - 장궁
장궁은 궁수의 키만큼 긴 활로, 강력한 위력을 위해 시위를 강하게 당길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보병 무기로 널리 쓰였고 일본에서는 무사의 기승사 무술에 활용되었으며 잉글랜드 롱보우의 활약, 동아시아 와궁 등으로 발전하여 전쟁, 사냥, 현대 레크리에이션과 궁술 경기에 사용되고 기원은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연구가 있다. - 궁시 - 편전
편전은 애기살을 쏘기 위해 사용된 한국 전통 활의 한 종류로, 통아라는 발사 장치를 사용하여 일반 활보다 사거리가 길고 은밀성이 뛰어나 군사적으로 활용되었으며, 조선 시대 무과 시험 과목이자 임진왜란 당시 국가 기밀로 취급될 만큼 중요한 무기였다.
반곡궁 | |
---|---|
개요 | |
![]() | |
종류 | 활 |
사용 분야 | 양궁 필드 아처리 전통 궁술 |
구조 및 특징 | |
특징 | 활 끝이 궁시 방향으로 굽어진 형태 |
재료 | 목재 섬유 강화 플라스틱 금속 복합 재료 |
역사 | |
기원 | 고대부터 사용 |
현대화 | 양궁 스포츠를 위해 발전 |
사용 국가 | 전 세계 |
관련 용어 | |
영어 | Recurve bow |
일본어 | リカーブボウ |
관련 용어 | 반곡궁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The Archery Guide의 리커브 보우 정보 |
참고 자료 | 시부야 아처리의 리커브 보우 정보 |
2. 역사적 배경
궁술은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온 오래된 기술 중 하나이다. 특히 활을 뒤로 휘게 만드는 재갈궁은 여러 민족들이 사용했다. 스키타이, 페르시아를 비롯하여 파르티아, 사르마티아인, 알란인, 다키아인, 쿠만인, 힉소스, 마자르인, 훈족, 불가르인, 그리스, 튀르크, 몽골, 한국인, 중국 등 여러 집단이 합성 소재로 만들어진 재갈궁을 사용했다.
2. 1. 고대 궁술

고대에는 활이 주로 사냥과 전투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스키타이, 페르시아, 파르티아, 사르마티아인, 알란인, 다키아인, 쿠만인, 힉소스, 마자르인, 훈족, 불가르인, 그리스인, 튀르크계 민족, 몽골인, 한국인, 중국인 등 다양한 민족들이 합성궁을 사용했다.
재갈궁은 기원전 2천년경 이집트와 아시아 대부분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시편에는 재갈궁 사용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기원전 8세기경), "그들은 속이는 활처럼 굽어졌다"라는 구절이 있다.[3] 19세기 성서 학자 아담 클라크는 이 활이 솜씨가 없거나 힘이 약한 사람이 다루기 어려워 팔이 부러질 수도 있는 위험한 무기였다고 설명했다.[4]
로마 제국의 궁수들은 합성 재갈궁을 표준 무기로 사용했으며,[6]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튀르크 궁수들이 재갈궁을 사용하여 막대한 파괴력을 발휘했다.[7] 몽골 제국은 재갈궁을 사용하여 광대한 영토를 정복했는데, 몽골군의 활은 대나무 심재에 뿔과 힘줄을 동물성 접착제로 붙여 만들어 우수한 사거리와 위력을 가졌다.[8][9][10]
고구려의 벽화에는 수렵도와 무용총에서 말을 타면서 활을 쏘는 기마궁술 장면이 발견되어, 고구려가 활쏘기를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2. 2. 중세 및 근대 궁술
중세 유럽에서는 건조한 지역을 중심으로 합성궁이 사용되었고, 습한 지역에서는 전 나무로 만든 직선형 장궁이 사용되었다. 영국 제도에서 묘사된 재갈궁[11]은 합성 무기이거나 끝부분을 구부린 나무 활, 또는 단순한 예술적 허용일 수 있다.재갈궁은 19세기 말 여러 국가에서 효과적인 화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전쟁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3. 현대 양궁
현대 양궁은 스포츠로서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활 제작자들과 궁수들은 여전히 리커브 형태의 셀프 보우, 복합 활, 적층 활을 제작하고 사용한다. '라이저'라는 용어는 일체형 활에서 중앙 부분이 팔에서 테이퍼 형태로 올라와 응력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사용된다. 여러 제조업체에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금속 피팅 포함) 또는 탄소 섬유가 있는 알루미늄으로 만든 라이저를 생산한다. 초보자용 라이저는 일반적으로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활의 당기는 무게와 궁수가 활을 얼마나 잘 다루는지가 정확도와 관련이 있으므로, 초보자는 자신의 체격과 경험 수준에 적합한 당기는 무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13]
현대 올림픽 스타일 리커브 활은 미국식 플랫보우의 발전으로, 사각형 단면의 팔이 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오늘날 대부분의 리커브 활은 분리형 활이며, 팔을 라이저에서 분리할 수 있어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고 교체도 가능하다. 구형 리커브 활과 일부 현대 사냥용 리커브 활은 일체형 활이다. 사냥꾼들은 분리형 활보다 일체형 활을 선호하는데, 분리형 활의 팔 포켓이 활시위를 당길 때 원치 않는 소음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베어보우는 또 다른 현대식 리커브 활의 한 종류이다. 일반적으로 리커브 활과 같은 라이저와 팔을 사용하지만, 시야, 안정 장치 및 클리커가 없다. 외관은 비슷할 수 있지만, 네거티브 틸러와 다른 무게 분포를 사용하여 다르게 조정된다. 이는 궁수의 앵커 포인트가 턱 아래 대신 입가에 있기 때문이다.
3. 1. 올림픽 양궁
현대 궁술계에서 "리커브 활" 또는 "리커브"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올림픽 및 기타 여러 경쟁 대회에서 궁수들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현대식 리커브 활을 의미한다. 이 활은 첨단 기술과 재료를 사용한다. 활의 팔은 일반적으로 탄소 폼 또는 나무 코어 위에 여러 층의 유리섬유, 탄소 및/또는 나무로 만들어진다. 라이저(활의 중앙 부분)는 일반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나무, 탄소, 알루미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만들어진다.[13] 합성 재료를 사용하면 일관된 성능을 위해 경제적이고 예측 가능한 제조가 가능하다. 현대 활의 더 큰 질량 자체가 안정성, 따라서 정확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13]현대식 리커브 활은 올림픽에서 허용되는 유일한 활 종류이며(컴파운드 보우는 패럴림픽의 일부 종목에서 허용됨), 유럽과 아시아의 스포츠 궁수들이 가장 널리 사용한다.[13]
경기용 컴파운드 보우의 기술적 기반이 더욱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경기 통계 추적 및 테스트가 더욱 용이해짐에 따라 향후 올림픽 경기에 컴파운드 보우를 포함시키자는 움직임이 있다.[14]
4. 양궁 장비
양궁 장비는 활과 화살뿐만 아니라 다양한 보조 장비들로 구성된다. 양궁의 활 장비는 주로 다음 도구들로 구성된다.[1]
- 핸들(Handle):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으로, 다양한 장비가 부착된다. 과거에는 대나무나 나무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마그네슘, 철을 거쳐 현재는 탄소섬유나 알루미늄이 주류이다.
- 림(Rim): 활이 휘어지는 부분이다. 핸들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강도(파운드 수)나 종류를 바꿀 수 있다. 소재에 따라 폼 코어와 우드 코어 두 종류가 있다.
- 스트링(String): 활시위이다. 시위 실에도 종류와 색깔이 있으며, 시위 실의 가닥 수 등을 바꿈으로써 활의 특성을 조절한다.
- 화살(Arrow): 샤프트, 노크, 포인트, 깃으로 구성된다.
활과 화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보조 장비들이 사용된다.
- 사이트: 조준기. 리커브 활에서는 한 점 조준만 허용된다.[1]
- 안정기: 활을 안정시키는 막대 모양 장비.[1]
- 클리커: 핸들에 부착하는 금속 조각. 화살 길이를 안정시킨다.[1]
- 플런저: 쿠션 플런저라고도 하며, 발사되는 화살의 궤적을 보정한다.[1]
- 웨이트(Weight): 핸들 라이저나 안정기에 부착하여 활의 무게 균형을 조절한다.
- 탭: 쏘는 손의 손가락 끝을 시위와의 마찰로부터 보호하는 장비. 주로 가죽으로 제작.[1]
- 암 가드: 시위가 팔을 치는 것을 막기 위해 활을 잡는 손의 팔뚝에 장착.[1]
- 체스트 가드: 옷이 시위에 걸리는 것을 방지.[1]
- 보우 스트링(Bowstring): 손을 놓아도 활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끈 모양 장비.
4. 1. 활 (Bow)
현대식 반곡궁은 첨단 기술과 재료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13]명칭 | 설명 |
---|---|
핸들 (Handle, Riser) | 활의 중심 부분으로,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나무, 탄소,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초보자용으로는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핸들이 사용되기도 한다.[13] |
림 (Limbs) | 활의 위아래로 뻗어 있는 부분으로, 탄성을 이용하여 화살에 에너지를 전달한다. 유리섬유, 탄소, 나무 등 여러 층으로 겹쳐 만들어진다. 핸들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강도(파운드 수)나 종류를 바꿀 수 있다. |
스트링 (String) | 활시위를 의미하며, 림의 양쪽 끝에 연결되어 화살을 발사하는 역할을 한다. 시위 실의 종류와 색깔, 가닥 수 등에 따라 활의 특성이 달라진다. |
4. 2. 화살 (Arrow)
샤프트, 노크, 포인트, 깃으로 구성된다.4. 3. 보조 장비
사이트는 정확한 조준을 돕는 장비이다. 리커브 활에서는 한 점 조준만 허용된다.[1] 안정기는 활을 안정시키는 막대 모양의 장비이다.[1] 클리커는 핸들에 부착하는 금속 조각으로, 화살 길이를 안정시켜 일정한 길이로 화살을 당겼을 때 '딸깍' 소리를 내어 발사 시점을 알려준다.[1][6] 플런저는 쿠션 플런저라고도 불리며, 발사되는 화살의 좌우 흔들림을 보정한다.[1] 탭은 쏘는 손의 손가락 끝을 시위와의 마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비로, 주로 가죽으로 만들어진다.[1] 암 가드는 시위가 팔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활을 잡는 손의 팔뚝에 장착하는 보호대이다.[1] 체스트 가드는 옷이 활시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대이다.[1]5. 양궁 기술
반곡궁에서 올바른 자세와 기술을 익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본 자세에는 스탠스(다리가 앞), 세트(몸통이 앞), 노킹(화살 짝지워), 셋업(집부흥), 드로잉(무승부), 후르드로(회), 릴리스(화살 떨어짐), 팔로우 스루(잔심) 등이 있다. 활 쏘는 순서는 세트, 노킹, 셋업, 드로잉, 풀 드로우, 릴리스, 팔로우 스루로 이루어진다. 한국 전통 활쏘기에서는 줌손과 깍지손의 조화, 자세(足가짐), 준비 자세(몸가짐), 시위 걸기(화살 걸기), 조준 자세(활 들기), 시위 당기기(활 당기기), 풀드로(조준), 발사(화살 놓기), 팔로우 스루(잔심) 등의 기술이 쓰인다.
5. 1. 기본 자세 (Stance)
반곡궁을 쏠 때 기본 자세는 다음과 같다.- 스탠스: 발의 위치를 잡는다. 다리가 앞을 향한다.
- 세트: 몸통을 앞으로 향하게 한다.
- 노킹: 화살을 활에 맞춘다.
- 셋업: 활을 들어 올릴 준비를 한다.
- 드로잉: 활시위를 당긴다.
- 풀 드로우: 활시위를 완전히 당겨 조준한다.
- 릴리스: 활시위를 놓아 화살을 발사한다.
- 팔로우 스루 (잔심): 화살을 쏜 후 자세를 유지한다.
5. 2. 활 쏘는 법 (Shooting Form)
- 세트 (Set): 몸통을 바로 세우는 자세이다.[1]
- 노킹 (Nocking): 화살을 시위에 끼우는 동작이다.[1]
- 셋업 (Setup): 활을 들어 올리는 준비 자세이다.[1]
- 드로잉 (Drawing): 활시위를 당기는 동작이다.[1]
- 풀 드로우 (Full Draw): 활시위를 완전히 당긴 상태이다.[1]
- 릴리스 (Release): 화살을 놓는 동작이다.[1]
- 팔로우 스루 (Follow Through): 화살을 놓은 후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다. (잔심)[1]
5. 3. 한국 전통 활쏘기의 기술
한국 전통 활쏘기에서는 줌손(활을 잡는 손)과 깍지손(시위를 당기는 손)의 조화가 중요하다. 먼저 스탠스와 세트 자세를 취하고, 노킹(화살 짝지워)을 한다. 그 후 셋업(집부흥) 자세를 취하고 드로잉(무승부)을 거쳐 후르드로(회) 상태가 된다. 릴리스(화살 떨어짐) 후에는 팔로우 스루, 즉 잔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1]자세(足가짐), 준비 자세(몸가짐), 시위 걸기(화살 걸기), 조준 자세(활 들기), 시위 당기기(활 당기기)를 거쳐 풀드로(조준) 상태에서 발사(화살 놓기)를 하고, 팔로우 스루(잔심) 자세를 취한다.[2]
참조
[1]
서적
American Indian Arche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
논문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s manufactured from tendon fibres and pearl glue (Animal glue)
[3]
서적
The Interpreter's Bible, Volume IV
Parthenon Press
[4]
서적
Commentary on the Bible, volume III
Emory and Waugh
[5]
문서
Target Archery
[6]
간행물
Roman Archery Equipment
BAR International Series
[7]
뉴스
Turkish Archery And The Composite Bow
Simon Archery Foundation
[8]
논문
The Mongol Army
http://www.jstor.org[...]
2021-01-07
[9]
비디오
How the Silk Road Made the World
NHNZ
[10]
서적
Primer on Composite Materials Analysis
CRC Press
[11]
서적
The Great War Bow
Sutton Publishing
[12]
웹사이트
弓友不可不知的传统弓常识:明式小稍弓与射法
https://www.163.com/[...]
2017-03-13
[13]
웹사이트
Recurve bow draw weight chart
http://www.bestrecur[...]
[14]
웹사이트
Compound Archery Shoots for Olympic Inclusion
https://www.scientif[...]
2020-03-12
[15]
서적
American Indian Arche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6]
웹사이트
The 10 Best Recurve Bow 2019 [UPDATED] Which is the best?
https://thearcherygu[...]
2019-12-05
[17]
웹사이트
用具・基本スタイル - SHIBUYA ARCHERY
https://www.shibuya-[...]
2024-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