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란족은 기원후 1세기부터 다양한 이름으로 기록된 이란계 유목 민족이다.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하여 사르마티아인 세력과 융합되었으며, 4세기에는 훈족의 침입으로 서쪽으로 이동하여 여러 집단으로 분열되었다. 일부는 반달족, 스웨비족 등과 함께 갈리아, 히스파니아로 이동했고, 다른 일부는 훈족, 서고트족, 동고트족 등에 합류했다. 알란족은 중세 시대에 알라니아라는 기독교 왕국을 건설하기도 했으며, 오늘날 오세티아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알란족의 문화는 유목 생활, 뛰어난 기마술, 독특한 외모, 동이란어군 언어를 사용했으며, 다신교와 기독교를 믿었다.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알란족은 다양한 Y염색체 및 mtDNA 하플로그룹을 나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달족 - 프셰보르스크 문화
    프셰보르스크 문화는 폴란드 중남부에서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5세기까지 라텐 문화, 야스토르프 문화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게르만-슬라브 문화 혼합 양상과 화장묘, 소규모 마을, 소지역 경제 협력 특징을 가지며 쇠퇴 후 프라하코르차크 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알란인
알란족 정보
알란족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지도
원어명Alani
언어스키타이어, 알란어
관련 민족오세트인
역사적 배경
기원고대 이란족
지역북부 카프카스
문화적 특징유목 생활, 뛰어난 기마술
이동서쪽으로 이동하여 유럽 각지에 정착
언어 및 문화
언어 계통동부 이란어군에 속하는 스키타이어와 알란어 사용
종교종교적 신앙 정보는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음
문화적 특징유목 기마 민족의 특징을 보이며, 뛰어난 기마술과 전투 능력을 보유
유럽 내 알란족
서진훈족의 서진으로 인해 서쪽으로 이동
정착갈리아, 히스파니아, 북아프리카 등 유럽 각지에 정착
영향서고트족, 반달족과 같은 다른 게르만 민족과 함께 이동하며, 유럽 역사에 영향
현대적 연결
후예현대의 오세트인이 알란족의 후예로 여겨짐
문화적 유산오세트어를 통해 알란어의 흔적을 찾을 수 있으며, 그들의 신화와 전설은 오세트 문화에 반영

2. 명칭

알란족은 기원후 1세기부터 외국 관찰자들에 의해 유사한 이름으로 기록되었다. 라틴어로는 Alānīla, 고대 그리스어로는 Ἀλανοίel ()라고 불렸다.[11] 2세기에는 중국에서 阿蘭聊중국어 () (핀인; ''Alan'' + ''Liu'')[12], 3세기에는 阿蘭중국어 ()[13], 후대에는 阿蘭國중국어 (''Alanguo'')[14]라고 불렸다. 파르티아어와 중세 페르시아어로는 ''Alānān''(복수), 아랍어로는 ''Alān''(단수), 시리아어로는 ''Alānayē'', 고대 아르메니아어로는 ''Alank'', 조지아어로는 ''Alaneti''('알란의 땅'), 히브리어로는 ''Alan''(복수형 ''Alanim'')이었다. 좀 더 드문 라틴어 표기로는 ''Alauni'' 또는 ''Halani''가 있다. 이 이름은 현대 오세티아어에서 ''Allon''으로도 보존되었다.[14]

민족명 ''Alān''은 고대 이란어 *''Aryāna''의 방언적 변이형으로, '아리아인'을 의미하는 어근 ''arya''-에서 유래했으며, 인도-이란계 민족의 공통적인 자칭이었다.[15][16] 아마도 알란족 초기 역사에서 이질적인 여러 부족을 공통적인 조상인 '아리아인' 기원을 통해 통합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것이다. 이란의 이름(*''Aryānām''), 형용사 *''aryāna''는 ''Airyanəm Waēǰō''('아리아인들의 땅')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아베스타』에 언급된 초기 이란인들의 전설적인 고향이다.[16]

알란족의 이름을 가진 다른 민족명도 있다. '밝은 알란'을 뜻하는 ''Rhoxolāni''는 알란족의 한 갈래로, 그 이름은 종교적 관습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흰 알란'을 뜻하는 ''Alanorsoi''는 아마도 알란족과 Aorsi의 혼합 집단이었을 것이다. 인명 ''Alan''과 ''Alain''(라틴어 ''Alanus''에서 유래)은 기원후 1천년 동안 서유럽에 정착한 알란족에 의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알란족은 역사적으로 ''Asi'', ''As'', ''Os''를 포함한 또 다른 관련 이름들로도 알려졌다. (루마니아어 Iasi or Olaniro, 불가리아어 , 헝가리어 Jászhu, 러시아어 , 조지아어 ) 현대 오세티아인의 이름은 이 이름에서 유래한다.

3. 역사

알라니족이 코카서스 산맥(오른쪽 중앙) 북쪽에 집중되어 있던 서기 117~138년의 유럽.


알라니족과 관련된 이름들은 지중해, 중동, 중국의 기록에서 거의 동시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1세기, 알라니족은 중앙아시아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돈 강과 카스피해 사이의 사르마티아인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2][3] 파르티아의 왕 볼로게세스 1세(재위 서기 45년경~78년경)는 통치 11년차(서기 62년)에 알라니족의 왕 쿨룩과 전투를 벌였다고 기록했다.[20]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유대전쟁』(7권 7장 4절)에서 아조프 해 근처에 살던 알라니족(스키타이 부족이라고 부름)이 서기 72년경 약탈을 위해 알렉산더의 문(철문)을 통과하여 메디아 왕 파코루스와 아르메니아 왕 티리다테스 1세(볼로게세스 1세의 두 형제)의 군대를 물리쳤다고 기록했다.

알라니족이 히르카니아를 통해 파르티아 제국을 침략했다는 사실은 당시 많은 알라니족이 여전히 카스피해 북동쪽에 기반을 두고 있었음을 보여준다.[2] 2세기 초, 알라니족은 볼가 강 하류와 쿠반 강을 확실히 장악했다.[2] 이 지역은 이전에 아오르시족과 시라케스족이 점령했었는데, 알라니족은 그들을 흡수, 분산, 파괴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후 동시대 기록에서 더 이상 언급되지 않는다.[2] 알라니족의 영향력은 서쪽으로 더 뻗어나가 당시 상당히 균질한 문화를 가진 사르마티아 세계의 대부분을 포함했을 가능성이 높다.[2]

135년, 알라니족은 코카서스를 통해 소아시아에 대규모 침략을 감행하여 메디아와 아르메니아를 황폐화시켰다.[2] 그들은 결국 카파도키아 총독 아리아누스에 의해 격퇴되었고, 그는 알라니족에 대한 전쟁을 자세히 기록한 보고서(「알라니족에 대한 원정」 또는 '알라니족에 대한 전쟁')를 작성했는데, 이는 로마 군사 전술을 연구하는 주요 자료이다.

215년부터 250년까지 게르만족인 고트족은 남동쪽으로 확장하여 폰토스 대초원에서 알라니족의 지배를 깨뜨렸다.[2] 그러나 알라니족은 고트족의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고트족은 뛰어난 기수가 되었고 알라니족의 동물 양식 예술을 채택했다.[2]

고트족이 대초원으로 진입한 후, 많은 알라니족은 돈 강 동쪽으로 후퇴하여 훈족과 접촉을 맺었던 것으로 보인다.[2] 아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알라니족이 "훈족과 다소 비슷하지만 생활 방식과 습관에서는 덜 야만적"이라고 썼다.[2] 요르다네스는 알라니족을 훈족과 대조하여 "전투에서는 그들과 대등했지만, 문명, 습관, 외모에서는 그들과 달랐다"고 언급했다.[2]

4세기 로마 역사가 아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알라니족이 "옛날에는 마사게타이족이라고 불렸다"고 언급했으며,[22] 디오 카시우스는 "그들은 마사게타이족이다"라고 썼다.[2] 알라니족은 사르마티아인, 마사게타이족, 사카족을 포함한 다양한 이란계 민족들의 혼합체였을 가능성이 높다.[2]

370년경, 훈족이 돈 강의 알란족을 공격하여 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생존자들과 동맹을 맺으면서 알란족과 훈족 사이의 관계는 깨졌다.[2][36] 이 알란족들은 375년 훈족과 함께 동고트족을 성공적으로 침략했고,[2] 그 후 서쪽으로 확장하는 훈족을 따라갔다.[2]

훈족의 침입 이후, 알란족의 일부는 판노니아를 거쳐 도나우 강 유역에서 북이탈리아로 진입했고, 일부는 갈리아에 정착했다. 또 다른 일부는 로마인에 의해 바르바로이를 통치하기 위해 브리튼 섬으로 파견되었다. 그리고 또 다른 일부는 이베리아 반도를 통과하여 북아프리카에까지 도달했다.[78]

4세기~5세기 알란족의 이동 경로 (북카프카스 출발)


훈족의 침입 이전까지 알란족은 북카프카스를 중심으로 유목생활을 하며, 훈족과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했다. 370년 훈족의 침입 이후, 다른 알란족들은 다른 사르마티아인들과 함께 서쪽으로 이동했다.[2] 이들 중 하나는 378년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에서 고트족과 함께 싸웠는데, 이 전투에서 발렌스 황제가 죽었다.[2] 로마 제국이 쇠퇴함에 따라 알란족은 여러 집단으로 분열되었고, 일부는 로마를 위해 싸운 반면 다른 일부는 훈족, 서고트족 또는 동고트족에 합류했다.[2]

카스피 해 동쪽에 있었던 원래 거주지에 남아 있던 알란인들은 볼가르인, 튀르크족, 카자르인과 접촉하고 갈등을 빚었으며, 이들로 인해 대부분 평원에서 산으로 밀려났다.[50]

알란인들은 10세기 초, 니콜라스 1세 미스티코스 총대주교 시대에 비잔티움의 정교회로 개종했다. 알마수디는 932년에 그들이 배교했다고 보고하지만, 이는 단명했던 것으로 보인다. 알란인들은 13세기에 비잔티움 의례를 따르는 기독교인으로 집합적으로 언급된다.[50] 코카서스 알란인들은 현대 오세티아인의 조상이며, 그들의 민족명은 'Ās'(아마도 고대의 'Aorsi'일 것이다. 알마수디는 카자르인들 사이의 경비병으로 'al-Arsiyya'를 언급하고, 루스인들은 알란인들을 'Yasi'라고 불렀다)라는 이름에서 유래하며, 알란인들의 자매 부족이었다.

다른 알란인들 중 일부는 훈족의 지배 아래 남아 있었다. 동부 집단의 알란인들은 늦은 중세 시대까지 대초원에 흩어져 있었지만, 몽골인에 의해 코카서스로 밀려났고, 그곳에서 오세티아인으로 남아 있다. 9세기와 12세기 사이에 그들은 부족 동맹 네트워크를 형성했고, 점차 알라니아라는 기독교 왕국으로 발전했다. 대부분의 알란인들은 1239년에서 1277년 사이에 몽골 제국에 복속되었다.

1253년, 프란체스코 수도사 빌헬름 루브룩은 중앙아시아에 많은 유럽인이 있다고 보고했다. 또한 3만 명의 알란인이 궁정의 왕실 근위대(아수드)를 구성하여 다두(베이징)에 있었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러시아와 조지아의 자치 공화국에 거주하는 알란인의 후손들은 오세트어를 사용하는데, 이 언어는 북동이란어군에 속하며 한때 폰토스 대초원과 중앙아시아 대부분에 걸쳐 퍼져 있던 스키타이-사르마티아 방언 연속체의 유일한 잔재이다.

3. 1. 기원

알란족은 중앙아시아 이란계 유목민족인 마사게타이족과 일부 고대 부족들의 융합으로 형성되었다. 기원전 2세기에 박트리아를 침략했던 아시이족과 관련이 있는 알란족은 강주족(Ἰαξάρται|Iaxártai|이악사르타이grc, 라틴어로는 Iaxartae|이악사르타에la)에 의해 서쪽으로 밀려났는데, 강주족은 시르다리야 분지에 거주하면서 페르가나에서 아랄해 지역까지 지배 영역을 확장했다.[18][19]

4세기 후반 로마의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알란족은 이전에 마사게타이라 불렸다"고 기록했다. 또한 18세기 프랑스의 역사가 조제프 드 기뉴는 "알란족은 원래 트란스옥시아나 북쪽에 살았지만 기원전 40년경부터 서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3. 2. 초기 알란족

알란족은 중앙아시아의 이란계 유목민족인 마사게타이족과 일부 고대 부족들의 융합으로 형성되었다. 기원전 2세기에 박트리아를 침략했던 아시이족과 관련이 있는 알란족은 강주족(그리스어: Ἰαξάρται|Iaxártaigrc, 라틴어: Iaxartaela)에 의해 서쪽으로 밀려났는데, 강주족은 시르다리야 분지에 거주하면서 페르가나에서 아랄해 지역까지 지배 영역을 확장했다.[18][19]

철기 시대의 스키타이족과 관련된 북동 이란계 민족들을 녹색으로 강조함.


알라니족과 관련된 이름들이 처음 언급되는 것은 지중해, 중동, 중국 지역의 기록에서 거의 동시에 나타난다.

서기 1세기, 알라니족은 중앙아시아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돈 강과 카스피해 사이에 거주하는 사르마티아인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2][3] 알라니족은 파르티아의 왕 볼로게세스 1세(재위 서기 45년경~78년경)의 통치 11년차(서기 62년)에 알라니족의 왕 쿨룩과 전투를 벌였다는 볼로게세스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20]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전쟁』(7권 7장 4절)에서 아조프 해 근처에 살던 알라니족(스키타이 부족이라고 부름)이 약탈을 위해 알렉산더의 문(철문)을 통과(서기 72년)하여 메디아 왕 파코루스와 아르메니아 왕 티리다테스 1세(볼로게세스 1세의 두 형제)의 군대를 물리쳤다고 전하며, 이 비문을 보충한다.

알라니족이 히르카니아를 통해 파르티아 제국을 침략했다는 사실은 당시 많은 알라니족이 여전히 카스피해 북동쪽에 기반을 두고 있었음을 보여준다.[2] 2세기 초, 알라니족은 볼가 강 하류와 쿠반 강을 확실히 장악했다.[2] 이 지역들은 이전에 아오르시족과 시라케스족이 점령했었는데, 알라니족은 그들을 흡수하거나 흩어놓거나 파괴했던 것으로 보이며, 그 이후로는 동시대 기록에서 더 이상 언급되지 않는다.[2] 알라니족의 영향력은 서쪽으로 더 뻗어나가 당시 상당히 균질한 문화를 가진 사르마티아 세계의 대부분을 포함했을 가능성이 높다.[2]

서기 135년, 알라니족은 코카서스를 통해 소아시아에 대규모 침략을 감행하여 메디아와 아르메니아를 황폐화시켰다.[2] 그들은 결국 카파도키아 총독 아리아누스에 의해 격퇴되었고, 그는 알라니족에 대한 전쟁을 자세히 기록한 보고서(「알라니족에 대한 원정」 또는 '알라니족에 대한 전쟁')를 작성했는데, 이는 로마 군사 전술을 연구하는 주요 자료이다.

215년부터 250년까지 게르만족인 고트족은 남동쪽으로 확장하여 폰토스 대초원에서 알라니족의 지배를 깨뜨렸다.[2] 그러나 알라니족은 고트족의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고트족은 뛰어난 기수가 되었고 알라니족의 동물 양식 예술을 채택했다.[2]

고트족이 대초원으로 진입한 후, 많은 알라니족은 돈 강 동쪽으로 후퇴하여 훈족과 접촉을 맺었던 것으로 보인다.[2] 아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알라니족이 "훈족과 다소 비슷하지만 생활 방식과 습관에서는 덜 야만적"이라고 썼다.[2] 요르다네스는 알라니족을 훈족과 대조하여 "전투에서는 그들과 대등했지만, 문명, 습관, 외모에서는 그들과 달랐다"고 언급했다.[2]

4세기 로마 역사가 아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알라니족이 "옛날에는 마사게타이족이라고 불렸다"고 언급했으며,[22] 디오 카시우스는 "그들은 마사게타이족이다"라고 썼다.[2] 알라니족은 사르마티아인, 마사게타이족, 사카족을 포함한 다양한 이란계 민족들의 혼합체였을 가능성이 높다.[2] 학자들은 중국 자료에 언급된 연채국을 알라니족과 연결했다.[4] 연채는 기원전 2세기 후반 외교관 장건의 여행과 관련하여 『사기』(저자 사마천, 기원전 90년경 사망) 123편에서 처음 언급된다.[4][23] 중국 기록에 나오는 연채는 다시 돈 강과 아랄 해 사이에 거주했던 강력한 사르마티아 부족인 아오르시족과 동일시되어 왔는데, 특히 스트라보의 기록에서 로마 기록에 언급되어 있다.[4]

후한서에는 奄蔡(엄채, 광대한 초원 또는 넓은 목초지라는 뜻, 闔蘇(합소)라고도 함. 라틴어 *Abzoae*와 비교, 알란족과 동일시됨)국이 강거의 속국이 되었고, 이후 阿蘭(아란)으로 알려졌다는 기록이 있다.

야. 아. 자드네프롭스키는 강거가 엄채를 정복한 시기가 기원전 1세기이며, 이 정복으로 알란족을 포함한 여러 사르마티아 부족들이 서쪽으로 이동하여 민족 대이동을 시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4][33] 3세기의 위략 역시 엄채가 당시 알란족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더 이상 강거의 속국이 아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34]

고고학적 발견은 기록된 자료들을 뒷받침한다. P. D. 라우(1927)는 최초로 후기 사르마티아 유적지를 역사적 알란족과 연결 지었다.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그들은 1세기 중반과 2세기 사이에 사르마티아 지역으로 진입하기 시작한 이란계 유목민 부족들 중 하나였다.

서기 1세기 후반, 문헌 기록에서 아오르시의 이름이 사라지고, 그 대신 알란이라는 이름의 유목민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 알란을 사르마타이의 일부로 보고 있으며, 중국 역사서인 『후한서』 서역전의 "奄蔡国, 改名して阿蘭聊国"이나 『위략』 서융전의 "奄蔡国、一名を阿蘭という"이라는 기록에서 "奄蔡"를 아오르시로, "阿蘭"을 알란으로 비정하는 경우가 있다.[79]

36년, 로마 제국 시리아 속주 총독 루키우스 비텔리우스의 선동으로 알란족은 코카서스 산맥의 고개를 넘어 이베리아인들의 방해 없이 파르티아 영토로 진입했다.[81]

72년경, 알란족은 자신들의 땅인 마이오티스 호수(아조프 해) 주변에서 출병하여, 당시 독립국이었던 히르카니아의 왕과 동맹을 맺고, 코카서스 산맥의 "철의 문"을 통해 남하하여 메디아 아트로파테네에 진입했다. 파르티아볼로가세스 1세가 자신의 동생 파코루스 2세를 메디아 아트로파테네 왕으로 임명했으나, 변방으로 몰아냈기 때문에, 알란족은 파코루스가 없는 틈을 타 그의 궁궐을 공격했다. 알란족은 계속 진군하여 서쪽으로 진출, 아르메니아 왕 티리다테스 1세를 패퇴시키고 생포하려 했으나, 많은 전리품을 얻었기에 만족하고 동쪽으로 방향을 바꿨다.[82]

136년경, 알란족은 이베리아의 파라스마네스의 설득으로 북동쪽에서 알바니아와 메디아 아트로파테네에 침입하여 아르메니아와 카파도키아까지 진출했다.[83]

3. 3. 훈족의 침입과 민족 대이동

370년경, 훈족이 돈 강의 알란족을 공격하여 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생존자들과 동맹을 맺으면서 알란족과 훈족 사이의 평화로운 관계는 깨졌다.[2][36] 이 알란족들은 375년 훈족과 함께 동고트족을 성공적으로 침략했고,[2] 그 후 서쪽으로 확장하는 훈족을 따라갔다.[2]

350년경, 카스피 해 북쪽 해안에서 흑해에 걸쳐 살던 알란족에게 동쪽에서 훈족이라 불리는 기마 유목민이 침략했다. 훈족은 알란족을 복속시켜 세력을 크게 키웠고, 375년경에는 바란베르(Баранбер)라는 족장의 지휘 아래 흑해 북쪽에 있던 동고트족을 침략했다. 동고트족은 패배하여 일부는 서쪽으로 이동하고, 일부는 훈족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376년, 알란족과 동고트족을 포함한 훈족의 일부는 현재 루마니아 근처에 있던 서고트족을 압박했다. 서고트족 대부분은 도나우 강을 건너 로마 제국에 도움을 요청했다.[84]

4세기 중반, 동쪽 중앙아시아에서 침공해 온 훈족의 습격을 받아 궤멸적인 타격을 입은 알란족은 훈족의 일부가 되어 서쪽의 동고트족 침공에 가담했다. 이것이 민족 대이동의 도화선이 되었다.[80]

그 후, 알란족의 일부는 판노니아를 거쳐 민족 이동기에 도나우강 유역에서 북이탈리아로 진입했고, 일부는 갈리아에 정착했다. 또 다른 일부는 로마인에 의해 바르바로이를 통치하기 위해 브리튼 섬으로 파견되었다. 그리고 또 다른 일부는 이베리아 반도를 통과하여 북아프리카에까지 도달했다.[78]

3. 4. 중세 알라니아



훈족의 침입 이전까지 알란족은 북카프카스를 중심으로 유목생활을 하며, 훈족과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370년경 훈족이 돈 알란족을 공격하여 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생존자들과 동맹을 맺으면서 평화가 깨졌다.[2][36] 이들은 375년 훈족과 함께 고트족을 공격했고,[2] 이후 서쪽으로 확장하는 훈족을 따라 이동했다.[2]

370년 훈족의 침입 이후, 다른 알란족들은 다른 사르마티아인들과 함께 서쪽으로 이동했다.[2] 이들 중 하나는 378년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에서 고트족과 함께 싸웠는데, 이 전투에서 발렌스 황제가 죽었다.[2] 로마 제국이 쇠퇴함에 따라 알란족은 여러 집단으로 분열되었고, 일부는 로마를 위해 싸운 반면 다른 일부는 훈족, 서고트족 또는 동고트족에 합류했다.[2] 서쪽 알란족의 일부는 반달족과 스웨비족이 로마 갈리아를 침략할 때 그들과 합류했다. 그레고리우스 투르스는 ''프랑크 왕국 역사''("프랑크 역사 서")에서 알란 왕 레스펜디알이 406년 12월 31일 라인 강 도하에서 프랑크족과의 무장 충돌에서 반달족을 구해냈다고 언급했다. 고아르가 이끄는 또 다른 알란족 집단은 같은 시기에 라인 강을 건넜지만, 곧 로마에 합류하여 갈리아에 정착했다.

베오르고르(Beorgor rex Alanorumla) 통치하에 그들은 갈리아 전역을 이동했고,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치세인 464년 겨울에 알프스 산맥을 넘어 리구리아로 들어갔지만, 황제군 사령관 리키메르에게 패배하고 베오르고르는 사망했다.[37][38]

442년 아에티우스는 고아르에게 그의 백성 중 일부를 오를레앙 지역에 정착시켜 아르모리카의 바카우다이를 통제하고 서고트족이 루아르 강을 넘어 북쪽으로 영토를 확장하는 것을 막도록 설득했다. 고아르는 그의 추종자들을 오를레앙과 그 북쪽 지역에 상당수 정착시켰고, 개인적으로 그의 수도를 오를레앙으로 옮겼다.[39]

고아르 통치하에 그들은 군다하리우스가 이끄는 부르군트족과 동맹을 맺었고, 그들과 함께 요비누스 황제를 옹립했다. 고아르의 후계자 상기반 통치하에 오를레앙의 알란족은 샤를로 전투에서 아틸라의 침략을 격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463년 알란족은 오를레앙 전투에서 고트족을 물리쳤고, 466년에는 킬데리크가 이끄는 프랑크족을 물리쳤다.[40] 502년~503년경 클로비스는 아르모리카를 공격했지만 알란족에게 패배했다. 그러나 클로비스와 마찬가지로 칼케돈 공의회 기독교인이었던 알란족은 루아르 강 북쪽 땅을 갈망하는 적대적인 아리우스파 서고트족에 대항하기 위해 그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원했다. 따라서 클로비스가 아르모리카의 여러 민족을 다스리게 되고 그 지역의 군사력이 메로빙거 왕조의 군대에 통합되는 협정이 이루어졌다.[41]

카스피해 동쪽까지 বিস্তৃত했던 원래 거주지에 남아 있던 알란인들은 볼가르인, 튀르크족, 카자르인과 접촉하고 갈등을 빚었으며, 이들로 인해 대부분 평원에서 산으로 밀려났다.[50]

알란인들은 10세기 초, 니콜라스 1세 미스티코스 총대주교 시대에 비잔티움의 정교회로 개종했다. 알마수디는 932년에 그들이 배교했다고 보고하지만, 이는 단명했던 것으로 보인다. 알란인들은 13세기에 비잔티움 의례를 따르는 기독교인으로 집합적으로 언급된다.[50] 코카서스 알란인들은 현대 오세티아인의 조상이며, 그들의 민족명은 'Ās'(아마도 고대의 'Aorsi'일 것이다. 알마수디는 카자르인들 사이의 경비병으로 'al-Arsiyya'를 언급하고, 루스인들은 알란인들을 'Yasi'라고 불렀다)라는 이름에서 유래하며, 알란인들의 자매 부족이었다. 《아르메니아 지리서》는 가장 서쪽에 위치한 알란인들을 'Ashtigor'라고 부르는데, 이 이름은 'Digor'로 남아 있으며 여전히 오세티아인들의 서부 집단을 가리킨다. 게다가 오세티아어로 'Asi'는 그들이 과거에 살았을 가능성이 높은 엘브루스 산 주변 지역을 가리킨다.[50]

약 650년경의 폰토스 대초원


다른 알란인들 중 일부는 훈족의 지배 아래 남아 있었다. 동부 집단의 알란인들은 늦은 중세 시대까지 대초원에 흩어져 있었지만, 몽골인에 의해 코카서스로 밀려났고, 그곳에서 오세티아인으로 남아 있다. 9세기와 12세기 사이에 그들은 부족 동맹 네트워크를 형성했고, 점차 알라니아라는 기독교 왕국으로 발전했다. 대부분의 알란인들은 1239년에서 1277년 사이에 몽골 제국에 복속되었다. 그들은 몽골의 유럽 침입과 남중국 송나라 정복, 그리고 맘아이가 이끄는 킵차크 칸국쿨리코보 전투에 참여했다.[51]

1253년, 프란체스코 수도사 빌헬름 루브룩은 중앙아시아에 많은 유럽인이 있다고 보고했다. 또한 3만 명의 알란인이 궁정의 왕실 근위대(아수드)를 구성하여 다두(베이징)에 있었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마르코 폴로는 그의 저서 『일밀리오네』에서 원나라에서의 그들의 역할을 나중에 보고했다. 그 알란인들은 현대 몽골 씨족인 아수드에 기여했다고 한다. 다두(칸발릭)의 대주교 존 몬테코르비노는 중국의 아르메니아인 외에도 많은 알란인들을 로마 가톨릭교로 개종시켰다고 한다.][52][53]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에서 알란인들은 강력한

3. 5. 후대 역사

러시아와 조지아의 자치 공화국에 거주하는 알란인의 후손들은 오세트어를 사용하는데, 이 언어는 북동이란어군에 속하며 한때 폰토스 대초원과 중앙아시아 대부분에 걸쳐 퍼져 있던 스키타이-사르마티아 방언 연속체의 유일한 잔재이다. 현대 오세트어는 두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 북오세티아 서부에서 사용되는 디고르(Digor) 방언과 오세티아의 나머지 지역에서 사용되는 이론(Iron) 방언이다. 오세티아어의 세 번째 갈래인 야스(Jassic) 방언은 과거 헝가리에서 사용되었다. 국민 시인인 코스타 케타구로프(1859–1906)에 의해 이론(Iron) 방언을 기반으로 문어가 확립되었다.

4. 문화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4세기 후반 로마의 군인이자 역사가로, 알란족의 풍습과 용모에 대해 기록했다.[87][88] 그는 알란족이 집 없이 수레를 타고 다니며 생활하며, 키가 크고 아름다운 외모를 지녔다고 묘사했다. 또한 알란족의 머리카락은 약간 노랗고, 눈은 매우 사나웠으며, 가벼운 갑옷을 입고 재빠르게 움직였다고 한다.[87]

4. 1. 생활 양식

4세기 후반 로마의 군인이자 역사가였던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알란족의 풍습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그들은 집을 갖지 않고, 쟁기를 사용하지도 않으며, 수레를 타고 다니면서 고기와 풍부한 젖을 늘 먹는다. 그리고 무한한 사막을 수레로 통과하여, 마음에 드는 목초지에 도착하면, 수레를 원형으로 배치하고, 수레 안에서 동물 떼처럼 생활한다. 말하자면 수레는 생활물품을 갖춘 그들의 도시인 것이다. 그 수레 안에서 남편은 아내와 함께 자고, 아이들은 태어나 자란다. 이 수레는 요컨대 그들의 영원한 거처이며, 수레를 설치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설치할 수 있다."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로마의 역사』31권-18)[87][88]

또한, 알란족의 용모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거의 모든 알란족은 키가 크고 아름답다. 그들의 머리카락은 약간 노랗고, 그들의 눈은 매우 사나웠다. 그들의 갑옷은 가볍고, 재빠른 움직임이 가능했다."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로마의 역사』31권-21)[87]

4. 2. 외모

4세기 로마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Ammianus Marcellinus)는 알란족의 외모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69]

: 알란족 대부분은 키가 크고 잘생겼으며, 머리카락은 약간 노랗고 눈은 매우 사나웠다.

4. 3. 군사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알란족은 전투에서 가장 화려한 전리품으로 적장의 두피를 벗겨 군마에 장식했다고 한다.[87]

고고학 조사에 따르면, 알란족은 다른 사르마타이 부족들과 마찬가지로 장창, 장검, 말갑옷이 널리 보급되어 중장기병과 같은 모습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88]

4. 4. 언어

알란족은 기원후 1세기부터 외국 관찰자들에 의해 기록되었다. 알란족은 라틴어로 ''Alānī'', 그리스어로 ''Ἀλανοί|Alanoiel''로 불렸다. 2세기에는 중국어로 ''阿蘭聊|Alanliao중국어''[11], 3세기에는 ''阿蘭|Alan중국어''[12], 후대에는 ''阿蘭國|Alan-guo중국어''[13]로 불렸다. 파르티아어와 중세 페르시아어로는 ''Alānān''(복수), 아랍어로는 ''Alān''(단수), 시리아어로는 ''Alānayē'', 고대 아르메니아어로는 ''Alank'', 조지아어로는 ''Alaneti''('알란의 땅'), 히브리어로는 ''Alan''(복수형 ''Alanim'')이었다.[14]

민족명 ''Alān''은 고대 이란어 *''Aryāna''의 방언적 변이형으로, '아리아인'을 의미하는 어근 ''arya''-에서 유래했으며, 인도-이란계 민족의 공통적인 자칭이었다.[15][16]

알란족은 역사적으로 ''Asi'', ''As'', ''Os''를 포함한 또 다른 관련 이름들로도 알려졌다. (루마니아어 ''Iasi or Olani|Iasi 또는 Olaniro'', 불가리아어 ''Узи|Uzibg'', 헝가리어 ''Jász|Jászhu'', 러시아어 ''Jasy|Jasyru'', 조지아어 ''Osi|Osika'').[17] 현대 오세티아인의 이름은 이 이름에서 유래한다.

러시아와 조지아의 자치 공화국에 거주하는 알란인의 후손들은 오세트어를 사용하는데, 이 언어는 북동이란어군에 속하며 한때 폰토스 대초원과 중앙아시아 대부분에 걸쳐 퍼져 있던 스키타이-사르마티아 방언 연속체의 유일한 잔재이다. 현대 오세트어는 두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 북오세티아 서부에서 사용되는 디고르(Digor) 방언과 오세티아의 나머지 지역에서 사용되는 이론(Iron) 방언이다. 국민 시인인 코스타 케타구로프(1859–1906)에 의해 이론(Iron) 방언을 기반으로 문어가 확립되었다.

알란족의 고대 언어는 동이란어군 방언이었다.[74] 이는 다양한 인도-이란어군 언어와 재구성된 알란어의 말(馬)에 대한 단어를 비교함으로써 확인된다.[75]

알란어와 여러 인도-이란어군 언어의 '말(馬)' 비교
언어어족말(馬)
알란어*aspa
리투아니아어발트어파ašvà
산스크리트어인도아리아어파áśva
코타네스어동북이란어파aśśa
파슈토어동이란어파ās
오세티아어동북이란어파efs
와키어동북이란어파yaš
야그노비어동북이란어파asp
아베스타어동남이란어파aspa
발루치어북서이란어파asp
쿠르드어북서이란어파hesp
메디아어북서이란어파aspa
고대 페르시아어남서이란어파asa
중세 페르시아어남서이란어파asp
페르시아어남서이란어파asb


4. 5. 종교

알란인들은 기독교화 이전에 스키타이 신화를 따르거나 다신교적인 형태의 조로아스터교를 믿는 등 인도-이란계 다신교를 믿었다. 스키타이인들로부터 직접 계승된 전통도 있었는데, 예를 들어 그들의 주신을 정교한 의식에서 구현하는 것이었다.[76]

4세기~5세기에 알란인들은 아리우스파 교회의 비잔틴 선교사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독교화되었다. 13세기에 침략해 온 몽골 군대는 동쪽 알란인들을 더 남쪽의 코카서스로 밀어냈고, 그곳에서 그들은 토착 코카서스 민족들과 섞여 세 개의 영토 단위를 형성했다. 1395년경 티무르의 군대가 북코카서스를 침략하여 알란 인구의 대부분을 학살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쪽의 디고르인들은 카바르다와 이슬람의 영향을 받았다. 17세기에 이슬람이 이 지역에 전파된 것은 카바르다인들(동쪽 체르케스 부족)을 통해서였다. 1767년 이후 알라니아 전체는 러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이는 그 지역에서 정교회를 상당히 강화시켰다. 오늘날 오세티아인들의 상당수 소수는 1980년대에 아시안교(오세티아어: ''Uatsdin'' = '진정한 신앙')로 부활한 전통적인 오세티아 종교의 신자들이다.[77]

북오세티야-알라니아의 정교회 교회

5. 유전학

2014년 V. V. 일린스키(Ilyinsky)는 돈 강 유역의 알란족 매장지 10곳에서 발굴한 뼈 조각을 연구하여 총 7개의 샘플에서 DNA를 추출했다. 그중 4개는 Y염색체 G2에 속했고, 6개는 mtDNA I에 속했다. 많은 샘플들이 동일한 Y염색체 및 mtDNA를 공유한다는 사실은 분석된 개체들이 동일한 부족에 속하거나 심지어 가까운 친척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오세티아인의 주요 하플로그룹 역시 G2라는 점을 고려할 때, 오세티아인이 알란족의 직계 조상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된다.[70]

2015년 모스크바 고고학 연구소는 다양한 사르마트-알란 및 살토보-마야키 문화 쿠르간 매장지를 연구했다. 이 분석에서 기원후 4세기에서 6세기에 이르는 두 개의 알란 샘플은 Y염색체 G2a-P15와 R1a-z94를 가지고 있었고, 기원후 2세기에서 3세기에 이르는 세 개의 사르마트 샘플 중 두 개는 Y염색체 J1-M267을, 하나는 R1a를 가지고 있었다.[71] 또한, 8세기에서 9세기에 이르는 세 개의 살토보-마야키 샘플은 각각 Y염색체 G, J2a-M410, R1a-z94를 가지고 있었다.[72]

2018년 5월 ''네이처''에 발표된 유전학 연구에서는 기원후 100년경부터 1400년경까지 코카서스 지역에 매장된 6명의 알란인 유해를 조사했다. 추출된 Y-DNA 샘플은 R1 하플로그룹과 Q-M242 하플로그룹에 속했다. 기원후 200년경 북오세티아 베슬란에서 발견된 Q-M242 샘플 중 하나는 체첸인 쇼아노이 테이프(Shoanoy Teip) 사람들 중 4명의 친척을 발견했다.[73] 추출된 mtDNA 샘플은 HV2a1, U4d3, X2f, H13a2c, H5, 그리고 W1에 속했다.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백과사전 Alani http://global.britan[...] 2015-01-01
[6] 백과사전 Spain: Visigothic Spain to c. 500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5-01-01
[7] 백과사전 Vandal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5-01-01
[8] 학술지 The Politics of a Name: Between Consolidation and Separation in the Northern Caucasus http://src-h.slav.ho[...]
[9] 서적 Conceptions of Ethnicity in Early Medieval Studies http://www.kroraina.[...] Blackwell
[10] 백과사전 ALANS https://referencewor[...] Brill 2020-11-16
[11] 웹사이트 The Hou Hanshu http://depts.washing[...]
[12] 웹사이트 The Weilüe http://depts.washing[...]
[13] 서적 Sokrovennoe skazanie
[14] 서적 Historical-Etymological Dictionary of Ossetian Language. V. 1
[15] 논문
[16] 논문
[17] 문서 Medieval Alans in Moldova / Consideraţii privind olanii (alanii) sau iaşii din Moldova medievală. Cu accent asupra acelor din regiunea Nistrului de Jos https://bacalovsergi[...]
[18] 서적 Collectanea Celto-Asiatica Cracoviensia Księgarnia Akademicka
[1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Vologeses inscription. http://www.lostlangu[...]
[21] 학술지 The Date of Vegetius
[22] 서적 Roman History s:Roman History/Book[...]
[23]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by Sima Qian. Han Dynasty II. Columbia University Press
[24] 학술지 A Study of Saka History http://www.sino-plat[...]
[25] 서적 Natural History https://www.loebclas[...]
[26] 서적 Minimal Old Chinese and Later Han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7] 서적 Weilüe https://depts.washin[...]
[28] 서적
[29] 문서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Chapter on the Western Regions according to the Hou Hanshu.
[30] 웹사이트 Weilüe: "Western Regions" https://zh.wikisourc[...]
[31] 웹사이트 Houhanshu, Vol. 88: Xiyu zhuan https://zh.wikisourc[...]
[32] 웹사이트 The Western Regions according to the Hou Hanshu: The Xiyu juan "Chapter on the Western Regions" from Hou Hanshu 88 2nd Ed https://depts.washin[...]
[33] 논문
[34] 웹사이트 For an earlier version of this translation http://depts.washing[...]
[35] 서적 China in Central Asia: The Early Stage 125 BC – AD 23: an annotated translation of chapters 61 and 96 of the History of the Former Han Dynasty. https://depts.washin[...]
[36] 서적 John De' Marignolli and His Recollections of Eastern Travel https://archive.org/[...] The Hakluyt Society
[37] 서적 Observations on Daniel and The Apocalypse of St. John
[38] 서적 Historia Romana
[39] 서적 A History of the Alans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40] 서적 A History of the Alans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41] 서적 Merovingian Military Organization, 481–751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42] 서적 Historical Atlas of the Classical World, 500 BC–AD 600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Books
[43] 문서 Alani Lusitaniam et Carthaginiensem provincias, et Wandali cognomine Silingi Baeticam sortiuntur
[44] 문서
[45] 문서 Avars (Carpathians)
[46] 서적 Russian and Turk From a Geographical, Ethnological, and Historical Point of View https://books.google[...] W. H. Allen
[47] 서적 Das Reich und die Barbaren https://books.google[...] Böhlau
[48] 웹사이트 Os antepassados caucasianos dos portugueses http://www.rtp.pt/in[...]
[49] 서적 Topónimos e gentílicos
[50] 백과사전 Alān http://referencework[...] Brill
[51] 서적 Handbuch Der Orientalistik
[52] 문서
[53] 웹사이트 Christian Europe and Mongol Asia: First Medieval Intercultural Contact Between East and West http://www.luc.edu/p[...]
[54] 학회발표 К личности и борьбе чеченского героя идига (1238–1250 гг.) https://www.research[...] 2020-11-13
[55] 학술지 Копье Тебулос-Мта
[56] 학술지 The Mongols in the West
[57] 학술지 The Kipchak Connection: The Ilkhans, the Mamluks and Ayn Jalut
[58] 서적 China Among Equals: The Middle Kingdom and Its Neighbors, 10th–14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9] 서적 The Mongol Warlords: Genghis Khan, Kublai Khan, Hulegu, Tamerlane https://books.google[...] Brockhampton Press
[60] 서적 Archivum Eurasiae Medii Aevi https://books.google[...] Peter de Ridder Press
[61] 서적 Cathay and the Way Thither, Being a Collection of Medieval Notices of Chin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62] 서적 The journey of William of Rubruck to the eastern parts of the world, 1253–55 http://depts.washing[...] Hakluyt Society
[63] 서적 China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E. P. Dutton
[64] 서적 Princely Gifts and Papal Treasures: The Franciscan Mission to China and Its Influence on the Art of the West, 1250–1350 https://books.google[...] Desiderata Press
[65] 서적 China: The World's Oldest Living Civilization Revealed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66] 웹사이트 Тайная история татар http://kitap.net.ru/[...]
[67] 서적 Istoria Basarabiei
[68] 학술지 The Military Effectiveness of Alan Mercenaries in Byzantium, 1301–1306 Boydell & Brewer
[69] 서적 Roman History https://en.wikisourc[...]
[70] 웹사이트 О культурной, антропологической и генетической специфике донских алан // Е.И. Крупнов и развитие археологии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М. 2014. С. 312–315 https://www.academia[...]
[71] 웹사이트 ДДНК Сарматы, Аланы https://www.google.c[...]
[72] 웹사이트 Афанасьев Г.Е., Вень Ш., Тун С., Ван Л., Вэй Л., Добровольская М.В., Коробов Д.С., Решетова И.К., Ли Х.. Хазарские конфедераты в бассейне Дона // Естественнонаучные методы исследования и парадигма современной археологии. М. 2015. С. 146–153 https://www.academia[...]
[73] 웹사이트 Q-YP4000 YTree https://www.yfull.co[...]
[74]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7
[75] 서적 Studia iranica et alanica https://books.google[...] Istituto italiano per l'Africa e l'Oriente 1998
[76] 간행물 The Scyth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77] 학술지 Scythian Neo-Paganism in the Caucasus: The Ossetian Uatsdin as a 'Nature Religion' (DOI 정보로부터 추출 불가능)
[7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08
[79]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0
[8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0
[8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3
[8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3
[8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3
[8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00
[85]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
[8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00
[87] 서적 Ammianus Marcellinus, Roman History. Book 31 http://www.tertullia[...] Bohn 1862
[8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0
[89]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06
[9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02
[9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4
[9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4
[93] 웹인용 Alani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5
[94] 웹인용 Spain: Visigothic Spain to c. 500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5
[95] 웹인용 Vandal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5
[96] 간행물 Conceptions of Ethnicity in Early Medieval Studies http://www.kroraina.[...] Blackwell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