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칭 행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대칭 행렬은 전치 행렬이 음수인 실수 정사각 행렬로 정의된다. 주대각선 상의 모든 원소가 0이고, 두 반대칭 행렬의 합, 스칼라 배수 또한 반대칭 행렬이다. 반대칭 행렬의 고윳값은 0 또는 순허수이며, 행렬식은 차수에 따라 0 또는 제곱 꼴로 표현된다. 반대칭 행렬은 벡터 공간에서 반대칭 쌍선형 형식을 나타내며, 무한소 회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왜대칭화 가능 행렬은 가역 대각 행렬 D를 곱하여 반대칭 행렬로 만들 수 있는 행렬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대칭 행렬 | |
|---|---|
| 정의 | |
| 정의 | 어떤 정사각 행렬 A에 대해 Aᵀ = -A가 성립할 때, A를 반대칭행렬(또는 엇대칭행렬, 기울어진 대칭행렬)이라고 한다. 여기서 Aᵀ는 A의 전치 행렬이다. |
| 조건 | A가 반대칭행렬일 필요충분조건은 aji = -aij이다. |
| 성질 | |
| 주대각선 원소 | 반대칭행렬의 주대각선 원소는 모두 0이다. |
| 행렬식 | 크기가 홀수인 반대칭행렬의 행렬식은 0이다. 크기가 짝수인 반대칭행렬의 행렬식은 어떤 행렬의 제곱이다. |
| 고윳값 | 반대칭행렬의 고윳값은 모두 순허수이다. |
| 대칭행렬과의 관계 | 임의의 정사각행렬은 대칭행렬과 반대칭행렬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A = (A + Aᵀ)/2 + (A - Aᵀ)/2 |
| 연관된 개념 | skew-Hermitian 행렬 |
2. 정의
실수 정사각 행렬 가 를 만족하면 '''반대칭행렬'''이라고 한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를 만족한다.
예를 들어 다음 행렬
:
는 이므로 반대칭 행렬이다.
2. 1. 동치 조건
skew-symmetric|왜대칭영어 또는 alternative|교대영어 행렬의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에 대해 다음 식을 만족하는 것이다.:
이는 교대 행렬이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다음 식이 성립하는 것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8]
:
3. 성질
반대칭 행렬의 주대각선 위의 원소는 모두 0이다.[12] 두 반대칭 행렬의 합과 스칼라 배는 반대칭 행렬이다. 반대칭 행렬의 공간은 차원을 갖는다. 실수 반대칭 행렬의 고윳값은 모두 0이거나 순허수이며, 실수 범위 내에서는 대각화가 불가능하나, 복소수 범위 내에서는 유니타리 행렬에 의한 대각화가 가능하다.[12]
만약 가 실수 반대칭 행렬이면, 는 가역 가능하다. (여기서 는 항등 행렬) 가 반대칭 행렬이면, 는 대칭 음의 준정부호 행렬이다. 특수 선형군에 속하는 행렬은 항상 반대칭 행렬의 행렬 지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3. 1. 행렬식
를 반대칭 행렬이라고 하면, 의 행렬식은 다음을 만족한다.:
특히, 이 홀수이면, 행렬식은 0이 된다. 따라서, 모든 홀수 차수 반대칭 행렬은 행렬식이 항상 0이므로 특이 행렬이다. 이 결과는 카를 구스타프 야코비의 이름을 따서 '''야코비 정리'''라고 불린다.[3]
짝수 차수의 경우는 더 흥미롭다. 이 짝수일 때 의 행렬식은 의 성분에 대한 다항식의 제곱으로 쓸 수 있는데, 이는 케일리(Cayley)가 처음 증명했다.[3]
:
이 다항식은 의 파피안이라고 하며 로 표기한다. 따라서 실수 반대칭 행렬의 행렬식은 항상 0 이상이다. 실수 반대칭 행렬의 고유값은 순허수이고 각 고유값에 대해 동일한 중복도를 갖는 켤레 고유값이 대응된다. 따라서 행렬식은 고유값의 곱이므로, 각 고유값을 그 중복도만큼 반복하면, 0이 아니면 행렬식은 양의 실수임을 즉시 알 수 있다.
차수 인 반대칭 행렬의 행렬식 전개에서 서로 다른 항의 수 은 이미 케일리, 실베스터, 파프에 의해 고려되었다. 이 수는 차수가 인 일반 행렬의 행렬식 항의 수()에 비해 매우 작다. 수열 은 다음과 같다.
:1, 0, 1, 0, 6, 0, 120, 0, 5250, 0, 395010, 0, …
이 수열은 지수 생성 함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위 식은 짝수 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점근선을 갖는다.
:
양수 및 음수 항의 수는 대략 전체의 절반이지만, 그 차이는 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큰 양수 및 음수 값을 갖는다.
3. 2. 스펙트럼 이론
실수 반대칭 행렬의 고윳값은 모두 0이거나 순허수이며, 실수 범위 내에서는 대각화가 불가능하지만, 복소수 범위 내에서는 유니타리 행렬에 의한 대각화가 가능하다.[12] 스펙트럼 정리에 따르면, 실수 반대칭 행렬의 0이 아닌 고윳값은 모두 순허수이며, 따라서 의 형태를 가지며, 여기서 각 는 실수이다.실수 반대칭 행렬은 정규 행렬(자신의 수반 행렬과 교환한다)이므로 스펙트럼 정리가 적용된다. 스펙트럼 정리에 따르면 모든 실수 반대칭 행렬은 유니타리 행렬로 대각화할 수 있다. 실수 반대칭 행렬의 고윳값은 허수이므로 실수 행렬로는 대각화할 수 없다. 그러나 모든 반대칭 행렬은 블록 행렬 형태로 특수 직교 변환을 통해 만들 수 있다.[4][5] 구체적으로, 모든 실수 반대칭 행렬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는 직교 행렬이고,
:
여기서 는 양의 실수이다. 이 행렬의 0이 아닌 고윳값은 ±λ''k'' ''i''이다. 홀수 차원인 경우, Σ는 항상 0인 행과 열을 하나 이상 갖는다.
더 일반적으로, 모든 복소수 반대칭 행렬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는 유니타리 행렬이고 는 위에 주어진 블록 대각 행렬 형태를 가지며, 는 여전히 양의 실수이다. 이것은 복소수 정사각 행렬의 유라 분해의 한 예이다.[6]
3. 3. 벡터 공간 구조
- 두 개의 반대칭 행렬의 합은 반대칭이다.
- 반대칭 행렬의 스칼라 배수는 반대칭이다.
위의 두 성질의 결과로, 고정된 크기의 모든 반대칭 행렬 집합은 벡터 공간을 형성한다. 반대칭 행렬의 공간은 차원 을 갖는다.
을 행렬의 공간이라고 하자. 반대칭 행렬은 개의 스칼라(주대각선 위의 항목 수)로 결정되고, 대칭 행렬은 개의 스칼라(주대각선 상의 또는 위의 항목 수)로 결정된다. 을 반대칭 행렬의 공간으로, 을 대칭 행렬의 공간으로 나타내자. 만약 이면,
:
이고 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와 다른 표수를 갖는 임의의 체의 원소로 이루어진 모든 정사각 행렬 에 대해 성립한다. 그러면, 이고 이므로,
:
여기서 는 직합을 나타낸다.
임의의 차 정방 행렬 에 대해, 그 왜대칭 성분(skew-symmetric component)은[9]
:
로 주어진다. 행렬의 합으로의 분해
:
는 유일하게 정해지며, 벡터 공간의 직합 분해
:
을 제공한다(여기서 는 차 정방 행렬 전체, 는 차 대칭 행렬 전체).
3. 4. 쌍선형 형식
체 위의 벡터 공간 에서 정의된 쌍선형 형식 는 다음과 같다.:
모든 의 에 대해,
:
이는 표수가 2가 아닌 체 위의 벡터 공간에서는 바람직한 속성을 가지지만, 표수가 2인 체 위의 벡터 공간에서는 이 정의가 대칭 형식과 동일하다.[8]
벡터 공간 가 임의의 표수의 체 위에 있는 경우, 모든 벡터 의 에 대해 다음과 같은 쌍선형 형식 를 '''교대 형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이는 체가 표수가 2가 아닐 때 반대칭 형식과 동일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따라서
:
쌍선형 형식 는 가 되도록 행렬 로 표현되며, 의 기저가 선택되면 그 반대로 에 대한 행렬 는 를 로 보내는 형식을 생성한다. 이때, 표현 행렬은 반대칭 행렬이다.[8]
3. 5. 무한소 회전
직교군 O(''n'')의 단위 행렬에서의 접공간을 이루는 반대칭 행렬은 '''무한소 회전'''으로 생각할 수 있다.[12] 반대칭 행렬 전체가 이루는 벡터 공간은 리 군 O(''n'')에 부속하는 리 환 o(''n'')과 일치한다. 이 공간에서의 리 괄호곱은 교환자로 주어진다.:[math] [A,B] = AB - BA [/math]
두 반대칭 행렬로부터 얻어지는 교환자가 다시 반대칭 행렬이 된다는 것은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반대칭 행렬 A의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다.
:[math]R=\exp(A) = \textstyle\sum\limits_{n=0}^\infty \dfrac{A^n}{n!}[/math]
이는 직교 행렬이다. 리 환의 지수 사상의 상은 항상 대응하는 리 군의 단위 행렬을 포함하는 연결 성분에 포함된다. 리 군 O(''n'')의 경우, 이 연결 성분은 행렬식이 1인 직교 행렬 전체가 이루는 특수 직교군 SO(''n'')이다. 그러므로 R = exp(A)의 행렬식은 +1이며, 행렬식이 1인 직교 행렬은 모두 반대칭 행렬의 지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4. 예
다음은 반대칭 행렬의 예시이다.
는 다음을 만족하므로 반대칭 행렬이다.
:
3x3 반대칭 행렬은 외적을 행렬 곱셈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벡터 와 에 대하여, 행렬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그러면 외적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는 방정식의 양변을 계산하고 결과의 각 해당 요소를 비교하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다음이 성립한다.
:
즉, 3x3 반대칭 행렬의 교환자는 3-벡터의 외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3x3 반대칭 행렬은 회전군 의 리 대수이므로, 이는 3차원 공간 , 외적 및 3차원 회전 간의 관계를 명확히 설명한다.
5. 왜대칭화 가능 행렬
skew-symmetrizable matrix|왜대칭화 가능 행렬영어은 정칙 대각 행렬 ''D''와 왜대칭 행렬 ''S''가 존재하여 ''S'' = ''DA''로 나타낼 수 있는 행렬이다. 실수 행렬의 경우 ''D''의 성분이 양수라는 조건이 추가된다.[11]
참조
[1]
서적
Applied Factor Analysis in the Natural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Schaum's Outline of Theory and Problems of Linear Algebra
McGraw-Hill
2005-09
[3]
간행물
Sur les determinants gauches
[4]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Supersymmetry
Springer
2004
[5]
간행물
Normal Forms of Complex Matrices
[6]
간행물
A normal form for a matrix under the unitary congruence group
[7]
ArXiv
Cluster algebras I: Foundations
[8]
문서
[9]
문서
[10]
간행물
Sur les determinants gauches
[11]
ArXiv
Cluster algebras I: Foundations
[12]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