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규 행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규 행렬은 복소 정사각 행렬의 일종으로, 켤레 전치와의 곱셈에 대한 조건(NN† = N†N)을 만족한다. 정규 행렬은 유니터리 행렬에 의해 대각화가 가능하며, 고유 공간은 서로 직교하는 특징을 가진다. 정규 행렬은 스펙트럼 정리를 통해 대각 행렬로 표현될 수 있으며, 유니터리 행렬, 에르미트 행렬, 반 에르미트 행렬, 대각 행렬 등이 정규 행렬에 속한다. 두 정규 행렬의 합이나 곱은 일반적으로 정규 행렬이 아니지만, 교환 가능한 경우 정규 행렬이 된다. 정규 행렬은 복소수의 성질과 유사한 유추 관계를 가지며, 켤레 전치, 유니터리 행렬, 에르미트 행렬 등과 대응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렬 - 스핀 (물리학)
    스핀은 양자역학적 각운동량으로, 양자화된 값을 가지며 자기 쌍극자 모멘트를 유발하여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스핀트로닉스 기술 발전에 기여하지만, 전자의 스핀 기원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 행렬 - 파울리 행렬
    파울리 행렬은 양자역학에서 스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에르미트 행렬이자 유니타리 행렬로, 행렬식은 -1이고 대각합은 0이며, 리 대수의 생성원이자 파울리 벡터로 정의되어 다양한 물리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정규 행렬
정의
설명선형대수학에서, 복소수 정사각 행렬 A가 자신의 수반 행렬 A*와 교환 법칙을 만족하면 정규 행렬이라고 한다. 즉, A*A = AA*를 만족하는 행렬이다.
예시
종류에르미트 행렬: A* = A
반에르미트 행렬: A* = −A
유니타리 행렬: A* = A⁻¹
대칭 행렬: AT = A
반대칭 행렬: AT = −A
직교 행렬: AT = A⁻¹
정규 행렬이 아닌 행렬의 예
: 정규 행렬의 예시 (영문 위키백과)
성질
정규 행렬의 필요충분조건A는 유니타리 행렬 U에 의해 대각화될 수 있다. 즉, U*AU는 대각 행렬이다.
A는 서로 수직인 고유 벡터들로 이루어진 정규 직교 기저를 가진다.
||Ax|| = ||A*x|| for every x.
A*는 A의 다항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A†A는 에르미트 행렬이다.
A† = AB = CA인 행렬 B와 C가 존재한다.
A†A는 정규 행렬이다.

2. 정의

복소수 또는 실수 정사각 행렬 N에 대해,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하는 N을 '''정규 행렬'''이라고 정의한다.[7]



정규 행렬은 스펙트럼 정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그 중요성이 크다.

2. 1. 동치 조건

복소수 n\times n 정사각 행렬 N에 대하여, 다음은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N을 정규 행렬이라고 한다.[7]

  • NN^\dagger=N^\dagger N (N^\dagger켤레 전치).
  • * 실수 행렬의 경우 이 조건은 NN^\top=N^\top N동치이다 (N^\top전치 행렬).
  • (유니터리 대각화 가능성) U^{-1}NU대각 행렬이 되는 유니터리 행렬 U\in\operatorname U(n)이 존재한다.
  • * 특히, 정규 행렬의 고유 공간들은 서로 직교한다.
  • * 이 조건은 실수 행렬에서 직교 대각화 가능성으로 대체할 수 없다. (예를 들어, 0도 또는 180도가 아닌 회전 행렬은 실수 직교 행렬이며, 특히 정규 행렬이지만, 실수 고윳값을 가지지 않는다.)


n \times n 복소수 행렬 A에 대하여, 다음 명제들은 서로 동치이다.

# A는 정규 행렬이다.

# A는 유니타리 행렬에 의해 대각화 가능하다.

# C^n에 대한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하는 A의 고유 벡터 집합이 존재한다.

# 모든 \mathbf{x}에 대해 \left\| A \mathbf{x} \right\| = \left\| A^* \mathbf{x} \right\|이다.

# A의 프로베니우스 노름은 A의 고유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operatorname{tr} \left(A^* A\right) = \sum_j \left| \lambda_j \right|^2 .

# A에르미트 부분 \frac{1}{2}(A + A^*)과 반 에르미트 부분 \frac{1}{2}(A - A^*)는 교환한다.

# A^*A의 다항식(차수 \le n - 1)이다.[1]

# A^* = AU는 어떤 유니타리 행렬 U에 대해 성립한다.[2]

# 극분해 A = UP가 유니타리 행렬 U와 양의 준정부호 행렬 P로 주어질 때, UP는 교환한다.

# A는 서로 다른 고유값을 갖는 어떤 정규 행렬 N과 교환한다.

# A특잇값 \sigma_1 \ge \cdots \ge \sigma_n을 갖고, 고유값이 |\lambda_1| \ge \cdots \ge |\lambda_n|의 순서로 인덱싱될 때, 모든 1 \le i \le n에 대해 \sigma_i = |\lambda_i|이다.[3]

3. 성질

정규 행렬 N과 자연수 k, 복소수 a에 대해, aNN^k는 정규 행렬이다. 가역 정규 행렬 N에 대해, N^{-1} 또한 정규 행렬이다. 그러나 두 정규 행렬의 합과 곱은 정규 행렬이 아닐 수 있다.[7]

정규 행렬은 스펙트럼 정리가 적용되는 행렬이므로 중요하다.
정리: 행렬 A가 정규 행렬일 필요충분조건은 대각 행렬 \Lambda와 유니타리 행렬 U가 존재하여 A = U\Lambda U^*가 성립하는 것이다.

\Lambda의 대각 성분은 A의 고유값이며, U의 열은 A의 고유 벡터이다. \Lambda에서 일치하는 고유값은 고유 벡터가 U의 열로 정렬되는 것과 같은 순서로 나타난다.

정규 행렬은 적절하게 선택된 정규 직교 기저|정규 직교 기저한국어를 기준으로 대각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즉, 행렬의 고유 공간이 \mathbb{C}^n을 span하고 \mathbb{C}^n의 표준 내적과 관련하여 쌍별로 직교하는 경우에만 정규 행렬이다.

정규 행렬에 대한 스펙트럼 정리는 모든 정사각 행렬에 대해 성립하는 슈어 분해의 특수한 경우이다. A가 정사각 행렬일 때, 슈어 분해에 의해 상삼각 행렬과 유니타리 유사하다. A가 정규 행렬이면 상삼각 행렬도 정규 행렬이고, 정규 상삼각 행렬은 대각 행렬이므로, 상삼각 행렬은 대각 행렬이어야 한다.

스펙트럼 정리는 정규 행렬의 분류를 가능하게 한다.
정리:


  • 정규 행렬이 유니타리 행렬일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고유값(스펙트럼)이 복소 평면의 단위 원에 놓여 있는 것이다.
  • 정규 행렬이 자기 수반 행렬일 필요충분조건은 스펙트럼이 실수에 포함되는 것이다. 즉, 모든 고유값이 실수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정규 행렬의 합이나 곱이 정규 행렬일 필요는 없지만, AB = BA를 만족하는 경우, ABA+B 모두 정규 행렬이다. 또한 UAU^*UBU^*가 대각 행렬이 되도록 하는 유니타리 행렬 U가 존재한다. 즉, AB는 동시 대각화 가능하다.

이 특수한 경우, U^*의 열은 AB 모두의 고유 벡터이며 \mathbb{C}^n에서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한다.

정규 행렬의 작용소 노름은 수치 반경 및 스펙트럼 반경과 같다.

3. 1. 충분 조건

다음 복소수 정사각 행렬들은 모두 정규 행렬이다.[7]

복소수 정사각 행렬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8]

  • 상삼각 정규 행렬이다.
  • 하삼각 정규 행렬이다.
  • 대각 행렬이다.


복소 행렬 중에서 모든 유니타리, 에르미트, 반 에르미트 행렬은 정규 행렬이며, 모든 고유값은 각각 단위 모듈러스, 실수, 허수이다. 마찬가지로, 실수 행렬 중에서 모든 직교, 대칭, 반대칭 행렬은 정규 행렬이며, 모든 고유값은 각각 단위 원 위의 복소 켤레쌍, 실수, 허수이다. 그러나 모든 정규 행렬이 유니터리 행렬 또는 (반)에르미트 행렬인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고유값은 일반적으로 모든 복소수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 = \begin{bmatrix} 1 & 1 & 0 \\ 0 & 1 & 1 \\ 1 & 0 & 1 \end{bmatrix}

는 고유값이 2, (1\pm i\sqrt{3})/2 이므로 유니타리, 에르미트 또는 반 에르미트 행렬이 아니다. 그러나 이는 정규 행렬인데, 왜냐하면

:AA^* = \begin{bmatrix} 2 & 1 & 1 \\ 1 & 2 & 1 \\ 1 & 1 & 2 \end{bmatrix} = A^*A.이기 때문이다.

두 정규 행렬의 합이나 곱은 반드시 정규 행렬이 아니지만, 그 둘이 가환일 때에는 정규 행렬이 된다.

''A''가 삼각 행렬이면서 정규 행렬이기도 하다면, ''A''는 대각 행렬이다. 이는 ''A''가 삼각 행렬이면서 정규 행렬일 때 ''A''''A'' 및 ''AA''의 대각 성분을 보면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A''를 상반 삼각 행렬로 하고, ''A''''A'' 및 ''AA''는 임의의 대각 성분이 같으므로, 제1-행의 노름과 제1-열의 노름은 같아

:||A e_1||^2 = ||A^* e_1||^2

가 성립한다. 따라서 제1-행과 제1-열의 성분은 같고, 제1-열의 2번째부터 ''n''번째까지의 항은 (상반 삼각 행렬이므로) 0이며, 따라서 제1-행도 그렇다. 같은 것을 2번째부터 ''n''번째까지의 행과 열의 쌍에 대해 적용하면 ''A''가 대각 행렬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2. 유리 표준형

복소수 n\times n 정사각 행렬 N이 정규 행렬이라면, U^{-1}NU유리 표준형이 되는 유니터리 행렬 U\in\operatorname U(n)이 존재한다.[8] 만약 N의 모든 성분이 실수일 경우, Q^{-1}NQ유리 표준형이 되는 실수 직교 행렬 Q\in\operatorname O(n;\mathbb R)가 존재한다.[8]

4. 특수한 경우

다음 복소수 정사각 행렬들은 모두 정규 행렬이다.[7]



복소수 행렬 중에서 모든 유니타리 행렬, 에르미트 행렬, 반 에르미트 행렬은 정규 행렬이며, 모든 고유값은 각각 단위 모듈러스, 실수, 순허수이다. 마찬가지로, 실수 행렬 중에서 모든 직교 행렬, 대칭 행렬, 반대칭 행렬은 정규 행렬이며, 모든 고유값은 각각 단위 원 위의 복소 켤레쌍, 실수, 순허수이다. 그러나 모든 정규 행렬이 유니타리 행렬 또는 (반)에르미트 행렬인 것은 아니다.

:A = \begin{bmatrix} 1 & 1 & 0 \\ 0 & 1 & 1 \\ 1 & 0 & 1 \end{bmatrix}

는 고유값이 2, (1\pm i\sqrt{3})/2 이므로 유니타리, 에르미트 또는 반 에르미트 행렬이 아니다. 그러나 이는 정규 행렬인데, 왜냐하면

:AA^* = \begin{bmatrix} 2 & 1 & 1 \\ 1 & 2 & 1 \\ 1 & 1 & 2 \end{bmatrix} = A^*A.이기 때문이다.

복소수 정사각 행렬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8]

  • 상삼각 정규 행렬이다.
  • 하삼각 정규 행렬이다.
  • 대각 행렬이다.


''A'' 가 삼각 행렬이면서 정규 행렬이기도 하다면, ''A'' 는 대각 행렬이다.

5. 유추

정규 행렬과 복소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유추 관계가 성립한다. 하지만 때로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정규 행렬의 종류복소수의 종류
켤레 전치복소 켤레
유니타리 행렬단위 원 위의 복소수
에르미트 행렬실수
에르미트 양의 정부호 행렬양의 실수
반 에르미트 행렬허수
역행렬0이 아닌 복소수
크기 조정 행렬상수
영행렬0
항등 행렬1
멱등 행렬각 고유값이 0 또는 1인 직교 투영
정규 대합 행렬고유값이 ±1인 복소수



특히, 복소수는 다음과 같은 사상에 의해 정규 2×2 실수 행렬에 포함될 수 있다.

:a + bi \mapsto \begin{bmatrix} a & b \\ -b & a \end{bmatrix} = a\, \begin{bmatrix} 1 & 0 \\ 0 & 1 \end{bmatrix} + b\, \begin{bmatrix} 0 & 1 \\ -1 & 0 \end{bmatrix}\,.

이는 덧셈과 곱셈을 보존하며, 위의 모든 유추 관계를 만족한다.

참조

[1] 문서 When A is normal, use [[Lagrange polynomial|Lagrange's interpolation]] formula to construct a polynomial P such that \overline{\lambda_j} = P(\lambda_j), where \lambda_j are the eigenvalues of A.
[2] 간행물
[3] 간행물
[4] 문서 が正規のとき、の固有値 に対して を満たす多項式 をラグランジュ補間を用いて構築すればよい。
[5] 문서 Horn, pp. 109
[6] 서적 Topics in Matrix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알기쉬운 선형대수 범한서적주식회사
[8] 서적 Linear Algebra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