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랄라이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랄라이카는 1688년에 처음 언급된 러시아의 현악기이다.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며, 프리마, 세쿤다, 알토, 베이스, 콘트라베이스 등이 있다. 안드레예프에 의해 표준화되었으며, 발랄라이카 오케스트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주 기법은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현을 누르고, 오른손의 검지손가락 또는 플렉트럼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20세기 이후 대중문화에서도 등장하며,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관광 - 페트루슈카
페트루슈카는 러시아 전통 인형극의 주요 인물로, 붉은 옷과 뾰족 모자를 쓰고 곤봉을 든 익살스러운 모습으로 표현되어 슬랩스틱 코미디를 연출하며 러시아 문화와 예술에 영감을 주었다. - 러시아의 관광 - 사모바르
사모바르는 러시아에서 유래된 물을 데우는 금속 용기로, 러시아 차 문화의 중요한 상징이며 현재까지도 러시아와 주변 국가에서 사용되고 관광 상품으로도 판매된다. - 러시아의 악기 - 탬버린
탬버린은 고대 이집트와 근동에서 유래하여 종교 의식과 다양한 문화에서 사용된 오랜 역사를 지닌 악기로, 둥근 틀에 막과 징글이 달린 형태이며 다양한 음악 장르와 구세군에서 활용되고, 전 세계에 유사한 악기들이 존재한다. - 러시아의 악기 - 바얀 (악기)
바얀은 러시아에서 유래한 버튼식 아코디언으로, 크로마틱 버튼 아코디언과 유사하지만 리드 형태, 음색, 버튼 배열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러시아 민요 반주 외에 클래식 및 현대 클래식 음악 연주에도 활용된다. - 발현악기 - 하프시코드
하프시코드는 건반 악기로, 플렉트럼으로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다양한 음높이의 현과 레지스터를 통해 음량과 음색을 조절할 수 있으며,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피아노의 등장으로 쇠퇴했으나, 20세기에 부활하여 고음악에서 사용되고 있다. - 발현악기 - 기타
기타는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현악기로, 어쿠스틱 기타와 일렉트릭 기타로 구분되며, 넥, 바디, 헤드로 구성되고 다양한 튜닝과 연주법, 액세서리를 통해 다양한 음악을 연주한다.
발랄라이카 | |
---|---|
악기 정보 | |
![]() | |
분류 | 발현악기 |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 321.321 |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설명 | 복합 현명악기 |
개발 시기 | 18세기 후반 ~ 19세기 초, 20세기 후반 |
관련 악기 | 바글라마 돔브라 돔라 판두리 톱슈르 |
명칭 | |
로마자 표기 | 발랄라이카 |
IPA | bəɫɐˈɫajkə |
추가 정보 | |
설명 | 러시아의 현악기 |
2. 어원
"발랄라이카"라는 용어는 1688년 체포 문서에서 처음 언급되었다.[2][3] 이 기록에는 농민 두 명(이바슈코 드미트리예프와 사브카 표도로프)이 노래를 부르고 발랄라이카를 연주하며 경비병에게 저항하다 체포된 내용이 담겨 있다. 이는 발랄라이카가 권위에 저항하는 도구로 사용된 첫 사례로 여겨진다. 이 단어는 현재 러시아 베르호투르스키 구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1700년 10월에 작성된 주장에서도 발견된다.[2][4][3] 이 기록 역시 발랄라이카가 다툼 속에서 사용된 사례(마부 두 명이 치안 판사의 하인에게 발랄라이카로 맞았다고 주장)를 보여준다. 표트르 대제는 1715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니키타 조토프의 결혼 축하연에 발랄라이카 연주자들을 초청하기도 했다.[3]
발랄라이카 연주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낮은 현의 음을 누르는 것이다. 특히 프리마 발랄라이카에서 코드를 만들 때 이 기법이 자주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프리마 발랄라이카는 오른손 검지손가락 옆면을 사용하여 음을 낸다. 하지만 크기가 더 큰 발랄라이카는 플렉트럼을 사용해서 연주한다.
"발랄라이카"라는 이름은 1688년 러시아의 체포 관련 문서에서 처음으로 기록되었다.[2][3] 이 기록은 발랄라이카가 권위에 저항하는 도구로 사용된 첫 사례로 여겨진다. 이후 1700년과 1714년의 문서에서도 발랄라이카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며,[2][4][3][16] 1715년에는 표트르 대제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N.M. 조토프의 결혼 축하연에 발랄라이카 연주자들을 초청하기도 했다.[3]
우크라이나어에서는 18세기에 "발라바이카"(балабайкаukr)라는 형태로 처음 문서화되었다. 이 형태는 남러시아 방언과 벨라루스어, 그리고 시베리아 지역에서도 나타난다.[5][6]
18세기 문학 작품에도 등장했는데, 1771년 V. 마이코프의 시 "엘리세이"에 처음 언급되었다. 또한 니콜라이 고골의 소설 ''죽은 영혼들''(1837년-1842년 집필)에도 등장한다.[7]
3. 종류
가장 흔한 솔로 악기는 프리마로, E4–E4–A4로 조율된다(따라서 두 개의 낮은 현은 같은 음높이로 조율된다). 때때로 발랄라이카는 민속 음악가에 의해 G3–B3–D4로 "기타 스타일"로 조율되는데, 이는 러시아 기타의 세 개의 가장 높은 현을 모방한 것이며, 러시아 기타 연주자가 연주하기 더 쉽다. 하지만 고전적으로 훈련된 발랄라이카 순수주의자들은 이 조율을 피한다. 또한 사촌인 돔라처럼 E4–A4–D5로 조율하여 돔라를 훈련받은 사람이 이 악기를 더 쉽게 연주하고 여전히 발랄라이카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8] 민속(안드레예프 이전) 조율 D4–F#4–A4 및 C4–E4–G4는 특정 리프를 연주하기 쉽게 만들어 매우 인기가 있었다.[9]
발랄라이카는 다음과 같은 크기로 만들어졌다.[10]이름 길이 일반적인 조율 데스칸트 약 46cm E5 E5 A5 피콜로 약 61cm B4 E5 A5 프리마 66cm ~ 69cm E4 E4 A4 세쿤다 68cm ~ 74cm A3 A3 D4 알토 81cm E3 E3 A3 테너 91cm ~ 97cm A2 A2 D3 베이스 104cm E2 A2 D3 콘트라베이스 130cm ~ 165cm E1 A1 D2
공장에서 제작된 6현 프리마 발랄라이카도 흔하며, 3세트의 복현이 있다. 이것들은 만돌린의 현과 유사한 3개의 복현을 가지며 종종 "기타" 조율을 사용한다.[11]
4현 알토 발랄라이카도 있으며, 퍄트니츠키 민속 합창단의 오케스트라에서 사용된다.
피콜로, 프리마, 세쿤다 발랄라이카는 원래 가장 얇은 멜로디 현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 거트 현으로 만들어졌다. 오늘날에는 거트 현 대신 나일론 현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2]
아마추어 및/또는 기념품 스타일의 프리마 발랄라이카는 일반적으로 총 16개의 프렛을 가지고 있는 반면, 전문적인 오케스트라 스타일의 발랄라이카는 24개의 프렛을 가지고 있다.[12]
4. 구조 및 특징
가장 흔하게 독주 악기로 사용되는 것은 프리마 발랄라이카로, E4–E4–A4 음으로 조율한다. 즉, 가장 낮은 두 개의 현은 같은 음높이를 가진다. 때때로 민속 음악가들은 G3–B3–D4와 같이 "기타 스타일"로 조율하기도 하는데, 이는 러시아 기타의 가장 높은 세 현의 조율을 따른 것으로 러시아 기타 연주자들이 연주하기에 더 용이하다. 그러나 전통적인 방식으로 훈련받은 발랄라이카 연주자들은 이러한 조율 방식을 선호하지 않는다. 또한, 사촌 격인 악기 돔라처럼 E4–A4–D5로 조율하여 돔라 연주자가 발랄라이카 소리를 내면서 더 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8] 안드레예프 이전 시대의 민속 조율 방식인 D4–F#4–A4 와 C4–E4–G4는 특정 리프를 연주하기 쉽게 만들어 주어 매우 인기가 있었다.[9]
발랄라이카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다.[10]이름 길이 일반적인 조율 데스칸트 약 46cm E5 E5 A5 피콜로 약 61cm B4 E5 A5 프리마 66cm–69cm E4 E4 A4 세쿤다 68cm–74cm A3 A3 D4 알토 81cm E3 E3 A3 테너 91cm–97cm A2 A2 D3 베이스 104cm E2 A2 D3 콘트라베이스 130cm–165cm E1 A1 D2
공장에서 제작된 6현 프리마 발랄라이카도 흔하게 볼 수 있는데, 이는 3세트의 복현(두 줄을 한 세트로 묶은 현)을 가지고 있다. 이 현들은 만돌린의 현과 유사하며, 종종 "기타" 방식으로 조율된다.[11]
4현 알토 발랄라이카도 존재하며, 퍄트니츠키 민속 합창단의 오케스트라에서 사용된다.
피콜로, 프리마, 세쿤다 발랄라이카는 원래 가장 얇은 멜로디 현에 거트(동물의 창자로 만든 현)를 사용하고 나머지 현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었다. 오늘날에는 거트 현 대신 나일론 현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2]
아마추어용이나 기념품용 프리마 발랄라이카는 보통 총 16개의 프렛(음을 나누는 지판 위의 돌기)을 가지고 있는 반면, 전문적인 오케스트라용 발랄라이카는 24개의 프렛을 가지고 있다.[12]
5. 연주 기법
콘트라베이스 발랄라이카는 현이 매우 크기 때문에, 가죽 신발이나 부츠의 뒤꿈치로 만든 플렉트럼을 사용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베이스 발랄라이카와 콘트라베이스 발랄라이카는 악기의 모서리 중 하나에 박힌 나무 또는 금속 핀을 사용하여 바닥에 세워 놓고 연주한다.
6. 역사
18세기부터는 문학 작품에도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V. 마이코프의 1771년 시 "엘리세이"에 처음 언급되었고,[17] 니콜라이 고골의 소설 ''죽은 영혼들''(1837년~1842년 집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7]
초기 발랄라이카는 현의 수나 프렛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발전하였다. 특히 19세기 말, 전문 바이올리니스트였던 바실리 바실리예비치 안드레예프가 바이올린 제작자 및 다른 장인들의 도움을 받아 악기를 개량하고 표준화하면서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기반을 마련했다.
6. 1. 기원
발랄라이카의 출현과 발전은 아시아-동양 문화와의 상호 작용 결과일 수 있다. 초기 러시아는 유럽 문화뿐만 아니라, 루스라고도 불리는 동양-아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13][14] 일부 이론에 따르면 이 악기는 동슬라브족의 악기인 돔라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코카서스 산맥에서는 몽골의 톱슈르, 칼미크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악기, 조지아의 판두리와 같은 유사한 악기가 연주된다. 또한 2개의 현을 가진 카자흐스탄의 돔브라와도 유사하다.[15] 바시키르족이 연주하는 돔브라의 변형은 종종 3개의 현을 가지고 있어, 돔브라와 발랄라이카 모두와 관련된 악기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초기 발랄라이카는 2개에서 6개의 현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초기 발랄라이카의 프렛은 동물의 창자로 만들어져 목(넥)에 묶여 있었는데, 연주자가 마음대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었다. 이는 현대 터키의 사즈와 유사한 방식으로, 터키 및 중앙아시아 음악 특유의 연주를 가능하게 했을 것이다.
발랄라이카를 언급한 가장 오래된 문서는 1688년의 것이다. 모스크바 크렘린의 경비 일지에는 술에 취한 평민 두 명이 발랄라이카를 연주하다 제지당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16] 1700년과 1714년의 문서에서도 이 악기가 언급된다. 18세기 초에는 우크라이나 문서에서 "Balabaika"와 유사하게 들리는 용어가 등장했다. 발랄라이카는 V. 마이코프의 1771년 시 "엘리세이"에도 나온다.[17]
19세기에 이르러 발랄라이카는 아시아의 다른 악기들보다 훨씬 짧은 목을 가진 삼각형 모양의 악기로 발전했다. 수 세기 동안 발랄라이카는 마을 악기로 인기가 있었는데, 특히 일종의 자유 계약 광대였던 ''스코모로흐''들이 즐겨 연주했다. 스코모로흐들은 발랄라이카 연주를 통해 차르, 러시아 정교회, 그리고 당시 러시아 사회 전반을 풍자하는 노래를 불렀다.[18]
6. 2. 안드레예프 이전 시기
"발랄라이카"라는 용어는 1688년 체포 문서에서 처음 언급되었다.[2][3] 이 기록에는 두 평민이 술에 취해 발랄라이카를 연주하며 경비병에게 대항하다 체포된 내용이 담겨 있어, 발랄라이카가 권위에 저항하는 도구로 사용된 첫 사례로 보인다. 이 단어는 현재 러시아 베르호투르스키 지구에 위치한 1700년 10월의 문서에서도 발견되는데, 발랄라이카로 사람을 때렸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2][4][3] 표트르 대제는 1715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N.M. 조토프의 가짜 결혼 축하연에 발랄라이카 연주자들을 초청하기도 했다.[3]
우크라이나어에서는 18세기에 "발라바이카"(балабайка)라는 형태로 처음 문서화되었으며, 이 형태는 남러시아 방언과 벨라루스어, 그리고 시베리아 지역에서도 나타난다.[5][6] 발랄라이카는 18세기 문학에도 등장했는데, V. 마이코프의 1771년 시 "엘리세이"에 처음 언급되었다.[17] 또한 니콜라이 고골의 ''죽은 영혼들''(1837년~1842년 집필)에도 등장한다.[7]
발랄라이카의 출현과 발전은 아시아-동양 문화와의 상호 작용의 결과일 수 있다. 초기 러시아(루스)는 유럽뿐 아니라 동양-아시아 문화의 영향도 받았다.[13][14] 일부 이론에 따르면 이 악기는 동슬라브족의 악기인 돔라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코카서스 산맥 지역에서는 몽골의 톱슈르, 칼미크 공화국의 악기, 조지아의 판두리와 같은 유사한 악기가 연주되며, 2현을 가진 카자흐스탄의 돔브라와도 유사하다.[15] 바시키르족이 연주하는 돔브라의 변형은 종종 3현을 가지고 있어, 돔브라와 발랄라이카 모두와 관련된 악기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초기 발랄라이카는 2개에서 6개의 현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초기 발랄라이카의 프렛은 동물의 창자로 만들어져 넥에 묶여 있었기 때문에 연주자가 마음대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었다 (현대의 터키 악기인 사즈와 유사).
19세기에는 아시아의 다른 악기들보다 넥이 훨씬 짧은 삼각형 모양의 악기로 발전했다. 발랄라이카는 수 세기 동안 마을 악기로 인기가 있었는데, 특히 일종의 자유 계약 광대였던 ''스코모로흐''들이 즐겨 사용하였다. 스코모로흐들은 발랄라이카 연주와 함께 차르, 러시아 정교회, 그리고 당시 러시아 사회 전반을 조롱하는 노래를 불렀다.[18]
6. 3. 안드레예프 시기 (표준화와 발전)
1880년대, 당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음악 살롱에서 활동하던 전문 바이올리니스트 바실리 바실리예비치 안드레예프(Vasily Vasilievich Andreyev)는 발랄라이카의 표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바이올린 제작자 V. 이바노프의 도움을 받아 표준화된 발랄라이카를 개발하여 자신의 연주회에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전까지 발랄라이카가 표준화되지 못했던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지역 간의 교류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도로 사정이 좋지 않고 기상 조건도 열악하여 외딴 지역의 사람들은 각자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악기를 제작했다.
몇 년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장인 파세르브스키는 안드레예프가 개발한 발랄라이카를 더욱 개선했다. 그는 완전한 반음계 프렛을 추가하고, 현대 악기에서 볼 수 있는 조율 방식을 적용한 다양한 크기의 오케스트라용 발랄라이카를 제작했다.
안드레예프는 자신이 개발하고 개선한 발랄라이카 디자인을 특허로 등록했으며, 오케스트라 연주를 위해 수많은 러시아의 전통 민요를 편곡했다. 또한, 그는 발랄라이카를 위한 협주곡 등 새로운 연주곡들을 직접 작곡하기도 했다.
7. 발랄라이카 오케스트라
바실리 안드레예프의 노력 덕분에 차르 러시아 시대에 오케스트라 민속 전통이 확립되었고, 이는 나중에 소련 내에서 하나의 운동으로 성장했다.[20] 완전한 형태의 발랄라이카 오케스트라는 발랄라이카, 돔라, 구슬리, 바얀, 블라디미르 셰퍼드 호른, 가르모시카, 그리고 여러 종류의 타악기로 구성된다.
소비에트 체제가 들어서고 프롤레타리아 문화가 강조되면서, 노동 계급의 문화는 소비에트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았다. 발랄라이카 오케스트라는 노동 계급에서 유래했고 진보적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에 소비에트 정부는 이를 전적으로 수용했다. 오시포프 국립 러시아 민속 오케스트라와 같이 고도로 숙련된 앙상블 그룹이 생겨났고, 발랄라이카에 대한 공식적인 연구를 지원하고 육성하는 데 많은 노력이 투입되었다. 보리스 표크티스토프와 파벨 네체포렌코 같은 발랄라이카 거장들은 소련 안팎에서 유명세를 얻었다. 이러한 흐름은 매우 강력해서, 처음에는 일반적인 교향악단을 사용했던 유명한 붉은 군대 합창단조차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오케스트라 발랄라이카와 돔라로 교체하며 악기 구성을 변경했다.[21]
8. 독주 악기로서의 발랄라이카
발랄라이카는 종종 독주 악기로 연주된다. 특히, 알렉세이 아르키포프스키는 독주 공연으로 유명하다.[22] 그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9 모스크바 준결승 2차전 개막식에 초청되어 연주했는데, 이는 주최측이 대회에 "더 러시아적인 모습"을 부여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23]
9. 저명한 연주자
더 자세한 목록은 영어 위키백과 및 러시아어 위키백과의 관련 분류를 참조할 수 있다.
- Шаукат Сабирович Амиров|샤우카트 사비로비치 아미로프rus
- 바실리 안드레예프
- Евгений Григорьевич Авксентьев|예브게니 그리고리예비치 아브크센티예프rus
- Василий Евгениевич Авксентьев|바실리 예브게니예비치 아브크센티예프rus
- Григорий Евгениевич Авксентьев|그리고리 예브게니예비치 아브크센티예프rus
- 알렉세이 아르키포프스키
- 엘리나 카로키나
- 파벨 네체포렌코
- Борис Сергеевич Трояновский|보리스 세르게예비치 트로야놉스키rus
10. 대중문화 속 발랄라이카
20세기 동안 러시아 민속 악기에 대한 관심은 러시아 밖으로 확산되었는데, 이는 세기 초 바실리 안드레예프와 다른 발랄라이카 거장들의 서방 투어 결과로 보인다. 미국 워싱턴 D.C.,[24] 로스앤젤레스,[25] 뉴욕,[26] 애틀랜타,[27] 시애틀[28] 등지에서 발랄라이카 협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이언 앤더슨은 1969년 제스로 툴 앨범 ''스탠드 업''에 수록된 "Jeffrey Goes to Leicester Square"와 "Fat Man" 두 곡에서 발랄라이카를 연주했다.[29]
- 웨스 앤더슨의 2014년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제87회 아카데미상 음악상 수상작)[30]은 알렉상드르 데스플라의 오리지널 스코어와 오시포프 국립 러시아 민속 오케스트라의 사운드트랙 레코딩에서 많은 발랄라이카를 사용했다.
- 러시아계 미국 록 밴드 레드 엘비스의 올레크 베르노프는 밴드의 북미 투어에서 붉은색 전자기타 베이스 발랄라이카를 연주했다. 데자 샌도발은 현재 레드 엘비스와 함께 투어하며 베이스 발랄라이카를 연주한다.[31]
- 케이트 부시는 그녀의 오빠 패디 부시가 연주하는 발랄라이카를 그녀의 톱 40 싱글 "바부슈카"와 "Running Up That Hill" 두 곡에 피처링했다.[32]
- 노르웨이의 여성 팝 밴드 카첸야머는 두 대의 콘트라베이스 발랄라이카를 사용하며, 둘 다 앞면에 고양이 얼굴이 그려져 있다. 이들은 뵈르게와 아케뢰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33][34]
- 데이비드 린의 1965년 영화 ''닥터 지바고''는 스코어와 플롯에서 발랄라이카를 두드러지게 사용하고 있다.[35][36][37]
- 배우 야체크 코만이 프론트맨으로 활동하는 호주 밴드 벌가르그래드(VulgarGrad)는 러시아 범죄 지하 세계의 노래를 연주하며 콘트라베이스 발랄라이카를 사용한다.[38]
- 레베소울은 레베소울 앨범 ''Fringe Of Blue'', ''RebbeSoul-O'', ''Change The World With A Sound'', ''From Another World'' 등 여러 곡에서 발랄라이카를 연주한다. 그는 또한 커먼 텅 앨범 ''Step Into My Word''와 슐로밋 & 레베소울 앨범 ''The Seal Of Solomon''에서도 발랄라이카를 연주한다.
- 이 악기는 2019년 넷플릭스 시리즈 ''러브, 데스 + 로봇''의 "The Secret War" 에피소드에 등장한다.
- 이 악기는 2013년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바람이 분다''의 사운드트랙 중 "A Journey"라는 곡에서 피아노, 바얀 (러시아 아코디언의 일종)과 함께 사용된다.
- 셀로 이 루디라는 우크라이나 민속 밴드가 발랄라이카를 사용한다.
- 이 악기는 찰리 채플린의 1931년 영화 ''시티 라이트''에 잠시 등장한다.
- 비틀즈의 노래 "Back in the U.S.S.R."에는 "let me hear your balalaikas ringing out"이라는 가사가 포함되어 있다.
- 스콜피언스의 "Wind of Change"에는 "let your balalaika sing what my guitar wants to say "라는 가사가 포함되어 있다.
- 발랄라이카는 2000년 코미디 범죄 영화 ''스내치''에서 가이 리치가 감독한 "보리스 더 블레이드 테마"에서 연주된다.
- 격노의 사운드트랙에 등장한다.
- 뱀파이어 위켄드의 노래 "Pravda"에는 "I took the family balalaika"라는 가사가 포함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Washington Balalaika Society
http://www.balalaika[...]
www.balalaika.org
[2]
서적
Балалаечное исполнительство в Сибири: Опыт монографическ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Yenisei Annals
2013
[3]
저널
The ‘Adaptability’ of the Balalaika: An Ethnomusic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Russian Traditional Folk Instrument
https://scholarworks[...]
2015-01-01
[4]
웹사이트
Балалайка. История балалайки. Русская балалайка и русские музыкальные традиции.
http://www.2-capital[...]
2015-02-17
[5]
문서
Історичний словник українського язика
http://izbornyk.org.[...]
Під ред. Є. Тимченка; укл.: Є. Тимченко, Є. Волошин, К. Лазаревська, Г. Петренко.
1930-1932
[6]
서적
Revelations of Siberia.
http://archive.org/d[...]
London, Colburn and co.
1852
[7]
서적
Dead Souls—A Poem
CHATTO & WINDUS
2024-09-13
[8]
웹사이트
How to tune a Balalaika
http://www.get-tuned[...]
2021-01-30
[9]
웹사이트
Balalaika.fr – Origins of balalaika
http://balalaikafr.f[...]
[10]
서적
The Complete Balalaika Book
Mel Bay Publications
1997
[11]
웹사이트
What is a balalaika?
http://www.mandolinl[...]
2021-01-30
[12]
웹사이트
Basic Information
http://www.balalajka[...]
2021-01-30
[13]
서적
The Huns
2015-11-19
[14]
저널
Russia between East and West
1960
[15]
서적
History of Music in Russia from Antiquity to 1800.
Indiana UP
[16]
뉴스
Balalaika orchestra offers glimpse of instruments, music
http://www.dailyprog[...]
2012-09-28
[17]
서적
Балалаечное исполнительство в Сибири: Опыт монографическ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Енисейский летописец
2013
[18]
서적
Скоморох // Краткий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Пособие для учителя
Просвещение
1971
[19]
서적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70
[20]
서적
Folk Music
Macmillan Reference USA
[21]
서적
Music and Musical Life in Soviet Russia.
Indiana UP
1983
[22]
웹사이트
Алексей Архиповский
http://www.arkhipovs[...]
2018-10-16
[23]
웹사이트
http://www.newsmusic[...]
NEWSmusic.Ru
2012-05-05
[24]
웹사이트
The American Balalaika Symphony: Experience It!
http://absorchestra.[...]
2016-02-23
[25]
웹사이트
Los Angeles Balalaika Orchestra
http://www.russianst[...]
2016-02-23
[26]
웹사이트
New York Russian Balalaika Orchestra
http://www.barynya.c[...]
2016-02-23
[27]
웹사이트
Atlanta Balalaika Society
http://www.atlantaba[...]
2016-02-23
[28]
웹사이트
Washington Balalaika Society – Home
http://www.balalaika[...]
2016-02-23
[29]
웹사이트
Stand Up – Jethro Tull
http://jethrotull.co[...]
2016-02-23
[30]
웹사이트
THE 87TH ACADEMY AWARDS 2015
http://www.oscars.or[...]
[31]
웹사이트
Exclusive: Pics Of Recording Sessions For 'Grand Budapest Hotel,' Randall Poster Talks Score, Wes Anderson & More
https://www.indiewir[...]
2020-10-30
[32]
웹사이트
Running Up That Hill
http://www.katebushe[...]
[33]
웹사이트
Security Check Required
https://www.facebook[...]
2016-02-23
[34]
Youtube
Akero – Its All About the Bass – Katzenjammer
https://www.youtube.[...]
2016-02-23
[35]
서적
Film Music
https://archive.org/[...]
Focal Press
2000
[36]
논문
Slavophilism, nostalgia and the curse of Western ideas: Reflections on Russia's past in Alexander Proshkin's 2006 adaptation of Doctor Zhivago
http://historicalfic[...]
2017
[37]
서적
Narrative Comprehension, Causality, and Coherence: Essays in Honor of Tom Trabasso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9-08
[38]
웹사이트
Band
http://vulgargrad.co[...]
2010-06-07
[39]
간행물
발랄라이카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음악/[...]
글로벌 세계 대백과 사전
2017-08-14
[40]
서적
세계의 악기 백과 사전 : 악기의 기원과 발전
교학사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