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대는 화려한 의상과 화장을 하고 서커스나 연극 등에 등장하여 코미디를 선보이는 배우를 지칭한다. 서양에서는 'clown'이라는 단어가 1560년경부터 사용되었으며, 셰익스피어의 작품에서 어릿광대 캐릭터로 등장하며 전문적인 직업으로 발전했다. 초기 근대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잔니' 캐릭터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1800년대 초 조셉 그리말디에 의해 고전적인 광대 캐릭터의 특징이 개발되었다. 19세기에는 서커스 광대가 발전했고, 톰 벨링 시니어에 의해 '오거스트' 캐릭터가 등장했다. 20세기 초 북미 서커스에서는 부랑자나 떠돌이 캐릭터를 개발하기도 했다. 다양한 유형의 광대가 존재하며, 악당 광대 캐릭터는 공포의 대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한국과 동양에서는 서양과 달리 광대가 천대받는 경향이 있었다. 광대를 소재로 한 다양한 예술 작품이 존재하며, 관련 단체들도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커스 - 기형쇼
기형쇼는 19세기 미국과 유럽에서 신체적 기형을 가진 사람들을 전시하여 대중의 오락을 제공했던 역사적 현상으로, 윤리적 문제와 함께 쇠퇴했지만 현대 대중문화에서 재등장하며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서커스 - 서커스 크니
서커스 크니는 1803년 요제프 안톤 크니가 설립한 스위스의 오랜 역사를 가진 서커스 단체로, 가족 경영 형태로 운영되며 1919년 텐트 형태를 갖춘 후 현대적인 서커스의 모습을 갖추었고, 다양한 협업과 주요 인물들의 활동을 통해 발전해 왔으며, 동물원과 박물관을 운영한 과거를 뒤로하고 현재는 스위스 라이프 보험 회사와 파트너십을 맺은 기업이다. - 광대 - 팔리아치
루제로 레온카발로가 작곡하고 대본을 쓴 2막 오페라 팔리아치는 유랑극단 배우들의 사랑, 질투, 비극적 결말을 그린 베리스모 오페라 대표작으로, 특히 테너 아리아 "Vesti la giubba"가 유명하다. - 광대 - 궁정 광대
궁정 광대는 역사적으로 왕이나 귀족을 즐겁게 하던 연예인이었으며, 정치적 풍자를 통해 권력자를 비판하는 역할도 수행했지만 찰스 2세 이후 그 전통은 점차 사라졌고, 폴란드의 스탄치크나 독일의 틸 오일렌슈피겔과 같이 역사적 상징으로 남아있는 광대들도 존재한다. - 연극 - 관객
관객은 연극, 영화, 스포츠 경기 등 다양한 공연이나 행사에서 감상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직접 대면하거나 매체를 통해 참여하는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고, 공연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거나 공연자와 소통하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 연극 - 서사극
서사극은 관객에게 교훈을 전달하고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유도하는 연극 형식으로, 에르빈 피스카토어가 용어를 처음 사용하고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이론을 정립했으며, 소격 효과, 제스투스, 역사화 등의 특징을 가진다.
광대 | |
---|---|
광대 | |
공연 예술 장르 | |
매체 | 신체 코미디, 연기, 마임 |
유형 | 서커스, 현대 서커스, 코미디, 연극, 텔레비전, 영화 |
선조 | 제스터 |
후손 | 할리퀸, 코미디언 |
2. 역사
## 서양의 광대
영어 단어 ''clown''은 1560년경 'clowne, cloyne'으로 처음 기록되었으며, '시골 사람, 무례한 사람, 농부'라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16] 이 단어의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어색한'과 관련된 스칸디나비아 단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동사 ''to clown'' "무대에서 광대 짓을 하다"는 1600년경부터 사용되었다.[16]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와 ''겨울 이야기''에서 ''광대''가 어릿광대 캐릭터의 이름으로 사용된 것도 이와 같은 의미에서이다. 전문적이거나 습관적인 바보 또는 익살꾼을 지칭하는 ''광대''의 의미는 1600년 직후 셰익스피어와 같은 엘리자베스 시대의 '시골 바보' 캐릭터를 기반으로 발전했다.
''광대'' 캐릭터는 초기 근대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잔니 '시골 바보' 캐릭터에서 발전했는데, 이는 고대 그리스 및 로마 연극의 '시골 바보' 캐릭터를 직접적으로 기반으로 했다. 고전 그리스 연극의 시골 익살꾼 캐릭터는 'sklêro-paiktês'( '놀다'라는 뜻의 ''paizein''에서 유래) 또는 ''deikeliktas''로 알려졌으며, '시골' 또는 '농부'를 나타내는 다른 일반적인 용어들도 있었다. 로마 연극에서 광대를 칭하는 용어는 글자 그대로 '파는 사람, 노동자'를 의미하는 ''fossor''였다.
할리퀸은 17세기에 영국에서 아를레키노와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여기서 ''광대''는 정형화된 캐릭터의 이름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원래 할리퀸의 교활함과 민첩함의 반대 캐릭터였던 광대는 익살꾼이나 시골뜨기 바보였는데, 이는 익살꾼보다는 우스꽝스러운 바보와 더 닮았다. 그는 낡은 하인의 옷을 입은 하층민 캐릭터였다.
오늘날 고전적인 광대 캐릭터의 특징은 1800년대 초 조셉 그리말디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그는 찰스 디브딘의 1800년 판토마임 ''피터 윌킨스: 또는 하늘을 나는 세상의 할리퀸''에서 새들러스 웰스 극장에서 광대 역을 맡았고, 그리말디는 이 캐릭터를 할리퀸의 중심 인물로 만들었다.[17][18]
서커스 광대는 19세기에 발전했다. 현대 서커스는 1768년에 문을 연 필립 애슬리의 런던 승마 학교에서 유래했다. 애슬리는 말 타기 시퀀스 사이에서 관객을 즐겁게 하기 위해 쇼에 광대를 추가했다. 미국의 코미디언 조지 L. 폭스는 1860년대에 그리말디에게 직접 영감을 받은 광대 역할로 유명해졌다.
톰 벨링 시니어(1843–1900)는 1870년경, 더 세련된 "화이트 광대"의 대조군 역할을 하는 "레드 광대" 또는 "오거스트"(''덤머 아우구스트'') 캐릭터를 개발했다. 벨링은 빈의 렌츠 서커스에서 일했다. 벨링의 의상은 빨간 코, 눈과 입 주위의 하얀 화장, 그리고 헐렁한 옷과 신발을 특징으로 하는 하층민 또는 "부랑자" 캐릭터를 기반으로 한 현대 서커스 또는 어린이 광대의 전형적인 캐릭터의 템플릿이 되었다.
벨링의 "오거스트" 캐릭터는 1920년대에서 1930년대에 니콜라이 폴리아코프의 "코코"에 의해 더욱 대중화되었다. 인식될만한 최초의 현대의 광대 캐릭터는 레드 클라운 타입으로, 독특한 메이크업, 색깔이 있는 가발, 과장된 신발, 다채로운 기이한 의상을 갖추고 있다.
19세기 말에 개발된 광대 캐릭터는 루지에로 레온카발로의 1892년 오페라 ''팔리아치''(''광대'')에 반영되어 있다.
20세기 초, 평범한 삶에서 보이는 시골 바보나 마을 바보 캐릭터가 사라지면서 북미 서커스는 부랑자나 떠돌이와 같은 캐릭터를 개발했다. 예시로는 히포드롬 극장(1905)에서 공연한 마르셀린 오르베스, 찰리 채플린의 ''더 트램프''(1914), 대공황 시대의 떠돌이들을 기반으로 한 에밋 켈리의 ''웨어리 윌리''가 있다. 또 다른 영향력 있는 부랑자 캐릭터는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오토 그리블링이 연기했다.
미국에서는 보조 더 클라운이 1950년대 후반부터 영향력 있는 ''오거스트'' 캐릭터였다. ''보조 쇼''는 1960년에 초연되었고 1978년에 케이블 텔레비전을 통해 전국적으로 방영되었다. 맥도날드는 1960년대에 ''보조'' 캐릭터에서 자사의 마스코트 광대 로널드 맥도날드를 파생시켰다. 1959년부터 1962년까지 ''보조''를 연기했던 윌러드 스콧은 1963년 텔레비전 광고에서 마스코트로 출연했다.
''보조'' 템플릿을 기반으로,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어린이 파티에서 광대 공연을 제공하는 개인 계약업체인 미국식 생일 광대 관습이 발전했다. 1960년대 이후 발전해 온 (''보조''에서 파생된) 광대 캐릭터와 어린이 엔터테인먼트의 강력한 연관성은 1980년대 중반까지 어린이 병원에서 클라운 케어 또는 '병원 광대'로 이어졌다. 클라운스 오브 아메리카 인터내셔널(1984년 설립)과 월드 클라운 협회(1987년 설립)는 준전문가 및 전문 공연자들의 협회이다.
1980년대까지 서커스나 팬터마임 쇼에서 백인 캐릭터의 조력자 역할에서 ''보조''에서 파생된 어린이 엔터테인먼트의 독립적인 캐릭터로 ''오거스트'' 또는 ''빨간 광대'' 캐릭터가 변화하면서, 광대가 어린 아이들에게 가진 매력이 근본적으로 위협적이거나 무서운 본질에 기반한 악당 광대 캐릭터도 등장했다. 광대에 대한 공포, 특히 서커스 광대에 대한 공포는 "콜로포비아"라는 용어로 알려지게 되었다.[24]
## 한국의 광대
광대는 매우 천대되어 가축보다 싼 값에 팔려나갔다.
## 동양의 광대 (한국 외)
동양에서는 서양과 달리 광대가 전문적인 직업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천대받았다. 광대는 가축보다 싼 값에 팔려나가는 등 사회적으로 낮은 대우를 받았다.[48]
2. 1. 서양의 광대
영어 단어 ''clown''은 1560년경 'clowne, cloyne'으로 처음 기록되었으며, '시골 사람, 무례한 사람, 농부'라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16] 이 단어의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어색한'과 관련된 스칸디나비아 단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동사 ''to clown'' "무대에서 광대 짓을 하다"는 1600년경부터 사용되었다.[16]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와 ''겨울 이야기''에서 ''광대''가 어릿광대 캐릭터의 이름으로 사용된 것도 이와 같은 의미에서이다. 전문적이거나 습관적인 바보 또는 익살꾼을 지칭하는 ''광대''의 의미는 1600년 직후 셰익스피어와 같은 엘리자베스 시대의 '시골 바보' 캐릭터를 기반으로 발전했다.''광대'' 캐릭터는 초기 근대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잔니 '시골 바보' 캐릭터에서 발전했는데, 이는 고대 그리스 및 로마 연극의 '시골 바보' 캐릭터를 직접적으로 기반으로 했다. 고전 그리스 연극의 시골 익살꾼 캐릭터는 'sklêro-paiktês'( '놀다'라는 뜻의 ''paizein''에서 유래) 또는 ''deikeliktas''로 알려졌으며, '시골' 또는 '농부'를 나타내는 다른 일반적인 용어들도 있었다. 로마 연극에서 광대를 칭하는 용어는 글자 그대로 '파는 사람, 노동자'를 의미하는 ''fossor''였다.
할리퀸은 17세기에 영국에서 아를레키노와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여기서 ''광대''는 정형화된 캐릭터의 이름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원래 할리퀸의 교활함과 민첩함의 반대 캐릭터였던 광대는 익살꾼이나 시골뜨기 바보였는데, 이는 익살꾼보다는 우스꽝스러운 바보와 더 닮았다. 그는 낡은 하인의 옷을 입은 하층민 캐릭터였다.
오늘날 고전적인 광대 캐릭터의 특징은 1800년대 초 조셉 그리말디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그는 찰스 디브딘의 1800년 판토마임 ''피터 윌킨스: 또는 하늘을 나는 세상의 할리퀸''에서 새들러스 웰스 극장에서 광대 역을 맡았고, 그리말디는 이 캐릭터를 할리퀸의 중심 인물로 만들었다.[17][18]
서커스 광대는 19세기에 발전했다. 현대 서커스는 1768년에 문을 연 필립 애슬리의 런던 승마 학교에서 유래했다. 애슬리는 말 타기 시퀀스 사이에서 관객을 즐겁게 하기 위해 쇼에 광대를 추가했다. 미국의 코미디언 조지 L. 폭스는 1860년대에 그리말디에게 직접 영감을 받은 광대 역할로 유명해졌다.
톰 벨링 시니어(1843–1900)는 1870년경, 더 세련된 "화이트 광대"의 대조군 역할을 하는 "레드 광대" 또는 "오거스트"(''덤머 아우구스트'') 캐릭터를 개발했다. 벨링은 빈의 렌츠 서커스에서 일했다. 벨링의 의상은 빨간 코, 눈과 입 주위의 하얀 화장, 그리고 헐렁한 옷과 신발을 특징으로 하는 하층민 또는 "부랑자" 캐릭터를 기반으로 한 현대 서커스 또는 어린이 광대의 전형적인 캐릭터의 템플릿이 되었다.
벨링의 "오거스트" 캐릭터는 1920년대에서 1930년대에 니콜라이 폴리아코프의 "코코"에 의해 더욱 대중화되었다. 인식될만한 최초의 현대의 광대 캐릭터는 레드 클라운 타입으로, 독특한 메이크업, 색깔이 있는 가발, 과장된 신발, 다채로운 기이한 의상을 갖추고 있다.
19세기 말에 개발된 광대 캐릭터는 루지에로 레온카발로의 1892년 오페라 ''팔리아치''(''광대'')에 반영되어 있다.
20세기 초, 평범한 삶에서 보이는 시골 바보나 마을 바보 캐릭터가 사라지면서 북미 서커스는 부랑자나 떠돌이와 같은 캐릭터를 개발했다. 예시로는 히포드롬 극장(1905)에서 공연한 마르셀린 오르베스, 찰리 채플린의 ''더 트램프''(1914), 대공황 시대의 떠돌이들을 기반으로 한 에밋 켈리의 ''웨어리 윌리''가 있다. 또 다른 영향력 있는 부랑자 캐릭터는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오토 그리블링이 연기했다.
미국에서는 보조 더 클라운이 1950년대 후반부터 영향력 있는 ''오거스트'' 캐릭터였다. ''보조 쇼''는 1960년에 초연되었고 1978년에 케이블 텔레비전을 통해 전국적으로 방영되었다. 맥도날드는 1960년대에 ''보조'' 캐릭터에서 자사의 마스코트 광대 로널드 맥도날드를 파생시켰다. 1959년부터 1962년까지 ''보조''를 연기했던 윌러드 스콧은 1963년 텔레비전 광고에서 마스코트로 출연했다.
''보조'' 템플릿을 기반으로,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어린이 파티에서 광대 공연을 제공하는 개인 계약업체인 미국식 생일 광대 관습이 발전했다. 1960년대 이후 발전해 온 (''보조''에서 파생된) 광대 캐릭터와 어린이 엔터테인먼트의 강력한 연관성은 1980년대 중반까지 어린이 병원에서 클라운 케어 또는 '병원 광대'로 이어졌다. 클라운스 오브 아메리카 인터내셔널(1984년 설립)과 월드 클라운 협회(1987년 설립)는 준전문가 및 전문 공연자들의 협회이다.
1980년대까지 서커스나 팬터마임 쇼에서 백인 캐릭터의 조력자 역할에서 ''보조''에서 파생된 어린이 엔터테인먼트의 독립적인 캐릭터로 ''오거스트'' 또는 ''빨간 광대'' 캐릭터가 변화하면서, 광대가 어린 아이들에게 가진 매력이 근본적으로 위협적이거나 무서운 본질에 기반한 악당 광대 캐릭터도 등장했다. 광대에 대한 공포, 특히 서커스 광대에 대한 공포는 "콜로포비아"라는 용어로 알려지게 되었다.[24]
2. 2. 한국의 광대
광대는 매우 천대되어 가축보다 싼 값에 팔려나갔다.가부키에는 도게방(道化方) 또는 도케방(道外方)이라는 배역이 있는데, 이것이 가장 오래된 시기에 성립된 배역 중 하나라고 한다. 흉내내기와 우스꽝스러운 입담으로 사람들을 웃겼지만, 서양의 광대와는 달리 순전히 연극의 배역으로 발전했다는 점에 큰 차이점이 있다. 겐로쿠 가부키에서는 연극 구성상 특히 중요한 한 장면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사회자 역할도 겸했다. 그러나 그 후의 가부키가 이야기성을 추구하게 되었고, 통시 광언(通し狂言)이 거의 없어지고 오늘날과 같은 미토리 광언(見取り狂言) 형식으로 되면서 도게방의 역할은 점차 사라졌고, 덴메이 가부키 즈음에는 쇠퇴해 버렸다.
당시 극장에 걸리는 간판에는 첫 번째에 극단의 간판 배우를, 두 번째에 인기 있는 젊은 배우들을, 그리고 세 번째에 이 도게방을 써서 내걸었는데, 이것이 재미있고 우스꽝스러운 사람을 가리키는 "세 장의 간판(三枚目)"의 어원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2. 3. 동양의 광대 (한국 외)
동양에서는 서양과 달리 광대가 전문적인 직업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천대받았다. 광대는 가축보다 싼 값에 팔려나가는 등 사회적으로 낮은 대우를 받았다.[48]3. 유형
전 세계에는 다양한 유형의 광대가 묘사되어 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광대 캐릭터는 정육점 주인, 빵집 주인, 경찰관, 주부 또는 부랑자와 같은 기이한 유형의 캐릭터를 채택한다. 이 유형의 광대의 대표적인 예로는 서커스 부랑자인 오토 그리블링과 에밋 켈리가 있다. 레드 스켈턴, 해럴드 로이드, 버스터 키튼, 찰리 채플린, 로언 앳킨슨, 사샤 바론 코헨 모두 캐릭터 광대의 정의에 부합한다.
캐릭터 광대 메이크업은 표준적인 인간의 얼굴을 코믹하게 비튼 것이다. 이들의 메이크업은 살색 베이스로 시작하여 안경, 콧수염, 수염부터 주근깨, 사마귀, 큰 귀, 이상한 헤어스타일까지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다.
미국 서커스에서 가장 흔한 캐릭터 광대는 '부랑자', '트램프' 또는 '부랑자' 광대이다. 미국 캐릭터 광대 유형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광대 유형의 주요 차이점은 태도이다. 미국의 서커스 전문가인 호비 버지스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부랑자: 이주하며, 여행하는 곳에서 일자리를 찾는다. 운이 없지만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 트램프: 이주하지만, 여행하는 곳에서는 일하지 않는다. 운이 없고, 자신의 상황에 대해 우울해한다.
- 부랑자: 비이주자이며, 일하지 않는다.
현대 전통에서 백색 광대와 오귀스트의 고전적인 조합은 피에로와 할리퀸의 코메디아 델라르테에서의 조합에서 선례를 찾을 수 있다.[25][26] 원래 할리퀸의 역할은 가볍고, 민첩하며, 예리한 하인이었고, 더 엄격하고 우울한 피에로와 짝을 이루었다. 18세기 영국의 할리퀸에서 할리퀸은 이제 광대와 짝을 이루었다. 1800년경 조셉 그리말디에 의해 발전된 광대는 더 세련된 할리퀸의 장난기 많고 야만적인 호일이 되었고, 할리퀸은 더 낭만적인 캐릭터가 되었다. 빅토리아 시대 잉글랜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그러한 쌍은 1860년대와 1870년대에 활동한 페인 형제였다.
''화이트 클라운''(프랑스어로는 ''clown blanc'')은 어설픈 오귀스트와는 대조적으로 세련된 캐릭터이다. 이 두 유형은 또한 ''슬픈 광대''(블랑)와 ''행복한 광대''(오귀스트)로 구분된다.[27]
오귀스트의 얼굴 기본 화장 색상은 흰색이 아닌 분홍색, 빨간색 또는 살색의 변형이다. 특징은 크기가 과장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빨간색과 검은색이다. 입은 흰색으로 두껍게 윤곽선이 그려져 있고(재갈이라고 함), 눈도 마찬가지이다. 캐릭터에 맞게 오귀스트는 잘 맞는 옷이나 맞지 않는 의상(과도하게 크거나 너무 작음)을 입을 수 있으며, 어느 쪽이든 적절하다. 대담한 색상, 큰 프린트 또는 패턴, 그리고 멜빵은 종종 오귀스트 의상의 특징이다. 오귀스트 캐릭터 유형은 종종 아나키스트, 조커 또는 바보이다. 그는 영리하며 화이트페이스보다 지위가 훨씬 낮다. 고전적으로 화이트페이스 캐릭터는 오귀스트 캐릭터에게 자신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오귀스트는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우스운 상황을 연출한다. 때때로 오귀스트는 아나키스트의 역할을 하며 의도적으로 화이트페이스의 지시를 따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때로는 오귀스트가 혼란스러워하거나 어리석어서 덜 의도적으로 실수를 한다.
''콘트라-오귀스트''는 화이트 클라운과 오귀스트 캐릭터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한다. 그는 화이트 클라운보다 지위가 낮지만 오귀스트보다 지위가 높다. 그는 화이트 클라운과 더 비슷해지기를 열망하며 종종 화이트 클라운이 승인을 얻기 위해 하는 모든 것을 흉내낸다. 만약 콘트라-오귀스트 캐릭터가 있다면, 그는 종종 화이트페이스의 지시를 받아 오귀스트가 잘못된 행동을 할 때 바로잡는다.

화이트페이스 화장을 한 광대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전형적인 ''화이트 클라운''은 피에로 캐릭터에서 파생되었다. 그의 화장은 흰색이며, 보통 눈썹과 같은 얼굴 특징이 검은색으로 강조되어 있다. 그는 무례하거나 그로테스크한 ''오귀스트'' 유형과는 대조적으로 더 지적이고 세련된 광대이다. 프란체스코 카롤리와 글렌 "프로스티" 리틀이 이 유형의 예시이다. 두 번째 유형의 화이트페이스는 ''보조'' 유형의 익살스러운 광대, 즉 ''코미디'' 또는 ''그로테스크 화이트페이스''로 알려져 있다. 이 유형은 특히 빨간 코와 빨간 입술과 같은 그로테스크하게 강조된 특징을 가지며, 종종 부분적인(대부분 빨간색)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다. 애보트와 코스텔로의 코미디 파트너십에서, 버드 애보트는 전형적인 화이트페이스였고 루 코스텔로는 코미디 화이트페이스 또는 오귀스트였다.[28]
전통적으로, 화이트페이스 광대는 얼굴 전체와 목을 덮기 위해 ''광대 흰색'' 화장을 사용하며, 밑에 있는 자연 피부는 전혀 보이지 않게 한다.[29] 유럽의 화이트페이스 화장에서는 귀가 빨간색으로 칠해진다. 화이트페이스 화장은 원래 1801년 조셉 그리말디에 의해 디자인되었다. 그는 볼에 빨간색 삼각형, 두꺼운 눈썹, 장난스러운 미소를 지닌 큰 빨간 입술을 추가하기 전에 얼굴, 목, 가슴 위에 흰색 베이스를 칠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그리말디의 디자인은 많은 현대 광대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말디의 전기 작가 앤드류 매코넬 스토트에 따르면, 이는 1800년대 가장 중요한 연극 디자인 중 하나였다.[29]
미국의 첫 번째 위대한 화이트페이스 광대는 무대 스타 조지 "G.L." 폭스였다. 그리말디에게 영감을 받은 폭스는 1860년대에 미국 전역에서 험프티 덤프티 이야기를 대중화했다.
가부키에는 도게방 또는 도케방이라는 배역이 있는데, 이는 가장 오래된 시기에 성립된 배역 중 하나라고 한다. 흉내내기와 우스꽝스러운 입담으로 사람들을 웃겼지만, 서양의 광대와는 달리 순전히 연극의 배역으로 발전했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겐로쿠 가부키에서는 연목 구성상 특히 중요한 한 장면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단순한 익살 연기뿐만 아니라 사회자 역할도 겸했다. 그러나 그 후의 가부키가 이야기성을 추구하게 되었고, 통시 광언이 거의 없어지고 오늘날과 같은 미토리 광언 형식으로 되면서 도게방의 역할은 점차 사라졌고, 덴메이 가부키 즈음에는 쇠퇴했다.
당시 극장에 걸리는 간판에는 첫 번째에 극단의 간판 배우를, 두 번째에 인기 있는 젊은 배우들을, 세 번째에 이 도게방을 써서 내걸었는데, 이것이 재미있고 우스꽝스러운 사람을 가리키는 "세 장의 간판(三枚目)"의 어원 중 하나로 여겨진다.
3. 1. 서양
현대 전통에서 백색 광대와 오귀스트의 고전적인 조합은 피에로와 할리퀸의 코메디아 델라르테에서의 조합에서 선례를 찾을 수 있다. 원래 할리퀸의 역할은 가볍고, 민첩하며, 예리한 하인이었고, 더 엄격하고 우울한 피에로와 짝을 이루었다.[25][26] 18세기 영국의 할리퀸에서 할리퀸은 이제 광대와 짝을 이루었다. 1800년경 조셉 그리말디에 의해 발전된 광대는 더 세련된 할리퀸의 장난기 많고 야만적인 호일이 되었고, 할리퀸은 더 낭만적인 캐릭터가 되었다. 빅토리아 시대 잉글랜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그러한 쌍은 1860년대와 1870년대에 활동한 페인 형제였다.''화이트 클라운''(프랑스어로는 ''clown blanc'')은 어설픈 오귀스트와는 대조적으로 세련된 캐릭터이다. 이 두 유형은 또한 ''슬픈 광대''(블랑)와 ''행복한 광대''(오귀스트)로 구분된다.[27]
오귀스트의 얼굴 기본 화장 색상은 흰색이 아닌 분홍색, 빨간색 또는 살색의 변형이다. 특징은 크기가 과장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빨간색과 검은색이다. 입은 흰색으로 두껍게 윤곽선이 그려져 있고(재갈이라고 함), 눈도 마찬가지이다. 캐릭터에 맞게 오귀스트는 잘 맞는 옷이나 맞지 않는 의상(과도하게 크거나 너무 작음)을 입을 수 있으며, 어느 쪽이든 적절하다. 대담한 색상, 큰 프린트 또는 패턴, 그리고 멜빵은 종종 오귀스트 의상의 특징이다. 오귀스트 캐릭터 유형은 종종 아나키스트, 조커 또는 바보이다. 그는 영리하며 화이트페이스보다 지위가 훨씬 낮다. 고전적으로 화이트페이스 캐릭터는 오귀스트 캐릭터에게 자신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오귀스트는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우스운 상황을 연출한다. 때때로 오귀스트는 아나키스트의 역할을 하며 의도적으로 화이트페이스의 지시를 따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때로는 오귀스트가 혼란스러워하거나 어리석어서 덜 의도적으로 실수를 한다.
''콘트라-오귀스트''는 화이트 클라운과 오귀스트 캐릭터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한다. 그는 화이트 클라운보다 지위가 낮지만 오귀스트보다 지위가 높다. 그는 화이트 클라운과 더 비슷해지기를 열망하며 종종 화이트 클라운이 승인을 얻기 위해 하는 모든 것을 흉내낸다. 만약 콘트라-오귀스트 캐릭터가 있다면, 그는 종종 화이트페이스의 지시를 받아 오귀스트가 잘못된 행동을 할 때 바로잡는다.
화이트페이스 화장을 한 광대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전형적인 ''화이트 클라운''은 피에로 캐릭터에서 파생되었다. 그의 화장은 흰색이며, 보통 눈썹과 같은 얼굴 특징이 검은색으로 강조되어 있다. 그는 무례하거나 그로테스크한 ''오귀스트'' 유형과는 대조적으로 더 지적이고 세련된 광대이다. 프란체스코 카롤리와 글렌 "프로스티" 리틀이 이 유형의 예시이다. 두 번째 유형의 화이트페이스는 ''보조'' 유형의 익살스러운 광대, 즉 ''코미디'' 또는 ''그로테스크 화이트페이스''로 알려져 있다. 이 유형은 특히 빨간 코와 빨간 입술과 같은 그로테스크하게 강조된 특징을 가지며, 종종 부분적인(대부분 빨간색)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다. 애보트와 코스텔로의 코미디 파트너십에서, 버드 애보트는 전형적인 화이트페이스였고 루 코스텔로는 코미디 화이트페이스 또는 오귀스트였다.[28]
전통적으로, 화이트페이스 광대는 얼굴 전체와 목을 덮기 위해 ''광대 흰색'' 화장을 사용하며, 밑에 있는 자연 피부는 전혀 보이지 않게 한다.[29] 유럽의 화이트페이스 화장에서는 귀가 빨간색으로 칠해진다. 화이트페이스 화장은 원래 1801년 조셉 그리말디에 의해 디자인되었다. 그는 볼에 빨간색 삼각형, 두꺼운 눈썹, 장난스러운 미소를 지닌 큰 빨간 입술을 추가하기 전에 얼굴, 목, 가슴 위에 흰색 베이스를 칠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그리말디의 디자인은 많은 현대 광대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말디의 전기 작가 앤드류 매코넬 스토트에 따르면, 이는 1800년대 가장 중요한 연극 디자인 중 하나였다.[29]
미국의 첫 번째 위대한 화이트페이스 광대는 무대 스타 조지 "G.L." 폭스였다. 그리말디에게 영감을 받은 폭스는 1860년대에 미국 전역에서 험프티 덤프티 이야기를 대중화했다.
광대 캐릭터는 정육점 주인, 빵집 주인, 경찰관, 주부 또는 부랑자와 같은 기이한 유형의 캐릭터를 채택한다. 이 유형의 광대의 대표적인 예로는 서커스 부랑자인 오토 그리블링과 에밋 켈리가 있다. 레드 스켈턴, 해럴드 로이드, 버스터 키튼, 찰리 채플린, 로언 앳킨슨, 사샤 바론 코헨 모두 캐릭터 광대의 정의에 부합한다.
캐릭터 광대 메이크업은 표준적인 인간의 얼굴을 코믹하게 비튼 것이다. 이들의 메이크업은 살색 베이스로 시작하여 안경, 콧수염, 수염부터 주근깨, 사마귀, 큰 귀, 이상한 헤어스타일까지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다.
미국 서커스에서 가장 흔한 캐릭터 광대는 '부랑자', '트램프' 또는 '부랑자' 광대이다. 미국 캐릭터 광대 유형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광대 유형의 주요 차이점은 태도이다. 미국의 서커스 전문가인 호비 버지스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부랑자: 이주하며, 여행하는 곳에서 일자리를 찾는다. 운이 없지만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 트램프: 이주하지만, 여행하는 곳에서는 일하지 않는다. 운이 없고, 자신의 상황에 대해 우울해한다.
- 부랑자: 비이주자이며, 일하지 않는다.
'''광대'''는 화려한 의상과 화장을 하고 서커스 등에 등장하는 코미디언이다. ''''피에로'''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지만, 피에로는 광대의 역할 중 하나이며, 본래는 광대 전반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이러한 고정관념의 예는 맥도날드의 이미지 캐릭터인 로널드 맥도날드나 배트맨의 숙적 조커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외에도 풀(fool), 부퐁(buffon), 아를레키노 (아를르캥, 할리퀸) 등 광대를 가리키는 말은 다양하다. 영어의 '풀'은 "풀무", '부퐁'은 "숨을 훅 내쉬다"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33] 광대는 clod(흙덩이), clot(끈적한 덩어리) 등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파생되어 무뚝뚝한 시골뜨기를 나타내기도 하며, 그것이 도시인에게는 우스꽝스럽게 보였다는 데서 "우스꽝스러운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33] 아를레키노는 16세기 이탈리아 즉흥극 코메디아 델라르테에 등장하는 단골 광대로, 쾌활한 아를레키노에 대한 소심한 상대역으로 등장하는 것이 피에로의 어원이라고 불리는 풀치넬라(피에로, 페드로리노)이다.[33] 또한, 일반적으로 궁정 광대로 번역되는 제스터(jester)는 프랑스어의 gest(위업)를 어원으로 하며, 궁정 사람들에게 영웅담을 들려주던 사람에서 파생되었다.[33]
궁정 광대의 직무는 그 이름 그대로 주인 또는 주변 인물들을 즐겁게 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또한, 궁정 광대들은 소인증 등의 신체적 장애를 가진 경우가 많아 웃음거리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군주에게 무례한 말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이기도 했다. 곡예보다는 농담이나 조크를 하는 재주를 주로 하는 광대이다.
또한, 그 직업적인 역할(군주의 비위 맞추기, 군주의 감정을 조종할 수 있다는 점)로부터, 국가 간의 분쟁에서 중재(연락)자, 행정과 민간의 중립적인 입장에서 세상의 풍평을 연기(표현, 의견)하는 등, 옴부즈맨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는 설이 있다.
트럼프에서 자주 등장하는 조커는 잭, 퀸, 킹이 궁정의 왕족을 의미하는 그림에서 관련되어 궁정 광대가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현재에는 곡예와 곡예 사이를 채우고, 관객의 곡예에 대한 여운을 식히지 않는 역할을 하는 익살꾼, 곡예도 할 수 있고 사회(일본적인 시점에서는 관객 놀리기)도 하는 배우이다. 18세기 무렵 영국의 서커스(엄밀히는 그 전신인 원형 극장에서의 곡마 쇼) 안에서 "익살꾼" 역할을 연기하던 배우가 스스로를 "클라운"이라고 칭한 것이 시작이라고 여겨진다. 클라운의 의미에는 얼간이, 바보, 익살꾼, 우스꽝스럽게 굴다, 장난치다, 시골뜨기 등의 의미를 포함한다. 18세기 당시에는 곡마 쇼와 곡마 쇼 사이에 곡마 타기를 서투르게 연기하거나, 패러디를 하기도 했다.
화이트 페이스의 sad clown (blanc)와 happy clown ('''오거스트'''、auguste)의 경우, 얼굴은 흰색, 핑크색, 빨간색, 혹은 갈색으로 칠해지며, 눈과 입 등은 강조된 검은색이나 빨간색으로 칠해진다. 역할은 무정부주의자, 조커, 바보이다.
푸에블로 인디언의 종교 의식에서 광대, 트릭스터적인 역할을 하는 Pueblo clown영어(혹은 세이클리드 클라운)와 로데오 퍼포먼스를 하는 Rodeo clown영어 그리고 빵집 점원 등 여러 역할을 연기하는 캐릭터 클라운이 있다.
피에로는 원래 배역 이름 중 하나이다. 기원은 17세기 후반 코미디 이탈리아에서 공개된 돔 쥐앙에 등장하는 캐릭터이다. (일설에는 16세기의 코메디아 델라르테에 등장하는 풀치넬라를 기원으로 한다는 설도 있다). 당시 피에로의 성격은 지금과는 달리 순수하고 둔감한 농민이었다. 이후 여러 작품에 등장하면서 현재의 피에로 이미지에 가까워졌다. 이름의 유래는 이탈리아 남성 이름인 Pierre가 Pierrot로 변화한 것이다. 따라서 여성 피에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새하얀 얼굴에 큰 단추가 달린 헐렁한 흰색 블라우스와 폭이 넓은 흰색 바지를 입고 있다. 검은 눈물 모양의 화장을 하거나, 프릴이 달린 깃이나 모자, 원뿔 모양의 모자를 쓰기도 한다.
3. 2. 한국
가부키에는 도게방 또는 도케방이라는 배역이 있는데, 이는 가장 오래된 시기에 성립된 배역 중 하나라고 한다. 흉내내기와 우스꽝스러운 입담으로 사람들을 웃겼지만, 서양의 광대와는 달리 순전히 연극의 배역으로 발전했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겐로쿠 가부키에서는 연목 구성상 특히 중요한 한 장면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단순한 익살 연기뿐만 아니라 사회자 역할도 겸했다. 그러나 그 후의 가부키가 이야기성을 추구하게 되었고, 통시 광언이 거의 없어지고 오늘날과 같은 미토리 광언 형식으로 되면서 도게방의 역할은 점차 사라졌고, 덴메이 가부키 즈음에는 쇠퇴했다.당시 극장에 걸리는 간판에는 첫 번째에 극단의 간판 배우를, 두 번째에 인기 있는 젊은 배우들을, 세 번째에 이 도게방을 써서 내걸었는데, 이것이 재미있고 우스꽝스러운 사람을 가리키는 "세 장의 간판(三枚目)"의 어원 중 하나로 여겨진다.
4. 광대 공포증
광대 공포증, 즉 광대에 대한 극단적인 공포심은 기이한 풍모 때문에 최근 주목받고 있다. 악당 광대의 현대적 원형은 1940년부터 DC 코믹스의 캐릭터 조커에 의해 대중화되었고, 스티븐 킹의 소설 ''그것''의 페니와이즈에 의해 다시 한번 대중화되었다. 소설에서 페니와이즈는 광대의 모습으로 아이들을 유인하여 잡아먹는 다차원적인 괴물로, 피해자가 가장 두려워하는 모습으로 변신한다. 스티븐 킹 원작의 소설·영화 『그것』에 등장하는 "페니와이즈"는 특정 인물에게만 보이는 살인귀이며, 광대에 공포를 느끼는 소년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존 게이시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픽션 작품에서 정체불명의 기형적인 존재로, 혹은 맨얼굴=정체를 숨길 목적으로 광대 모습을 한 악역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공포 광대는 장난기 넘치는 특징 대신 공포 요소와 다크 유머를 사용하여 더욱 불안한 본성으로 묘사된다.
5. 광대를 소재로 한 작품
공포 광대라고도 불리는 무서운 광대는 전통적인 코믹 광대 캐릭터의 전복으로, 장난기 넘치는 특징 대신 공포 요소와 다크 유머를 사용하여 더욱 불안한 본성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광대는 광대 공포증을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악당 광대의 현대적 원형은 1940년부터 DC 코믹스의 캐릭터 조커에 의해 대중화되었고, 스티븐 킹의 소설 ''그것''의 페니와이즈에 의해 다시 한번 대중화되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십이야』, 『뜻대로 하세요』, 『리어왕』 등과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 루제로 레온카발로의 오페라 광대 등이 광대를 소재로 한 작품으로 꼽힌다.
디에고 벨라스케스는 The Jester Don John of Austria영어 광대 돈 후안 데 아우스트리아, The Jester Don Diego de Acedo영어 광대 디에고 데 아세도, The Jester Barbarroja영어 광대 바르바로하, Portrait of Sebastián de Morra영어 광대 세바스티안 데 모라 등 궁정 광대 초상화를 그렸다. 폴 세잔의 피에로와 아를르캥 , 파블로 피카소의 아를르캥, 거울을 든 아를르캥, 아를르캥의 모습의 파울로, 앙드레 드랭의 아를르캥과 피에로, 조르주 루오의 광대, 광대 (옆모습), 코가 빨간 광대 등도 광대를 소재로 한 미술 작품이다.
모리스 라벨의 피아노 모음곡 『거울』 제4곡 광대의 아침 노래,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발레 작품 풀치넬라,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달에 홀린 피에로,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의 관현악 모음곡 광대는 광대를 소재로 한 음악 작품이다.
영화로는 찰리 채플린의 서커스(1928년), 라임라이트(1952년), 페데리코 펠리니의 광대들영어(1970년),[44] 킬러 클라운즈 프럼 아웃터 스페이스/킬러 클라운즈영어(1987년),[45] 왕의 남자(2005년), 조커(2019년) 등이 있다.
6. 광대 관련 단체
세계 광대 협회(World Clown Association)는 광대, 저글러, 마술사 및 페이스 페인터를 위한 전 세계적인 단체이다. 주로 미국에서 연례 회의를 개최한다.
미국 국제 광대 협회(Clowns of America International)는 "진지한 아마추어, 준전문가 및 전문 광대를 위한 공유, 교육 및 모임 장소 역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미네소타에 기반을 둔 비영리 광대 예술 회원 조직이다.
'''영국 국제 광대 협회'''(Clowns International)는 1940년대부터 시작된 영국의 광대 단체이다. 이곳은 광대 달걀 등록(Clown Egg Register)을 관리한다.
미국의 "링링 브라더스 앤 바넘 앤 베일리 클라운 칼리지(Ringling Bros. and Barnum & Bailey Clown College)"는 1968년 설립부터 1997년 폐쇄까지 약 1,400명의 광대를 훈련시킨 서커스 학교였다.
일본에서는 1989년 일본 최초의 광대 양성 학교 "클라운 칼리지 재팬"이 플로리다에 있던 클라운 칼리지의 해외 분교 제1호로 설립되었지만, 3년 정도 후에 해산되었다. 이 기간 동안 3기 66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극단 OPEN SESAME에서는 1992년부터 부속 클라운 스쿨이 시작되어 많은 졸업생이 프로 광대나 퍼포머로서 활약하고 있다.
참조
[1]
논문
My Favorite Foods are Dr Pepper, Collard Greens, and Pizza. I'm sure I'll Be a Good Clown
https://repository.u[...]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21-01-01
[2]
논문
'Everything seemed new': Clown as Embodied Critical Pedagogy
https://repository.u[...]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21-01-01
[3]
논문
'Picking People to Hate': Reversible reversals in stand-up comedy
https://journal.fi/s[...]
2021-03-22
[4]
서적
Getting the Joke: the inner workings of stand-up comedy
Bloomsbury Methuen Drama
2014
[5]
논문
The Clown: An Archetypal Self-Journey
2010
[6]
문서
1997
[7]
문서
2001
[8]
잡지
What's so funny?
https://books.google[...]
Reed Business Information
2020-05-16
[9]
논문
The Clown's Function
1945
[10]
서적
The Pueblo Indians of North America
https://archive.org/[...]
Holt, Rinehart and Winston
2020-05-16
[11]
서적
The Reason You Walk: A Memoir
Penguin Random House
2017
[12]
뉴스
The History and Psychology of Clowns Being Scary
https://www.smithson[...]
2022-03-02
[13]
웹사이트
Clowns – a Brief Look Into their History and Mythology
https://www.theatrea[...]
2022-05-02
[14]
뉴스
Modern Clowns With a Fear Factor
https://www.nytimes.[...]
2006-09-03
[15]
뉴스
Make Way for the Carnal Clowns of Stand-Up
https://www.nytimes.[...]
2019-11-15
[16]
웹사이트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20-05-06
[17]
문서
1980
[18]
문서
2009
[19]
문서
Dialectal Bajass
https://digital.idio[...]
[20]
뉴스
Health | Hospital clown images 'too scary'
http://news.bbc.co.u[...]
2020-05-16
[21]
뉴스
Why are clowns scary?
http://news.bbc.co.u[...]
2020-05-16
[22]
논문
Coulrophobia and the Trickster
http://digitalcommon[...]
Trinity University
2020-05-16
[23]
웹사이트
Coulrophobia and the Trickster
http://www.trinity.e[...]
Trinity.edu
2020-05-16
[2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Word Origin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06
[25]
서적
Popular Theatre: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
[26]
서적
World Book
World Book
2022
[27]
서적
Création théâtrale: Adaptation, schèmes, traduction
https://books.google[...]
[28]
웹사이트
Clown Types
http://new.4-hcurric[...]
2010
[29]
문서
2009
[30]
웹사이트
The Oldest Organisation To Support The Art Of Clowning Since 1947
https://www.clownsin[...]
Clowns International
2022-03-25
[31]
웹사이트
Clowning Framework
http://www.simplycir[...]
[32]
웹사이트
ピエロの涙の意味と理由、知ってる?なぜピエロは泣いてるの?
https://useful-every[...]
[33]
논문
道化のコンセプト
http://libir.josai.a[...]
城西大学、城西人文研究第19巻第2号
[34]
서적
道化
東京:株式会社晶文社
1979-05-30
[35]
웹사이트
クラウンを夢見た人たち-プロローグ
https://deracine.foo[...]
[36]
웹사이트
アートタイムズ
https://deracine.foo[...]
2024-08-03
[37]
웹사이트
講座とスクール【クラウン劇団OPEN SESAME】
https://www.op-sesam[...]
2024-08-03
[38]
웹사이트
作品詳細 ピエロとアルルカン イメージアーカイブ - DNPアート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https://images.dnpar[...]
2024-08-03
[39]
웹사이트
アルルカン ピカソ
https://artmuseum.jp[...]
2024-08-03
[40]
웹사이트
ピカソ、ダリ、ミロの名画に親しみ マドリードで文化芸術の底力を実感 名画とフラメンコと美食 マドリードを遊び尽くす旅
https://crea.bunshun[...]
2024-08-03
[41]
웹사이트
アルルカン姿のパウロ ピカソ
https://artmuseum.jp[...]
2024-08-03
[42]
웹사이트
[写真](2ページ目)ルノワールの傑作を観てわかった、誰もが魅かれる「不思議な力」の正体とは
https://bunshun.jp/a[...]
2024-08-03
[43]
웹사이트
(美の履歴書:626)「アルルカンとピエロ」 アンドレ・ドラン 視線が吸い寄せられるわけ: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19-11-19
[44]
웹사이트
映画『フェリーニの道化師』の感想・レビュー[634件] Filmarks
https://filmarks.com[...]
つみき
2024-08-11
[45]
웹사이트
映画『キラークラウン』の感想・レビュー[327件] Filmarks
https://filmarks.com[...]
つみき
2024-08-13
[46]
웹사이트
The Day the Clown Cried
https://www.imdb.com[...]
2024-09-04
[47]
뉴스
연예인은 공인이 아니다
https://shineway.kr/[...]
2023-12-19
[48]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y of Word Origins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