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양사역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호남선의 철도역이다. 1914년 사거리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67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남선 ITX-새마을,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성군의 건축물 - 장성역
장성역은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에 위치한 호남선 철도역으로, 1914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한국전쟁 이후 복구 및 재건축을 거쳤으며, KTX 정차 후 누리로를 거쳐 현재는 무궁화호와 ITX-마음이 운행되고 서대전 경유 KTX가 재개되었으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장성군의 건축물 - 안평역 (장성)
안평역은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에 위치한 호남선 철도역으로, 1959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으며, 호남선과 장성화물선이 지나고 백양사역과 장성역 사이에 위치한다. - 장성군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장성군의 교통 - 장성역
장성역은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에 위치한 호남선 철도역으로, 1914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한국전쟁 이후 복구 및 재건축을 거쳤으며, KTX 정차 후 누리로를 거쳐 현재는 무궁화호와 ITX-마음이 운행되고 서대전 경유 KTX가 재개되었으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호남선 - 극락강역
극락강역은 1922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1938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호남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호남선 - 함열역
함열역은 1912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화물, 소화물 취급을 중단하고 현재 호남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강경역과 익산역을 통해 각 방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대한민국의 철도역이다.
백양사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백양사역 |
모국어 표기 | 백양사 |
로마자 표기 | Baegyangsa |
소속 노선 | 호남선 |
이전 역 | 蘆嶺 |
다음 역 | 안평 |
역간 거리 A | 7.0 |
역간 거리 B | 11.5 |
소재지 | 전라남도장성군 백양로 2-14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KORAIL)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148.6 |
기점 역 | 대전조차장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섬식 2면 4선 |
개업일 | 1914년1월 11일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한국어 외 표기 | |
한글 | 백양사역 |
한자 | 白羊寺驛 |
가타카나 | ペギャンサヨク |
영어 | Baegyangsa Station |
철도역 정보 | |
역 이름 | 백양사 |
배경색 | #0066BC |
그림 | 백양사역.JPG |
그림 설명 | 역사 |
소재지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백양로 2-14 |
개업일 | 1914년 1월 11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광주지역관리단 광주관리역 |
승강장 | 2면 4선 |
노선 1 | 호남선 |
영업 거리 1 | 대전조차장 기점 148.6 km |
이전 역 1 | 노령 |
이전 역 거리 1 | 7.0 |
다음 역 1 | 안평 |
다음 역 거리 1 | 11.5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2. 역사
- 1914년 1월 11일 : '''사거리역'''이라는 역명의 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3]
- 1917년 2월 1일 : 화물 취급 개시[4]
- 1919년 12월 30일 : 보통역으로 승격
- 1950년 6월 30일 : 역사 소실
- 1957년 7월 18일 : 역사 준공
- 1967년 1월 20일 : '''백양사역'''으로 개칭[5]
- 1987년 9월 1일 : 현재의 역사 준공
- 1993년 4월 10일 : 소화물 취급 중지[6]
- 2007년 11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7]
- 2016년 12월 9일 : 누리로 운행개시
- 2020년 3월 1일 : 누리로 운행 종료
- 2020년 3월 2일 : 태백선 누리로 운행으로 호남선 1421, 1424, 1425, 1426열차는 무궁화호로 변경 운행 개시
- 2023년 9월 1일 : ITX-새마을 정차 개시
3. 역 구조
백양사역은 호남선 정읍 방면과 장성 방면으로 가는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번 승강장과 4번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는다.
3. 1. 승강장
백양사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4. 이용 가능한 노선
5. 인접한 역
무궁화호, 호남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