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뇌의 작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번뇌의 작용은 불교에서 번뇌가 중생에게 미치는 영향과 작용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구사론》에서는 번뇌의 10가지 작용을, 《유가사지론》에서는 17가지 과환의 작용을, 《현양성교론》에서는 5가지 공통 작용을 제시하며, 각 경론에 따라 번뇌가 중생의 마음을 뇌란시키고, 선을 가로막으며, 악도에 떨어지게 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뇌 - 집착
- 번뇌 - 결 (불교)
결은 불교에서 번뇌의 다른 이름으로, 몸과 마음을 묶어 자유를 얻지 못하게 하는 결박을 뜻하며, 여러 경전과 논서에서 9결, 3결, 4결, 5결, 10결, 98결, 108결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된다.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번뇌의 작용 | |
|---|---|
| 개요 | |
| 정의 | 번뇌는 마음을 괴롭히고 혼란스럽게 하는 정신적인 작용이다. |
| 특징 | 불만족스러운 감정 유발 인지 왜곡 비합리적인 행동 유발 마음의 평화 방해 |
| 번뇌의 종류 (불교 심리학) | |
| 근본 번뇌 (6가지) | 탐욕 (탐(貪)) 진에 (진(瞋)) 어리석음 (치(痴)) 자만 (만(慢)) 의심 (의(疑)) 그릇된 견해 (사견(邪見)) |
| 수번뇌 (20가지) | 분노 (분(忿)) 원한 (한(恨)) 위선 (위(僞)) 질투 (질(嫉)) 인색 (간(慳)) 후회 (회(悔)) 해태 (혼침(惛沈)) 도거 (도거(掉舉)) 무참 (무참(無慚)) 무괴 (무괴(無愧)) 불신 (불신(不信)) 해이 (해이(懈怠)) 망념 (실념(失念)) 산란 (불정(不定)) 무지 (악혜(惡慧)) 억울함 (강경(强硬)) 격렬함 (격렬(激烈)) 자만심 (자만(自慢)) 부주의 (방일(放逸)) 난폭함 (폭력(暴力)) |
| 그 외 번뇌 | 아집 (아집(我執)) 무명 (무명(無明)) 갈애 (애착(愛着)) |
| 번뇌의 작용 | |
| 심리적 영향 | 불안과 스트레스 증가 부정적인 감정 증폭 (분노, 슬픔, 두려움) 자존감 저하 인간 관계 어려움 |
| 행동적 영향 | 충동적인 행동 파괴적인 행동 중독적인 행동 자기 파괴적인 행동 |
| 영적 영향 | 깨달음으로 가는 길을 막음 윤회의 원인 고통의 지속 |
| 번뇌 극복 방법 | |
| 불교적 접근 | 명상 (위빠사나, 사마타) 마음챙김 자비심 기르기 윤리적 행동 (계율 준수) 지혜 개발 (올바른 이해) |
| 심리 치료적 접근 | 인지 행동 치료 (CBT) 수용 전념 치료 (ACT) 변증법적 행동 치료 (DBT) |
2. 경론별 설명
불교의 여러 경전과 논서(아비다르마)에서는 번뇌가 중생의 마음과 삶에 미치는 영향과 그 해악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설명들은 번뇌의 다양한 작용 방식을 이해하고, 그것이 어떻게 괴로움을 낳고 윤회의 원인이 되는지를 밝힌다.
특히 부파불교의 주요 논서인 《구사론》, 대승불교 유식유가행파의 핵심 논서인 《유가사지론》과 《현양성교론》 등은 번뇌의 구체적인 작용과 그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과환, 過患)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한다. 이들 경론은 번뇌가 단순히 개인의 심리 상태를 넘어, 자신과 타인에게 해를 끼치고 선한 행위를 방해하며 깨달음을 가로막는 근본적인 장애물임을 강조한다.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각 경론에서 설명하는 번뇌의 구체적인 작용 방식과 그 해악을 자세히 살펴본다. 이를 통해 번뇌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불교 수행에서 번뇌를 인식하고 다스리는 것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2. 1. 구사론
부파불교 설일체유부의 주요 논서인 세친의 《구사론》 제19권에서는 현행하는 번뇌, 특히 근본번뇌가 일으키는 10가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작용들은 번뇌가 어떻게 중생의 마음과 행동에 영향을 미쳐 고통을 낳고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지를 보여준다.2. 1. 1. 근본번뇌의 10가지 작용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사 세친이 저술한 《구사론》 제19권에 따르면, 현재 일어나 활동하는 번뇌, 특히 근본번뇌는 다음과 같은 10가지 작용을 한다.# '''견근본'''(堅根本): 번뇌를 획득하고 성취하는 것(득)을 더욱 견고하게 하여 끊기 어렵게 만든다.
# '''입상속'''(立相續): 번뇌가 끊이지 않고 계속 이어지도록(상속) 한다.
# '''치자전'''(治自田): 번뇌가 발생하는 자신의 기반(소의신, 自田)을 번뇌가 일어나기 좋은 상태로 만든다.
# '''인등류'''(引等流): 근본번뇌와 유사한 성질의 번뇌인 수번뇌(隨煩惱)를 끌어들여 일으킨다.
# '''발업유'''(發業有): 다음 생(후유, 後有)의 과보를 초래하는 업을 일으킨다.
# '''섭자구'''(攝自具): 번뇌 자신의 자양분이 되는 잘못된 생각(비리작의, 非理作意)을 끌어모은다.
# '''미소연'''(迷所緣): 올바른 지혜(정혜, 正慧)를 손상시켜 인식 대상(소연, 所緣)에 대해 미혹하게 만든다.
# '''도식류'''(導識流): 식(識)의 흐름을 이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생을 받을 때 부모 등에 대한 애착을 일으키는 속생(續生)의 식을 일으키고, 여러 인식 대상에 대해 오염된 식(염오식)을 낳는다.
# '''월선품'''(越善品): 선한 품성이나 행위(善品)를 어기게 만든다.
# '''광박의'''(廣縛義): 유정을 널리 속박하여, 자신이 속한 계(界)와 지(地)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2. 2. 유가사지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를 대표하는 논서 중 하나인 미륵의 《유가사지론》 제8권에서는 번뇌가 일으키는 다양한 과환(過患, 해로운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 논서에 따르면 번뇌는 단순히 개인의 마음을 어지럽히는 것을 넘어, 자신과 타인에게 해를 끼치고, 악업을 쌓게 하며, 결국 괴로움의 윤회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등 셀 수 없이 많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유가사지론》은 번뇌가 깨달음을 가로막는 근본적인 장애물임을 강조하며, 그 해악을 명확히 인식할 것을 촉구한다.2. 2. 1. 번뇌의 과환
대승불교 유식유가행파의 논서인 미륵의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번뇌는 셀 수 없이 많은 과환(過患, 해로운 작용)을 일으킨다. 그중 주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뇌란기심'''(惱亂其心): 가장 먼저 중생의 마음을 어지럽히고 괴롭힌다[惱亂].
- '''발기전도'''(發起顛倒): 인식 대상[所緣]에 대해 잘못된 생각[顛倒]을 일으킨다.
- '''득견고'''(得堅固): 번뇌의 잠재된 씨앗인 수면(隨眠)을 더욱 단단하게 만든다.
- '''등류전'''(等流轉): 비슷한 종류의 번뇌가 계속 이어지도록[等流行] 한다[相續流轉].
- '''인자타구해'''(引自他俱害): 자신을 해치고[自害] · 남을 해치며[他害] · 자신과 남 모두를 해치는[俱害] 결과를 끌어들인다.
- '''생현후구법죄'''(生現後俱法罪): 현재[現法] · 미래[後法] · 그리고 현재와 미래 모두[俱法]에 죄를 짓게 한다.
- '''수우고'''(受憂苦): 죄의 결과로 현재와 미래에 걸쳐 몸과 마음의 근심[憂]과 괴로움[苦]을 받게 한다.
- '''인대고'''(引大苦): 태어남[生] · 늙음[老] · 병듦[病] · 죽음[死] 등 여러 가지 큰 괴로움을 불러일으킨다.
- '''원열반락'''(遠涅槃樂): 깨달음의 즐거움인 열반에서 멀어지게 하고, 그 상태가 지속되게 한다.
- '''퇴실선법'''(退失善法): 훌륭한 선법(善法)을 잃어버리게 한다.
- '''자재손실'''(資財損失): 깨달음을 위한 수행 자원[資糧]인 선근과 공덕을 줄어들고 흩어지게 한다.
- '''부득무외'''(不得無畏): 사람들[衆] 속에서 두려움 없이 당당하지 못하고[無畏], 위축되어 위의(威儀)를 잃게 한다.
- '''악명유포'''(惡名流布): 나쁜 평판[惡名]이 세상에 퍼지게 한다.
- '''소가훼'''(所訶毀): 지혜로운 사람들[智者]에게 꾸짖음[訶毀]을 받게 한다.
- '''임종우회'''(臨終憂悔): 죽음을 앞두고[臨終] 큰 근심[憂]과 후회[悔]를 느끼게 한다.
- '''타악취'''(墮惡趣): 죽은 뒤 나락가(那落迦, 지옥) 등 괴로운 세계[惡趣]에 떨어지게 한다.
- '''부증의리'''(不證義利): 본질적으로 뛰어난 가치[自勝義利], 즉 복덕[義]과 지혜[利]를 증득하지 못하게 한다.
《유가사지론》은 이 외에도 번뇌의 해로운 작용은 한량없이 많다고 설명한다.
2. 3. 현양성교론
대승불교 유식유가행파의 주요 논서 중 하나인 무착의 《현양성교론》 제1권에서는, 모든 번뇌(근본번뇌와 수번뇌 포함)가 각자의 고유한 작용 외에도 공통적으로 일으키는 5가지 작용이 있다고 설명한다.2. 3. 1. 번뇌의 5가지 공통 작용
# 상대되는 선(善)을 장애한다. 예를 들어 탐(貪)은 무탐을 장애한다.# 보리(菩提)의 증득을 위한 자량(資糧: 선근과 공덕)이 원만해지는 것을 장애한다.
# 자신과 남에게 손해를 입힌다[損害自他].
# 악도(惡道)에 떨어지게 한다.
# 해당 번뇌 자체를 증장시킨다. 예를 들어 탐(貪)은 탐(貪)을 증장시킨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