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나르도 우사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나르도 우사이는 아르헨티나의 생리학자이자 의사로, 뇌하수체의 생리적 기능과 탄수화물 대사에 대한 연구로 194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생리학 강사로 시작하여 1919년부터 1943년까지 교수로 재직하며 해당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다. 자유주의적 정치 사상으로 인해 군사 정권으로부터 직위를 박탈당하기도 했으나, 사립 연구소를 설립하여 연구를 지속했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뇌하수체 전엽부의 당뇨병 유발 효과 규명이 있으며, 인재 양성에도 힘썼다. 1957년부터는 국가 과학 기술 진흥회 회장을 역임했고, 그의 연구는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치료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의사 - 체 게바라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남아메리카 여행 중 사회 불의를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심취하여 쿠바 혁명에 참여, 쿠바 해방 후 혁명 정부에서 활동하다 국제적인 혁명 투쟁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다 볼리비아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혁명가로서의 헌신과 반제국주의 정신을 상징한다. - 아르헨티나의 의사 - 알베르토 그라나도
아르헨티나 출신 생화학자이자 작가인 알베르토 그라나도는 체 게바라와 함께 오토바이로 남아메리카를 여행한 경험으로 유명하며, 이 경험은 그의 인생과 쿠바 혁명 참여, 쿠바 의학 발전에 기여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고, 영화 《모터사이클 다이어리》의 고문으로도 활동했다. - 아르헨티나의 노벨상 수상자 -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
아르헨티나의 조각가이자 건축가, 인권 운동가인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은 평화와 정의를 위한 봉사 공동 설립 및 아르헨티나 더티 워 희생자 지원, 군사 독재 정권의 인권 탄압에 맞선 공로로 198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수상 이후에도 사회 운동을 이어왔으나 논란이 되는 발언도 했다. - 아르헨티나의 노벨상 수상자 - 세사르 밀스테인
세사르 밀스테인은 아르헨티나 출신의 생화학자로서 단일클론 항체 생산 기술인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개발하여 198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베르나르도 우사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베르나르도 알베르토 우사이 |
출생 | 1887년 4월 10일 |
출생지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사망 | 1971년 9월 21일 |
사망지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국적 | 아르헨티나 |
연구 분야 | |
학문 분야 | 생리학, 내분비학 |
주요 업적 | 글루코스 |
수상 | |
수상 내역 | 노벨 생리학·의학상 (1947년) 제임스 쿡 메달 (1948년) |
학력 및 경력 | |
모교 |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
배우자 | 마리아 앙헬리카 카탄 |
2. 생애
프랑스계 이민자 가정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난 베르나르도 우사이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여 14세에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약학학교에 입학했고, 3년 뒤에는 같은 대학 의학부로 진학했다. 대학 시절부터 생리학 연구에 뛰어들어 뇌하수체 연구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는 평생의 연구 주제가 되었다.
초기에는 대학 강사와 병원 보조 의사 등을 겸하며 경력을 쌓았고, 1919년에는 모교인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의학부의 생리학 교수로 임명되어 해당 분야를 국제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그러나 그의 자유주의적 정치 성향 때문에 1943년 군사 정권에 의해 교수직을 박탈당하는 시련을 겪었다. 그는 이에 굴하지 않고 동료들과 함께 사립 연구소(The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Institute)를 설립하여 연구 활동을 이어갔으며, 이후 후안 페론 정권 하에서도 이러한 어려움은 계속되었다.
1955년 페론 정권이 물러난 후에야 대학에 복직할 수 있었고, 정년까지 후학 양성에 힘썼다. 은퇴 후에는 국가 과학 기술 진흥회(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 Council) 회장을 맡아 아르헨티나는 물론 라틴 아메리카 전체의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1971년 세상을 떠났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차카리타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베르나르도 알베르토 우사이는 1887년 4월 10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프랑스에서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이민자였으며, 아버지는 법정 변호사인 알베르트 우사이, 어머니는 클라라 우사이였다. 그는 8명의 형제 중 한 명이었다.어려서부터 재능을 보인 우사이는 14세에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약학부에 입학하였고, 3년 뒤인 17세(1904년)에는 같은 대학교의 의과대학에 진학하여 1910년까지 수학했다. 의과대학 3학년 때부터 생리학 분야에서 연구생 겸 조교로 활동하며 연구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그는 특히 클로드 베르나르의 연구 방식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1911년, 우사이는 뇌하수체의 생리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 주제는 그가 평생에 걸쳐 연구하게 되는 중요한 분야가 되었다. 박사 학위를 받기 전인 1908년부터 이미 약학부에서 강사로 활동하고 있었으며, 박사 학위 취득 후에는 수의학부에서도 강의를 맡았다. 또한 학비를 벌고 다양한 경험을 쌓기 위해 부에노스아이레스 공립 병원에서 의사 보조로 일하기도 했다.
이후 그는 1913년에 알베알 병원의 주임 의사로 임명되었고, 1915년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 공중 위생 연구소의 실험 병리학부 주임이 되어 초기 경력을 이어갔다.
2. 2. 학문적 경력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약학부를 졸업한 후, 우사이는 뇌하수체 추출물의 생리적 활동에 대한 연구로 1911년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는 그의 남은 과학 경력 동안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그는 이미 1908년부터 모교 의과대학에서 조교 강사로 활동하고 있었으며, 박사 학위 취득 직후에는 대학교 수의학과의 생리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동시에 부에노스아이레스 시립 병원에서 조수 의사로 근무하며 개인 진료를 시작했고, 1913년에는 알베아르 병원의 주임 의사가 되었으며, 1915년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 공중 보건 연구소의 실험 병리학 부서 책임자가 되었다.1919년, 우사이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의과대학의 생리학과 학과장으로 임명되어 1943년까지 재직했다. 그는 이 부서를 국제적인 수준의 실험 생리학 및 의학 연구 기관으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1943년, 당시 아르헨티나의 군사 독재 정권은 그의 자유주의적 정치 성향과 나치 파시스트에 항의하는 서명 운동 참여 등을 문제 삼아 대학 직위를 박탈했다. 이에 우사이는 사적으로 자금을 지원받는 생물학 및 실험 의학 연구소(Instituto de Biología y Medicina Experimental)를 설립하여 연구 활동을 이어가야 했다. 이러한 탄압은 1945년 후안 페론 정부 하에서도 계속되었으며, 1955년 페론 정권이 축출된 후에야 우사이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 복직하여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이 기간 동안 그는 해외의 많은 제안을 거절하고 아르헨티나에 머물면서 연구를 지속했으며, 루이 르루아르의 사립 연구소 설립에도 참여했다. 복직 후 1957년부터는 국립 과학 기술 연구 위원회(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 Council)의 회장직을 맡았다.
우사이는 생리학의 여러 분야를 연구했지만, 그의 가장 중요한 기여는 탄수화물 대사, 특히 당뇨병에서 전뇌하수체 샘의 역할에 대한 실험적 연구였다. 1930년대에 그는 전뇌하수체 추출물이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전뇌하수체를 절제하면 당뇨병의 심각성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이러한 발견은 현대 내분비학의 핵심 개념인 호르몬 피드백 조절 메커니즘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연구 업적은 1947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으로 이어졌다.
우사이의 지도 아래 많은 제자들이 배출되었으며, 이들은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학자가 되었다. 대표적으로 에두아르도 브라운-메넨데스와 미겔 롤란도 코비안은 브라질 상파울루 대학교 리베이랑 프레투 의과대학의 생리학과 학과장이 되어 브라질 신경생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우사이는 이들과 함께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체 생리학 교과서를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로 저술했으며, 이 교과서는 195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대륙의 거의 모든 의과 대학에서 사용되었다. 우사이는 600편 이상의 과학 논문과 여러 전문 서적을 출판했다. 노벨상 외에도 하버드, 케임브리지, 옥스퍼드, 파리 등 15개 이상의 대학에서 명예 학위와 상을 받았으며, 1960년에는 내분비학회로부터 데일 메달(Dale Medal)을 수상했다.
우사이는 아르헨티나뿐만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 과학 연구와 의학 교육 발전을 위한 리더이자 촉진자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그는 1940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1941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국제 명예 회원, 1943년 영국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 1944년 미국 철학 학회 국제 회원으로 선출되는 등 국제적으로도 널리 인정받았다. 연구자로서 그는 클로드 베르나르의 연구 방식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인슐린이 내분비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도 진행했다.
2. 3. 정치적 탄압과 극복
1919년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과 학과장으로 임명된 우사이는 1943년까지 해당 부서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연구 기관으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그 해, 당시 아르헨티나를 통치하던 군사 독재 정권은 우사이의 자유주의적 정치 사상을 문제 삼아 그의 대학 직위를 부당하게 박탈했다. 이는 우사이가 나치 파시즘에 반대하는 서명에 참여하는 등 자신의 신념을 표현했기 때문이었다.이러한 정치적 탄압에도 불구하고 우사이는 연구를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뜻을 같이하는 동료 과학자들과 함께 사적으로 자금을 모아 생물학 및 실험 의학 연구소(Instituto de Biología y Medicina Experimental)를 설립하여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 1945년(또는 1946년), 후안 페론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탄압은 계속되었고, 우사이는 다시 한번 공직에서 해고되는 시련을 겪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우사이는 해외 여러 기관의 초빙 제안을 거절하고 아르헨티나에 남아 연구에 매진했다. 또한, 동료 과학자인 루이 르루아르가 사립 연구소를 설립하는 데 참여하는 등 아르헨티나 과학 발전을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1955년, 군사 쿠데타로 페론 정권이 축출되면서 우사이는 마침내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 복직할 수 있었고, 정년까지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과 연구에 힘썼다. 1957년부터는 국립 과학 기술 연구 위원회(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 Council)의 이사(또는 회장)를 맡아 아르헨티나 과학 기술 발전을 이끌었다. 그는 아르헨티나를 넘어 라틴 아메리카 전역의 과학 연구 및 의학 교육 발전을 위한 리더이자 촉진자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2. 4. 말년
1955년 후안 페론 정권이 군사 쿠데타로 축출된 후, 우사이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 복직하여 정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다른 나라로부터 많은 초청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아르헨티나에 남아 연구와 교육 활동을 이어갔다. 복직 이후에도 우사이는 아르헨티나뿐만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 전역의 과학 연구 및 의학 교육 발전을 위해 지도자이자 촉진자로서 활발히 활동했다.1957년부터는 국가 과학 기술 진흥회의 회장직을 맡아 아르헨티나의 과학 기술 발전을 이끌었다. 1960년에는 내분비학회로부터 데일 메달을 수상하며 그의 학문적 업적을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우사이는 화학 박사였던 아내 마리아와의 사이에 3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는 1971년 세상을 떠났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위치한 차카리타 묘지에 안장되었다.
3. 주요 연구 업적
베르나르도 우사이는 생리학의 여러 분야에 걸쳐 중요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 그의 가장 핵심적인 기여는 뇌하수체 전엽이 탄수화물 대사와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이 연구는 현대 내분비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이 공로로 194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소를 이끌었으나, 그의 자유주의 정치적 사상 때문에 군사 독재 정권과 후안 페론 정부에 의해 두 차례나 교수직에서 해직되는 시련을 겪기도 했다. 이후 복직하여 사망할 때까지 연구와 교육에 힘썼으며, 아르헨티나뿐만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 전체의 과학 연구 및 의학 교육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우사이는 후학 양성에도 힘써 많은 제자를 길러냈고, 중요한 생리학 교과서를 저술하기도 했다. 왕성한 연구 활동을 통해 다수의 논문과 서적을 남겼으며,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아 여러 학술 기관의 회원으로 추대되고 다수의 명예 학위와 상을 받았다.
3. 1. 뇌하수체와 당 대사
졸업 후, 우사이는 1911년 발표한 의학박사 논문에서 뇌하수체 추출물의 생리적 활동을 다루었으며, 이는 그의 과학 경력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우사이는 생리학의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지만, 그의 가장 중요한 기여는 탄수화물 대사, 특히 당뇨병과 관련하여 전 뇌하수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실험적 연구였다. 그는 1930년대에 전 뇌하수체 추출물이 당뇨병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으며, 반대로 뇌하수체 전엽을 절제하면 당뇨병의 심각도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발견은 호르몬 피드백 조절 메커니즘 연구를 촉진했으며, 이는 현대 내분비학의 모든 분야에서 기본적인 이론으로 자리 잡았다. 우사이의 이러한 업적은 높이 평가받아 1946년과 1963년에 뱅팅 메달을 수상했으며, 1947년에는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3. 2. 다양한 생리학 분야 연구
우사이의 연구는 신경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순환기계 등 생리학의 여러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다. 그의 주요 업적은 탄수화물 대사, 특히 당뇨병에서 뇌하수체 전엽의 역할에 대한 실험적 연구로 평가받는다.1930년대에 우사이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특정 성분이 당뇨병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으며, 반대로 뇌하수체 전엽을 절제하면 당뇨병의 심각성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증명했다. 이러한 발견은 호르몬이 신체 내에서 피드백을 통해 조절되는 메커니즘 연구를 촉진했으며, 현대 내분비학 발전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우사이는 194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당뇨병 연구에 대한 공로로 1946년과 1963년에 뱅팅 메달을 수상하기도 했다.
우사이는 평생 동안 600편 이상의 과학 논문과 여러 전문 서적을 출판하며 왕성한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국제적으로도 널리 인정받아, 1940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1941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1943년 영국 왕립 학회, 1944년 미국 철학 학회 등 세계적인 학술 기관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하버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파리 대학교를 포함한 19개 대학으로부터 명예 학위와 상을 받았으며, 1960년에는 영국 내분비학회로부터 데일 메달을 수여받았다.
3. 3. 인재 양성
우사이는 인재 양성 면에서도 뛰어난 역량을 보여주었다. 그의 지도를 받은 많은 제자들이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며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성장했다. 대표적인 예로 레닌-앤지오텐신 계통 연구에 기여한 에두아르도 브라운-메넨데스와 브라질 신경생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상파울루 대학교 리베이랑 프레투 의과대학의 생리학부장을 역임한 미겔 롤란도 코비안 등이 있다. 우사이는 이들과 함께 중요한 인체 생리학 교과서를 저술했다. 이 교과서는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로 출판되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 스페인, 포르투갈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1950년 초판 발행 이후 계속해서 개정판이 나오며 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여러 대학의 교재로 활용되었다.4. 수상 및 서훈
5. 유산
우사이의 내분비 호르몬 시스템, 즉 "호르몬 피드백 루프"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는 1947년에 부신 기능 부전 진단을 받은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의 코르티솔 주사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했다. 당시 부신 기능 부전은 종종 치명적인 질병으로 여겨졌다.[11]
또한, 1996년 아르헨티나 해군 헌병대는 CONICET로부터 케치식 연구선을 인수하여, 그의 업적을 기려 ''Dr. 베르나르도 우사이'' (MOV 1)로 명명했다.[10]
6. 평가
우사이의 업적은 신경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순환기계 등 생리학 전반에 걸쳐 매우 광범위하다. 특히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탄수화물의 대사 연구, 그중에서도 당뇨병에 대한 연구는 높이 평가받는다. 이러한 공로로 그는 1946년과 1963년에 뱅팅 메달을, 1947년에는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1930년대에 이미 우사이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음을 증명했으며, 뇌하수체 절제가 당뇨병 악화를 막는 방법 중 하나임을 밝혔다. 이 연구는 호르몬의 자동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현대 내분비학의 기초 이론을 세우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우사이는 연구뿐만 아니라 인재 양성에도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 그의 지도를 받은 많은 제자들이 국제적으로 활약했는데, 대표적으로 레닌-안지오텐신계 연구에 기여한 에두아르도 브라운-메넨데스, 브라질 신경생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상파울루 대학교 리베이랑 프레투 의과대학의 생리학부장을 지낸 미겔 롤란도 코비안 등이 있다. 우사이는 이들과 함께 인간 생리학 교과서를 집필했으며, 이 책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 스페인, 포르투갈 등에서 출판되어 1950년 초판 이후 여러 차례 개정되며 전 세계 의과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는 총 500편이 넘는 과학 논문을 발표했으며 다수의 전문 서적을 저술했다. 노벨상 외에도 하버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파리 대학교 등 19개 대학으로부터 명예 학위를 받았고, 1960년에는 영국 내분비학회로부터 데일 메달을 받는 등 수많은 영예를 안았다. 2013년 4월 8일에는 구글이 그의 126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구글 두들을 게시하기도 했다.[12]
참조
[1]
웹사이트
Bernardo Houssay - Biography, Facts and Pictures
https://www.famoussc[...]
[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47
https://www.nobelpri[...]
[3]
간행물
Bernardo Alberto Houssay 1887–1971
[4]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47 Carl Cori, Gerty Cori, Bernardo Houssay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0-07-08
[5]
간행물
Remembrances of Contributions of Philip Smith and Bernardo Houssay to the Development of Neuroendocrinology
[6]
간행물
Nobel prize for Carl Ferdinand Cori and Gerta Theresa Cori in 1947 for discovery of the course of catalytic metabolism of glycogen. Prize for Alberto Bernardo Houssay for discovery on the role of the hypophysis in carbohydrate metabolism
[7]
웹사이트
Bernardo Houssay
http://www.nasonline[...]
2023-04-07
[8]
웹사이트
Bernardo Alberto Houssay
https://www.amacad.o[...]
2023-02-09
[9]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4-07
[10]
웹사이트
MOV-01 GC "Dr Bernardo Houssay"
https://www.histarma[...]
Fundación Histarmar
2023-08-18
[11]
웹사이트
Bernardo Houssay: Pioneer in Endocrinology
https://www.visionle[...]
VisionLearning Inc
2017
[12]
웹사이트
Bernardo Alberto Houssay's 126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23-04-09
[13]
저널
Bernardo Alberto Houssay 1887–1971
[14]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47 Carl Cori, Gerty Cori, Bernardo Houssay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0-07-08
[15]
저널
Remembrances of Contributions of Philip Smith and Bernardo Houssay to the Development of Neuroendocrinology
[16]
저널
Nobel prize for Carl Ferdinand Cori and Gerta Theresa Cori in 1947 for discovery of the course of catalytic metabolism of glycogen. Prize for Alberto Bernardo Houssay for discovery on the role of the hypophysis in carbohydrate metabolis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