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타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타위어는 '바타비', '자카르타 말레이어' 등으로도 불리는 언어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된다. 푸젠 방언, 아랍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차용된 어휘를 가지며, 오스트레일리아의 코코스 제도와 말레이시아 사바에서 사용되는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기도 했다. 베타위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현재는 중부 및 교외 방언으로 나뉘며, 자카르타 외곽 지역의 고령층이 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마나도 말레이어
    인도네시아 북술라웨시주 마나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나도 말레이어는 19개의 자음과 5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운 체계, 독특한 문법 체계, 그리고 포르투갈어와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한 차용어를 특징으로 하는 말레이어 방언이다.
  • 말레이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빠따니 말레이어
    빠따니 말레이어는 태국 남부 빠따니 지역과 말레이시아 켈란탄주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변종으로,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또는 바하사 파타니라고도 불리며 표준 말레이어와 어휘 및 음운 체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자위 문자를 사용하며 태국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가 존재한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베타위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베타위어
고유 이름basè Betawi, basa Betawi
사용 지역자카르타, 서자바 주, 반텐 주, 코코스 제도
사용 국가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사용자 수500만 명
어족말레이어 기반 크리올 언어
방언브카시
치카랑
데폭
파룽
세르퐁
탕에랑
문자라틴 문자 (말레이 문자)
ISO 639-3 코드bew
글롯코드beta1252
언어학적 정보
계통말레이어 크리올
다른 이름Omong Betawi
추가 정보
사용 민족베타위족
인도네시아 아랍인
벤텡 중국인
코코스 말레이족
마르디커족

2. 언어 명칭

베타위어는 '바타비(Batavi)', '바타위(Batawi)', '베타위 말레이어(Betawi Malay)', '자카르타 말레이어(Jakarta Malay)', '믈라유 자카르트(Melayu Jakarte)' 등으로도 불린다.[3] 베타위어에는 푸젠 방언(Hokkien), 아랍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한 많은 차용어가 있으며, 특히 인도네시아 아랍어 변종이 이 언어의 어휘에 큰 영향을 미쳤다.[4] 1인칭 대명사 guabew('나' 또는 '저'), 2인칭 대명사 lubew('너'), 그리고 cepekbew('백'), gopekbew('오백'), secengbew('천')과 같은 숫자는 푸젠 방언에서 유래한 반면, anebew('나' 또는 '저')와 entebew('너')라는 단어는 아랍어에서 유래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코코스(키링) 제도와 말레이시아 사바에서 사용되는 코코스 말레이어는 초기 형태의 베타위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3. 기원 및 역사

베타위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있다. 많은 학자들은 베타위어가 원말레이어에서 유래한 말레이 방언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크리올어로 발전했다고 생각한다. 자카르타(바타비아)에 살던 중국계 페라나칸 남성과 발리 여성의 후손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피진어를 사용했고, 이후 크리올어화되었다가, 순다어와 자바어의 많은 요소들을 통합하면서 크리올어 특징이 줄어들었다고 여겨진다 (Uri Tadmor 2013).[3]

베타위어와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 대화


베타위어에는 푸젠 방언(Hokkien), 아랍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한 많은 차용어가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 아랍어 변종이 이 언어의 어휘에 큰 영향을 미쳤다.[4] 베타위어는 바타비아의 이전 포르투갈어 크리올어인 마르디이커어를 대체했다. 1인칭 대명사 나/guabew 또는 저/guabew, 2인칭 대명사 너/lubew, 그리고 백/cepekbew, 오백/gopekbew, 천/secengbew과 같은 숫자는 푸젠 방언에서 유래한 반면, 나/anebew 또는 저/anebew와 너/entebew라는 단어는 아랍어에서 유래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코코스(키링) 제도와 말레이시아 사바에서 사용되는 코코스 말레이어는 초기 형태의 베타위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3. 1. 차용어

4. 방언

자카르타의 성 세르바티우스 교회에서 사용되는 베타위 방언


베타위 말레이어는 크게 두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 '''중부 베타위 방언''' : 원래 자카르타에서 사용되었으며, 'e'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 아다/adabew는 아데/adèbew가 됨).[5]
  • '''교외 베타위 방언''' : 원래 자카르타 교외 지역, 반텐주탕에랑, 데폭, 보고르, 서자와주의 베카시에서 사용되었다. 'a'를 길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예: 아다/adabew는 아다/adahbew로 발음됨).[5]


다른 교외 베타위 방언으로는 순다어와 치레본어의 영향을 크게 받은 '베타위 오라(Betawi Ora)'가 있다.

탕에랑 주변에는 '치나 벤트엉'이라고 불리는 상당한 규모의 중국인 공동체가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은 중국어를 사용하지 않고 중국어(주로 복건어) 차용어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베타위 말레이어를 사용한다.

베타위어는 자카르타 외곽의 캄풍 멜라유, 파사르 레보, 폰독 게데, 울루자미, 자가카르사 등 일부 지역의 고령층이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5]

'a'로 끝나는 모든 베타위어 단어의 어미는 영어 단어 'net'처럼 'e'로 발음된다. 이 'e'의 발음은 조호르와 리아우 말레이어의 발음과는 다르다.

예시:

  • 구아/궤/guah/guèbew, 아예/ayèbew, 아네/anèbew, 사야/sayahbew: '나'
  • 루/lubew, 엔떼/èntèbew: '너'
  • 이예/iyèbew, 이야/iyahbew: '예'
  • 카각/kagakbew, 오라/orabew (우딕/udikbew 변종): '아니오'
  • 은찡 모 뻐기 끄 마네?/Encing mo pegi ke manè?bew: '어디 가실 거예요, 아저씨?'
  • 아네 뿌녜 다강안 우데 베레스, 다/Anè punyè dagangan udè beres, dahbew: '제 물건이 다 팔렸어요.'

4. 1. 중부 베타위 방언 (Central Betawi)

중부 베타위 방언은 원래 자카르타에서 사용되었으며, 'e'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ada'는 'adè'가 된다.[5] 'a'로 끝나는 모든 베타위어 단어의 어미는 영어 단어 'net'처럼 'e'로 발음된다. 이 'e'의 발음은 조호르와 리아우 말레이어의 발음과는 다르다.[5]

예시:

  • guah/guèbew, ayèbew, anèbew, sayahbew: '나'
  • lubew, èntèbew: '너'
  • iyèbew, iyahbew: '예'
  • kagakbew: '아니오'
  • Encing mo pegi ke manè?bew: '어디 가실 거예요, 아저씨?'
  • Anè punyè dagangan udè beres, dahbew: '제 물건이 다 팔렸어요.'

4. 2. 교외 베타위 방언 (Suburban Betawi)

원래 자카르타 교외 지역, 반텐주탕에랑, 데폭, 보고르, 서자와주의 베카시에서 사용되었다. 'a'를 길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예: 아다/adabew는 아다/adahbew로 발음됨).[5] 다른 교외 베타위 방언으로는 순다어와 치레본어의 영향을 크게 받은 '베타위 오라(Betawi Ora)'가 있다.

탕에랑 주변에는 '치나 벤트엉'이라고 불리는 상당한 규모의 중국인 공동체가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은 중국어를 사용하지 않고 중국어(주로 복건어) 차용어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베타위 말레이어를 사용한다.[5]

베타위어는 자카르타 외곽의 캄풍 멜라유, 파사르 레보, 폰독 게데, 울루자미, 자가카르사 등 일부 지역의 고령층이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5]

4. 3. 벤트엉 중국어 (Cina Benteng)

탕에랑 주변에는 '치나 벤트엉'이라고 불리는 상당한 규모의 중국인 공동체가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은 중국어를 사용하지 않고 중국어(주로 호키엔어) 차용어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베타위어를 사용한다.[5]

5. 음운

5. 1. 모음

wikitable


5. 2. 자음

베타위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6. 예시

마가복음 1:9-11 중부 베타위 방언


중부 베타위 방언으로 말하는 남성의 음성 샘플


'어디 가실 거예요, 아저씨?'는 Encing mo pegi ke manè?bew이고, '제 물건이 다 팔렸어요.'는 Anè punyè dagangan udè beres, dahbew이다.

6. 1. 세계 인권 선언

6. 1. 1. 영어

모든 인간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평등하게 태어났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

6. 1. 2. 인도네시아어

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서 평등하게 태어난다.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ms

6. 1. 3. 중부 베타위어


6. 1. 4. 교외 베타위어

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게 태어났다. 사람에게는 이성과 양심이 부여되었으므로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게 태어났다. 사람에게는 이성과 양심이 부여되었으므로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bew

참조

[1] 학회논문 Towards an account of information structure in Colloquial Jakarta Indonesian http://repository.tu[...]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 웹사이트 Indonesian Native Speakers – Myth and Reality https://indonesian-o[...]
[3] 웹사이트 On the Origin of the Betawi and their Language https://indoling.com[...] ISMIL 17 conference talk 2013
[4] 학술지 Kebudayaan Masyarakat Keturunan Arab Di Jakarta, Studi Kasus di Kampung Arab Condet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Indonesia 2024-07-10
[5] 웹사이트 Documentation of Betawi https://web.archive.[...] 2013-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