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독립선언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크라이나 독립선언법은 1991년 8월 24일, 소련 쿠데타 시도 이후 우크라이나 SSR 최고 소비에트가 321 대 2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시킨 법이다. 이 법은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선언하고, 우크라이나의 영토가 불가분임을 명시했다. 우크라이나 공산당은 쿠데타와 거리를 두기 위해 이 법을 지지했으며, 같은 날 독립 선언 지지에 대한 국민 투표가 요구되었다. 이후 1991년 12월 1일 국민투표에서 독립이 확정되었고, 폴란드와 캐나다가 우크라이나 독립을 최초로 승인했다. 대한민국은 1991년 12월 30일에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승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법 - 에어 인디아 182편 폭파 사건
1985년 아일랜드 해상에서 발생한 에어 인디아 182편 폭파 사건은 캐나다 시크교 극단주의자들의 테러로 329명 전원이 사망한 캐나다 역사상 최악의 테러 사건으로, 정보 부족과 부실한 대응이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 속에 진상 규명이 미완으로 남아있다. - 1991년 우크라이나 - 벨라베자 조약
벨라베자 조약은 1991년 12월 8일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3개국 정상이 소련의 해체와 독립국가연합(CIS)의 창설을 위해 체결한 조약이다. - 1991년 문서 - 남북 기본합의서
남북 기본 합의서는 1991년 남북 총리 회담에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체결한 합의서로, 남북 화해, 불가침, 교류·협력에 관한 내용을 담아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정착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남북 관계 부침에 따라 이행 정도에 편차를 보였다. - 1991년 문서 - 국가통일강령
국가통일강령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통일을 목표로 대만이 발표한 기본 방침으로, 민주주의, 자유, 복지를 근간으로 통일 국가 건설을 지향하며, 단계별 목표를 제시했으나 현재는 적용 중단되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독립선언법 | |
---|---|
문서 정보 | |
문서 이름 | 우크라이나 독립 선언 |
원어 이름 | }} (Akt prohološennia nezaležnosti Ukrainy) |
로마자 표기 | Akt proholoshennia nezalezhnosti Ukrainy |
작성 언어 | 우크라이나어 |
위키문헌 | 우크라이나 독립 선언 |
선언 정보 | |
![]() | |
선언 목적 | 독립 선언 |
작성일 | 1991년 8월 24일 |
비준일 | 1991년 8월 24일 |
작성자 | 레프코 루키야넨코 |
서명자 |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
문서 보관 장소 | 키이우, 우크라이나 최고 통치 기관 중앙 국가 기록 보관소 |
2. 채택 배경
1991년 8월 19일, 강경파 공산당 지도자들은 소련에 대한 중앙 공산당 통제를 복원하려 시도했다.[1] 이 쿠데타 시도는 소련 내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고,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각 공화국들의 독립 움직임을 가속화시켰다.
쿠데타에 대응하여 우크라이나 SSR 최고 소비에트는 긴장된 11시간의 특별 회의를 거쳐 8월 24일 독립 선언법을 압도적으로 승인했다.[1][3] 찬성 321표, 반대 2표, 기권 6표(총 360명 출석)로 통과되었다.[3] 레프코 루키야넨코, 세르히 홀로바티이, 미하일로 호린 등이 법안 내용 작성에 참여했다.[4]
우크라이나 공산당 (CPU)은 당원인 우크라이나 최고 소비에트 의장 레오니드 크라우추크의 지원을 받아 쿠데타와 거리를 두기 위해 독립 선언법을 지지했다.[3][4] CPU의 제1서기 스타니슬라프 후렌코는 독립을 지지하지 않으면 "재앙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3] CPU 위원들은 전 우크라이나 SSR 당 지도자 블라디미르 이바슈코의 체포, 소비에트 육군의 러시아 SFSR 지도부 재종속,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봉쇄 소식에 불안해했다.[4]
같은 날 의회는 독립 선언 지지에 대한 국민 투표를 요구했다.[1][3] 야당 지도자 이호르 유흐노우스키와 드미트로 파블리치코가 국민 투표 소집을 제안했다.[3] 또한, 의회는 우크라이나 국가 방위대 창설을 투표하고 우크라이나 영토 내 모든 군대에 대한 관할권을 자체적으로 이관했다.[3]
이후 며칠 동안 모든 CPU 재산 국유화 및 최고 소비에트 이관, 정치범 사면, CPU 활동 중단 및 자산 동결, 쿠데타 관련 조사 위원회 설립, 우크라이나 국방부 관련 군사 문제 위원회 설립 등의 결의안과 법령이 통과되었다.[3] 1991년 8월 26일, 우크라이나 SSR의 유엔 상임 대표 헨나디 우도벤코는 유엔 사무총장에게 우크라이나 상임 대표부가 우크라이나를 대표할 것이라고 알렸다.[5][6] 같은 날, 키이우 집행위원회는 공산주의 영웅 기념물을 공공 장소에서 철거하기로 결정했으며, 중앙 10월 혁명 광장은 마이단 독립 (독립 광장)으로, 그 아래 중앙 지하철역도 같은 이름으로 변경하기로 했다.[3]
1991년 8월 19일, 소련 강경파의 쿠데타 시도는 우크라이나 공산당 (CPU)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왔다.[1][3] 쿠데타에 대한 우려와 민심 이반의 가능성은 우크라이나 공산당이 독립 지지로 입장을 선회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우크라이나 공산당은 당원인 레오니드 크라우추크의 배후 지원을 받아, 쿠데타와 거리를 두기 위해 독립 선언법을 지지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3][4] CPU의 제1서기 스타니슬라프 후렌코는 CPU가 독립을 지지하지 않으면 "재앙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독립 지지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3]
특히, CPU 위원들은 전 우크라이나 SSR 당 지도자 블라디미르 이바슈코의 모스크바 체포, 소비에트 육군의 러시아 SFSR 지도부 재종속,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봉쇄 소식에 불안감을 느꼈다.[4]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CPU 지도부가 독립 지지라는 중대한 결정을 내리게 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2. 1. 1991년 소련 쿠데타 시도
1991년 8월 19일, 강경파 공산당 지도자들은 소련에 대한 중앙 공산당 통제를 복원하려 시도했다.[1] 이 쿠데타 시도는 소련 내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고,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각 공화국들의 독립 움직임을 가속화시켰다.쿠데타에 대응하여 우크라이나 SSR 최고 소비에트는 긴장된 11시간의 특별 회의를 거쳐 8월 24일 독립 선언법을 압도적으로 승인했다.[1][3] 찬성 321표, 반대 2표, 기권 6표(총 360명 출석)로 통과되었다.[3] 레프코 루키야넨코, 세르히 홀로바티이, 미하일로 호린 등이 법안 내용 작성에 참여했다.[4]
우크라이나 공산당 (CPU)은 당원인 우크라이나 최고 소비에트 의장 레오니드 크라우추크의 지원을 받아 쿠데타와 거리를 두기 위해 독립 선언법을 지지했다.[3][4] CPU의 제1서기 스타니슬라프 후렌코는 독립을 지지하지 않으면 "재앙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3] CPU 위원들은 전 우크라이나 SSR 당 지도자 블라디미르 이바슈코의 체포, 소비에트 육군의 러시아 SFSR 지도부 재종속,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봉쇄 소식에 불안해했다.[4]
같은 날 의회는 독립 선언 지지에 대한 국민 투표를 요구했다.[1][3] 야당 지도자 이호르 유흐노우스키와 드미트로 파블리치코가 국민 투표 소집을 제안했다.[3] 또한, 의회는 우크라이나 국가 방위대 창설을 투표하고 우크라이나 영토 내 모든 군대에 대한 관할권을 자체적으로 이관했다.[3]
이후 며칠 동안 모든 CPU 재산 국유화 및 최고 소비에트 이관, 정치범 사면, CPU 활동 중단 및 자산 동결, 쿠데타 관련 조사 위원회 설립, 우크라이나 국방부 관련 군사 문제 위원회 설립 등의 결의안과 법령이 통과되었다.[3] 1991년 8월 26일, 우크라이나 SSR의 유엔 상임 대표 헨나디 우도벤코는 유엔 사무총장에게 우크라이나 상임 대표부가 우크라이나를 대표할 것이라고 알렸다.[5][6] 같은 날, 키이우 집행위원회는 공산주의 영웅 기념물을 공공 장소에서 철거하기로 결정했으며, 중앙 10월 혁명 광장은 마이단 독립 (독립 광장)으로, 그 아래 중앙 지하철역도 같은 이름으로 변경하기로 했다.[3]
2. 2. 우크라이나 공산당의 입장 변화
1991년 8월 19일, 소련 강경파의 쿠데타 시도는 우크라이나 공산당 (CPU)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왔다.[1][3] 쿠데타에 대한 우려와 민심 이반의 가능성은 우크라이나 공산당이 독립 지지로 입장을 선회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우크라이나 공산당은 당원인 레오니드 크라우추크의 배후 지원을 받아, 쿠데타와 거리를 두기 위해 독립 선언법을 지지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3][4] CPU의 제1서기 스타니슬라프 후렌코는 CPU가 독립을 지지하지 않으면 "재앙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독립 지지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3]특히, CPU 위원들은 전 우크라이나 SSR 당 지도자 블라디미르 이바슈코의 모스크바 체포, 소비에트 육군의 러시아 SFSR 지도부 재종속,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봉쇄 소식에 불안감을 느꼈다.[4]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CPU 지도부가 독립 지지라는 중대한 결정을 내리게 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3. 채택 과정
1991년 8월 24일, 우크라이나 SSR 최고 소비에트(의회)는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11시간 동안 특별 회의를 열고 독립선언법을 압도적인 지지로 통과시켰다.[1][3] 찬성 321표, 반대 2표, 기권 6표(총 360명 출석)의 결과였다.[3] 이 법안은 8월 23일 밤부터 24일에 걸쳐 레프코 루키야넨코, 세르히 홀로바티이, 미하일로 호린, 이반 자예츠, 뱌체슬라프 초르노빌 등이 주로 작성했다.[4]
우크라이나 공산당 (CPU)은 8월 19일 발생한 소련 쿠데타와 거리를 두기 위해 독립을 지지해야 했다.[3] CPU 제1서기 스타니슬라프 후렌코는 독립을 지지하지 않으면 "재앙"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3] CPU 위원들은 블라디미르 이바슈코의 모스크바 체포, 소비에트 육군의 러시아 SFSR 지도부 재종속,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봉쇄 소식에 불안감을 느꼈다.[4]
같은 날 의회는 독립 선언 지지에 대한 국민 투표 실시를 요구했다.[1][3] 또한 우크라이나 국가 방위대 창설에 투표하고 우크라이나 영토 내 모든 군대에 대한 관할권을 자체적으로 이관했다.[3] 의회 건물 밖에 모인 군중을 제외하면 키이우 거리는 조용했다.[3]
이후 며칠 동안 모든 CPU 재산 국유화 및 최고 소비에트와 지방 의회 이관, 모든 정치범 사면, 모스크바 쿠데타 연루자 조사 위한 CPU 활동 중단 및 자산 동결, 쿠데타 당시 공무원 행동 조사 위원회 설립, 우크라이나 국방부 관련 군사 문제 위원회 설립 등의 결의안과 법령이 통과되었다.[3]
1991년 8월 26일, 헨나디 우도벤코 우크라이나 SSR의 유엔 상임 대표는 유엔 사무총장에게 우크라이나 상임 대표부가 우크라이나를 대표할 것이라고 알렸다.[5][6] 같은 날 키이우 집행위원회는 레닌 기념비를 포함한 모든 공산주의 영웅 기념물을 공공 장소에서 철거하기로 결정하고, 중앙 10월 혁명 광장을 마이단 독립 (독립 광장)으로, 그 아래 중앙 지하철역 이름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3]
3. 1. 특별 회의
1991년 8월 24일, 우크라이나 SSR 최고 소비에트(의회)는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11시간 동안 특별 회의를 열고 독립선언법을 압도적인 지지로 통과시켰다.[1][3] 찬성 321표, 반대 2표, 기권 6표(총 360명 출석)의 결과였다.[3] 이 법안은 8월 23일 밤부터 24일에 걸쳐 레프코 루키야넨코, 세르히 홀로바티이, 미하일로 호린, 이반 자예츠, 뱌체슬라프 초르노빌 등이 주로 작성했다.[4]우크라이나 공산당 (CPU)은 8월 19일 발생한 소련 쿠데타와 거리를 두기 위해 독립을 지지해야 했다.[3] CPU 제1서기 스타니슬라프 후렌코는 독립을 지지하지 않으면 "재앙"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3] CPU 위원들은 블라디미르 이바슈코의 모스크바 체포, 소비에트 육군의 러시아 SFSR 지도부 재종속,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봉쇄 소식에 불안감을 느꼈다.[4]
같은 날 의회는 독립 선언 지지에 대한 국민 투표 실시를 요구했다.[1][3] 또한 우크라이나 국가 방위대 창설에 투표하고 우크라이나 영토 내 모든 군대에 대한 관할권을 자체적으로 이관했다.[3] 의회 건물 밖에 모인 군중을 제외하면 키이우 거리는 조용했다.[3]
이후 며칠 동안 모든 CPU 재산 국유화 및 최고 소비에트와 지방 의회 이관, 모든 정치범 사면, 모스크바 쿠데타 연루자 조사 위한 CPU 활동 중단 및 자산 동결, 쿠데타 당시 공무원 행동 조사 위원회 설립, 우크라이나 국방부 관련 군사 문제 위원회 설립 등의 결의안과 법령이 통과되었다.[3]
1991년 8월 26일, 헨나디 우도벤코 우크라이나 SSR의 유엔 상임 대표는 유엔 사무총장에게 우크라이나 상임 대표부가 우크라이나를 대표할 것이라고 알렸다.[5][6] 같은 날 키이우 집행위원회는 레닌 기념비를 포함한 모든 공산주의 영웅 기념물을 공공 장소에서 철거하기로 결정하고, 중앙 10월 혁명 광장을 마이단 독립 (독립 광장)으로, 그 아래 중앙 지하철역 이름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3]
3. 2. 주요 인물
4. 독립선언법의 내용
1991년 8월 19일 소련에서 발생한 쿠데타와 관련하여 우크라이나를 에워싼 치명적인 위험을 고려하고, 우크라이나의 천 년의 국가 발전 전통을 계승하며, 국제 연합 헌장 및 기타 국제 법률 문서에 따라 민족의 자기 결정권을 행사하고, 우크라이나 국가 주권 선언을 시행하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최고 라다는 우크라이나의 독립과 독립 우크라이나 국가 – 우크라이나의 창설을 선언했다.
우크라이나의 영토는 불가분이며 불가침하며, 오늘부터 우크라이나의 영토에서는 오직 우크라이나 헌법과 법률만이 유효하다고 명시했다. 이 법은 승인되는 순간부터 효력을 발생한다.
4. 1. 주요 내용
1991년 8월 19일 소련에서 발생한 쿠데타와 관련하여 우크라이나를 에워싼 치명적인 위험을 고려하고, 우크라이나의 천 년의 국가 발전 전통을 계승하며, 국제 연합 헌장 및 기타 국제 법률 문서에 따라 민족의 자기 결정권을 행사하고, 우크라이나 국가 주권 선언을 시행하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최고 라다는 우크라이나의 독립과 독립 우크라이나 국가 – 우크라이나의 창설을 선언했다.우크라이나의 영토는 불가분이며 불가침하며, 오늘부터 우크라이나의 영토에서는 오직 우크라이나 헌법과 법률만이 유효하다고 명시했다. 이 법은 승인되는 순간부터 효력을 발생한다.
5. 국민투표와 국제사회의 승인
1991년 12월 1일 실시된 국민투표는 우크라이나 독립에 대한 국민들의 확고한 지지를 보여주었다. 폴란드와 캐나다는 1991년 12월 2일에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최초로 승인한 국가였다.[12][13][14] 같은 날 러시아 SFSR 대통령 보리스 옐친도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승인했다.[15]
미국은 1991년 12월 25일에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승인했다.[16][17] 1991년 12월에만 68개국이, 1992년에는 64개국이 추가로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승인하여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18] 1992년 1월,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구 소련 지역에 대한 인도적 지원 프로그램을 승인했다.[19]
우크라이나 독립에 대한 국제적 승인 연대기는 다음과 같다.
날짜 | 국가 |
---|---|
1991년 12월 2일 | 폴란드 |
캐나다 | |
러시아 [15] | |
1991년 12월 3일 | 헝가리 |
1991년 12월 4일 | 라트비아 |
1988 | |
1991년 12월 5일 | 아르헨티나 |
크로아티아 | |
쿠바 | |
체코슬로바키아 | |
1991년 12월 9일 | 에스토니아 |
1991년 12월 10일 | |
1991년 12월 11일 | 슬로베니아 |
1991년 12월 12일 | |
1991년 12월 16일 | 불가리아 |
터키 | |
1991년 12월 18일 | 아르메니아 |
1991년 12월 19일 | 스웨덴 |
1991년 12월 20일 | 1991 |
1991 | |
1991년 12월 23일 | 1991 |
스위스 | |
1991년 12월 24일 | 아프가니스탄 |
노르웨이 | |
1991년 12월 25일 | 이란 |
이스라엘 | |
멕시코 | |
1991 | |
미국 | |
유고슬라비아 | |
1991년 12월 26일 | 오스트레일리아 |
브라질 | |
독일 | |
인도 | |
뉴질랜드 | |
페루 | |
소련 | |
시리아 | |
태국 | |
우루과이 | |
1991년 12월 27일 | 알제리 |
캄푸치아 | |
중국 | |
1960 | |
1974 | |
몰도바 | |
베트남 | |
1991년 12월 28일 | 인도네시아 |
이탈리아 | |
1870 | |
요르단 | |
1991년 12월 29일 | 방글라데시 |
1991년 12월 30일 | 핀란드 |
대한민국 | |
레바논 | |
모로코 | |
1991년 12월 31일 | 벨기에 |
덴마크 | |
그리스 | |
룩셈부르크 | |
네덜란드 | |
파키스탄 | |
스페인 | |
영국 | |
1992년 1월 1일 | 이라크 |
1992년 1월 2일 | 에티오피아 |
라오스 | |
아랍에미리트 | |
1992년 1월 3일 | 이집트 |
리비아 | |
파나마 | |
1992년 1월 4일 | 우즈베키스탄 |
1992년 1월 5일 | |
1992년 1월 7일 | 포르투갈 |
1992년 1월 8일 | 루마니아 |
1992년 1월 10일 | 기니 |
1992년 1월 15일 | 오스트리아 |
1992년 1월 17일 | 몽골 |
1992년 1월 19일 | 아이슬란드 |
1992년 1월 22일 | 필리핀 |
1992년 1월 24일 | 네팔 |
1992년 2월 6일 | 아제르바이잔 |
1992년 2월 11일 | 보츠와나 |
1992년 2월 14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92년 3월 3일 | 말레이시아 |
1992년 3월 4일 | 마다가스카르 |
1992년 5월 7일 | |
1992년 6월 2일 | 세네갈 |
1992년 6월 8일 | 탄자니아 |
1993년 7월 23일 |
5. 1.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국민투표
5. 2. 국제사회의 승인
폴란드와 캐나다는 1991년 12월 2일에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최초로 승인한 국가였다.[12][13][14] 같은 날(12월 2일) 러시아 SFSR 대통령 보리스 옐친이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승인했다는 소식이 텔레비전 뉴스 프로그램 ''베스티''의 심야 방송 중에 보도되었다.[15]미국은 1991년 12월 25일에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승인했다.[16][17] 그 달에 68개국이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승인했으며, 1992년에는 64개국이 추가로 승인했다.[18]
1991년 말까지 광범위한 국제적 승인이 이루어졌다.[12][13][14][20][16][17][18]
날짜 | 국가 |
---|---|
1991년 12월 2일 | 폴란드 |
캐나다 | |
러시아 | |
1991년 12월 3일 | 헝가리 |
1991년 12월 4일 | 라트비아 |
1988 | |
1991년 12월 5일 | 아르헨티나 |
크로아티아 | |
쿠바 | |
체코슬로바키아 | |
1991년 12월 9일 | 에스토니아 |
1991년 12월 10일 | 1991 |
1991년 12월 11일 | 슬로베니아 |
1991년 12월 12일 | 조지아 |
1991년 12월 16일 | 불가리아 |
터키 | |
1991년 12월 18일 | 아르메니아 |
1991년 12월 19일 | 스웨덴 |
1991년 12월 20일 | 1991 |
1991 | |
1991년 12월 23일 | 1991 |
스위스 | |
1991년 12월 24일 | 아프가니스탄 |
노르웨이 | |
1991년 12월 25일 | 이란 |
이스라엘 | |
멕시코 | |
1991 | |
미국 | |
유고슬라비아 | |
1991년 12월 26일 | 오스트레일리아 |
브라질 | |
독일 | |
인도 | |
뉴질랜드 | |
페루 | |
소련 | |
시리아 | |
태국 | |
우루과이 | |
1991년 12월 27일 | 알제리 |
캄푸치아 | |
중국 | |
1960 | |
1974 | |
몰도바 | |
베트남 | |
1991년 12월 28일 | 인도네시아 |
이탈리아 | |
일본 | |
요르단 | |
1991년 12월 29일 | 방글라데시 |
1991년 12월 30일 | 핀란드 |
대한민국 | |
레바논 | |
모로코 | |
1991년 12월 31일 | 벨기에 |
덴마크 | |
그리스 | |
룩셈부르크 | |
네덜란드 | |
파키스탄 | |
스페인 | |
영국 | |
1992년 1월 1일 | 이라크 |
1992년 1월 2일 | 에티오피아 |
라오스 | |
아랍에미리트 | |
1992년 1월 3일 | 이집트 |
리비아 | |
파나마 | |
1992년 1월 4일 | 우즈베키스탄 |
1992년 1월 5일 | 1972 |
1992년 1월 7일 | 포르투갈 |
1992년 1월 8일 | 루마니아 |
1992년 1월 10일 | 기니 |
1992년 1월 15일 | 오스트리아 |
1992년 1월 17일 | 몽골 |
1992년 1월 19일 | 아이슬란드 |
1992년 1월 22일 | 필리핀 |
1992년 1월 24일 | 네팔 |
1992년 2월 6일 | 아제르바이잔 |
1992년 2월 11일 | 보츠와나 |
1992년 2월 14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92년 3월 3일 | 말레이시아 |
1992년 3월 4일 | 마다가스카르 |
1992년 5월 7일 | 1962 |
1992년 6월 2일 | 세네갈 |
1992년 6월 8일 | 탄자니아 |
1993년 7월 23일 | 1992 |
5.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1991년 12월 30일에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승인하였다. 당시 노태우 정부는 북방 정책을 통해 동구권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었으며, 우크라이나 독립 승인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6. 독립 이후
6. 1. 독립 기념일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Ukraine: The Land and Its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
간행물
Non-nuclear status of Ukraine: past, present, and future (Без'ядерний статус України: минуле, сучасне, майбутнє)
https://web.archive.[...]
The Ukrainian Week
2018-05-31
[3]
뉴스
Historic vote for independence
http://www.ukrweekly[...]
The Ukrainian Weekly
1991-09-01
[4]
뉴스
A reform that ruined the Soviet Union
https://ukrainianwee[...]
The Ukrainian Week
2018-11-10
[5]
웹사이트
Activities of the Member States – Ukraine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2011-01-17
[6]
뉴스
U.N. Mission stresses statehood of Ukraine
http://www.ukrweekly[...]
The Ukrainian Weekly
1991-09-01
[7]
뉴스
NEWSBRIEFS FROM UKRAINE
http://www.ukrweekly[...]
The Ukrainian Weekly
1991-09-01
[8]
웹사이트
Act of Independence
https://www.uawarexp[...]
2022-03-29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0]
서적
Turning Points – Actual and Alternate Histories: The Reagan Era from the Iran Crisis to Kosovo
https://books.google[...]
ABC-CLIO
[11]
서적
Ukraine Intelligence & Security Activities and Operations Handbook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12]
서적
Ukraine and Russia: The Post-Soviet Transi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7-08-13
[13]
서적
The Canadian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4]
서적
Russia, Ukraine and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15]
뉴스
Ex-Communist Wins in Ukraine; Yeltsin Recognizes Independence
https://www.nytimes.[...]
2017-08-20
[16]
웹사이트
A Guide to the United States' History of Recognition, Diplomatic, and Consular Relations, by Country, since 1776: Ukraine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7-08-12
[17]
서적
The Limited Partnership: Building a Russian-US Security Communit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8-13
[18]
웹사이트
Ukrainian Independence
http://wnu-ukraine.c[...]
2017-08-12
[19]
웹사이트
Remarks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itarian Assistance to the Former U.S.S.R
https://www.presiden[...]
1992-01-22
[20]
서적
Russia's Revolution from Above 1985–2000: Reform, Transaction, and Revolution in the Fall of the Soviet Communist Regime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17-08-13
[21]
서적
A History of Ukraine: The Land and Its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2]
간행물
Non-nuclear status of Ukraine: past, present, and future (Без’ядерний статус України: минуле, сучасне, майбутнє)
https://web.archive.[...]
The Ukrainian Week
2018-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