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리키 크냐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리키 크냐지(Veliki Knjaz)는 슬라브어와 발트어에서 사용된 중세 군주의 칭호로, 대공으로 번역된다. 키예프 루스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사용되었으며, 헝가리, 세르비아 등에서도 유사한 칭호가 사용되었다. 13세기 이후에는 러시아의 여러 공국들이 이 칭호를 사용했으며, 모스크바 대공국이 러시아 차르국으로 발전하면서 황족의 칭호로 정착되었다. 18세기 이후에는 러시아 황제의 자녀와 직계 손자에게 부여되었으며, 핀란드 대공국 등에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족 작위 - 왕자
왕자는 '제1인자'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칭호로, 중세 유럽에서는 왕의 칭호를 받지 못한 소국 군주를 가리키거나 왕국이나 제국에서 왕위 계승권이 있는 왕족 남성에게 부여되는 칭호이지만,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 귀족 작위 - 베이
베이는 튀르크어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튀르크 및 이슬람 국가에서 사용된 칭호로, 부족 지도자, 군사령관, 지방 통치자 등 다양한 지위를 나타내며, 오스만 제국에서는 고위 관료나 군인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현대 터키어에서는 남성을 존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왕족 칭호 - 카이저
카이저는 로마 황제 칭호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독일어 단어로 황제를 의미하며,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독일 제국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최고 수준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일본 천황 지칭, 제왕절개의 어원으로도 쓰인다. - 왕족 칭호 - 차트라파티
차트라파티는 인도 마라타 제국의 군주들이 사용한 "황제", "왕", "지도자"를 의미하는 칭호로, 시바지 1세가 마라타 제국 건국 시 처음 사용한 이후 그의 후계자들이 계승하였으며, 현재는 우다얀라제 보살레가 칭호를 이어받고 있다.
벨리키 크냐지 | |
---|---|
칭호 정보 | |
칭호 | 대공 (大公) |
원어 (라틴어) | magnus princeps (마그누스 프린켑스) |
원어 (스웨덴어) | Storfurste (스토르푸르스테) |
원어 (독일어) | Großfürst (그로스퓌르스트) |
원어 (그리스어) | Μέγας Αρχών (메가스 아르콘) |
원어 (러시아어) | великий князь (벨리키 크냐지) |
원어 (벨라루스어) | Вялікі князь (뱔리키 크냐지) |
원어 (리투아니아어) | Didysis kunigaikštis (디디시스 쿠니가이크슈티스) |
개요 | |
설명 | 대공(大公)은 유럽의 귀족 칭호 중 하나이다. 러시아어로는 Великий князь (벨리키 크냐지), 리투아니아어로는 Didysis kunigaikštis (디디시스 쿠니가이크슈티스)라고 한다. |
2. 용어
벨리키 크냐지(Великий Князь)는 슬라브어와 발트어에서 사용된 중세 군주의 칭호로, 영어의 'Grand Prince'와 가장 유사하지만, 라틴어 공식 문서에서는 주로 대공으로 번역된다. 이 칭호는 여러 크냐지(Князь, 종종 '공'으로 번역됨)들이 다스리는 느슨한 연합체의 수장에게 주어졌다.[1] 당시 이 칭호와 지위는 때때로 왕으로 번역되기도 했지만, 왕, 공, 공작 등의 개념은 원시 슬라브족과 발트족에게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부족 추장이 크냐즈라는 게르만 차용어를 사용했다.[1]
벨리키 크냐지(Великий князь)는 슬라브어와 발트어에서 사용된 중세 군주의 칭호로, '대공'으로 번역된다. 이 칭호는 여러 소규모 크냐지(공)들이 통치하는 느슨한 연합체의 수장에게 주어졌다.[1] 당시 벨리키 크냐지의 칭호와 지위는 때때로 왕으로 번역되기도 했지만, 왕, 공, 공작 등의 개념은 원시 슬라브족과 발트족에게는 존재하지 않았다.[1]
슬라브어 ''knjazru''와 발트어 ''kunigaikštislt''(현재는 일반적으로 공작으로 번역됨)는 통치와 의무 면에서 왕과 유사하지만, 벨리키 크냐지는 왕조 내에서 ''primus inter paresla''(동등한 사람들 중 첫 번째)와 같았다. 장자 상속이 계승 순위를 지배하지 않았고, 가족 내 모든 크냐지는 왕위를 상속받을 자격이 동등했다. 예를 들어, 계승은 부계 장자 상속 또는 교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었다. 종종 왕조의 다른 구성원들이 군주국/국가의 일부를 통치했다. 이 칭호는 키예프 루스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확립되어 사용되었다(14세기부터). 따라서, ''Veliki Knjaz''는 적어도 원래는 "대공"보다는 지역 상왕과 더 유사했으며, 더 서방(예: 폴란드)의 대공처럼 다른 권위에 종속되지 않았다. 이 국가들이 영토를 확장하고 장자 상속과 집권화로 나아가면서, 그들의 통치자들은 더 높은 칭호를 얻게 되었다.
3. 중세 시대의 사용
슬라브어 'knjazru'와 발트어 'kunigaikštislt'(현재는 일반적으로 공작으로 번역됨)는 통치와 의무 측면에서 왕과 유사하지만, 벨리키 크냐지는 왕조 내에서 ''primus inter paresla''(동등한 사람들 중 첫 번째)와 같았다. 장자 상속이 아닌 가족 내 모든 크냐즈(공)가 왕위를 상속받을 자격이 있었으며, 종종 왕조의 다른 구성원들이 군주국/국가의 일부를 통치했다. 이 칭호는 키예프 루스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확립되어 사용되었다(14세기부터).[1] 따라서, ''Veliki Knjaz''는 적어도 원래는 "대공"보다는 지역 ''상왕''과 더 유사했으며, 다른 권위에 종속되지 않았다. 이 국가들이 영토를 확장하고 장자 상속과 집권화로 나아가면서, 그들의 통치자들은 더 높은 칭호를 얻게 되었다.
키예프 루스 시대 초기에는 각 지역(공국) 통치자는 크냐지 칭호를 사용했고, 벨리키 크냐지 칭호는 다른 루스 공들을 종속시킨 키예프 통치자(키예프 대공)에게만 사용되었다.[8] 12세기에는 블라디미르 대공, 갈리치볼린 대공, 랴잔 대공 등이 벨리키 크냐지를 칭하며 키예프 대공국이 분열되었다. 각 대공국은 독립적인 정권이었으며, 내부에 자국에 종속하는 분할 공국을 거느리고 있었다. 이들 루스 대공은 모두 류리크 왕조의 계보를 이었다.
1237년부터 시작된 몽골의 루스 침공으로 키예프 대공국은 멸망하고 키예프 대공위는 폐지되었다. 조치 울루스가 성립되자, 그 지배를 받는 루스의 벨리키 크냐지는 자르륵에 따라 조치 울루스의 칸을 위해 공물을 징수하는 입장에 놓였다. 이 시기 블라디미르 대공위를 비롯한 몇몇 대공위는 그 칭호를 얻는 데 조치 울루스의 승인이 필요했다.
14세기 초부터 블라디미르 대공위에 오른 자는 자신의 칭호에 '프세야 루시(전 루스)'Всея Руси|ru 칭호도 사용하게 되었다. 14세기 중반 루스 북동부에는 블라디미르 대공, 니즈니노브고로드수즈달 대공, 트베리 대공이 있었고,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서는 야로슬라블 대공이나 랴잔 공국에서 분리된 프론스크 대공이 존재했다. 블라디미르 대공위는 모스크바 대공이 명목상으로 가지는 칭호가 되었다.
16세기 초, 루스 공국은 모스크바 대공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의해 통합되었고, 벨리키 크냐지 칭호는 모스크바 대공과 리투아니아 대공만이 가지게 되었다.
3. 1. 헝가리
Nagyfejedelemhu은 10세기에 헝가리 부족 연맹의 지도자를 지칭하기 위해 동시대 자료에서 사용된 칭호였다. 콘스탄티누스 7세는 저서 《제국 통치론》에서 아르파드를 megas Turkias arkhonla으로 언급했으며, 케르푸르트의 브루노는 《성 아달베르트, 프라하 주교이자 순교자의 생애》에서 게자를 Ungarorum senior magnusla로 언급했다. 이 칭호는 게자와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헝가리의 이슈트반 1세에 의해 사용되었다.
3. 2. 세르비아
중세 시대 세르비아의 '''대공'''(세르비아어: велики жупан, 벨리키 주판)은 여러 부족 사회의 최고 지도자였다. 이 칭호는 다른 하위 지도자, 즉 '''주판'''(župan)들의 지도자로서의 지위를 나타낸다.[2] 이 칭호는 11세기와 12세기에 세르비아 통치자들이 사용했다.[3] 그리스어로는 ''아르키주파노스''(ἄρχιζουπάνος), ''메가주파노스''(μεγαζουπάνος), ''메갈로스 주파노스''(μεγάλος ζουπάνος)로 알려졌다.[3]
1090년대에 부칸은 라슈카(라샤)의 ''대공''이 되었다.[4] 스테판 네마냐는 1168년에 그의 형제인 티호미르를 몰아내고 ''대공''의 칭호를 얻었다.[5] 이는 힐란다르 헌장에 묘사되어 있다. 라틴어 문서에서는 스테판 네마니치 국왕을 ''메가 이우파누스''(mega iupanus)라고 불렀다. 그 후, 이 칭호는 알토만 보이노비치(Žarko|자르코sr 생존: 1335–59년)와 같은 저명한 인물들이 보유한 높은 귀족 계급이 되었다.
3. 3. 키예프 루스와 그 후계 국가들
키예프 루스 시대 초기에는 각 지역(공국)의 통치자는 크냐지 칭호를 사용했고, 벨리키 크냐지 칭호는 다른 루스 공들을 종속시킨 키예프의 통치자(키예프 대공)에게만 사용되었다.[8] 그러나 12세기에는 키예프 대공국의 분열이 진행되어, 블라디미르 대공, 갈리치볼린 대공, 랴잔 대공 등이 벨리키 크냐지를 칭했다. 이들 대공국 성립기에는 여전히 키예프 대공위가 존재했지만, 각 대공국은 키예프 대공에게 종속되지 않는 독립적인 정권이었으며, 내부에는 자국에 종속하는 분할 공국을 거느리고 있었다. 또한, 이들 루스의 대공은 모두 류리크 왕조의 계보를 이었다.
1237년부터 시작된 몽골의 루스 침공으로 키예프 대공국은 멸망하고 키예프 대공위는 폐지되었다. 조치 울루스가 성립되자, 그 지배를 받는 루스의 벨리키 크냐지는 다른 크냐지와 마찬가지로 자르륵에 따라 조치 울루스의 칸을 위해 공물을 징수하는 입장에 놓였다. 이 시기 블라디미르 대공위를 비롯한 몇몇 대공위는 그 칭호를 얻는 데 조치 울루스의 승인이 필요했다. 이 시기의 벨리키 크냐지에는 블라디미르 대공, 랴잔 대공, 스몰렌스크 대공 등이 있었다. 서쪽에서 리투아니아가 확장되어 루스 서부에서 남부를 지배하면서, 리투아니아 게디미나스 왕조 정권 수장은 리투아니아 대공을 칭했다.
14세기 초부터 블라디미르 대공위에 오른 자는 자신의 칭호에 '프세야 루시(전 루스)'Всея Руси|ru 칭호도 사용하게 되었다. 14세기 중반 루스 북동부에는 블라디미르 대공, 니즈니노브고로드수즈달 대공, 트베리 대공이 있었고,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서는 야로슬라블 대공이나 랴잔 공국에서 분리된 프론스크 대공이 존재했다. 블라디미르 대공위는 모스크바 대공이 명목상으로 가지는 칭호가 되었다.
결국 16세기 초까지 루스 공국은 모스크바 대공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의해 통합되었고, 벨리키 크냐지 칭호는 모스크바 대공과 리투아니아 대공만이 가지는 칭호가 되었다.
3. 4.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Didysis kunigaikštislt는 리투아니아의 통치자들이 사용했으며, 1569년 이후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군주가 사용한 두 개의 주요 칭호 중 하나였다. 바사 왕가 출신 폴란드 국왕들도 폴란드 외의 영토에 이 칭호를 사용했다. 이 리투아니아 칭호는 때때로 Magnus Duxla 또는 대공으로 라틴어화되었다.
1569년 루블린 연합으로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폴란드 왕국과 동군 연합 체제를 채택했기 때문에, 리투아니아 대공은 폴란드 국왕이 겸하는 칭호가 되었다. 원래는 혈연 관계에 기초하여 상속되었지만, 1573년 이후에는 선거로 상속되게 되었다.
4. 근대 시대의 사용
1582년, 스웨덴의 요한 3세는 핀란드 대공이라는 칭호를 스웨덴 국왕의 부수적인 칭호에 추가했지만, 핀란드는 이미 스웨덴 왕국의 완전한 통합 부분이었기에 영토적 또는 시민적 의미는 없었다.[1]
합스부르크 왕가는 신성 로마 제국의 통치 가문으로, 1765년 트란실바니아 (Siebenburgen)에 유사한 대공국을 설립했다.[2]
러시아 정복 이후, 이 칭호는 러시아 황제가 리투아니아 (1793년–1918년)와 자치의 핀란드 (1809년–1917년)를 통치하는 역할에서 계속 사용되었다.[3] 그의 칭호에는 "스몰렌스크, 볼리니아, 포돌리아의 대공", "니즈니노브고로드, 체르니고프의 군주 겸 대공" 등이 포함되었다.[3]
러시아 칭호를 "대공"보다 더 직역하면 "위대한 공작"이 될 수 있다.[4] 특히 표트르 대제 이전 시대에는 더욱 그렇지만, 이 용어는 영어에서 표준적이거나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4] 그러나 독일어에서는 러시아 대공을 "Großfürst", 스웨덴어로는 "Storfurste", 라틴어로는 "Magnus Princeps"로 알려졌다.[4]
대공은 러시아 제국 시대에 로마노프 왕조의 고위 구성원에게 주어지는 왕조 칭호로 남아 있었다.[5] 이 칭호는 "Velikiy Knyaz"로, 알렉산드르 3세에 의해 최종적으로 공식화되었으며, 당시에는 러시아 황제의 자녀와 직계 손자에게 부여되었다.[5] 황제의 딸과 아버지 쪽 손녀는 칭호의 다른 형태(Velikaya Knyazhna)를 사용했고, 러시아 "대공"의 배우자로서 칭호를 얻은 여성(Velikie Knyagini)과는 달랐다.[5] 현대 시대에는 러시아 대공 또는 대공비는 "전하"로 칭해진다.[5]
대공 칭호는 토스카나 대공국의 왕위 계승자에게도 사용되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www.sbc.org.pl
http://www.sbc.org.p[...]
[2]
서적
The States of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Ashgate
[3]
서적
Лексикон српског средњег века
https://books.google[...]
Knowledge
[4]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Sixth to the Late Twelf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
서적
Byzantium's Balkan Frontier: A Political Study of the Northern Balkans, 900-120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6-29
[6]
서적
Počeci filozofije prava kod Srba
https://books.google[...]
Prometej
[7]
서적
Radovi
https://books.google[...]
[8]
백과사전
Великий князь
http://slovari.yan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