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향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향쥐는 쥐과에 속하는 반수생 설치류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털은 중간에서 어두운 갈색 또는 검은색을 띠며, 꼬리는 납작하고 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사향쥐는 습지, 강, 호수 등에서 서식하며, 식물, 조개, 물고기 등을 먹고 산다. 20세기 초 유럽에 도입되어 침입종이 되었으며, 굴을 파는 습성으로 인해 제방과 둑을 손상시켜 해충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최근 미국에서는 개체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유럽 연합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하여 관리를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6년 기재된 포유류 - 야크
    야크는 티베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고산 환경에 적응한 육중한 체격의 소속 포유류이며, 젖, 털, 고기 등을 얻기 위해 몽골과 티베트 등지에서 가축화되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전통 축제나 관광 상품으로도 활용된다.
  • 1766년 기재된 포유류 - 카피바라
    카피바라는 남아메리카의 수생 서식지에 서식하는,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반수생 초식성 포유류로, 뭉툭한 주둥이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으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인간과도 접촉하지만 사냥되기도 하며, 인터넷 밈 문화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북아메리카의 포유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북아메리카의 포유류 - 긴수염고래
    긴수염고래는 전 세계에 3종이 존재하며 머리에 경결이 있고 등지느러미가 없으며,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13~16m 크기에 60~80톤의 무게를 가지며, 고래잡이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현재 보호받고 있다.
  • 유럽의 포유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유럽의 포유류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사향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캐나다 오타와에서 수영하는 사향쥐
캐나다 오타와에서 수영하는 사향쥐
분류
학명Ondatra zibethicus
명명자(칼 폰 린네, 1766)
이명Castor zibethicus Linnaeus, 1766
사향쥐속(Ondatra)
속 명명자요한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링크, 1795
쥐과
아과물밭쥐아과
쥐목
영어 이름muskrat
일본어 이름마스크라트
보전 상태
IUCNLC (최소 관심)
생태 및 특징
무게0.6 ~ 2 kg
몸길이20 ~ 35 cm
사향쥐 분포 지역
사향쥐 분포 지역 (초록색: 토착, 갈색: 도입)
서식지습지

2. 어원

사향쥐의 이름은 알곤킨어족 (아마도 포우하탄어[4])의 단어 ''muscascus'' (문자 그대로 "빨갛다"는 뜻으로, 색깔 때문에 붙여진 이름) 또는 아베나키어 고유어인 ''mòskwas''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단어는 동물의 옛 영어 이름인 ''musquash''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사향쥐가 영역 표시를 위해 분비하는 사향 냄새와 납작한 꼬리 때문에 이름이 'musk-beaver'로 바뀌었고,[5] 이후 쥐와 비슷하다는 점 때문에 'muskrat'이 되었다.[6][7][8]

종명 ''zibethicus''는 "사향 냄새가 나는"이라는 뜻이며, 이는 ''zibethus''("사향고양이 사향"; 사향고양이)의 형용사 형태이다.[9][10] 속명은 사향쥐를 가리키는 휴론어 단어 ''ondathra''에서 유래했으며,[11] 프랑스어를 거쳐 신라틴어로 ''Ondatra''가 되었다.[12]

3. 형태

사향쥐 골격


사향쥐 두개골


다 자란 사향쥐의 몸길이는 30.2~30.3cm[40], 꼬리 길이는 21.8~23.3cm[40]로, 전체 길이는 약 40cm~70cm에 달하며[13], 무게는 0.6kg~2kg이다.[13] 이는 갈색쥐(''Rattus norvegicus'') 무게의 약 4배에 해당하지만, 길이는 약간 더 길 뿐이다. 사향쥐는 다양한 쥐과(Cricetidae) 중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종 중 하나로, 이 과에는 아메리카 대륙의 모든 밭쥐, 나그네쥐, 대부분의 생쥐(Mouse)와 유라시아의 햄스터가 포함된다. 사향쥐는 종종 서식지를 공유하는 비버(''Castor canadensis'')보다는 훨씬 작다.[6][7]

사향쥐는 짧고 굵으며 부드러운 털로 빽빽하게 덮여 있다.[40][41] 털 색깔은 중간에서 어두운 갈색, 흑갈색 또는 검은색이며,[40][41] 배 쪽은 약간 더 밝은 색(반음영)을 띤다. 나이가 들면서 부분적으로 회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털은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차가운 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발가락에는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40][41]

꼬리는 길고 털 대신 비늘로 덮여 있으며, 수영을 돕기 위해 세로 방향으로 약간 납작한 형태이다.[14] 이는 사향쥐만의 독특한 특징이다.[15] 헤엄칠 때는 방향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40] 육지에서 걸을 때는 꼬리가 땅에 끌리기 때문에 발자국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6][7]

사향쥐는 대부분의 시간을 물속에서 보내며, 반수생 생활에 잘 적응했다. 물 속에서 12분에서 17분 동안 잠수할 수 있다. 몸은 바다코끼리고래처럼 다른 포유류보다 이산화 탄소 축적에 덜 민감하다. 귀를 막아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뒷발에는 부분적으로 물갈퀴가 있으며,[16] 이를 이용해 주로 추진력을 얻는다. 꼬리는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17]

복부에는 취선(항문선)이 있으며, 여기서 분비되는 냄새사향(Musk)과 유사하여 '사향쥐'라는 이름이 붙었다.[43] 과거에는 영명을 직역하여 사향쥐라고 불렀으나, 뾰족뒤쥐과의 사향뒤쥐와 혼동될 수 있어 현재 이 호칭은 문학 작품 번역 등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44] 취선에서 나오는 냄새는 과시 행위나 영역 표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치아식은 1/1・0/0・0/0・3/3 = 16개이다.[45]

4. 분포

식물을 먹고 있는 사향쥐, 굴을 파는 데 사용되는 긴 발톱을 보여준다


사향쥐는 원래 캐나다, 미국 대부분 지역, 멕시코 북부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다.[6][39] 주로 습지, 염수 및 담수 습지, , 호수 또는 연못 근처나 그 안에 서식한다.[6] 미국 플로리다에서는 둥근꼬리사향쥐(''Neofiber alleni'')가 사향쥐의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어 발견되지 않는다.[6]

20세기 초 유럽에 도입된 이후 북서부 유럽에서 침입종이 되었으며,[6] 러시아, 일본 등지로도 유입되었다.[39] 일본에서는 사이타마현 나카가와 수계, 지바현 이치카와시, 도쿄도 가쓰시카구의 미즈모토 공원 등에서 확인되었다.[40][41][42]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많은 습지 서식지가 사라졌지만, 운하관개 수로 건설로 새로운 서식지가 만들어지기도 하여 여전히 널리 분포하고 있다.[7] 심지어 석탄 광산에서 배출되는 유황 성분이 포함된 오염된 하천에서도 살 수 있다. 이런 환경에서는 물고기와 개구리가 살기 어렵지만 사향쥐는 번성하여 습지를 차지하기도 한다.[7]

뉴질랜드에서는 유해 물질 및 신규 생물체 법 1996에 따라 "금지된 신규 유기체"로 분류되어 국내 수입이 금지된다.[21]

5. 생태



사향쥐는 캐나다, 미국 대부분 지역, 멕시코 북부 일부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된다. 20세기 초 유럽에 도입되었으며 북서부 유럽에서는 침입종이 되었다. 주로 습지, 염수 및 담수 습지, , 호수 또는 연못 근처 또는 그 안에 서식한다. 플로리다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데, 이는 둥근꼬리사향쥐(''Neofiber alleni'')가 그들의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6] 늪 등에 주로 서식하며[43] 하천에 서식하는 경우는 드물다.[43] 육지로 올라오는 일도 드물다.[43]

사향쥐의 개체수는 자연적으로 순환하며, 개체수가 많아지면 습지 식생의 상당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18] 특히 초원 습지의 식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9] 또한 선호하는 식물 종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많은 종류의 습지에서 식물 종의 풍부도를 변화시킨다.[2] 일반적으로 먹는 식물로는 부들노랑어리연꽃이 있다. 악어는 사향쥐의 중요한 천적으로 생각되며, 플로리다에 사향쥐가 없는 것은 부분적으로 악어의 포식 때문일 수 있다.[20]

인간의 활동으로 많은 습지 서식지가 사라졌지만, 운하관개 수로(아세키아 등) 건설로 새로운 사향쥐 서식지가 만들어지기도 하여 여전히 널리 분포한다. 심지어 석탄 광산에서 배출되는 유황 성분이 포함된 물이 흐르는 하천에서도 살 수 있다. 이러한 하천에서는 물고기와 개구리가 죽지만, 사향쥐는 번성하여 습지를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일부 포식자에 대한 인간의 박해로부터 이익을 얻기도 한다.[7]

뉴질랜드에서는 유해 물질 및 신규 생물체 법 1996에 따라 "금지된 신규 유기체"로 분류되어 국내 수입이 금지된다.[21] 흡충류인 ''Metorchis conjunctus''에 감염될 수도 있다.[22]

2024년 4월 ''하카이 매거진'' 기사에 따르면, 미국의 34개 주에서 사향쥐 개체수가 최소 절반 이상 감소했다. 일부 주에서는 90~99%에 달하는 거의 완전한 붕괴가 일어났다. 로드아일랜드주의 사향쥐 개체수는 수십 년 전에 비해 약 15%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개체수 감소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23]

사향쥐 집


사향쥐는 일반적으로 수컷과 암컷, 그리고 그들의 새끼로 구성된 가족 단위로 생활한다. 봄에는 다른 사향쥐와 영역 및 잠재적 배우자를 두고 자주 싸움을 벌이며, 이 과정에서 많은 사향쥐가 부상을 입거나 죽는다. 사향쥐 가족은 추위와 포식자로부터 자신과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둥지를 짓는다. 시내, 연못, 호수 등에서는 물속으로 이어지는 입구를 만들어 둑에 굴을 판다.[43] 이 입구는 너비가 약 약 15.24cm에서 약 20.32cm 정도이다. 늪지대에서는 식물과 진흙으로 '밀어올리기' 형태의 둥지를 만드는데,[43] 이는 최대 약 0.91m 높이에 달할 수 있다.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밀어올리기 입구를 식물로 막아 매일 교체하여 닫아 놓는다. 일부 밀어올리기는 봄 홍수에 휩쓸려 매년 다시 지어야 한다. 사향쥐는 또한 잘라낸 식물 조각을 이용해 물 위에 먹이 플랫폼을 건설하기도 한다. 이들은 늪지대의 개방된 지역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어 수생 조류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7][28]

사향쥐는 주로 밤이나 해가 뜨고 지는 시간에 활동적이다. 부들 및 기타 수생식물을 먹고 살며, 겨울을 위해 먹이를 저장하지는 않지만 때때로 자신이 만든 밀어올리기 둥지 내부를 먹기도 한다. 식물성 먹이가 식단의 약 95%를 차지하지만, 담수 조개, 개구리, 가재, 물고기, 작은 거북이와 같은 작은 동물도 먹는 잡식성이다.[6][7][43][41] 사향쥐는 늪과 연못에 만들어 놓은 길을 따라 이동하며, 물이 얼면 얼음 아래에서도 그 길을 계속 이용한다. BBC의 데이비드 애튼버러가 참여한 야생 동물 다큐멘터리 ''The Life of Mammals''에서는 사향쥐가 비버가 저장한 먹이를 훔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때로는 비버와 협력적인 관계를 맺기도 한다고 제시했다.[29]

사향쥐는 다양한 동물의 중요한 먹이 자원이 된다. 포식자로는 족제비, 여우, 퓨마, 코요테, 늑대, 스라소니, 보브캣, 너구리, , 울버린, 독수리, , 큰 올빼미, , 앨리게이터, 황소상어 등이 있다. 어린 사향쥐는 수달, 검은귀거북, 왜가리, 황소개구리, 파이크, 큰입배스와 같은 큰 물고기, 모니터 도마뱀과 같은 육식성 파충류에게 잡아먹힌다. 순록, 말코손바닥사슴, 엘크는 겨울철 다른 먹이가 부족할 때 사향쥐 밀어올리기를 구성하는 식물을 먹기도 한다.[30] 구 소련 지역에 도입된 사향쥐의 가장 큰 포식자는 황금 자칼이다. 황금 자칼은 얕은 수역에서 사향쥐를 완전히 없앨 수도 있다. 아무다리야 강 유역에서는 1948–49년 겨울 동안 자칼 배설물 내용물의 12.3%가 사향쥐였고, 사향쥐 집의 71%가 자칼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이 중 16%는 얼어붙어 사향쥐가 살 수 없게 되었다. 자칼은 또한 덫에 걸린 사향쥐를 먹거나 말리려고 내놓은 가죽을 가져가 사향쥐 산업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31]

사향쥐는 대부분의 설치류와 마찬가지로 번식력이 뛰어나다. 암컷은 연간 2~3번의 새끼를 낳을 수 있으며, 한 번에 1~11마리(평균 6~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40] 번식 형태는 태생이다. 임신 기간은 25~30일이다.[40] 새끼는 태어날 때 작고 털이 없으며 몸무게는 약 22g 정도이다. 남부 지역의 개체군은 연중 번식(주로 3월, 11월)하며,[40] 어린 사향쥐는 6개월 만에 성숙하지만, 더 추운 북부 환경에서는 약 1년이 걸린다. 사향쥐의 개체수는 6~10년 주기로 급격한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는 규칙적인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향쥐의 가까운 친척인 레밍을 포함한 일부 다른 설치류도 비슷한 유형의 개체수 변화를 겪는다. 사향쥐의 평균 수명은 약 3년이다.[40]

형태와 생태 모두 뉴트리아와 매우 흡사하여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6. 아종

북아메리카의 아종 분포.


사향쥐(''Ondatra zibethicus'')는 다음 16개의 아종을 가지고 있다:[24] ''O.z. albus'', ''O.z. aquilonius'', ''O.z. bernardi'', ''O.z. cinnamominus'', ''O.z. goldmani'', ''O.z. macrodon'', ''O.z. mergens'', ''O.z. obscurus'', ''O.z. occipitalis'', ''O.z. osoyoosensis'', ''O.z. pallidus'', ''O.z. ripensis'', ''O.z. rivalicus'', ''O.z. spatulatus'', ''O.z. zalophus'', ''O.z. zibethicus''.

7. 인간과의 관계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오랫동안 사향쥐를 중요한 동물로 여겨왔다. 일부 부족은 사향쥐가 헛간을 짓는 규모와 시기를 보고 겨울철 강설량을 예측하기도 했으며,[32] 여러 창조 신화에서는 다른 동물들이 실패한 후 사향쥐가 원시 바다 밑바닥으로 잠수하여 흙을 가져와 세상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33]

사향쥐는 북미 지역에서 식량 자원으로도 이용되었다.[34] 특히 미시간 남동부에서는 가톨릭 신자들이 재의 수요일사순절 금요일에 사향쥐 고기를 먹는 것이 교회법상 특별 허가를 통해 오랫동안 허용되어 왔다. 이 전통은 적어도 19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35] 2019년 디트로이트 강 인근에서는 사순절 기간 동안 사향쥐 만찬이 열리기도 했다.[36]

사향쥐의 모피는 따뜻하여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되었다. 북미 북부에서는 12월 초에 모피의 품질이 가장 좋다고 여겨졌으며, 20세기 초에는 모피를 얻기 위한 사향쥐 포획이 중요한 산업이었다. 당시 사향쥐 털은 특별히 가공되고 염색되어 미국에서 "허드슨 바다표범"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다.[37] 이러한 모피 자원으로서의 가치 때문에 사향쥐는 유럽으로 도입되었고, 이후 북유럽과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캐나다 왕립 기마 경찰의 겨울 모자 역시 사향쥐 털로 만들어진다.[38]

그러나 사향쥐는 일부 지역에서 침입 해충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특히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와 같이 저지대가 많아 홍수 방지를 위해 둑과 제방에 의존하는 국가에서는 사향쥐가 굴을 파서 시설물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들 국가는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해 포획, 독살, 사냥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사향쥐는 물가 근처에서 자라는 옥수수와 같은 농작물이나 정원 작물을 먹어 피해를 주기도 한다.[7] 일부 지역에서는 제방 붕괴 피해를 일으키기도 했으며,[41][42] 영국에서는 성공적으로 사향쥐를 퇴치한 사례도 있다.[41][42]

7. 1. 대한민국

현재 제공된 자료에는 대한민국 내 사향쥐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

7. 2. 일본

일본에는 1943년 에도가와구의 한 양계업자가 모피를 얻기 위해 사육하기 시작했다.[40]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방출되어 에도가와 주변에서 야생화되었다.[40] 현재는 사이타마현 나카가와 수계, 지바현 이치카와시, 도쿄도 가쓰시카구의 미즈모토 공원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0][41][42]

하지만 도시화와 개발로 인해 연밭, 연못, 습지 등 서식지가 줄어들면서 생존하는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40][45] 사향쥐는 연근과 같은 농작물이나 고랭이, 갈대, 겨자 등의 수생 식물을 먹어치워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46] 또한, 일본 외 국가에서는 제방을 붕괴시킨 피해 사례도 보고되었다.[41][42] 이러한 이유로 일본에서는 2006년 외래생물법에 따라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었다.[41]

7. 3. 유럽

유럽에서 사향쥐는 2017년 8월 2일부터 유럽 연합의 침입 외래종 목록 (연합 목록)에 포함되었다.[25] 이는 해당 종이 유럽 연합 전체에서 수입, 사육, 운송, 상업화 또는 의도적으로 환경에 방출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26] 사향쥐는 20세기 초 모피 농업을 위해 유럽에 도입되었다. 많은 유럽 국가에서 사향쥐는 굴을 파는 활동으로 인해 홍수 조절 시스템, 작물 및 강둑에 피해를 입히면서 문제가 되었다.[27] 특히 섬세한 생태계가 있는 지역에서 사향쥐는 토종 종과 경쟁하거나 대체할 수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여러 유럽 국가에서는 사향쥐 개체수를 관리하고 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통제 조치와 근절 프로그램을 시행해 왔다.[27]

7. 4. 기타

미국캐나다에 자연적으로 분포한다.[39] 이후 유럽, 러시아, 일본 등지로 유입되었다.[39] 일본 내에서는 사이타마현 나카가와 수계, 지바현 이치카와시, 도쿄도 가쓰시카구의 미즈모토 공원 등에서 확인되었다.[40][41][42]

8. 침입종 문제와 개체수 감소

모피를 얻기 위해 수렵되거나 사육되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20세기 초 모피 농업을 위해 사향쥐가 도입되었으나, 여러 국가에서 굴을 파는 습성 때문에 홍수 조절 시스템, 농작물, 강둑 등에 피해를 주면서 문제가 되었다.[27] 또한 섬세한 생태계가 있는 지역에서는 토종 생물과 경쟁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에 유럽 여러 국가는 사향쥐 개체수를 관리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 통제 조치와 퇴치 프로그램을 시행해 왔다.[27] 결국 사향쥐는 2017년 8월 2일부터 유럽 연합의 침입 외래종 목록에 포함되어,[25] 유럽 연합 내에서는 수입, 사육, 운송, 상업적 거래, 의도적인 환경 방출이 금지되었다.[26]

일본에서는 1943년 에도가와구의 한 양계업자가 모피용으로 사육하기 시작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풀려나와 에도가와 주변에서 야생화되었다.[40] 일본 국외에서는 사향쥐가 제방을 붕괴시킨 피해 사례도 보고되었으며,[41][42] 영국에서는 완전히 퇴치하는 데 성공했다.[41][42] 일본 내에서는 연근과 같은 농작물이나 고랭이, 갈대, 겨자 등의 수생 식물을 먹어 치워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와[46] 제방 붕괴 가능성 때문에[41] 2006년 외래생물법에 따라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었다.[41] 그러나 도시화와 개발로 인해 연밭, 연못, 습지 등 서식지가 줄어들면서 일본 내 생존 개체수는 감소하는 추세이다.[40][45]

참조

[1] 간행물 "''Ondatra zibethicus''" 2021-11-19
[2] 서적 Wetland Ecology: Principles and conser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논문 Function of the Compressed Tail of Surface Swimming Muskrats (Ondatra zibethicus) https://academic.oup[...] 1982
[4] 웹사이트 muskrat http://www.etymonlin[...] 2021-09-25
[5] 서적 A Journey to the Northern Ocean: The Adventures of Samuel Hearne TouchWood Editions
[6] 서적 North American Mammals: Fur-bearing Animal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Galahad Books
[7]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Muskrat http://www.merriam-w[...] 2011-10-02
[9] 문서 zivet
[10] 서적 Dictionnaire universel des drogues simples https://archive.org/[...] L.-Ch. d'Houry
[11] 서적 Dictionnaire raisonné universel de l'histoire naturelle https://archive.org/[...] Bruyset Frères
[12] 문서 Ondatra
[13] 서적 Animal: The Definitive Visual Guide to the World's Wildlife DK Adult
[14] 웹사이트 Wildlife Directory: Muskrat http://m.extension.i[...] University of Illinois Extension 2012-12-20
[15] 웹사이트 Late Winter on Staten Island: The Crepuscular Dance of the Muskrats http://www.library.c[...] College of Staten Island 2012-12-20
[16] 웹사이트 Muskrat https://www.ndow.org[...] 2024-11-27
[17] 논문 Function of the compressed tail of surface swimming muskrats (Ondatra zibethicus)
[18] 서적 The Muskrat in the Louisiana Coastal Marshes: A Study of the Ecological, Geological, Biological, Tidal, and Climatic Factors Governing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the Muskrat Industry in Louisiana Louisiana Department of Wildlife & Fisheries
[19] 서적 Northern Prairie Wetland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20] 서적 Human Impacts on Salt Marshes: A Global Perspectiv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웹사이트 Hazardous Substances and New Organisms Act 2003 – Schedule 2 Prohibited new organisms http://legislation.g[...] New Zealand Legislation 2012-01-26
[22] 논문 Fish-borne parasitic zoonoses: Status and issues 2005-10
[23] 뉴스 The Waning Reign of the Wetland Architect We Barely Know (Hint: Not a Beaver) https://hakaimagazin[...] Tula Foundation and Hakai Institute family. 2024-04-24
[24] 웹사이트 Identifica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using DNA barcodes https://bopco.myspec[...] Royal Belgian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2023-01-23
[25] 웹사이트 List of Invasive Alien Species of Union concern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21-07-27
[26] 논문 REGULATION (EU) No 1143/201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2 October 2014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invasive alien species https://eur-lex.euro[...] 2021-09-25
[27] 논문 Observations on the Muskrat https://doi.org/10.1[...] 1885
[28] 서적 The Life of Mammal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문서 Chisellers 2002-12-11
[30] 웹사이트 The Muskrat http://www.science.m[...] McMaster University
[31] 서적 Mammals of the Soviet Union Science Publishers
[32] 논문 Science for the Native Orientated Classroom http://jaie.asu.edu/[...] Arizona State University 2010-01-08
[33] 웹사이트 How the Muskrat Created the World http://www.muskrat.c[...] 2007-11-11
[34] 서적 Cookery and Dining in Imperial Rome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35] 뉴스 Muskrat love: Friday Lent delight for some OKed as fish alternative http://www.catholic.[...] 2013-03-31
[36] 뉴스 Why Detroit's Catholics can eat muskrat on Fridays during Lent https://www.cbc.ca/r[...] CBC Radio 2019-04-19
[37] Podcast NPR 1983
[38] 웹사이트 RCMP Muskrat Winter Cap http://www.williamsc[...] William Scully Ltd. 2005-02-09
[39]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40] 서적 日本の哺乳類【改訂2版】 学校法人東海大学出版会 2008年
[41] 웹사이트 特定外来生物等一覧 https://www.env.go.j[...] 環境省
[42] 서적 決定版 日本の外来生物 平凡社 2008-04-21
[43] 서적 原色ワイド図鑑3 動物 学習研究社 1984年
[44] 서적 大きな森の小さな家 福音館書店 1972年
[45] 서적 The Wild Mammals of Japan SHOUKADOH 2009-07
[46] 서적 日本外来哺乳類フィールド図鑑 旺文社 2005-07-20
[47] 간행물 Ondatra zibethic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