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능창대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능창대군은 조선 원종의 아들이자 인조의 형제이며, 신성군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1615년 역모 혐의로 유배되어 자결했으며, 사후 인조 반정으로 복권되어 가덕대부에 추증되었다. 이후 현록대부로 가증되었으며, 능양군의 명으로 대군으로 추봉되었다. 1669년 효민의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원종의 자녀 - 능원대군
    선조의 손자이자 원종의 차남이며 인조의 동생인 능원대군은 광해군 시대에 유효립의 딸과 혼인 후 인조반정으로 대군에 봉해졌고, 인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병자호란 때 척화론을 주장했고 사후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 조선 원종의 자녀 - 인조 (조선)
    인조는 조선의 제16대 왕으로, 인조반정으로 즉위했으나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 외침과 정치적 혼란을 겪으며 청나라의 신하국이 되었다.
  • 강화군의 역사 - 강화도 조약
    강화도 조약은 1876년 일본이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조선에 군사적 위협을 가하여 체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조선의 개항을 강요하고 치외법권을 부여하여 조선의 자주성을 훼손하고 일제강점기의 원인이 되었다.
  • 강화군의 역사 -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은 1875년 일본 군함 운요호가 조선 강화도를 침략하여 발생한 무력 충돌로, 조선 개항을 강요하려는 일본의 도발 의혹이 있으며, 강화도 조약 체결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 침략 발판을 마련하고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 1599년 출생 - 모진
    모진은 명말청초의 부유한 서적 수집가이자 출판가로, 급고각과 목경루를 통해 다양한 서적을 출판하고 희귀본 '모초'로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출판 활동은 사가 출판의 최고봉으로 평가받았다.
  • 1599년 출생 - 안토니 반 다이크
    안토니 반 다이크는 1599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1641년 런던에서 사망한 플랑드르 출신 화가로, 찰스 1세의 궁정 화가로 활동하며 영국 초상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능창대군
기본 정보
왕위 계승 정보
왕위조선의 왕자
재위 기간1612년 – 1632년 5월 4일
즉위1612년
이전능원군
왕위조선의 대군 (사후)
즉위1632년 5월 4일
이전능원대군
배우자 정보
배우자능성 구씨 군부인 (능성 구씨)
결혼 기간1615년 3월 – 1615년 11월
자녀 정보
자녀이영온 옹주
이요, 인평대군(양자)
가문 정보
왕가이씨 조선
아버지 (생부)조선 원종
아버지 (양부)신성군
어머니 (생모)능성 구씨 인헌왕후
어머니 (양모)평산 신씨 군부인
출생 및 사망 정보
출생 이름이 전 (李佺)
출생일1599년 7월 16일
출생 장소한성부 사옹방 새문리 (아버지의 사저)
사망일1615년 11월 17일 (향년 16세)
사망 장소경기도 강화 교동군
묘소 위치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능창대군묘

2. 생애

1601년 3세 나이로 '''능창수'''(綾昌守)에 봉해졌고, 1612년 14세에 '''능창군'''으로 개봉되었다.[13] 1608년 유영경의 옥사 직후 정운원종공신 1등(定運功臣一等)에, 1613년 임해군의 옥사 직후 익사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어려서부터 재능과 지혜가 뛰어나고 용모도 준수했으며, 독서를 좋아하여 현공자(賢公子)라는 별명을 얻었다.[5]

1615년(광해군 7) 8월 14일, 능창군을 추대하려 했다는 역모 고변이 있자 양사와 홍문관에서 능창군 국문을 청했다. 8월 22일 광해군은 능창군을 인정문에서 직접 국문한 뒤 옥에 가두었다가 강화 교동도로 유배보냈다.[3]

신경희는 사형당했고, 능창군은 위리안치형을 받고 교동도에 유배되었다. 구시백은 그의 목에 칼을 채웠으나, 정숙옹주 등이 그를 찾아 위문하였다. 광해군은 지역 주민 고봉생을 지정하여 위리 안에 같이 거주하게 하고, 밖에서 석회수로 밥을 지어서 위리안치된 집으로 들여보내게 했으나, 고봉생은 날마다 제 밥을 덜어서 그에게 주었다고 한다.

1615년(광해군 8) 11월 17일, 관청 사동 수생에게 부모에게 보내는 글을 써서 전해준 뒤 자결하였다. 광해군교동 현감별장 등을 처벌하였다. 을 좋아하던 정원군은 이 일로 홧병을 얻어 을 더 마시다가 세상을 떠났다.

1623년 3월, 형 능양군이 인조반정을 일으켜 즉위하면서 같은 해 3월 15일에 복권되었고, 가덕대부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현록대부로 추증되었다.[14] 인조는 자신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을 능창군의 사후 양자로 지명하였다. 1669년(현종 10) 8월 24일 효민(孝愍)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그의 묘소는 처음 경기도 양주군 금촌면 군장리(후일 미금면 금곡리, 남양주시 금곡동)에 안장되었다가, 이후 여러번 이장되었다. 1999년 6월 양증손자 의원군 이혁 내외의 시신 등과 함께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신평리 인평대군 묘역 인근으로 이장되었다.

2. 1. 생애 초기

한성부 성서(城西) 새문리(塞門里)에서 태어났다. 능양군, 능원군과 형제간이며, 능풍군은 이복 형이었다. 어머니는 구사맹의 딸 계운궁 구씨이다. 생부가 정원군이었으나, 아들 없이 사망한 선조의 넷째 서자이자 동복 큰아버지인 신성군의 양자가 되어 큰어머니이자 양어머니인 군부인 신씨가 그를 양육하였다. 따라서 신립은 양외조부가 되고, 신경진, 신경희는 양 외삼촌이 된다. 정원군과 신성군 모두 인빈 김씨 소생이었다.

1601년 3세 나이로 '''능창수'''(綾昌守)에 첫 책봉되었으며, 1612년 14세에 '''능창군'''으로 개봉되었다.[13] 1608년 유영경의 옥사 직후 정운원종공신 1등(定運功臣一等)에, 1613년 임해군의 옥사 직후 익사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어린 나이부터 재능과 지혜가 뛰어나고 용모도 준수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독서를 좋아하여 현공자(賢公子)라는 별명을 얻었다.[5]

2. 2. 신경희의 옥사와 최후

1615년(광해군 7) 8월 14일 능창군을 추대하려 했다는 역모 고변이 있자, 양사와 홍문관에서는 능창군을 국문할 것을 계속 청했다. 8월 22일 광해군은 능창군을 잡아다가 인정문(仁政門)에서 직접 국문한 뒤 옥에 가두었다가 강화 교동도로 유배보냈다.[3]

체포된 이들 중 소명국은 능창군이 의붓외삼촌 신경희의 추대를 받아 왕이 되고자 한다고 증언했다. 소명국에 의하면 신경희는 윤길 등과 사람을 모아 흉모와 은밀한 계책을 몰래 서로 의논했으며, 임금의 관상과 명운, 국운 길흉을 멋대로 점을 치고는 능창군이 40년간 치평할 임금이라는 점괘가 나왔다는 것이다. 주모자로 지목된 신경희는 사형당했고, 능창군을 비롯한 양시우, 소문진, 김정익, 김이강, 오충갑 등은 유배되었다.

그는 배소에서 위리안치형을 받고, 구시백은 그의 목에 칼을 채웠다. 아무도 그를 찾지 않았지만 정숙옹주 등이 그를 찾아 위문하였다. 광해군은 지역 주민 고봉생을 지정하여 위리 안에 같이 거주하게 하고, 밖에서 석회수로 밥을 지어서 위리안치된 집으로 들여보내게 했다. 그러나 고봉생은 날마다 제 밥을 덜어서 그에게 주었다고 한다. 그밖에 강화군청의 사동인 수생 역시 배소로 유배된 능창군을 돌보았고, 자신의 밥을 그에게 주었다. 이를 확인한 수문장은 수생에게 위리안치된 곳에서 밥을 먹지 못하게 했다.

1615년(광해군 8) 11월 17일 관청의 사동 수생에게 부모에게 고하는 글을 써서 전해준 뒤 자결하였다. 수생은 그의 편지를 바로 정원군 내외에게 전달하지 못하고 사합에 넣어 흙속에다 묻어 두었다가, 1623년 3월 반정 이후 능양군에게 올렸다.

그가 자결한 것을 알지 못한 광해군11월 19일 의원을 보내 그의 병구완을 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가, 그의 자결 소식을 접하게 된다. 광해군은 교동 현감별장 등을 처벌하였다. 을 좋아하던 정원군은 이 일로 홧병을 얻어 을 더 마시다가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2. 3. 사후

1623년 3월, 형 능양군이 인조반정을 일으켜 즉위하면서 같은 해 3월 15일에 복권되었고, 가덕대부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현록대부로 추증되었다.[14] 인조는 자신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을 능창군의 사후 양자로 지명하였다. 이로써 후대에 왕실로 입양되는 남연군 등의 호적에는 능창군의 7대손으로, 능창군부터 가계가 시작된다.[14] 1669년(현종 10) 8월 24일 효민(孝愍)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1615년 11월 17일(조선 광해군 8년), 능창대군은 부모에게 편지를 쓰고 사위에게 관청에 전달한 뒤 자결했다. 그러나 그 '수생'들은 즉시 부모에게 편지를 전달할 수 없어 허리띠에 넣어 흙 속에 묻었다. 1623년 3월, 그의 형인 인조가 반란을 일으켜 광해군의 왕위를 계승한 후, 능창의 편지는 그에게 전달되었다.[3]

1615년 11월 19일(조선 광해군 7년), 광해군은 그를 역모 혐의로 교동으로 유배 보냈고, 그는 그곳에서 즉시 살해되었다. 그의 사망 소식을 들은 아버지 원종은 이 일로 너무 마음 아파 갑작스럽게 병을 얻었고, 술을 마시다가 1619년 2월 2일(조선 광해군 11년) 4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1623년 3월 13일, 그의 형인 인조가 반란을 일으켜 왕위에 올랐다.[7] 이때, 김제남, 영창대군, 이태경 등과 함께 복권되었다.[8]

그는 처음에는 가덕대부로 추증되었고,[9] 1629년 10월 15일(인조 7년)에는 현록대부로 승진했다.[10] 1630년에 그의 부모가 '대원군'과 '부대부인'이 된 후, 능창대군은 1632년 5월 4일(인조 10년)에 대군으로 추봉되었다.[3]

그의 집은 광해군이 몰수하여 경덕궁을 지었다.[6]

그의 묘소는 처음 경기도 양주군 금촌면 군장리(후일 미금면 금곡리(남양주시 금곡동)에 편입)에 안장되었다. 1629년 10월 29일 경기도 광주군 고대면 남한산성 근처 혁동 난지원으로 이장되었다. 이후 다시 회곽관에 담겨 광주군 동부면 춘궁리 고골 궁안마을 뒷산(후일의 하남시 춘궁동 465번지)으로 이장되었다. 1999년 6월 양증손자 의원군 이혁 내외의 시신, 후손 이연응, 이재극 등의 시신과 함께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신평리 인평대군 묘역 인근으로 이장되었다.

1658년 5월 13일 양자 인평대군이 사망하여 그해 7월 13일 발인하고 8월 2일 광주군 동부면 춘궁리에 있던 그의 묘소에 안장되었지만, 숙종의 지시로 1693년 7월 17일 포천 왕방산으로 이장되었다. 그의 묘소 바로 아래에는 그의 9대손 이재극 내외의 묘와, 그의 증손자 의원군의 4대손이자 그의 7대손인 이낙중의 부인 대구서씨의 묘소가 있었다. 좌측에는 의원군 이혁 내외의 묘소가 조성되고, 의원군 이혁 내외의 묘 바로 아래에 이연응 내외의 묘소가 조성되었다.

3. 가계

능창대군은 선조의 다섯째 서자 정원군과 능성 구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신성군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본관은 전주, 이름은 전(佺), 시호는 효민(孝愍)이다. 생전에는 능창군으로 불렸으나 능양군 10년에 대군으로 추존되어 능창대군으로 불린다. 승마와 무예, 특히 활쏘기에 능했다.[1]

능양군은 셋째 아들 인평대군을 아들 없이 죽은 능창군의 사후 양자로 입적시켰다. 인평대군의 후손들이 능창대군의 제사를 받들었고, 능창대군의 묘소에는 인평대군의 손자 의원군 이혁의 묘가 같이 있었다.[1] 남연군일제강점기 당시 흥친왕, 영선군 이준용의 호적에는 능창군부터 시작되는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다.[1]

1615년(음력 3월) 능성 구씨와 혼인하였으나 1년도 채 되지 않아 사망하였다. 여자 노비에게서 얻은 딸 이영온은 능양군남인 당수 미수 허목의 동생 허서와 혼인시켰다.[1]

3. 1.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친부정원군1580년 8월 2일1619년 12월 29일선조의 서자
양부신성군1579년 1월 6일1592년 12월 8일친삼촌, 후사 없이 사망하여 양자로 입적
친조부선조1552년 11월 26일1608년 3월 16일조선 14대 임금
친모연주군부인 구씨1578년 4월 17일1626년 1월 14일구사맹의 딸
양모군부인 신씨1578년1622년신립의 딸
능양군 이종1595년 12월 7일1649년 6월 17일조선 16대 임금, 인평대군을 능창군의 양자로 입적
능원대군 이보1598년 5월 15일1656년 1월 26일
부인능성 구씨??1615년 혼인, 자녀 없음
이름 미상??여종 출신
양자인평대군 이요1622년 1월 10일1658년 6월 13일능양군의 셋째 아들, 능창군 사후 양자로 입적
양며느리복천부부인 동복 오씨1622년 4월 22일1658년 8월 6일오단의 딸
서녀향주 이영온??첩에게서 얻은 딸, 허목의 동생 허서와 혼인


4. 기타

이식의 택당집, 허목미수기언에 의하면 능창군은 여종을 첩으로 삼아 딸 이영온을 두었다고 한다. 이 사실은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11][12]

허목은 자신의 부인, 제수, 며느리에게는 묘비문을 직접 썼지만, 셋째 동생 허서의 부인이 된 능창군의 서녀 이영온에게는 비문이나 추도문을 남기지 않았다.[11][12]

선조의 서자 인성군 이공의 증손자 능창군 이숙(? ~ 1768년 11월 30일)은 능창대군 이전과 동명이인이다. 해원군 이건의 손자이자 화산군 이연의 아들인 능창군 이숙은 능창군 이전의 재종손이 된다.

일제강점기남연군, 흥친왕, 영선군의 가족관계는 능창대군(7대손)의 후손으로 기록되었다.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12
[2]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12
[3]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12
[4]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12
[5] 서적 新完譯 대동 기문 https://books.google[...] "Myeongundang, 명문당" 2000
[6]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12
[7]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06
[8]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12
[9]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1-06-11
[10]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1-06-11
[11]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09
[12] 서적 https://books.google[...] National Culture Promotion Association, 민족문화추진회 1989
[13] 기사 능창군 이전의 졸기 http://sillok.histor[...] 광해군일기 중초본 97권, 광해 7년 11월 17일 기축 6번째기사
[14] 문서 능창군-인평대군-복녕군-의원군-안흥군-이진익-이병원-이채중(남연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