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창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창군은 조선 인조의 손자이자 인평대군의 셋째 아들로, 조선 현종 때 복창군에 책봉되었다. 청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종친으로서 세력을 떨쳤으나, 내수사 공물 횡령, 백성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 등으로 여러 차례 탄핵을 받았다. 숙종 대에는 궁녀와의 간통 혐의인 '홍수의 변'과 역모 혐의인 '삼복의 변'에 연루되어 유배되었고, 결국 동생 복선군과 함께 사사되었다. 사후 관작이 회복되었으며, 양자 이식이 제사를 받들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현종 - 심재
심재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좌의정 심희수의 후손이며, 문과 급제 후 여러 요직을 거쳐 경기도 관찰사, 이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했으나 갑술환국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 조선 현종 - 명성왕후
명성왕후는 조선 현종의 계비이자 숙종의 생모로, 왕대비로서 조정 정치에 적극 개입하여 남인 세력을 견제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무속 신앙에 심취하다 사망하여 그녀의 행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1641년 출생 - 마쓰다이라 요리즈미
마쓰다이라 요리즈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자이자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삼촌으로, 이요 사이조 3만 석을 받아 상근 교대를 하지 않는 정부 다이묘가 되었으며, 그의 사후 가독은 아들 도쿠가와 요리치가 계승하였다. - 1641년 출생 - 심익현
심익현은 조선 효종의 부마이자 청평도위로, 현종과 숙종 시대에 사신으로 활약하며 외교에 기여했고, 오행설에 밝았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했던 인물이다. - 1680년 사망 - 고미즈노오 천황
고미즈노오 천황은 1596년에 태어나 1611년 즉위하여 1629년 양위한 일본의 108대 천황으로, 막부의 통제 속에서 권위 실추를 겪었으며 도후쿠몬인과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낳고 저서를 남겼다. - 1680년 사망 - 오타 스케무네
오타 스케무네는 에도 시대 초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다이묘가 된 인물로, 쇼군 측근인 육인중으로 활동하고 막부의 중요 사업에 참여하였다.
복창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복창군 |
원래 이름 | 복창군(福昌君) |
작위 | 조선의 왕족 |
휘 | 이정(李楨) |
출생일 | 1641년 12월 29일 (음력) |
사망일 | 1680년 4월 26일 (음력) |
아버지 | 인평대군 |
어머니 | 복천부부인 동복 오씨 |
배우자 | 군부인 창원 황씨 |
자녀 | 1녀 - 심중량의 처 이씨, 의원군(파양), 완원군(양자) |
2. 생애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과 오단의 딸 복천부부인 오씨의 셋째 아들로 1641년(인조 19년) 태어났다. 휘는 '''정'''(楨),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아버지 인평대군과 숙부 효종의 우애가 돈독하여 효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사촌인 현종과도 매우 가깝게 지냈다. 두 동생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과 함께 삼복(三福)이라 불렸다.
'''복창군'''(福昌君)으로 책봉되었고, 1662년(현종 3년) 숭헌대부(崇憲大夫)에 올랐다.[2] 일찍이 진하 겸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3] 1674년 숙종이 즉위하자 다시 사은사 겸 동지사로 임명되어 청에 다녀왔다.[7]
왕실의 가까운 종친으로서 두 동생과 함께 세력을 떨쳤다. 그러나 내수사에 바치는 공물을 빼앗은 일로 파직되거나,[4] 형제들과 사냥을 나가 백성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등[5] 종친으로서 위세를 부린다는 이유로 여러 차례 탄핵을 받았다.[6]
삼복 형제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경계한 명성왕후와 그녀의 아버지 김우명의 고발로 1675년 인선왕후 국상 중 궁녀와 사통했다는 혐의(홍수의 변)로 추국받고 정배되었다.[1] 이후 유배에서 풀려났으나, 1680년 경신환국 당시 허견 등과 함께 역모를 꾀했다는 혐의(삼복의 옥)로 국문을 받고 동생 복선군과 함께 교수형에 처해졌다.[1]
2. 1. 홍수의 변
1675년(숙종 1년), 명성왕후의 아버지인 김우명은 복창군과 그의 동생 복평군이 궁녀들과 간통하여 자식까지 두었다고 주장하며 고발하는 차자를 올렸다.[8] 하지만 복창군, 복평군 및 관련 궁녀들이 모두 혐의를 부인하자, 숙종은 "남의 말을 쉽게 믿어 골육지친(至親)을 헤아릴 수 없는 처지에 빠뜨릴 뻔했다"며 이들을 풀어주려 하였다.[9] 그러나 명성왕후가 직접 나서서 복창군 등의 일은 명백한 사실이며 숙종이 아직 어려서 잘 모르는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하며 처벌을 요구했다.[10] 결국 이 사건으로 복창군은 영암으로 유배되었고,[11] 복평군과 연루된 궁녀들도 각기 다른 곳으로 유배되었다. 하지만 당시 정권을 잡고 있던 남인 세력의 비호와 숙종의 각별한 총애 덕분에 이들은 몇 달 지나지 않아 풀려나 다시 관직에 등용될 수 있었다.[12]2. 2. 삼복의 변
1680년(숙종 6년) 발생한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정권을 장악한 후, 남인 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움직임이 일어났다. 서인 측은 복선군이 남인인 허견 등과 함께 역모를 꾸민다고 고변하였다.[13] 이 사건에 복창군 역시 연루되어 국문을 받았고, 결국 동생 복선군, 복평군과 함께 유배형에 처해졌다. 조정은 형제간의 연락을 차단하기 위해 복창군을 거제에, 복선군을 진도에, 복평군을 교동도에 각각 나누어 안치시켰다.[14]이 사건으로 복창군은 동생 복선군과 함께 사사되었다. 또한 관련된 60여 명이 유배를 떠났고, 50여 명은 관직을 박탈당하는 등 남인에 대한 대규모 숙청이 이루어졌다.[14] 유배된 인물 중에는 희빈 장씨의 오촌 당숙이자 복창군 형제의 측근으로 알려진[15] 장현도 포함되어 있었다.
3. 사후
복창군의 딸은 아버지의 사건으로 인해 남편에게 이혼당하고 홀로 살아가게 되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숙종은 내수사에 명하여 그녀에게 필요한 물품을 지원하도록 하였다.[16] 한편, 복창군은 생전에 죽은 형 복녕군의 아들 이혁을 양자로 삼았으나,[17] 죄가 연좌되는 것을 막기 위해 관계를 끊었다.[18] 이후 1689년에 복창군의 관작이 회복되자,[19] 양자 이식으로 하여금 복창군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20]
4. 가족 관계
- '''조부''' : 인조(仁祖, 1595~1649)
- '''조모''' : 인열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 1594~1635)
- * '''아버지''' : 인평대군(麟坪大君, 1622~1658)
- '''외조부''' : 오단(吳端, 1592~1640)
- '''외조모''' : 청송 심씨(靑松 沈氏, 1592~1672)
- * '''어머니''' : 복천부부인(福川府夫人) 동복 오씨(同福 吳氏, 1622~1658)
- ** '''형''' : 복녕군(福寧君, 1639~1670)
- ** '''동생''' : 복선군(福善君, 1647~1680)
- ** '''동생''' : 복평군(福平君, 1648~1700)
- ** '''여동생''' : 이금온(李金溫, 1654~?)
- ** '''여동생''' : 정중만의 처 이씨
- '''부인''' : 군부인(郡夫人) 창원 황씨(昌原 黃氏, ?~1673) - 김육의 외손녀이며 명성왕후의 고종 사촌이다.
- * '''딸''' : 정부인(貞夫人) 전주 이씨
- ** '''사위''' : 심중량(沈仲良, 1658~1725) - 이조판서 심재의 아들이다.
- * '''양자''' : 의원군(義原君) 이혁(李爀, 1661~1722) - 큰형인 복녕군의 아들이다. 복창군이 처형되자 숙종이 연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파양시켰다.
- * '''양자''' : 완원군(完源君) 이식(李烒) - 동생 복평군의 넷째 아들이다.
참조
[1]
간행물
숙종실록보궐정오
1683-07-20
[2]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62-03-14
[3]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68-06-18
[4]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65-12-30
[5]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68-03-22
[6]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71-08-17
[7]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74-12-07
[8]
간행물
숙종실록
1675-04-12
[9]
간행물
숙종실록
1675-04-13
[10]
간행물
숙종실록
1675-04-14
[11]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75-04-15
[12]
서적
왜 조선은 정도전을 버렸는가
21세기 북스
2009
[13]
서적
윤휴와 침묵의 제국
다산초당
2011
[14]
서적
한국사 이야기 13
한길사
2001
[15]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86-12-10
[16]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83-07-23
[17]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83-01-01
[18]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80-04-28
[19]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89-08-05
[20]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1689-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