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수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수기는 증기를 액체로 응축시키는 장치로, 열 전달을 통해 작동 유체의 열을 2차 유체 또는 주변 공기로 전달한다. 1771년 최초의 실험실 냉각기가 발명된 이후,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표면 복수기와 직접 접촉 복수기로 나뉜다. 복수기는 화력 발전소, 지열 발전소, 화학 실험, 냉난방 장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증기 기관차에서도 물 소비를 줄이기 위해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교환기 - 인터쿨러
    인터쿨러는 터보차저 엔진에서 압축된 흡입 공기를 냉각시켜 엔진 출력을 향상시키고 이상 연소를 방지하는 장치로, 냉각 방식에 따라 공랭식과 수랭식으로 나뉜다.
  • 열교환기 - 냉각기
    냉각기는 증기를 액체로 응축시키는 장치로, 화학 실험에서 증류, 환류 등에 사용되며, 리비히 냉각기 외에도 알린, 그레이엄, 딤로트, 프리드리히스 냉각기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복수기
개요
다양한 종류의 응축기
유형열교환 장치
용도증기를 액체로 응축
열 방출
작동 원리
작동 원리냉각제를 사용하여 증기의 잠열을 제거
증기를 액체로 상태 변화
유형별 분류
표면 응축기증기가 냉각 표면에 응축
응축액과 냉각수가 직접 접촉하지 않음
혼합 응축기증기와 냉각수가 직접 혼합
효율이 높지만 응축액이 오염될 수 있음
설계 및 작동 변수
설계 변수열 전달 계수
표면적
냉각수 온도
작동 변수증기 유량
냉각수 유량
압력
응용 분야
발전소증기 터빈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하여 물로 재활용
화학 공장반응 공정에서 생성된 증기를 액체로 분리
증류 공정증류탑에서 분리된 증기를 응축하여 액체 제품을 얻음
냉동 시스템냉매 증기를 액체로 응축하여 냉각 사이클을 완료
추가 정보
관련 항목열교환기
증기 터빈
냉각탑
참고 문헌"Encyclopedia of Chemical Engineering Equipment: Condensers" University of Michigan

2. 역사

최초의 실험실 냉각기인 "역류 냉각기"는 1771년 스웨덴-독일 화학자 크리스티안 바이겔에 의해 발명되었다.[2] 19세기 중반까지 독일 화학자 유스투스 폰 리비히는 바이겔과 요한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괴틀링의 이전 설계를 개선하여 해당 장치는 리비히 냉각기로 알려지게 되었다.[3]

2. 1. 초기 역사

최초의 실험실 냉각기인 "역류 냉각기"는 1771년 스웨덴-독일 화학자 크리스티안 바이겔에 의해 발명되었다.[2] 19세기 중반까지 독일 화학자 유스투스 폰 리비히는 바이겔과 요한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괴틀링의 이전 설계를 개선하여 해당 장치는 리비히 냉각기로 알려지게 되었다.[3]

3. 작동 원리

응축기는 작동 유체(예: 증기 발전소의 물)에서 2차 유체 또는 주변 공기로 열을 전달하도록 설계되었다.[4] 응축기는 위상 변화 중에 발생하는 효율적인 열 전달에 의존하며, 이 경우 증기가 액체로 응축될 때 발생한다.[4] 증기는 일반적으로 2차 유체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응축기에 들어간다.[4] 증기가 냉각되면 포화 온도에 도달하여 액체로 응축되고 대량의 잠열을 방출한다.[4] 이 과정이 응축기를 따라 발생함에 따라 증기량은 감소하고 액체량은 증가한다.[4] 응축기의 출구에서는 액체만 남는다.[4] 일부 응축기 설계는 이 응축된 액체를 포화 온도 이하로 냉각시키기 위해 추가 길이를 포함한다.[4]

응축기 설계에는 작동 유체, 2차 유체, 기하학적 구조 및 재료를 포함한 수많은 변형이 있다. 일반적인 2차 유체에는 물, 공기, 냉매 또는 상변화 물질이 있다.

응축기는 다른 냉각 기술에 비해 두 가지 중요한 설계상의 장점이 있다.[4]


  • 잠열에 의한 열 전달은 현열만으로 열 전달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 작동 유체의 온도는 응축 과정에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어 작동 유체와 2차 유체 간의 온도 차이를 최대화한다.

3. 1. 장점

4. 종류 및 형식

; 표면 복수기

냉각수가 복수기 냉각관 내를 통과하며, 증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이다. 보일러 등의 배관을 순환하는 물의 청정도를 확보하기 위해, 화력 발전 등 많은 시스템에서 표면 복수기가 사용된다.

; 직접 접촉 복수기

냉각수를 복수기 내에 도입하여, 증기와 혼합하는 것이다. 지열 발전소에서는, 터빈 증기가 응축된 복수를 보일러에 공급할 필요가 없고, 복수의 청정도에 대한 요구가 엄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열교환에도 유리한 직접 접촉 복수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4. 1. 표면 응축기

표면 응축기는 응축 매체와 증기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직접적인 접촉을 원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응축기이다. 이는 화력 발전소의 모든 증기 터빈 출구에 설치된 쉘 앤 튜브 열교환기이다. 일반적으로 냉각수는 튜브 측으로 흐르고 증기는 쉘 측으로 들어가 열 전달 튜브의 외부에서 응축이 발생한다. 응축수는 아래로 떨어져 바닥에 모이는데, 종종 ''핫웰''이라고 하는 내장된 팬에 모인다. 쉘 측은 종종 증기와 응축수의 비체적 차이에 의해 생성된 진공 또는 부분 진공 상태에서 작동한다. 반대로 증기는 냉각수나 공기가 외부로 흐르는 튜브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냉각수가 복수기 냉각관 내를 통과하며, 증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표면 복수기는 보일러 등의 배관을 순환하는 물의 청정도를 확보하기 위해, 화력 발전 등 많은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4. 2. 직접 접촉 응축기

'''직접 접촉 응축기'''에서 뜨거운 증기와 차가운 액체는 용기에 도입되어 직접 혼합되도록 허용되며, 열교환기 튜브 벽과 같은 장벽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다. 증기는 잠열을 방출하고 액체로 응축되는 반면, 액체는 이 열을 흡수하고 온도 상승을 겪는다. 유입되는 증기와 액체는 일반적으로 공기를 냉각하고 습도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물 분무와 같이 단일 응축성 물질을 포함한다.

지열 발전소에서는 터빈 증기가 응축된 복수를 보일러에 공급할 필요가 없고, 복수의 청정도에 대한 요구가 엄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열교환에도 유리한 직접 접촉 복수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4. 3. 화학 실험용 냉각기

화학에서 냉각기는 뜨거운 증기를 냉각시켜 액체로 응축시키는 장치이다. 리비히 냉각기, 그레이엄 냉각기, 알린 냉각기 등이 그 예시이다. 이는 두 조각을 첨가 화학 반응 및 제거 반응을 통해 단일 분자로 연결하는 축합 반응과는 다른 개념이다.

실험실 증류, 환류, 회전 증발기에서 여러 종류의 냉각기가 흔히 사용된다. 리비히 냉각기는 냉각수 재킷 내에 있는 직선 튜브로, 가장 간단한 형태의 냉각기이다. 그레이엄 냉각기는 물 재킷 내의 나선형 튜브이며, 알린 냉각기는 내부 튜브에 일련의 크고 작은 수축이 있어 표면적이 증가한다. 이 냉각기들은 일반적으로 유리로 만들어지며,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냉각기는 대개 접합된 유리 조인트가 장착되어 있고 표준 길이 100, 200, 400 mm로 제공된다. 공기 냉각 냉각기는 재킷이 없고, 수냉 냉각기는 물을 위한 재킷이 있다.

냉각수는 복수기 냉각관 내를 통과하며 증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표면 복수기는 보일러 등의 배관을 순환하는 물의 청정도를 확보하기 위해 화력 발전 등 많은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냉각수를 복수기 내에 도입하여 증기와 혼합하는 직접 접촉 복수기는 지열 발전소에서 터빈 증기가 응축된 복수를 보일러에 공급할 필요가 없고 복수의 청정도에 대한 요구가 엄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열교환에 유리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4. 4. 산업용 증류 장치

대형 응축기는 증류된 증기를 액체 증류액으로 냉각하기 위해 산업 규모의 증류 공정에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냉각수는 튜브 측으로 흐르고 증류된 증기는 쉘 측으로 흐르며 증류액은 바닥에 모이거나 흘러나온다.

화력 발전 등 많은 시스템에서 표면 복수기가 사용되는데, 이는 냉각수가 복수기 냉각관 내를 통과하며 증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 보일러 등의 배관을 순환하는 물의 청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열 발전소에서는 터빈 증기가 응축된 복수를 보일러에 공급할 필요가 없고, 복수의 청정도에 대한 요구가 엄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열교환에도 유리한 직접 접촉 복수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4. 5. 냉난방 장치

일반적인 주택의 중앙 에어컨용 응축기 유닛


오사카 시영 지하철 10계 도시 철도 객차 상단에 장착된 루프탑 응축기 유닛 (2008년 4월)


중앙 에어컨 시스템에 사용되는 ''응축기 유닛''은 일반적으로 들어오는 냉매 증기를 액체로 냉각 및 응축시키는 열교환기 섹션, 냉매의 압력을 높여 이동시키는 압축기, 그리고 열교환기 섹션을 통해 외부 공기를 불어 냉매를 냉각시키는 팬을 가지고 있다. 이 응축기 유닛의 일반적인 구성은 열교환기 섹션이 유닛의 측면을 감싸고 있으며, 그 안에 압축기가 있는 형태이다. 열교환기 섹션에서 냉매는 여러 개의 튜브를 통과하며, 이 튜브는 냉각 공기가 외부에서 유닛 내부로 순환할 수 있는 열 전달 핀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는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상단 근처의 응축기 유닛 내부에는 전동 팬이 있으며, 팬에 물건이 실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자로 덮여 있다. 팬은 측면의 열교환기 섹션을 통해 외부 냉각 공기를 끌어들이고 격자를 통해 위로 불어내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응축기 유닛은 냉각하려는 건물 외부에 위치하며, 유닛과 건물 사이에는 튜브가 연결되어 있어 증기 냉매가 들어오고 액체 냉매가 나간다. 또한 유닛 내부의 압축기와 팬을 위한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

복수기는 냉각 방식에 따라 표면 복수기와 직접 접촉 복수기로 나뉜다. 표면 복수기는 냉각수가 복수기 냉각관 내부를 통과하며 증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보일러 등의 배관을 순환하는 물의 청정도를 확보하기 위해 화력 발전 등 많은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반면 직접 접촉 복수기는 냉각수를 복수기 내에 도입하여 증기와 혼합하는 방식이다. 지열 발전소에서는 터빈 증기가 응축된 복수를 보일러에 공급할 필요가 없고, 복수의 청정도에 대한 요구가 엄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열교환에 유리한 직접 접촉 복수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5. 구조 및 성능

동체는 강철로 제작된 상자형 용기로, 부압을 견디기 위해 내부에 보강이 설치된다. 대형 발전 플랜트에서는 터빈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저압 터빈의 배기를 직접 받지만, 소규모 지열 발전 플랜트에서는 터빈 옆에 놓여 터빈 배기는 배관을 통해 유도되는 경우도 있다. 동체 하부에는 응축된 포화 액체가 고이는 피트가 있으며, 이를 핫웰이라고 한다.

냉각관은 복수기 동체 내부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통과시켜 증기를 냉각,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화력 발전소에서는 주로 알루미늄 합금이나 황동이 사용되지만, 부식되기 쉬운 부분에는 티타늄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직접 접촉 복수기는 냉각관 대신 냉각수를 동체 내에 분사하는 노즐을 설치하여 냉각수와 증기를 직접 혼합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주로 지열 발전 플랜트에 사용된다.

이상적인 단일 통과 응축기에서 냉각수 온도는 다음 공식에 따라 튜브를 따라 변화한다.

: \Theta(x) = \frac{T_H-T(x)}{T_H-T(0)} = e^{-NTU} = e^{-\frac{h P x}{\dot{m} c}} = e^{-\frac{G x}{\dot{m} c L}}


  • x는 냉각수 입구로부터의 거리이다.
  • T(x)는 냉각수 온도이며, ''T''(0)는 입구에서의 냉각수 온도이다.
  • T_H는 고온 유체의 온도이다.
  • NTU는 전달 단위 수이다.
  • m은 냉각수의 질량 (또는 기타) 유량이다.
  • c는 단위 질량당 일정 압력에서 냉각수의 열용량이다.
  • h는 냉각수 튜브의 열 전달 계수이다.
  • P는 냉각수 튜브의 둘레이다.
  • G는 냉각수 튜브의 열 전도율이다 (종종 UA로 표시됨).
  • L은 냉각수 튜브의 길이이다.


복수기 압력이 낮아질수록 터빈의 열효율은 높아지지만, 복수기의 전열 면적이나 냉각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설비비나 운전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복수기 압력은 양자의 균형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주요 결정 요인은 냉각수 온도이다. 일본의 사업용 화력 발전소에서의 복수기 진공도는, 해수 온도가 높은 오키나와에서 낮고, 해수 온도가 낮은 홋카이도에서는 높게 설계·운용되고 있으며, 그 범위는 대략 95 - 98 kPa이다. 지열 발전 플랜트에서는 증기 중에 비응축성 가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기 진공도는 화력·원자력 발전 플랜트보다 낮게 (복수기 내 압력으로는 높게) 설정된다.

5. 1. 동체

동체는 강철로 제작된 상자형 용기로, 부압을 견디기 위해 내부에 보강이 설치된다. 대형 발전 플랜트에서는 터빈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저압 터빈의 배기를 직접 받지만, 소규모 지열 발전 플랜트에서는 터빈 옆에 놓여 터빈 배기는 배관을 통해 유도되는 경우도 있다. 동체 하부에는 응축된 포화 액체가 고이는 피트가 있으며, 이를 핫웰이라고 한다.

복수기 압력이 낮아질수록 터빈의 열효율은 높아지지만, 복수기의 전열 면적이나 냉각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설비비나 운전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복수기 압력은 양자의 균형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주요 결정 요인은 냉각수 온도이다. 일본의 사업용 화력 발전소에서의 복수기 진공도는, 해수 온도가 높은 오키나와에서 낮고, 해수 온도가 낮은 홋카이도에서는 높게 설계·운용되고 있으며, 그 범위는 대략 95 - 98 kPa이다. 지열 발전 플랜트에서는 증기 중에 비응축성 가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기 진공도는 화력·원자력 발전 플랜트보다 낮게 (복수기 내 압력으로는 높게) 설정된다.

5. 2. 냉각관

냉각관은 복수기 동체 내부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통과시켜 증기를 냉각,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화력 발전소에서는 주로 알루미늄 합금이나 황동이 사용되지만, 부식되기 쉬운 부분에는 티타늄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상적인 단일 통과 응축기에서 냉각수 온도는 다음 공식에 따라 튜브를 따라 변화한다.

\Theta(x) = \frac{T_H-T(x)}{T_H-T(0)} = e^{-NTU} = e^{-\frac{h P x}{\dot{m} c}} = e^{-\frac{G x}{\dot{m} c L}}

  • x는 냉각수 입구로부터의 거리이다.
  • T(x)는 냉각수 온도이며, ''T''(0)는 입구에서의 냉각수 온도이다.
  • T_H는 고온 유체의 온도이다.
  • NTU는 전달 단위 수이다.
  • m은 냉각수의 질량 (또는 기타) 유량이다.
  • c는 단위 질량당 일정 압력에서 냉각수의 열용량이다.
  • h는 냉각수 튜브의 열 전달 계수이다.
  • P는 냉각수 튜브의 둘레이다.
  • G는 냉각수 튜브의 열 전도율이다 (종종 UA로 표시됨).
  • L은 냉각수 튜브의 길이이다.


한편, 직접 접촉 복수기는 냉각관 대신 냉각수를 동체 내에 분사하는 노즐을 설치하여 냉각수와 증기를 직접 혼합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주로 지열 발전 플랜트에 사용된다.

5. 3. 진공도

복수기 압력이 낮아질수록 터빈의 열효율은 높아지지만, 복수기의 전열 면적이나 냉각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설비비나 운전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복수기 압력은 양자의 균형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주요 결정 요인은 냉각수 온도이다. 일본의 사업용 화력 발전소에서의 복수기 진공도는, 해수 온도가 높은 오키나와에서 낮고, 해수 온도가 낮은 홋카이도에서는 높게 설계·운용되고 있으며, 그 범위는 대략 95 - 98 kPa이다. 또한, 지열 발전 플랜트에서는 증기 중에 비응축성 가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기 진공도는 화력·원자력 발전 플랜트보다 낮게 (복수기 내 압력으로는 높게) 설정된다.

6. 부속 설비

저압 터빈은 부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부의 틈새 등에서 터빈 내로 미량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 공기가 복수기 내에 체류하면 진공도가 악화되어 발전 효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에제터나 진공 펌프 등의 공기 추출기에 의해 복수기 내의 공기를 제거하고 있다. 특히 지열 발전에서는 증기에 포함된 비응축성 가스가 많기 때문에 대형 공기 추출기가 필요하다.

해수에 의한 냉각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기 입구 해수에 미량의 황산철(II)를 주입하여 관 내면에 보호 피막을 형성한다.

냉각관 내에 홍합 등의 해양 생물이 부착·번식하면 냉각 효율 저하, 압손 증가, 관의 부식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기 입구 해수에 미량의 염소를 주입하여 해양 생물의 번식을 막는다. 통상적으로 해수를 전기 분해하여 발생시킨 염소를 사용한다.

6. 1. 공기 추출기

저압 터빈은 부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부의 틈새 등에서 터빈 내로 미량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 공기가 복수기 내에 체류하면 진공도가 악화되어 발전 효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에제터나 진공 펌프 등의 공기 추출기에 의해 복수기 내의 공기를 제거하고 있다. 특히 지열 발전에서는 증기에 포함된 비응축성 가스가 많기 때문에 대형 공기 추출기가 필요하다.

6. 2. 철 이온 주입 장치

해수에 의한 냉각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기 입구 해수에 미량의 황산철(II)를 주입하여 관 내면에 보호 피막을 형성한다.

6. 3. 염소 주입 장치

냉각관 내에 홍합 등의 해양 생물이 부착·번식하면 냉각 효율 저하, 압손 증가, 관의 부식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기 입구 해수에 미량의 염소를 주입하여 해양 생물의 번식을 막는다. 통상적으로 해수를 전기 분해하여 발생시킨 염소를 사용한다.

7. 증기 기관차의 복수기

증기 기관차에서는 일반적으로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가 실린더로 보내져 동륜을 구동하고, 사용된 증기는 연실 내로 드래프트로 분출되어 화실/Firebox (steam engine)영어의 공기 흐름을 돕는 데 사용된다. 이 때문에 물은 사이클을 순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소비되어 굴뚝에서 연료의 연소 가스와 함께 밖으로 배출된다. 이는 증기 기관차의 운행을 위해서는 빈번하게 물을 보충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수원 확보가 어렵고 물 보충 설비가 적은 건조 지대나, 양과 질 모두 안정적인 물 공급이 보장되지 않는 전장 등에서는 증기 기관차 운행을 위해 물 소비량을 최대한 줄이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급수를 위해 대형 물탱크를 설치하고, 더 나아가 그 물탱크에 비축하는 물을 수송하기 위해 탱크차를 연결한 물 수송 열차를 정기적으로 운행해야 하는 등, 물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증기 기관차에 복수기를 탑재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경우가 있다. 복수기로 순환시켜도 누출되는 증기를 완전히 없앨 수는 없으므로, 전혀 물 보충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당연히 연료 보충도 필요하지만, 이론상 일반형 기관차 대비 약 90%, 실용 예에서는 40% 정도까지 물 소비를 줄일 수 있어, 일반형 기관차에 비해 상당히 항속 거리를 늘리거나, 각 급수 시설의 물 소비량 감소가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배기 증기를 회수해 버리므로 이를 드래프트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터보 블로어 팬과 같은 동력식 드래프트 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대체 조치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복수기에서의 수분 응결에 있어서도 냉각 팬의 구동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 기기에 본래 주행에 사용해야 할 에너지가 소비되어 복수기를 갖지 않은 통상형 기관차보다 성능이 저하되는[6] 단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복수기를 탑재하기 때문에 기관차 자체의 크기가 대형화되는 문제도 있다.

복수기를 사용한 증기 기관차는 독일헨셸사에 실적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아르헨티나, 러시아向け 복수기식 증기 기관차 납품 실적이 있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소전에서는 독일 자체가 복수기식으로 개조한 BR52를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철도 25형 증기 기관차의 예가 있다.

7. 1. 복수기 사용 증기 기관차의 장점과 단점

증기 기관차는 일반적으로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를 실린더로 보내 동륜을 구동하고, 사용된 증기는 연실 내 드래프트로 분출되어 의 공기 흐름을 돕는 데 사용된다. 이 때문에 물은 순환하지 않고 소비되어 굴뚝에서 연료의 연소 가스와 함께 배출되므로, 빈번하게 물을 보충해야 한다.

건조 지대나 전장 등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증기 기관차 운행을 위해 물 소비량을 줄이고자 복수기를 탑재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복수기를 사용하면 이론상 일반형 기관차 대비 약 90%, 실용적으로는 40% 정도까지 물 소비를 줄일 수 있어 항속 거리를 늘리거나 급수 시설의 부담을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배기 증기를 회수하여 드래프트로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터보 블로어 팬과 같은 동력식 드래프트 장치를 설치해야 하고, 복수기 냉각 팬 구동에도 에너지가 소비되어 복수기가 없는 기관차보다 성능이 저하되는[6]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기 탑재로 기관차 자체가 대형화되는 문제도 있었다.

복수기를 사용한 증기 기관차는 독일 헨셸사에서 제작하여 아르헨티나, 러시아에 납품한 실적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독소전에서는 BR52를 복수기식으로 개조하여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철도 25형 증기 기관차가 대표적인 예이다.

7. 2. 개발 사례

증기 기관차는 일반적으로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를 실린더로 보내 동륜을 구동하고, 사용된 증기는 연실 내로 드래프트로 분출되어 의 공기 흐름을 돕는 데 사용된다. 이 때문에 물은 순환하지 않고 소비되어 굴뚝에서 연료의 연소 가스와 함께 배출된다. 이는 증기 기관차 운행을 위해 빈번하게 물을 보충해야 함을 의미한다.

건조 지대나 전장 등에서는 증기 기관차 운행을 위해 물 소비량을 최대한 줄이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급수를 위해 대형 물탱크를 설치하고, 탱크차를 연결한 물 수송 열차를 정기적으로 운행해야 하는 등 물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증기 기관차에 복수기를 탑재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복수기로 순환시켜도 누출되는 증기를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만, 이론상 일반형 기관차 대비 약 90%, 실용 예에서는 40% 정도까지 물 소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배기 증기를 회수하므로 이를 드래프트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터보 블로어 팬과 같은 동력식 드래프트 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대체 조치가 필요하며, 복수기에서의 수분 응결을 위해서도 냉각 팬의 구동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 기기에 에너지가 소비되어 복수기를 갖지 않은 통상형 기관차보다 성능이 저하되는[6] 단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복수기를 탑재하기 때문에 기관차 자체가 대형화되는 문제도 있다.

복수기를 사용한 증기 기관차는 독일헨셸사에 실적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아르헨티나, 러시아向け 복수기식 증기 기관차 납품 실적이 있다. 독소전에서는 독일 자체가 복수기식으로 개조한 BR52를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철도 25형 증기 기관차의 예가 있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Chemical Engineering Equipment http://encyclopedia.[...] University of Michigan
[2] 서적 Christian Ehrenfried Weigel, Volume 1 https://books.google[...] Aere Dieterichiano 2019-09-16
[3] 서적 Handwörterbuch der reinen und angewandten Chemie Friedrich Vieweg und Sohn 1842
[4] 간행물 Compact Heat Exchangers OSTI 1984-01
[5] 문서 沸点に達した状態の液体。
[6] 문서 例えば南アフリカ国鉄25型ではこの復水器の補機群だけで700馬力のもの出力が消費さ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