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물은 주 생산 과정에서 함께 생성되지만, 수량이나 가치가 주 생산물보다 낮은 물질을 의미한다. 경제학에서는 부산물을 회계 처리 시 공동 비용의 배분을 받지 않고, 기타 수익으로 인식하거나 생산 원가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처리한다. 화학에서는 부산물과 부생성물을 구분하기도 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부산물이 발생하고 활용된다. 한국에서는 농업 부산물을 전통적으로 활용해 왔으며, 최근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부산물 | |
---|---|
정의 | |
정의 | 어떤 생산물을 만들 때, 의도적으로 생산하는 주산물 외에 덧붙어 나오는 생산물. |
특징 | 주산물에 비해 경제적 가치가 낮은 경우가 많음. 폐기물로 처리되는 경우도 있으나, 다른 용도로 활용되기도 함. |
경제학 | |
구분 | 경제학에서는 결합생산의 개념과 관련하여 주산물과 구분됨. |
예시 | 제철 과정에서 나오는 슬래그 석유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플라스틱 도정 과정에서 나오는 쌀겨 |
활용 | |
슬래그 | 시멘트나 도로 포장재 등으로 활용됨. |
쌀겨 | 사료나 비료 등으로 활용됨. |
우유 부산물 | 유청단백질 카제인 |
환경 | |
환경 문제 | 폐기물로 처리될 경우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 재활용을 통해 환경 부담을 줄일 수 있음. |
2. 경제학에서의 부산물
생산 과정에서 부산물은 "주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것으로, 주요 제품과 비교했을 때 수량 및/또는 순실현가치(NRV)가 적은 것"을 의미한다.[2]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수명주기평가에서 부산물을 정의하며, '''주요 제품''', '''공동 제품'''(주요 제품과 유사한 수익을 발생시키는 제품), 부산물(더 적은 수익을 발생시키는 제품), '''폐기물'''(거의 또는 전혀 수익을 발생시키지 않는 제품)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4]
2. 1. 회계 처리
부산물은 보고된 재무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 공동 비용의 배분을 받지 않는다. 관례적으로 부산물은 재고로 계상되지 않지만, 부산물의 순실현가치는 일반적으로 "기타수익"으로 인식되거나, 부산물이 생산될 때 공동 생산 과정의 원가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인식된다.[3]2. 2. 시장에 대한 영향력
부산물은 시장에 공급될 때, 그 공급량이 주생산물의 생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정되고 수요에 좌우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이 발생하면 시장 가격이 폭락하고,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반대로 가격이 급등하게 된다.[7]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서는 석유 에너지 보급에 따라 석유에서 유래하는 황이 연소하여 황산화물이 되면서 대기오염 등을 초래하였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탈황이 널리 시행되었지만, 탈황으로 생성된 부산물인 황이 시장에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황광산은 경영이 어려워져 1973년까지 모두 폐광되었다.[7]
2018년 영국에서는 주생산품인 비료용 암모니아 제조 공장 가동이 중단됨에 따라, 부산물인 이산화탄소 생산도 중단되어 맥주나 청량음료 생산 및 판매에 차질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8]
3. 화학에서의 부산물
화학 반응에서 주생성물 외에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물질을 부산물이라고 한다. 일부 화학자들은 "부산물(by-product)"과 "부생성물(side-product)"을 동의어로 취급하지만, 다른 화학자들은 이 둘을 구분하기도 한다.[5]
3. 1. 부산물과 부생성물
일부 화학자들은 "부산물(by-product)"과 "부생성물(side-product)"을 동의어로 취급하지만, 다른 화학자들은 이 둘을 구분한다. 두 용어를 구분할 때, "부산물"은 원하는 생성물에 포함되지 않는 출발 물질이나 시약의 분자 조각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생성되지만 원하지 않는 생성물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이는 질량 보존 법칙의 결과이다. 반면에 "부생성물"은 원칙적으로 반응 조건의 최적화를 통해 억제될 수 있는 경쟁적인 과정으로부터 생성되는 생성물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5]4. 여러 분야에서의 부산물
생산 과정에서 부산물은 주생산 과정에서 함께 나오는 것으로, 주요 제품에 비해 양이나 순실현가치(NRV)가 적은 것을 의미한다.[2] 부산물은 재무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 별도로 원가 배분을 받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부산물은 재고로 기록되지 않지만, 순실현가치는 "기타수익"으로 인식되거나 생산 과정의 원가를 줄이는 방식으로 처리된다.[3]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수명주기평가에서 부산물을 주요 제품, 공동 제품, 부산물, 폐기물 중 하나로 정의한다. 주요 제품은 주된 수익을, 공동 제품은 주요 제품과 비슷한 수익을, 부산물은 그보다 적은 수익을, 폐기물은 거의 수익을 발생시키지 않는 제품이다.[4]
화학 분야에서는 "부산물(by-product)"과 "부생성물(side-product)"을 구분하기도 한다. 부산물은 질량 보존 법칙에 따라 주생성물에 포함되지 않는 출발 물질이나 시약의 분자 조각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원하지 않는 생성물을 의미한다. 반면 부생성물은 반응 조건을 최적화하여 억제할 수 있는 경쟁적인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성물을 가리킨다.[5]
4. 1. 일반적인 부산물 예시
- 사탕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바가스와 당밀
- 밀가루 제분 과정에서 나오는 겨와 배아
- 버터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버터밀크
- 에탄올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증류박
- 석탄 연소 과정에서 나오는 플라이애시와 바닥재
- 비누 또는 바이오디젤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글리세롤
- 양모 가공 과정에서 나오는 라놀린
- 포도주 발효 과정에서 나오는 lees
- 과일 주스 또는 올리브 오일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포마스
- 목재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톱밥
- 제련 과정에서 나오는 슬래그
- 곡물 수확 과정에서 나오는 짚
- 맥주 발효 과정에서 나오는 trub
- 사탕 또는 에탄올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비나스
- 치즈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유청
4. 2. 작업 찌꺼기 및 불량품과의 비교
부산물과 비슷한 개념으로 작업 찌꺼기와 불량품이 있다. 이들은 가치가 있더라도 부산물과는 구분된다.[1]5. 한국의 부산물 활용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농업 부산물을 다양하게 활용해 왔다. 볏짚은 퇴비, 가축 사료, 지붕 재료 등으로 사용되었고, 쌀겨는 퇴비나 사료뿐만 아니라 기름을 짜는 데에도 쓰였다.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 가축 분뇨 등 유기성 폐기물을 바이오 가스, 퇴비 등으로 자원화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순환 경제 구축 정책의 하나로 이러한 부산물 재활용 기술 개발 및 산업 육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관련 법 제도 개선에도 힘쓰고 있다.
5. 1. 한국의 특수한 부산물
한국에서는 전통 음식과 주류를 만드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산물이 나온다.
참조
[1]
서적
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 by Grocery Shopping Bags: An Eco-Functional Approach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9-07-27
[2]
서적
Cost Management: Strategies for Business Decisions
McGraw-Hill
2012
[3]
간행물
United States – Final dumping determination on softwood lumber from Canada
WT/DS264/AB/R
2004-08-11
[4]
웹사이트
BIOMITRE Technical Manual
http://www.ieabioene[...]
2011-02-16
[5]
논문
On Byproducts and Side Products
2012
[6]
문서
「財務諸表等の用語、様式及び作成方法に関する規則」の取扱いに関する留意事項について(財務諸表等規則ガイドライン)
[7]
웹사이트
戦後日本のイノベーション100選 脱硫・脱硝・集じん装置
http://koueki.jiii.o[...]
発明協会
2018-10-28
[8]
뉴스
W杯観戦のビールが飲めない?炭酸ガス不足、英で業界を直撃
https://www.cnn.co.j[...]
CNN
2018-06-30
[9]
서적
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 by Grocery Shopping Bags: An Eco-Functional Approach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9-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