짚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짚은 곡물 수확 후 남는 줄기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과거에는 연료, 가축 사료, 제지, 공예 등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바이오 연료, 건축 자재, 포장재 등으로 활용된다. 볏짚은 한국과 일본에서 특히 중요하게 사용되었으며, 짚을 이용한 다양한 문화가 존재한다. 짚은 불에 잘 타는 특성이 있어 화재 위험이 있으며, 짚 먼지는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오매스 - 바이오가스
바이오가스는 혐기성 소화 과정에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가스로,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며,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폐기물 처리 및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한다. - 바이오매스 - 블루카본
블루카본은 해안 식생 생태계가 탄소 격리에 기여하며, 기후 변화 완화 및 탄소 상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단열재 - 석면
석면은 내열성이 뛰어나 건축 자재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폐암 등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로, 현재는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 단열재 -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으로 만들어지는 열경화성 고분자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합성섬유, 폼, 코팅, 접착제, 엘라스토머 등으로 널리 쓰이지만, 가연성과 원료의 유해성 문제로 안전한 취급과 친환경적 대체물질 개발이 연구되고 있다. - 생분해성 재료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생분해성 재료 - 밀랍
밀랍은 꿀벌이 분비하는 고체 왁스로 벌집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짚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곡물 줄기 |
용도 | 침구 바구니 짚세공 지붕 퇴비 동물 사료 연료 건축 자재 |
특성 | |
수분 함량 | 변동 (수확 시기, 보관 조건에 따라 다름) |
밀도 | 낮음 |
생분해성 | 높음 |
생산 및 이용 | |
생산 지역 | 전 세계 곡물 생산 지역 |
주요 생산 곡물 | 밀 쌀 보리 귀리 호밀 |
이용 분야 | 농업 건축 공예 축산업 에너지 |
관련 정보 | |
관련 용어 | 건초 사료 짚단 볏짚 |
주의사항 | 화재 위험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보관 시 습도 관리 필요 |
2. 용도
짚은 농경 사회에서 의식주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도 여러 분야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전통적으로 짚은 짚신, 밀짚모자 등 의류 제작, 초가집 지붕, 다다미, 자리 등 건축 자재나 가구 제작에 사용되었다. 가축 깔개나 먹이, 퇴비 재료, 오이나 딸기 등 작물 재배 시 열매 보호, 빗자루, 새끼줄 등 생활용품, 짚공예 재료, 금줄, 짚 인형 등 신앙생활에도 활용되었다.
현대에 짚은 바이오 연료, 먹이(사료), 제지, 짚공예, 원예농업, 부식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바이오매스 에탄올 등 바이오 연료 원료, 짚단 건축과 같은 친환경 건축 자재로도 사용된다.
2. 1. 전통적 용도
짚은 농경 사회에서 의식주 전반에 걸쳐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었다.의생활짚신, 미노, 밀짚모자 등 의류 제작에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와라지, 조리 등 짚으로 만든 전통 신발이 사용되었고, 중국에서도 짚신과 짚 샌들(차이루, 차이시에)을 신었다. 독일 일부 지역에서는 집이나 카니발 때 짚신을 신기도 한다.

식생활낫토를 짚으로 싸서 보관하거나, 가다랑어 타다키를 만들 때 불쏘시개로 사용했다. 짚으로 만든 빨대도 사용되었다.

주생활초가집 지붕 재료, 다다미, 자리 등 건축 자재나 가구 재료로 널리 사용되었다. 흙벽을 만들 때 짚을 섞거나, 짚가마니 건축 양식처럼 짚가마니를 주재료로 집을 짓기도 했다. 일본 만엽집에는 짚을 깔고 자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을 정도로 짚은 오랫동안 침구로 사용되었다.
농경 생활가축 깔개나 먹이, 퇴비 재료로 사용되었다. 오이, 딸기 등 작물 재배 시 짚을 덮어 열매를 보호하고, 겨울철에는 나무 줄기에 짚을 덮어 해충을 유인하는 덫으로 썼다. 원예농업에서 뿌리 덮개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기타빗자루, 새끼줄, 짚 종이 등 다양한 생활용품 제작에 사용되었다. 짚공예로 바구니, 짚가마니, 양봉통 등을 만들었다. 짚은 불에 잘 타 부뚜막, 목욕탕 연료, 바이오매스 에탄올 등 바이오 연료 원료로도 활용된다.
종교금줄, 짚 인형 등을 만들어 신앙생활에 활용했다.
짚 가공 작업은 '와라스구리', '와라 자르기', '와라 치기' 등으로 불렸으며,[24] 짚을 이로리에 건조시켜 부패를 방지하고 연기 미립자를 부착하는 작업도 중요했다. 이러한 짚 가공은 겨울철 농한기에 남녀노소 모두에게 현금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짚 작업'''이었다.
2. 2. 현대적 용도
산업화와 기술 발전으로 짚의 용도는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짚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된다.- 연료: 바이오 연료로 사용되며, 특히 바이오부탄올 생산에 활용되어 탄소 중립적인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짚이나 건초 브리켓은 석탄을 대체하는 바이오 연료로 사용된다. 대규모 바이오매스 발전소에서 짚을 사용하는 것이 유럽 연합(EU)에서 주류가 되고 있으며, 이미 여러 시설이 운영 중이다. 짚은 브리켓으로 가공되어 바이오가스 플랜트에 투입되기도 한다.[9] 짚은 펠릿 형태로 압축되어 원료를 더 먼 거리로 운송할 수 있으며, 펠릿화와 함께 짚의 토레팩션이 주목받고 있다. 토레팩션된 짚 펠릿은 소수성이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며, 석탄 또는 천연 가스와 함께 매우 높은 비율로 혼소될 수 있다.
- 먹이(사료): 에너지 요구량이 거의 유지 수준인 소나 말의 거친 먹이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짚은 소화 가능한 에너지와 영양소 함량이 낮지만, 초식 동물의 장내 미생물이 짚을 소화할 때 발생하는 열은 추운 기후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데 유용하다.
- 제지: 종이를 만드는 데 펄프화될 수 있다.[15]
- 짚공예: 옥수수 인형, 짚 상감 세공, 짚 모빌, 짚 그림, 짚 엮기, 허수아비, 일본 전통 고양이 집, 일본의 와라 아트 등 다양한 짚 공예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 원예농업: 오이 하우스와 버섯 재배에 사용된다. 딸기 아래 흙을 덮어 딸기를 보호하고, 겨울철 나무 줄기에 덮어 기생충을 유인하는 덫으로 사용하며, 뿌리 덮개를 만드는 데도 사용된다. 짚단 정원 가꾸기는 토양 정원 가꾸기를 할 공간이 없는 정원사들에게 인기가 많다.[10]
- 부식 제어: 건설 현장에서의 토사 유출 방지에 사용되지만,[7] 미국 환경 보호국(EPA)과 여러 주 정부 기관에서는 침사 펜스, 섬유 롤, 지오텍스타일과 같은 대체 방법을 권장한다.[8] 짚단은 화재 지역 응급 복구, 지면 덮개 또는 하천 내 검사 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짚단 건축: 짚은 콘크리트를 묶는 데 사용되며, 점토와 짚의 혼합물인 코브는 건축 자재로 사용될 수 있다. 짚단을 사용하여 건물을 건축하거나 단열할 수 있으며, 짚단은 일반적으로 흙벽 마감재로 마감된다. 짚은 풍부한 농업 폐기물이며 건축을 위해 짚단을 만들고 운송하는 데 에너지가 거의 필요하지 않아 패시브 솔라 및 기타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의 일부로 인기를 얻고 있다.[3]
- 복합 목재 생산: 밀짚은 섬유 충전재로 사용하여 폴리머와 결합하여 복합 목재를 생산할 수 있다.[4]
- 친환경 보드 생산: 짚으로 만들 수 있다.
- 짚 블록: 콤팩트한 화물 컨테이너 운송을 위해 또는 "생태" 또는 녹색 지붕과 같이 지붕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벽의 짚단 건축을 위해 나무 블록의 밀도로 재압축된 짚단이다.[5]
- 포장재: 찌그러짐에 강하여 훌륭한 포장재가 된다. 와인 병용 짚 포장재는 희귀해졌지만, 일부 와인 상점에서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 밀짚은 퇴비화 가능한 접시와 같은 식품 포장재에도 사용된다.[14]
- 정밀 화학 물질 공급원: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리그닌, 페놀,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정밀 화학 물질의 공급원으로 연구되고 있다.[2]
- 생분해성 플라스틱 전환: 벼 짚은 건조 상태에서 폴리스티렌과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전환될 수 있다.[1]
- 기타: 짚으로 만든 밧줄은 지붕 덮는 사람, 포장 산업, 심지어 철강 주조 공장에서도 사용되었다. 새끼줄은 짚을 꼬아 만든 전통적인 한국 밧줄이다.
3. 볏짚
벼에서 낟알을 떨어내고 남은 줄기는 특별히 '''볏짚'''이라고 부른다.
최근 혼다 기술 연구소에서 바이오매스 에탄올 제조 실험이 발표되었다.[19]
3. 1. 한국의 볏짚 문화
한국에서는 볏짚이 농경 문화와 생활 전반에 깊숙이 관련되어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었다. 볏짚은 엮거나 꼬아서 밧줄, 짚신, 가마니 등 다양한 생활용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새끼줄은 짚을 꼬아 만든 전통적인 한국 밧줄이다.[6] 한국인들은 짚으로 만든 샌들인 짚신을 신었다.
짚은 불에 잘 타기 때문에 부뚜막이나 목욕탕을 데울 때, 야외에서 모닥불에 장작과 함께 사용되었다. 특히 평야부의 논 지역은 장작을 얻을 수 있는 산림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짚은 취사의 연료로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짚은 소나 말의 먹이(사료)로 사용되었고, 남은 짚이나 불필요하게 된 짚 제품은 퇴비로도 사용되어, 근대 이전의 농촌에서는 짚을 남김없이 사용하였다. 또한, 금줄이나 짚 말, 짚 인형 등의 신사 행사에도 짚이 빠질 수 없었다.
짚 세공을 하려면 하카마라고 불리는 밑잎을 제거하는 와라스구리, 와라 자르기, 와라 치기 등의 가공이 필요하다.[24] 더 나아가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이로리에서 건조시키면서 연기 미립자를 부착하는 작업도 중요했다. 이러한 작업 외에는 기본적으로 꼬기, 묶기, 엮기, 묶기, 감아 올리기, 짜기 등 비교적 숙련하기 쉬운 작업이 많아, 농작업을 할 수 없는 겨울 등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현금 수입을 얻기 위한 '짚 작업'이 이루어졌다.
일본의 경우, 『만엽집』에서도 볼 수 있듯이 주택에 짚을 깔고 자는 스타일은 고대부터 지역에 따라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주택이 판자 바닥이 되어도 짚 이불을 사용하거나, 돗자리나 자리 같은 깔개, 다다미나 원(둥근 방석)과 같은 짚 제품 위에 앉는 풍습은 오랫동안 이어졌다. 또한, 전통적인 일본 가옥에서도 짚이 많이 이용되었는데, 나무 싸리나 얇은 싸리로 벽에 발라 넣거나,[23] 중요한 부분을 짚 밧줄로 묶기도 했다.
의복으로는 갓이나 짚옷, 짚신, 짚 장갑,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의 깊은 신 등이 제작되었다. 식생활에서는 냄비 받침이나 냄비 잡이, 수세미나 용기류 등이 사용되었고, 그 외 빗자루나 짚 가마니, 키, 줄넘기용 밧줄도 짚 제품의 대표적인 예이다.
3. 2. 볏짚의 수급 문제
현대 한국에서는 볏짚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많은 양의 볏짚이 농경지에 버려지거나 소각되고 있다. 짚은 과거에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많았지만, 현대, 특히 선진국에서는 근대화로 인해 수요가 사료 분야(사일리지)에 집중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짚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지만, 자국 농업에서 배출되는 짚은 유효하게 이용하지 못하고 대부분 폐기물로 처리하고 있다.2003년도 일본 국내산 볏짚 생산량은 약 871만 톤이었으나, 이 중 약 10%만이 사료용으로 사용되었고, 약 80%는 갈아엎거나 소각되었다. 사료용 볏짚의 총 공급량은 119만 톤이며, 이 중 국내산 볏짚은 85%, 수입 볏짚은 15%를 차지한다.[17]
지역별 주력 농산물에 따라 볏짚 수급에 차이가 있다. 쌀 생산지인 미야기현에서 축산이 활발한 가고시마현으로 볏짚을 운반하여 사료로 활용하고, 축산 부산물인 퇴비 펠릿을 가고시마현에서 미야기현으로 제공하는 광역 연계 실증 실험이 2023년 봄부터 양 현의 농업협동조합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18]
이바라키현 미토시와 현지의 미토 낫토 회사들은 낫토 용기에 사용하는 볏짚 확보를 위한 협의회를 설립했다.[20]
4. 다른 나라의 짚 문화
일본과 영국에서는 짚을 활용한 다양한 전통 문화가 발달했다. 일본에서는 고대부터 짚을 이용해 왔으며, 돗자리, 다다미 등 다양한 짚 제품과 금줄, 짚 인형 등 신사 행사에도 짚이 사용되었다. 영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짚을 이용해 지붕을 덮었으며, 밀짚이 주로 사용되었다. 벨라루스에서는 짚공예 문화가 2022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26]
4. 1. 일본
일본에서는 짚을 활용한 다양한 전통 문화가 발달했다.만엽집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고대부터 짚을 깔고 자는 방식이 지역에 따라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주택이 판자 바닥이 된 후에도 짚 이불을 사용하거나, 돗자리, 자리, 다다미, 원(둥근 방석)과 같은 짚 제품을 사용했다. 전통 가옥에서도 짚은 벽에 발라 넣거나[23], 중요한 부분을 짚 밧줄로 묶는 데 사용되었다.
의복으로는 갓, 짚옷, 짚신, 짚 장갑,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의 깊은 신 등이 있다. 와라지와 조리와 같은 여러 종류의 일본 전통 신발도 짚으로 만들어진다. 식생활에서는 냄비 받침, 냄비 잡이, 수세미, 용기류 등을 만들었으며, 그 외에도 빗자루, 짚 가마니, 키, 줄넘기용 밧줄 등이 대표적인 짚 제품이다.

짚은 불에 잘 타기 때문에 부뚜막이나 목욕탕을 데울 때, 야외 모닥불에 장작과 함께 사용되었다. 특히 평야 지역 논에서는 장작을 구하기 어려워 짚이 취사 연료로 중요했다. 짚은 소, 말의 먹이(사료)가 되었고, 남은 짚이나 불필요하게 된 짚 제품은 퇴비로도 사용되었다. 근대 이전 농촌에서는 짚을 남김없이 활용했다. 또한, 금줄, 짚 말, 짚 인형 등 신사 행사에도 짚이 빠질 수 없었다.
짚 세공을 위해서는 밑잎을 제거하는 와라스구리, 와라 자르기, 와라 치기 등의 가공[24], 부패 방지를 위해 이로리에서 건조하며 연기 미립자를 부착하는 작업도 중요했다. 이러한 작업 외에는 꼬기, 묶기, 엮기, 감아 올리기, 짜기 등 비교적 숙련하기 쉬운 작업이 많아, 농한기 등에 남녀노소 누구나 현금 수입을 얻기 위한 '짚 작업'을 했다.
4. 2. 영국
영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짚을 이용해 지붕을 덮는 방식이 발달했다. 한때 대부분의 농촌 주택이 짚으로 지어졌으며, 주택의 짚 재료로는 밀짚(Long Straw), 갈대(WaterReed), 빗질한 밀짚(Combed WheatReed)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밀짚 재료가 가장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했다.[25]1940년 이전에는 짚을 덮는 데 사용되는 밀짚은 곡물 생산의 부산물을 이용했지만,[25] 1940년 이후 농업의 변화로 곡물 생산과 짚을 덮는 데 사용되는 밀짚의 생산이 분리되어 짚을 덮는 데 사용되는 밀짚은 특별한 작물로 재배되었다.[25] 1994년부터는 해외에서도 짚을 수입하고 있다.[25]
4. 3. 벨라루스

2022년,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에 벨라루스의 짚공예 문화가 등재되었다.[26]
5. 안전 및 건강
건조한 짚은 불꽃이나 노출된 화염에 노출되면 쉽게 점화될 수 있어 화재의 위험이 있다.[1] 또한 짚 먼지와 같은 공기 중 알레르겐에 과민한 사람들에게 알레르기성 비염을 유발할 수 있다.[1]
참조
[1]
학술지
A sustainable bioplastic obtained from rice straw
https://www.scienced[...]
2018-11-01
[2]
학술지
Wheat straw biomass: A resource for high-value chemicals
[3]
문서
The Straw Bale House: Suitability for the Eastern U.S.
http://www.earthheal[...]
[4]
웹사이트
Adding Value to Wheat Straw
http://biomassmagazi[...]
2007
[5]
서적
The New Carbon Architecture: Building to Cool the Climate
https://books.google[...]
New Society Publishers
2019-01-01
[6]
뉴스
Straw mobiles - an old Latvian craft being revived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5-12-01
[7]
웹사이트
Straw Bale Barrier
https://udfcd.org/wp[...]
Urban Drainage and Flood Control District
2010-11
[8]
웹사이트
National Menu of Storm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s: Straw or Hay Bales
http://cfpub.epa.gov[...]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6-06-01
[9]
웹사이트
show
http://dca.au.dk/en/[...]
2017-06-30
[10]
웹사이트
Straw Bale Gardening For Beginners {{!}} A Great Alternative to Soil Gardening & 10 Vegs To Grow - Organic Gardening Geek
https://organicgarde[...]
2021-11-07
[11]
문서
[12]
문서
[13]
서적
A History of Japan: From Stone Age to Superpowe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04-17
[14]
웹사이트
Compostable Plates
http://vivbizclub.co[...]
2010-07-31
[15]
서적
Tomorrow's World: Britain's Share in a Sustainable Fu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16]
웹사이트
稲わらについて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3-05-16
[17]
간행물
「稲わらをめぐる状況」平成17年3月
農林水産省生産局畜産部畜産振興課
[18]
뉴스
宮城の稲わら⇔鹿児島の堆肥「余った資源」広域連携/高騰対策 脱・輸入依存へ/コスト検証 25年まで実証実験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3-05-01
[19]
웹사이트
RITEとHonda、セルロース系バイオマスからのエタノール製造新技術を共同開発
http://www.honda.co.[...]
2008-10-05
[20]
뉴스
わら納豆安定供給へ、水戸市・生産者ら協議会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6-07
[21]
서적
第II部 畑作農耕の始まりと麦の起源 : 第5章 西アジア先史時代のムギ農耕と道具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出版会
2010-03
[22]
웹사이트
あけてみよう! 歴史のとびら 「石庖丁(いしぼうちょう)」稲刈りの道具
https://archive.is/s[...]
大野城市
[23]
문서
[24]
문서
[25]
학술지
イギリスの茅葺き民家と茅葺きトレーニング
https://gunma-u.repo[...]
群馬大学教育学部
[26]
웹사이트
ベラルーシ公開情報とりまとめ
https://www.by.emb-j[...]
在ベラルーシ日本国大使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