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지방산림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부지방산림청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를 관할하는 산림청 소속 기관이다. 1950년 농림부 소속 서울영림서로 시작하여 중부영림서를 거쳐 1996년 북부지방산림관리청으로 개편되었고, 200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청장 및 춘천, 홍천, 서울, 수원, 인제, 민북지역국유림관리소 등의 소속기관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산림청 - 중부지방산림청
중부지방산림청은 대한민국 산림청 소속으로 대전, 세종, 충청남북도 지역의 산림 행정을 담당하며, 산림 재해 예방,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 및 자원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 산림청 -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은 조선 시대 왕실 숲에서 시작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수목원으로, 광릉 주변 지역을 보호하며 한국 전쟁 이후 수목원과 산림 박물관으로 조성되었으나, 2020년 노키즈존 지정으로 논란이 있었다. - 원주시 소재의 관공서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범죄 수사와 관련된 법의학, 법과학, 법공학 분야의 감정과 연구를 수행하는 행정안전부 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1955년 설립되어 강원도 원주시에 본원을 두고 전국에 걸쳐 과학수사 업무를 수행하며 전문 인력 양성에도 기여한다. - 원주시 소재의 관공서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을 관장하며, 2000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 의료보험조합의 통합으로 출범하여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본부를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징수, 보험급여 관리,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2006년 설립 - 오션월드
오션월드는 대한민국에 위치한 워터파크로, 실내외에 다양한 놀이 시설과 익스트림존, 다이나믹존, 메가 슬라이드존 등 여러 구역, 그리고 파도풀, 유수풀, 슬라이드 등 다양한 어트랙션을 제공하며, 특히 슈퍼 익스트림 리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강력한 수압을 자랑한다. - 2006년 설립 - 통합막료감부
통합막료감부는 일본 자위대의 육해공 자위대 활동을 조정하고 지휘하는 기관으로, 군종 대립 해소와 지휘권 통합을 위해 2006년 개편되었으며, 통합 운용을 통해 방위, 재해 파견, 훈련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북부지방산림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2006년 1월 1일 |
전신 | 북부지방산림관리청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배울로 124 |
상급 기관 | 대한민국 산림청 |
웹사이트 | 북부지방산림청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기관장 | 청장 |
2. 연혁
- 1987년 12월 30일 춘천관리소 소속으로 화천, 양구, 춘천, 철원, 청평출장소를, 인제관리소 소속으로 원통, 인제, 신남, 기린, 상남출장소를, 홍천관리소 소속으로 창촌, 성산, 서석출장소를, 원주관리소 소속으로 용문, 횡성, 신림출장소를 설치하였다.[12]
- 1991년 5월 31일 중부영림서가 원주영림소와 공주영림소로 분리되었으며,[13] 원주영림소의 소속기관은 춘천, 인제, 홍천, 수원, 의정부관리소로 개편되었다.[14]
- 1996년 1월 1일 북부지방산림관리청으로 개편되었다.[15] 춘천, 인제, 홍천, 수원, 의정부관리소는 춘천, 인제, 홍천, 수원, 의정부국유림관리소로 개편되었고, 양구, 운두령, 서울국유림관리소 및 산림토목사업소가 소속기관으로 설치되었다.[16]
- 1999년 5월 24일 운두령, 의정부국유림관리소 및 산림토목사업소가 폐지되었다.[17]
- 2006년 1월 1일 북부지방산림청으로 개편되었다.[18]
2. 1. 서울영림서 시대 (1950년 ~ 1972년)
- 1950년 4월 8일 농림부 소속으로 서울영림서를 설치하였다.[2]
- 1952년 4월 1일 소속기관으로 서울·괴산·안면도·무주·남원·변산·진도·상주·춘양·영매·울릉·동래·춘천·기린·제주관리소를 설치하였다.[3]
- 1957년 1월 12일 양평·홍천·원주·상남·인제·원통·서화·화천·양구·천미관리소를 설치하고 괴산·안면도·변산·진도·상주·동래관리소를 폐지하였다.[4]
- 1962년 6월 4일 제주관리소를 폐지하였다.[5]
- 1962년 10월 30일 풍기·남해관리소를 설치하였다.[6]
- 1966년 6월 1일 서울관리소를 청평관리소로 개편하고 영양·하동관리소 및 관행작대작업소를 설치하였으며, 울릉·서화·천미관리소를 폐지하였다.[7]
- 1967년 1월 1일 산림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8]
- 1967년 9월 1일 횡성관리소, 제1·제2관작사업소, 양평·춘천양묘사업소를 설치하고 관행작대작업소를 폐지하였으며, 창촌관리소는 강릉영림서로, 풍기·춘양관리소는 안동영림서로 이관하였다.[9]
- 1969년 9월 24일 춘천·인제·홍천·원주관리소로 통합하였다.[10]
- 1972년 7월 21일 중부영림서로 개편되었다.[11]
2. 2. 중부영림서 시대 (1972년 ~ 1991년)
1972년 7월 21일 중부영림서로 개편되었다.[11] 1987년 12월 30일 춘천관리소 소속으로 화천·양구·춘천·철원·청평출장소를, 인제관리소 소속으로 원통·인제·신남·기린·상남출장소를, 홍천관리소 소속으로 창촌·성산·서석출장소를, 원주관리소 소속으로 용문·횡성·신림출장소를 설치했다.[12] 1991년 5월 31일 원주영림소와 공주영림소로 분리되었으며,[13] 원주영림소의 소속기관은 춘천·인제·홍천·수원·의정부관리소로 개편되었다.[14]2. 3. 원주영림소/공주영림소 분리 (1991년)
1991년 5월 31일, 중부영림소가 원주영림소와 공주영림소로 분리되었다.[13] 이와 함께 원주영림소 소속기관은 춘천, 인제, 홍천, 수원, 의정부관리소로 개편되었다.[14]2. 4. 북부지방산림관리청/북부지방산림청 시대 (1996년 ~ 현재)
1996년 1월 1일 북부지방산림관리청으로 개편되었다.[15] 춘천, 인제, 홍천, 수원, 의정부관리소는 춘천, 인제, 홍천, 수원, 의정부국유림관리소로 개편되었고, 소속기관으로 양구, 운두령, 서울국유림관리소 및 산림토목사업소가 설치되었다.[16]1999년 5월 24일 운두령, 의정부국유림관리소 및 산림토목사업소는 폐지되었다.[17]
2006년 1월 1일 북부지방산림청으로 개편되었다.[18]
3. 관할 구역
4. 조직
북부지방산림청에는 춘천국유림관리소, 홍천국유림관리소, 서울국유림관리소, 수원국유림관리소, 인제국유림관리소, 민북지역국유림관리소가 소속되어 있다.[21] 각 국유림관리소의 위치 및 관할 구역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있다.
4. 1. 청장
북부지방산림청에는 청장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청장에 대한 정보가 없으며, 산림재해안전과, 산림경영과, 기획운영팀에 대한 정보만 포함되어 있다.[19]4. 2. 소속기관 (국유림관리소)
명칭 | 위치 | 관할구역 |
---|---|---|
춘천국유림관리소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 맥국길 5 | 경기도 가평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및 화천군·철원군의 민간인통제선 이남지역 |
홍천국유림관리소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마지기로 93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홍천군·횡성군 |
서울국유림관리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18가길 30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부천시·광명시·시흥시·김포시·의정부시·동두천시·남양주시·구리시·고양시·파주시·양주시·포천시·연천군 |
수원국유림관리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매송고색로503번길 18 | 경기도 수원시·안양시·평택시·안산시·오산시·군포시·의왕시·하남시·성남시·과천시·이천시·용인시·안성시·화성시·광주시·양평군·여주시 |
인제국유림관리소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인제로 255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의 민간인통제선 이남지역 |
민북지역국유림관리소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학안로 187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및 화천군·철원군·인제군의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 |
참조
[1]
법령
산림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14조제1항
[2]
법령
대통령령 제323호 및 대통령령 제453호
[3]
법령
농림부령 제26호
[4]
법령
농림부령 제50호
[5]
법령
농림부령 제99호
[6]
법령
농림부령 제111호
[7]
법령
농림부령 제197호
[8]
법령
대통령령 제2843호
[9]
법령
대통령령 제3196호 및 농림부령 제258호
[10]
법령
농림부령 제409호
[11]
법령
대통령령 제6294호
[12]
법령
농림수산부령 제993호
[13]
법령
대통령령 제13381호
[14]
법령
농림수산부령 제1078호
[15]
법령
대통령령 제14842호
[16]
법령
농림수산부령 제1216호
[17]
법령
농림부령 제1330호
[18]
법령
대통령령 제19237호
[19]
기타
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 또는 임업사무관으로 보한다.
[20]
기타
2021년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1]
기타
임업사무관으로 보한다. 다만, 서울·수원국유림관리소장은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27조제3항에 따라 상호이체하여 배정·운영하는 기술서기관 또는 임업사무관으로 보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