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뇨는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을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는 오물과 유사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분뇨는 생물학적 폐기물로 바이러스 및 세균 질환의 매개체가 될 수 있으며, 식수 오염 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한다. 분뇨는 하수 처리, 하수 슬러지 처리, 퇴비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되며, 개발도상국에서는 비료로 사용되기도 했다. 과거 일본에서는 분뇨를 비료로 활용하는 문화가 있었으며, 철도를 이용한 수송도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학적 폐기물 - 의료폐기물
의료폐기물은 의료 행위 중 발생하는 생물학적 위험 폐기물로, 감염성 여부에 따라 분류되며 엄격한 관리 및 처리 필요성이 강조되고 부적절한 처리 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므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 생물학적 폐기물 - 바나나 껍질
바나나 껍질은 일반적으로 버려지지만, 사료, 수질 정화, 비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일부 지역에서는 식재료로 쓰이며, 코미디에서 미끄러지는 장면 연출 소재로도 사용된다. - 생분해성 폐기물 관리 - 혐기성 소화
혐기성 소화는 다양한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가수분해, 산 생성, 아세트산 생성, 메탄 생성의 네 단계를 거치며 폐기물 처리, 에너지 생산, 비료 생산 등에 응용될 수 있다. - 생분해성 폐기물 관리 - 대체기술
대체 기술은 환경 문제와 자원 고갈 해결을 위해 기존 기술을 대체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퇴비화, 대체 연료 차량, 생활하수 재이용,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재활용 등을 포함한다.
분뇨 | |
---|---|
정의 | |
설명 | 분뇨(糞尿)는 사람의 배설물, 즉 대변과 소변을 합쳐서 이르는 말이다. |
구성 | |
대변 | 대변은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과 소화액, 장 점막 세포, 세균 등으로 구성된다. |
소변 | 소변은 혈액에서 걸러진 노폐물과 수분으로 구성된다. |
위생 및 처리 | |
위생 문제 | 분뇨는 각종 병원균과 기생충의 온상이 될 수 있으므로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처리 방법 | 과거: 퇴비로 사용하거나 하천에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 정화조, 하수 처리장 등의 시설을 이용하여 정화 후 배출한다. |
환경 문제 | |
토양 및 수질 오염 | 분뇨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버릴 경우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다. |
온실 가스 배출 | 분뇨 처리 과정에서 메탄 등의 온실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
자원 활용 | |
퇴비 | 분뇨를 퇴비로 만들어 농작물 재배에 이용할 수 있다. |
에너지 생산 | 분뇨를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
인 회수 | 분뇨에서 인을 회수하여 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
관련 용어 | |
배설물 | 생물이 몸 밖으로 내보내는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오물 | 더럽고 쓸모없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
하수 |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쓰고 버리는 물. |
정화조 | 분뇨를 정화하는 시설. |
하수 처리장 | 하수를 정화하는 시설. |
2. 용어
"인분"이라는 용어는 언론에서 하수, 하수 슬러지, 블랙워터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지만,[1] 더 엄격한 의미에서는 물이 섞이거나 섞이지 않은 소변과 대변을 의미한다. 건식 변기는 물을 추가하지 않고 인분을 수집하는 예시이다.
2. 1. 정의
은나라 시대의 갑골 문자에 기원을 두고 있는 분뇨는 먹은 쌀이 배설된 것으로서 대변을, 뇨(尿)는 마신 물이 배설된 것으로서 소변을 나타낸다. 『고지키』나 『만엽집』에도 등장하며, 사람의 배설물과 가축 등의 배설물을 똥(屎)과 똥(糞)으로 구분하는 경향도 보인다.[1]현대 일본에서는 똥(屎)이라는 문자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일은 없고, 주로 "대변"이 사용된다.
분뇨는 '''오물'''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단, "오물"은 분뇨뿐만 아니라 화장실의 배수, 토사물, 사용한 화장지나 생리 용품, 기저귀 등[5] 분뇨보다 폭넓은 의미를 갖는 경우가 있다.
; 영어
: 외국 화장실 사정으로 흙을 덮는 경우가 많아, 거기에서 night soil이라는 명칭이 생겼다는 설과, Gong farmer|공 파머영어(별명: nightmen)이라는 분뇨 회수 작업자가 수집하는 것이 밤이었기 때문에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근대에는 night soil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fecal sludge라는 명칭이 일반적이다.
2. 2. 다양한 명칭
"인분"이라는 용어는 일반 언론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하수, 하수 슬러지, 블랙워터 등, 실제로 약간의 인분을 포함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1] 더 엄격한 의미에서 인분은 실제로 인체 배설물, 즉 물이 섞이거나 섞이지 않은 소변과 대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건식 변기는 물을 추가하지 않고 인분을 수집한다.분뇨는 먹은 쌀이 배설된 것으로서 대변을, 뇨(尿)는 마신 물이 배설된 것으로서 소변을 나타내는 문자로, 은나라 시대의 갑골 문자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고지키』나 『만엽집』에도 등장하며, 사람의 배설물과 가축 등의 배설물을 똥(屎)과 똥(糞)으로 구분하는 경향도 보인다(굳이 인분이라고 표기하는 등).
현대 일본에서는 똥(屎)이라는 문자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일은 없고, 주로 "대변"이 사용된다.
분뇨는 '''오물'''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단, "오물"은 분뇨뿐만 아니라 화장실의 배수, 토사물, 사용한 화장지나 생리 용품, 기저귀 등[5] 분뇨보다 폭넓은 의미를 갖는 경우가 있다.
; 영어
: 외국 화장실의 사정으로 흙을 덮는 경우가 많아, 거기에서 night soil이라는 명칭이 생겼다는 설과, Gong farmer|공 파머영어(별명: nightmen)이라는 분뇨 회수 작업자가 수집하는 것이 밤이었기 때문에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근대에는 night soil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fecal sludge라는 명칭이 일반적이다.
3. 건강 및 환경 문제
인분은 쉽게 분해되지 않아 산악 환경에서 환경 오염을 일으킨다. 매년 수백만 명의 등산객이 고산 지역을 방문하여 수 톤의 분뇨를 배출한다. 사람의 대변은 병원균 함량이 높아 소변보다 산악 환경에 더 큰 위협이 된다.[2]
3. 1. 건강 문제
인분은 생물 폐기물로 간주되며, 매개체로서 바이러스 및 세균 질환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식수에 유입될 경우 심각한 건강 위험이 될 수 있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콜레라 또는 이질과 같이 오염된 물로 인해 매년 약 220만 명이 사망한다고 보고한다. 인류 문명의 주요 업적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위생 및 위생 처리 실천을 통해 인분으로 인한 질병 전파를 줄인 것이다.4. 처리 방법
분뇨 처리 방법은 분뇨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 하수는 하수 처리를 통해 처리된다.
- 하수 슬러지는 하수 슬러지 처리를 통해 처리된다.
- 건식 변기에서 나온 분변은 퇴비화를 거칠 수 있다.
- 재래식 변소에서 나온 분뇨는 분뇨 관리라는 접근 방식으로 처리 및 관리된다.
인분과 혼합되는 물의 양은 물 없는 소변기와 퇴비 변기의 사용, 그리고 회색물 재활용을 통해 줄일 수 있다. 지방 자치 단체의 하수 처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농촌 지역에서 인분 처리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정화조 시스템이다. 하수 처리 시스템이나 정화조가 없는 외딴 농촌 지역에서는 인구가 적기 때문에, 더 밀집된 인구 밀도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위협 없이 푸세식 변기와 하수 라군(혐기성 라군 참조)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푸세식 변기는 영구 동토층 때문에 기존의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알래스카의 농촌 마을에서 사용된다.
4. 1. 하수 처리
하수는 하수 처리를 통해 처리된다. 하수 슬러지는 하수 슬러지 처리를 통해 처리된다. 건식 변기에서 나온 분변은 퇴비화를 거칠 수 있다. 재래식 변소에서 나온 분뇨는 분뇨 관리라는 접근 방식으로 처리 및 관리된다.인분과 혼합되는 물의 양은 물 없는 소변기와 퇴비 변기의 사용, 그리고 회색물 재활용을 통해 줄일 수 있다. 지방 자치 단체의 하수 처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농촌 지역에서 인분 처리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정화조 시스템이다. 하수 처리 시스템이나 정화조가 없는 외딴 농촌 지역에서는 인구가 적기 때문에, 더 밀집된 인구 밀도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위협 없이 푸세식 변기와 하수 라군(혐기성 라군 참조)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푸세식 변기는 영구 동토층 때문에 기존의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알래스카의 농촌 마을에서 사용된다.
4. 2. 하수 슬러지 처리
하수 슬러지는 하수 슬러지 처리를 통해 처리한다.4. 3. 건식 변기 분변 처리
건식 변기에서 나온 분변은 퇴비화를 거칠 수 있다.4. 4. 재래식 변소 분뇨 처리
재래식 변소에서 나온 분뇨는 분뇨 관리라는 접근 방식으로 처리 및 관리된다.지자체의 하수 처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농촌 지역에서 분뇨 처리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정화조 시스템이다. 하수 처리 시스템이나 정화조가 없는 외딴 농촌 지역에서는 인구가 적기 때문에, 더 밀집된 인구 밀도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위협 없이 푸세식 변기와 하수 라군(혐기성 라군 참조)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푸세식 변기는 영구 동토층 때문에 기존의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알래스카의 농촌 마을에서 사용된다.
4. 5. 기타 처리 방법
하수는 하수 처리를 통해 처리된다. 하수 슬러지는 하수 슬러지 처리를 통해 처리된다. 건식 변기에서 나온 분변은 퇴비화를 거칠 수 있다. 재래식 변소에서 나온 분뇨는 분뇨 관리라는 접근 방식으로 처리 및 관리된다.인분과 혼합되는 물의 양은 물 없는 소변기와 퇴비 변기의 사용, 그리고 회색 물 재활용을 통해 줄일 수 있다. 지방 자치 단체의 하수 처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농촌 지역에서 인분 처리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정화조 시스템이다. 하수 처리 시스템이나 정화조가 없는 외딴 농촌 지역에서는 인구가 적기 때문에, 더 밀집된 인구 밀도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위협 없이 푸세식 변기와 하수 라군(혐기성 라군 참조)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푸세식 변기는 영구 동토층 때문에 기존의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알래스카의 농촌 마을에서 사용된다.
5. 이용
하수(분뇨) 형태의 인분뇨는 담수가 부족한 개발도상국의 많은 지역에서 밭을 관개하고 비옥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음식을 익히지 않고 먹는 것의 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하수 농업은 도시 지역의 소비자에게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3]
분뇨는 동아시아 (중국 동부, 한반도, 일본)에서 비료로 농지에 환원되는 문화가 있었다.
5. 1. 비료
분뇨는 동아시아(중국 동부, 한반도, 일본)에서 비료(하비)로 농지에 환원되는 문화가 있으며,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후기에 도시와 농촌 사이에 유통 경로가 확립되었다고 한다. 에도의 경우, 퇴비의 원료가 되는 사토야마가 많았던 다마 지역에서는 수요가 적었고, 반대로 저습지가 많아 주운에 적합했던 가사이에서 이용이 활발했다.[3] 비료로서의 분뇨는 비료의 삼요소 중 질소가 과잉이므로 잎채소 재배에 적합하며, 현재 도쿄의 특산물인 고마츠나 재배에도 많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화학 비료가 저렴하게 대량 생산되기 시작한 1950년대까지 주요한 비료였다. 당시에는 신문 폐품 수집과 마찬가지로 농가가 분뇨를 사들였다.무사시노 철도(현재의 세이부 철도)에는 한때 히가시나가사키역과 에고타역 사이에 나가에역이 있어, 도쿄 내에서 모아진 분뇨를 화차에 싣고 다마 지구와 사야마 지구의 농가에 전달하기 위해 수송했으며, 황금 열차라고 불렸다.
이러한 분뇨 처리 시스템은 충분한 분뇨 처리가 되지 않아 잦은 페스트 등의 역병이 만연했던 동시대 유럽의 도시에 비해, 에도가 큰 역병 없이 장기간 번영한 이유 중 하나였다.
5. 2. 농업 활용 (개발도상국)
하수(분뇨) 형태의 인분뇨는 담수가 부족한 개발도상국의 많은 지역에서 밭을 관개하고 비옥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음식을 익히지 않고 먹는 것의 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하수 농업은 도시 지역의 소비자에게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3]5. 3. 퇴비화
하수(분뇨) 형태의 인분뇨는 담수가 부족한 개발도상국의 많은 지역에서 밭을 비옥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음식을 익히지 않고 먹는 것의 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하수 농업은 도시 지역의 소비자에게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3]분뇨는 동아시아 (중국 동부, 한반도, 일본)에서 비료(하비)로 농지에 환원되는 문화가 있다.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후기에 도시부와 농촌 사이에 유통 경로가 확립되었다. 에도의 경우, 퇴비의 원료가 되는 사토야마가 많았던 다마 지역에서는 수요가 적었고, 반대로 저습지가 많아 주운에 적합했던 가사이에서 이용이 활발했다. 비료로서의 분뇨는 비료의 삼요소 중 질소가 과잉이므로 잎채소의 재배에 적합하며, 현재 도쿄의 특산물인 고마츠나 재배에도 많이 사용되었다. 화학 비료가 저렴하게 대량 생산되기 시작한 1950년대까지 주요한 비료였다. 당시에는 신문 폐품 수집과 마찬가지로 농가가 분뇨를 사들였다.
무사시노 철도 (현재의 세이부 철도)에는 한때 히가시나가사키역과 에고타역 사이에 나가에역이 있었다. 이곳에서 도쿄 내에서 모아진 분뇨를 화차에 싣고, 다마 지구와 사야마 지구의 농가에 전달하기 위해 수송했으며, 황금 열차라고 불렸다.
이러한 분뇨 처리 시스템은 충분한 분뇨 처리가 되지 않아 잦은 페스트 등의 역병이 만연했던 동시대 유럽의 도시에 비해, 에도가 큰 역병 없이 장기간 번영한 이유 중 하나였다.
6. 역사 (일본 중심)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후기에 도시와 농촌 사이에 분뇨 유통 경로가 확립되었다. 에도에서는 분뇨가 비료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잎채소 재배에 적합하여 고마츠나 재배에 많이 사용되었다. 1950년대까지 주요 비료였으며, 농가가 분뇨를 사들였다.[1] 무사시노 철도는 황금 열차를 통해 분뇨를 농가에 수송했다.[1] 이러한 분뇨 처리 시스템은 에도가 페스트 등의 역병 없이 장기간 번영한 이유 중 하나였다.[1]
1900년(메이지 33년) 오물 청소법에서 분뇨가 폐기물로 규정되었으나, 유가물로서 매각은 계속되었다.[1] 다이쇼 시대에 경제 성장과 화학 비료 장려로 순환 체계가 무너지고, 지방 행정이 분뇨 수집과 처리를 담당하게 되었다.[1] 현재는 폐기물 처리법에 따른 일반 폐기물이다.[1]
6. 1. 에도 시대
동아시아(중국 동부, 한반도, 일본)에서는 분뇨가 비료(하비)로 농지에 환원되는 문화가 있으며,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후기에 도시부와 농촌 사이에 유통 경로가 확립되었다고 한다. 에도의 경우, 퇴비의 원료가 되는 사토야마가 많았던 다마 지역에서는 수요가 적었고, 반대로 저습지가 많아 주운에 적합했던 가사이에서 이용이 진전되었다고 한다. 비료로서의 분뇨는 비료의 삼요소 중 질소가 과잉이므로 잎채소의 재배에 적합하며, 현재 도쿄의 특산물인 고마츠나 재배에도 다용되었다고 생각된다.[1] 화학 비료가 저렴하게 대량 생산되기 시작한 1950년대까지 주요한 비료였으며, 당시에는 신문 폐품 수집과 마찬가지로 농가가 사들였다.[1]무사시노 철도(현재의 세이부 철도)에는 한때 히가시나가사키역과 에고타역의 중간에 나가에역이 있어, 도쿄 내에서 모아진 분뇨를 화차에 싣고, 다마 지구와 사야마 지구의 농가에 전달하기 위해 수송되었으며, 황금 열차라고 불렸다.[1]
이러한 분뇨 처리 시스템은, 충분한 분뇨 처리가 되지 않아 잦은 페스트 등의 역병이 만연했던 동시대 유럽의 도시에 비해, 에도가 큰 역병 없이 장기간 번영한 이유 중 하나였다.[1]
6. 2.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서 분뇨를 폐기물로 규정한 것은 1900년(메이지 33년)에 공포된 오물 청소법부터이다.[1] 단, 이는 공중 위생이 목적이었으며, 유가물로서의 매각은 계속되었다.[1]그러나 다이쇼 시대에 들어서면서 경제 성장이 노임 상승을 초래하여, 농촌 환원( 도시부에서 발생한 분뇨를 농지로 운반·시비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맞지 않게 되었다.[1] 게다가 즉효성이 높고 시비 효율도 좋은 유안(화학 비료)이 식량 증산을 위한 국책으로 장려된 점도 있어,[1] 마침내 순환 체계가 무너져 다이쇼 시대 중반 이후에는 주민이 수집료를 부담하고, 지방 행정이 분뇨 수집과 그 처리를 담당하는 현대의 모습이 되었다.[1]
현재는 폐기물 처리법에 따른 일반 폐기물에 해당하며, 오니, 분뇨의 구분에 해당한다.[1]
7. 수거 및 운송 (일본 중심)
오수 · 배수
오물차 · 바큠카
철도에 의한 분뇨 수송: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도 철도에 의한 분뇨 수송은 각지에서 소규모로 실시되었지만, 1944년 전쟁이 격화되자 도쿄도 도요시마구, 요도바시구, 나카노구, 스기나미구에서는 분뇨 수거 및 수송난이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이에 도쿄 서부 농촌 지대로 철도를 이용한 대규모 수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6]
7. 1. 에도 시대
에도 시대의 하비(下肥, 분뇨)는 분뇨를 혼합했지만, 교토와 오사카에서는 두 가지를 나누어 판매도 따로 했다고 한다. 현재,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주로 공중 위생 개선책으로 전염병 위험이 적은 변소를 널리 보급하는 운동이 있으며, 거기에서도 대변은 분할 저장하고, 소변을 작물에 시비하는 방책을 채택하고 있다.- '''하비의 물 타기'''
배로 운반된 점도 있어서인지, 분뇨에 물을 타서 부피를 늘리는 행위가 만연했다고 한다. 농가는 귀중한 하비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때로는 핥아서 맛을 보았다고 하는데, 이는 분뇨 속의 염분이 강물로 희석되지 않았는지 조사한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의 분뇨 처리 시설에서도 염화물 이온 농도를 측정하여, 처리 부하 등을 조절하는 지표로 삼고 있다.
7. 2. 근대
에도 시대의 하비(下肥, 분뇨)는 분뇨를 혼합했지만, 교토와 오사카에서는 두 가지를 나누어 판매도 따로 했다고 한다. 현재,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주로 공중 위생 개선책으로 전염병 위험이 적은 변소를 널리 보급하는 운동이 있으며, 거기에서도 대변은 분할 저장하고, 소변을 작물에 시비하는 방책을 채택하고 있다.- 하비의 물 타기
: 배로 운반된 점도 있어서인지, 분뇨에 물을 타서 부피를 늘리는 행위가 만연했다고 한다. 농가는 귀중한 하비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때로는 핥아서 맛을 보았다고 하는데, 이는 분뇨 속의 염분이 강물로 희석되지 않았는지 조사한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의 분뇨 처리 시설에서도 염화물 이온 농도를 측정하여, 처리 부하 등을 조절하는 지표로 삼고 있다.
- 오수 · 배수
- 오물차 · 바큠카
- 철도에 의한 분뇨 수송
: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도 철도에 의한 분뇨 수송은 각지에서 소규모로 실시되었지만, 1944년 전쟁이 격화되자 도쿄도(東京都)의 도요시마구, 요도바시구, 나카노구, 스기나미구에서는 분뇨의 수거 지연, 수송난이 심각한 문제가 되어, 도쿄 서부의 농촌 지대로 철도에 의한 수송이 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되었다[6]。
8. 폐기물 (일본)
일본에서 분뇨를 폐기물로 규정한 것은 1900년(메이지 33년)에 공포된 오물 청소법부터이다.[1] 단, 이는 공중 위생이 목적이었으며, 유가물로서의 매각은 계속되었다.[1]
그러나 다이쇼 시대에 들어서면서 경제 성장이 노임 상승을 초래하여, 농촌 환원( 도시부에서 발생한 분뇨를 농지로 운반·시비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맞지 않게 되었다.[1] 게다가 즉효성이 높고 시비 효율도 좋은 유안(화학 비료)이 식량 증산을 위한 국책으로 장려된 점도 있어, 마침내 사이클이 무너져 다이쇼 시대 중반 이후에는 수집료를 주민이 부담하고, 분뇨 수집과 그 처리를 지방 행정이 담당하는 현대의 모습이 되었다.[1]
현재는 폐기물 처리법에 따른 일반 폐기물에 해당하며, 오니, 분뇨의 구분에 해당한다.[1]
참조
[1]
뉴스
Human Waste May Be Flush With Gold, Silver, And Other Valuable Metals
http://www.huffingto[...]
2015-03-25
[2]
논문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 three approaches to management of human waste in a high-mountain environment
2017-01-02
[3]
뉴스
Human Waste Used by 200 Million Farmers, Study Says
https://archive.toda[...]
2008-08-21
[4]
서적
The Life of Greece
[5]
문서
汚物入れなどの言葉に使用例がある。
[6]
뉴스
西武線などで深夜運転
日本産業経済新聞
1944-06-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