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루간 카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루간 카툰은 칭기즈 칸을 섬겼던 바야우트 부족 출신 토르구스 퀴레겐의 딸로, 원 성종 테무르의 후궁이 되었다. 1299년 시린다리 카툰이 사망한 후 황후로 책봉되었으며, 성종의 병세 악화로 섭정 역할을 수행하며 제국을 통치했다. 1307년 성종 사후, 아난다를 옹립하려다 아유르바르와다 세력에 의해 폐위되어 처형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형된 몽골 사람 - 오굴 카미시 카툰
오굴 카이미시는 13세기 몽골 제국 귀유크 칸의 황후이자 섭정이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과 몽케 칸과의 대립으로 암살 음모 혐의를 받아 처형당하며 오고타이 가문과 툴루이 가문의 권력 다툼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사형된 몽골 사람 - 다나슈리 카툰
엘 테무르의 딸이자 원 혜종의 제1황후인 다나슈리 카툰은 아버지의 권세를 배경으로 황후가 되었지만, 오빠의 반란으로 폐위 후 독살당했으며, 잔악한 성정으로 기황후를 질투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 황태후 - 리트빈데
리트빈데는 820년 또는 825년경에 태어난 바이에른 출신 귀족 여성으로 카를만의 후궁이었으며, 아르눌프와 헤드비가 등을 낳고 896년에 사망했다. - 황태후 - 라드나시리 카툰
라드나시리 카툰은 옹기라트 부족 출신으로 원나라 황제 아유르바르와다의 황후이자 게게엔 칸의 생모이며, 아유르바르와다 즉위 후 황후가 되었고, 사후 장의자성 황후로 추존되었다.
불루간 카툰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몽골 제국 카툰, 원나라 황후 |
재위 기간 | 1299년–1307년 |
이전 | 시린다리 |
이후 | 제네 |
배우자 | 테무르 칸 |
가문 | 바야우트 |
씨족 | 바야우트 씨족 |
아버지 | 토르구스 쿠레겐 |
사망일 | 1307년 |
2. 생애
1299년 10월 4일 성종 테무르의 정비 시린다리 카툰이 사망하자 불루간은 황후로 책봉되었다.[1] 1305년 성종의 아들 테이슈를 낳았으나, 테이슈의 생모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2]
1300년 모후 코코진이 사망한 이후 불루간이 실권을 장악하여 병약한 성종을 대신해 정무를 관장하였다.[5] 1306년 다르마발라의 아들 아유르바르와다를 회주의 왕자로 허난으로 보냈지만, 같은 해 1월 3일 아들 테이슈가 사망하였다.
1307년 1월 성종이 붕어하자 불루간은 황후로서 섭정을 하며 정무를 보았다. 옹기라트씨 출신의 다기를 경계했던 불루간은 다기 카툰과 그의 아들들(카이샨, 아유르바르와다)을 수도에서 멀리 추방했다.[8] 불루간은 안서왕 아난다에게 제위에 오를 것을 제안하고 보정(輔政)으로 임명했으나, 무슬림이었던 아난다에 대한 일부 몽골 귀족들의 반발이 있었다.
1307년 3월 2일, 아유르바르와다 일파가 대도를 제압하고 불루간 일파를 체포했다. 불루간은 아난다와 간통했다는 혐의로 황태후에서 폐위되어 동안주로 유배되었고, 그해 5월 자진하라는 명을 받고 죽임을 당했다.[7]
2. 1. 가계와 초기 생애
불루간의 출생 연도와 생일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할아버지 부카 쿠르겐(不合古咧堅 혹은 普化)은 바야우트 부족 출신으로, 칭기즈 칸을 섬긴 천부장 중 한 명이었다.[4] 쿠르겐은 몽골어로 부마라는 뜻인데, 할아버지 부카 쿠르겐의 부인은 이름은 기록에 없어 전해지지 않지만, 칭기즈 칸 가문의 여성으로 추정된다. '원사' 106권에는 훈신으로 기록되어 있다. 부카 쿠르겐은 칭기즈 칸 재위 기간 주치 칸의 아들과 함께 삼림 부족을 정벌하는 전쟁에 참전했으며, 칭기즈 칸과 자무카 사이의 전투인 13익 전투에서도 활약하였다.[4] 일설에는 부카 쿠르겐이 불루간의 할아버지가 아니라 증조부라는 설도 있다. '신원사' 104권에 의하면 호는 수정(綏靜)이라고 한다.페르시아계 사서 '집사'의 바야우트 부 편에 따르면, 바야우트부는 크게 두 계통으로 나뉘는데 지다 강 유역에 사는 제데이 바야우트와 초원에 사는 케헤린 바야우트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부카 쿠레겐은 이 중 제데이 바야우트부 출신이었다.
불루간의 아버지 툴리쿠스 쿠르겐(Тулис хүргэн, 脱里忽思 혹은 脫思想)의 부인은 칭기즈 칸의 딸과 주치의 딸이었다. 그는 현명하고 슬기로운 성격이었다고 한다. 불루간의 어린 시절과 초기 생애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불루간은 부유한 집안 출신이었다.
2. 2. 황후 책봉과 권력 장악
1295년 성종 테무르의 후궁으로 입궁하였다. 1299년 10월 4일 성종의 정비 시린다리 카툰이 사망하자 황후로 책봉되었다.[1] 불루간은 시린다리 카툰보다 성종의 총애를 받았다고 한다.[2]1305년 성종의 아들 테이슈를 낳았다. 테이슈의 생모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라시드 웃딘의 집사와 와사프의 와사프 역사에는 바야우트부 출신 불루간이 테이슈를 낳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원나라 말 명나라 초의 작가 도종의가 1366년에 쓴 남촌철정록(南村輟耕録) 혹은 철정록(輟耕録)에도 테이슈는 불루간의 소생이라 한다.
성종은 주색을 즐기는 나쁜 버릇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었고, 1300년 모후 코코진이 사망한 이후 불루간이 실권을 장악하여 천자를 대리해 정무를 관장하였다.[5] 1306년 다르마발라의 아들 아유르바르와다를 회주의 왕자로 허난으로 추방했지만, 1월 3일 아들 데쇼가 사망하였다.
2. 3. 섭정과 정변
1306년 성종의 황태자 테이슈가 아버지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면서 후계 문제가 불거졌다. 옹기라트씨 출신의 다기를 경계했던 불루간은 다기 카툰과 그의 아들들(카이샨, 아유르바르와다)을 수도에서 멀리 추방했다.[8]1307년 1월 성종의 병세가 위중해지자 불루간은 안서왕 아난다에게 제위에 오를 것을 제안하고 보정(輔政)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아난다는 무슬림이었기 때문에 일부 몽골 귀족들의 반발을 샀다. 성종이 붕어하자 불루간은 황후로서 섭정을 하며 정무를 보았다. 우승상 하라하슨(哈剌哈孫)을 비롯한 몽골 왕공들은 카이샨과 아유르바르와다에게 성종의 서거 소식을 알리고 대도로 귀환할 것을 촉구했다.
1307년 3월 2일, 아유르바르와다 일파가 대도를 제압하고 불루간 일파를 체포했다. 불루간은 아난다와 간통했다는 혐의로 황태후에서 폐위되어 동안주로 유배되었고, 그해 5월 자진하라는 명을 받고 죽임을 당했다.[7]
2. 4. 최후와 평가
1307년 3월 초, 아유르바르와다는 불루간을 아난다와 간통했다는 혐의로 황태후에서 폐위하고, 동안주(현,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랑팡 시 안치구)로 유배하였다.[1] 그해 5월 카이샨의 명으로 자결하였다.[1] 몽골의 사학자 소드벨리크(Ч.Содбилэг)에 의하면 불루간 카툰은 1309년까지도 살아있었다는 설이 있다.[1]불루간의 시신과 장지는 알려지지 않았다.[1] 한때 그가 안서왕 아난다와 사통했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확실한 근거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1]
1310년 무종 카이산은 성종의 정비 시린다리 카툰을 태묘의 성종묘에 부묘하고 시호를 추서했다.[1] 그러나 불루간은 태묘에 배향되지 못했고, 시호를 받은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1] 《원사》 성종본기에는 그의 칭호가 폐황후(廢皇后)로 나타난다.[1]
불루간 카툰의 죽음은 원나라 중기 권력 투쟁의 비극적인 결말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3. 가계
불루간 카툰은 부카 쿠르겐의 손녀이다.
3. 1. 부카 쿠르겐 가문
부카 큐레겐은 불루간 카툰의 조부이다.참조
[1]
서적
The Mongol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11-07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4]
서적
村上1972
[5]
서적
ドーソン1971
[6]
서적
[7]
서적
ドーソン1971
[8]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