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는 마다가스카르가 원산지인 여우원숭이의 일종이다. 몸무게는 3.3~4.5kg이며, 털은 적갈색을 띠고 머리, 배, 사지, 꼬리는 검은색이다. 주행성 동물로, 과일을 주로 먹지만 잎, 새싹, 씨앗 등도 섭취한다. 2~16마리의 모계 사회 집단을 이루며 생활하고, 번식기는 5~7월이다. IUCN 적색 목록에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되었으며, 서식지 감소, 밀렵, 애완동물 거래가 주요 위협 요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용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바이지
    바이지, 즉 양쯔강돌고래는 인간 활동으로 멸종된 최초의 고래목 동물로 추정되지만, 멸종 선언 이후에도 목격담이 보고되어 IUCN 레드 리스트에서 절멸위급종으로 분류되어 소수 개체의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식용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청상아리
    청상아리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빠른 속도로 헤엄치는 상어 종으로, 두족류 등을 먹고 사람에게 위험하지만 공격 사례는 드물며, 어업 대상종으로 이용되지만 사육은 매우 어렵다.
  • 1812년 기재된 포유류 - 흰머리마모셋
    흰머리마모셋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윤리적 문제,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에 대해 다루고 있다.
  • 1812년 기재된 포유류 - 검은꼬리마모셋
  • 애완동물 거래로 인한 절멸위기종 - 오랑우탄
    오랑우탄은 "숲의 사람"을 의미하는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유인원으로, 보르네오섬, 수마트라섬, 타파눌리섬에 서식하는 세 종이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애완동물 거래로 인한 절멸위기종 - 오셀롯
    오셀롯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중형 포유류로, 갈색 또는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 얼룩무늬를 가지며, 주로 야행성으로 열대 우림에서 단독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 등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및 이미지 정보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 Varecia rubra
''V. rubra'' 분포 지도
V. rubra 분포
기본 정보
학명Varecia rubra
명명자É. Geoffroy, 1812
영어 이름Red ruffed lemur
한국어 이름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CR
CITES부속서 I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영장목
아목곡비원아목
하목여우원숭이하목
상과여우원숭이상과
여우원숭이과
아과여우원숭이아과
목도리여우원숭이속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
학명 이명

2. 분류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 상세 묘사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는 과거 검은흰목도리여우원숭이와 같은 종(목도리여우원숭이)으로 여겨져 아종으로 간주되었으나, 2001년에 독립된 종으로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속명 ''Varecia''는 마다가스카르어로 여우원숭이를 의미하는 'varika'에서 유래했으며, 종소명 ''rubra''는 라틴어로 '붉은색'을 의미한다.

3. 신체적 특징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는 목도리여우원숭이 두 아종 중 더 크며,[3] 몸길이는 약 50cm에서 56cm 정도이고,[19][20][5] 꼬리 길이는 56cm에서 65cm로 몸보다 약간 더 길다.[19][20][5] 체중은 3.3kg에서 4.5kg 사이이며,[21][19][4]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더 크다.[21][19][6] 가늘고 긴 몸과 다리를 가지고 있다.

털은 두껍고 부드러우며, 이름처럼 목도리와 몸의 털 색깔이 적갈색을 띤다.[21] 머리, , 꼬리, 발, 사지 안쪽은 검은색이다.[28][6] 뒷목에는 흰색 반점이 있으며, 발이나 입가에 흰색 무늬가 있는 경우도 있다.[28][6] 영문명 'Red Ruffed Lemur'의 'Ruffed'는 '주름진 깃이 달린'이라는 의미로, 작고 뒤쪽에 있는 귀를 가릴 정도로 길게 자란 적갈색 털 깃이 특징이다.[21] 좁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아래 앞니가 치아빗처럼 앞으로 튀어나와 있어 이를 이용해 털을 손질한다. 뒷발의 두 번째 발톱 또한 털 손질에 사용된다.

4. 생태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는 주행성 동물이며, 주로 아침과 저녁 시간에 가장 활동적이다.[7][22] 수목 생활을 선호하며, 나무 위 수관의 가장 높은 부분에서 자주 발견된다.[19] 또한 매우 깨끗한 동물로 알려져 있어,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개체의 털을 손질하는 사회적 털 고르기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29]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들이 서로 털을 고르는 모습

4. 1. 행동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는 매우 청결한 동물로, 자신과 서로의 털을 손질하는 사회적 털 고르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29] 이를 위해 특별히 발달한 아래 앞니와 뒷발의 두 번째 발톱을 사용한다. 아래 앞니는 서로 나란히 앞으로 자라 약간의 간격을 두어 길고 부드러운 털을 빗질하는 치아빗 역할을 하며, 발톱 역시 털 손질에 쓰인다.[29]

야생에서의 수명은 15~20년 정도이며, 사육 상태에서는 25년 이상 사는 경우가 드물지 않고 약 33살까지 산 기록도 있다.[7] 주행성 동물로 주로 아침과 저녁 시간에 활동적이며,[7][22] 수목 생활을 선호하여 나무 위, 특히 수관의 가장 높은 곳에서 자주 발견된다.[19]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 한 쌍이 물을 마시고 있다


일반적으로 2~16마리가 모여 작은 모계 사회 집단을 이루지만, 최대 32마리까지 무리를 짓는 것이 관찰된 바 있다.[5] 먹이가 풍부한 우기에는 때때로 큰 무리를 형성하여 함께 먹이를 찾지만, 과일이 부족해지는 건기에는 흩어져서 혼자 먹이를 찾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건기에도 큰 무리를 유지하는 대부분의 다른 주행성 여우원숭이와는 다른 행동 양상이다.[5] 일부 연구에서는 일부일처 관계나 소규모의 조직적인 집단 형태로 발견되기도 한다고 보고한다.[8]

기본적으로 과식성 동물로, 주식은 과일, 꽃꿀, 꽃가루 등이다.[5][21] 특히 열대 우림무화과를 매우 좋아하여 이를 찾아 나무 사이를 오가며 시간을 보낸다.[20] 과일을 구하기 어려울 때는 이나 씨앗을 먹기도 한다.[5][27][10] 사육 환경에서는 과일 외에도 케일, 로메인 상추, 시금치와 같은 채소콜로부스아과용 먹이 등을 제공받는다.[21]

듀크 여우원숭이 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약 12가지의 다양한 소리를 내어 의사소통하며, 숲에서는 상당한 거리에서도 들을 수 있는 큰 울음소리를 통해 서로 연락한다.[8] 흥미롭게도, 마다가스카르의 다른 지역에 서식하는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와 서로의 소리를 이해할 수 있다. 소리 외에도 냄새 맡기(냄새 표지)는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된다.

4. 2. 사회 체제

원원류는 일반적으로 2마리에서 16마리 정도의 작은 모계 사회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며, 때로는 최대 32마리까지 무리를 짓는 것이 기록되기도 했다.[27][5] 무리 내에서는 암컷이 주도권을 가진다.[19]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의 사회적 행동은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먹이가 풍부한 우기에는 때때로 큰 무리를 형성하여 하나의 먹이 공급원을 찾아 함께 먹이를 구한다.[5][22] 반면, 과일 등 먹이가 부족해지는 건기에는 무리가 흩어져 각자 먹이를 찾는 경향이 있다. 이는 대부분의 다른 주행성 여우원숭이들이 건기에도 큰 무리를 유지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5] 때로는 건기에 큰 무리가 완전히 분열되기도 한다.[22]

현장 연구에 따르면,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는 검은목도리여우원숭이처럼 일부일처제 관계를 맺거나 소규모의 조직적인 집단으로 발견될 수 있다. 또한, 숲 속에서 상당한 거리에서도 들을 수 있는 큰 울음소리를 통해 서로 의사소통한다.[8]

4. 3. 번식

검은목도리여우원숭이와 마찬가지로 일부일처제의 짝을 형성한다.[23] 수컷은 생후 3~4년, 암컷은 2년 미만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하며,[14] 약 3세부터 번식을 시작한다.[3]

번식기는 건기 말인 5월에서 7월 사이로 정해져 있다.[27][14] 이는 먹이가 더 풍부한 우기에 새끼가 태어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암컷은 약 102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28] 9월에서 11월 초 사이에 출산한다.[14]

다른 주행성 영장류와는 달리,[27][5] 암컷은 숲 속 10m에서 20m 높이에 나뭇가지, 잎, 덩굴, 자신의 털 등으로 둥지를 만들고 그곳에서 출산과 육아를 한다.[27][19]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는 새끼를 둥지에서 기르는 유일한 주행성 영장류이다.[28]

한 번에 2~3마리의 새끼를 낳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대 6마리까지 낳을 수도 있다.[28][19] 사육 상태에서는 최대 6마리의 동복 자수가 보고된 바 있다.[19] 암컷은 여러 개의 젖꼭지를 가지고 있어 최대 6마리의 새끼에게 동시에 젖을 먹일 수 있다.[9]

새끼는 태어날 때부터 털이 있고 눈을 뜨고 있지만 움직이지는 못한다.[28] 임신 기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다른 여우원숭이 새끼들만큼 완전히 발달하지 못한 상태이며, 태어난 직후에는 어미에게 매달릴 수 없다.[9] 어미는 새끼를 옮길 때 입으로 한 마리씩 물어서 옮기며,[9] 보통 태어난 지 1~2주 후에 새끼를 둥지에서 다른 안전한 곳으로 옮긴다. 어미가 먹이를 구하러 갈 때는 새끼를 근처 나무에 잠시 남겨두기도 한다.[9] 새끼는 생후 7주까지 둥지에 머무른다.[9] 출산 후 며칠 동안 어미가 먹이를 구하기 위해 둥지를 비워야 할 경우, 아비가 둥지 근처에서 경계를 서며 새끼를 보호하기도 한다.[9]

이유는 생후 4개월경에 이루어진다.[28][6] 야생에서 새끼는 1~2주 사이에 둥지를 떠나기 시작해 3~4주까지 어미를 따라다니지만,[19] 새끼의 사망률은 매우 높다. 약 65%의 새끼가 생후 3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죽는데, 주된 원인은 나무에서 떨어지는 사고 등으로 추정된다.[27][5][19]

4. 4. 수명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는 야생에서 15~20년 정도 산다. 사육 상태에서는 25년까지 사는 것이 드물지 않으며, 기록상으로는 약 33년까지 산 개체도 있다.[29][19]

5.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은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를 위급종(Critically Endangered)으로 분류하고 있다.[2][25]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서식지 파괴(벌목, 서식지 소각, 개간, 사이클론, 채광), 밀렵(사냥), 불법적인 애완동물 거래 등이 꼽힌다.[2][25] 또한 큰 뱀, 독수리, 포사와 같은 천적도 존재한다.[2][11]

특히 불법 벌목은 2009년 이후 더욱 증가하여 이용 가능한 숲 서식지가 크게 감소했다.[2] 로즈우드와 같은 가치 있는 열대 경목을 노린 불법 벌목은 심각한 문제이며, 이는 마다가스카르의 정치적 불안정과도 연관되어 있다.[12] 자급자족을 위한 개간과 수렵 역시 서식지를 파괴하고 개체 수를 위협하는 주요 원인이다.

야생에서의 정확한 개체 수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야생 개체군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5] 1997년 마소알라 국립공원의 설립은 이 종의 보호에 기여했지만, 여전히 많은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가 공원 경계 밖에 서식하고 있어 멸종 위험은 높은 상태이다.[5][27] 현재 공식적으로는 마다가스카르 북동부 마소알라 반도 주변의 마소알라 국립공원과 마키라 자연 공원에서 보호받고 있다.

사육 상태에서는 2009년 기준으로 전 세계 동물원에 약 590마리가 있으며,[12] 이는 종 생존 계획(SSP)에 따라 관리되고 있다.[12] 여러 동물원들은 번식 프로그램을 통해 협력하며 사육 개체수를 늘리고 관리하고 있다. 근친 교배를 방지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야생에서 포획된 개체를 번식 프로그램에 도입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육 개체만으로는 멸종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예방책일 뿐이며, 야생 서식지 보호와 불법 행위 근절 등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시급하다.

참조

[1] MSW3
[2] iucn "''Varecia rubra''" 2020
[3] 웹사이트 Donor Login - Woodland Park Zoo Seattle WA http://www.zoo.org/p[...] 2018-01-05
[4] LoM3
[5] 웹사이트 Duke Primate Center red ruffed lemur http://lemur.duke.ed[...] 2006-04-05
[6] 웹사이트 red ruffed lemur factsheet http://www.zoo.org/f[...] 2007-04-16
[7] 웹사이트 Animal Info – Ruffed Lemur http://www.animalinf[...] 2007-04-16
[8] 웹사이트 Red Ruffed Lemur Facts http://www.cougarmou[...] 2012-03-25
[9] 웹사이트 Red Ruffed Lemur Reproduction Facts | Duke Lemur Center http://lemur.duke.ed[...] 2012-03-25
[10] 웹사이트 Bristol Zoo gardens: red ruffed lemur http://www.bristolzo[...] 2009-06-24
[11] 웹사이트 Red Ruffed Lemur: The Animal Files http://www.theanimal[...] 2018-01-05
[12] 웹사이트 Red Ruffed Lemur Habitat and Conservation Facts | Duke Lemur Center http://lemur.duke.ed[...] 2012-03-25
[13] 웹사이트 Checklist of CITES Species http://checklist.cit[...] UNEP-WCMC 2024-03-23
[14] 간행물 "''Varecia rubra''" 2020
[15] MSW3
[16] 논문 キツネザル類はどのように分類されてきたか https://doi.org/10.2[...] 日本霊長類学会 2006
[17] 문서 "An annotated catalogue of Malagasy primates (families Lemuridae, Indriidae, Daubentoniidae, Megaladapidae, Cheirogaleidae) in the collections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985
[18] 웹사이트 Red-ruffed Lemur (Varecia rubra) Fact Sheet: Taxonomy & History https://ielc.libguid[...] San Diego Zoo Wildlife Alliance 2024-03-06
[19] 웹사이트 Animal Info – Ruffed Lemur http://www.animalinf[...] 2023-03-23
[20] 웹사이트 Bristol Zoo gardens: red ruffed lemur http://www.bristolzo[...] 2024-03-23
[21] 웹사이트 red ruffed lemur factsheet http://www.zoo.org/f[...] 2024-03-23
[22] 웹사이트 Duke Primate Center red ruffed lemur http://lemur.duke.ed[...] 2023-03-23
[23] 웹사이트 Red Ruffed Lemur Facts http://www.cougarmou[...] 2023-03-23
[24] MSW3
[25] IUCN
[26] 서적 https://archive.org/[...]
[27] 웹인용 http://primatecenter[...]
[28] 웹인용 http://www.zoo.org/f[...]
[29] 웹인용 http://www.animalinf[...]
[30] 웹인용 http://www.bristolz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