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붉은배피라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배피라냐는 카라신목에 속하는 잡식성 어류로, 남아메리카의 여러 강에서 발견된다. 최대 3.9kg까지 자라며, 배가 붉은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붉은배피라냐는 곤충, 물고기, 식물 등을 먹으며, 포식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붉은배피라냐는 널리 분포하며 개체수가 풍부하여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라과이의 물고기 - 스콜로플락스속
    스콜로플락스속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뚜렷한 방패 모양 코 판과 지방 지느러미가 없는 특징을 가진 메기목 스콜로플락스과의 유일한 속으로, 식생이 풍부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6종이 알려져 있다.
  • 아르헨티나의 물고기 - 비막치어
    비막치어는 남극 심해에 사는 큰 물고기로, 맛이 좋아 식용으로 인기가 많지만, 성장 속도가 느려 남획에 취약하여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국제적으로 어획량을 제한하는 등 보호 및 관리되고 있으며,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는 메로,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칠레 농어라는 이름으로 유통된다.
  • 아르헨티나의 물고기 - 줄무늬삽코메기속
    줄무늬삽코메기속은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며 아시아메기과에 속하는 어류 속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고 강, 호수 등에서 야행성 포식자로 서식하며 관상어로 인기가 높지만 멸종 위기에 놓여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붉은배피라냐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Pygocentrus nattereri
명명자(Kner, 1858)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카라신목
세라살무스과
피고켄트루스속
붉은배피라냐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LC (최소 관심)
IUCN 평가 기준IUCN3.1
IUCN 참고 자료Brejão, G.L. 2024. Pygocentrus natterer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4: e.T186604A1815617. Accessed on 30 October 2024.
기타
학술지 인용Santos, Carlos Henrique dos A. dos; Sá Leitão, Carolina S.; Paula-Silva, Maria de N.; Almeida-Val, Vera Maria F. (2016). "Genetic differentiation in red-bellied piranha populations (Pygocentrus nattereri, Kner, 1858) from the Solimões-Amazonas River". Ecology and Evolution. 6 (12): 4203–4213. doi:10.1002/ece3.2195. PMID 27516875. PMC 4972243.
독일 카를스루에 동물원의 붉은배피라냐
독일 카를스루에 동물원의 붉은배피라냐

2. 분류 및 계통 발생

붉은배피라냐는 중대형 카라신과파쿠와 같이 밀접하게 관련된 다른 잡식성 동물을 포함하는 세라살무스과에 속한다.[5] 이들은 깊고 측면이 압축된 몸과 긴 등지느러미가 특징이다.[6] 붉은배피라냐는 피고켄트루스속으로 분류되며, 특이한 치열과 다양한 머리 너비 치수로 구별된다. 피라냐과에 속하지 않는 대부분의 다른 물고기는 주로 초식성이지만, 붉은배피라냐는 종종 육식성이 강한 것으로 간주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잡식성이다.[6]

3. 묘사

붉은배피라냐는 사나운 포식자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주로 청소부 역할을 한다.[7]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다 자라면 배에 불그스름한 색조를 띤다. 어린 개체는 더 어두운 반점이 있는 은색이다. 몸무게는 최대 3.9kg, 표준 길이는 50cm에 달하지만,[3] 35cm를 넘는 경우는 거의 없다.[9] 몸은 회색에 은색 주름 비늘로 덮여 있으며, 아가미 뒤쪽에 검은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항문 지느러미는 보통 바닥이 검은색이고, 가슴지느러미와 골반지느러미는 빨간색에서 주황색까지 다양하다. 암컷은 수컷보다 배의 붉은색이 더 깊다.[8]

4. 분포 및 서식지

붉은배피라냐는 남아메리카 대륙 전역에 널리 분포하며 아르헨티나, 브라질,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가이아나,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 베네수엘라신열대구 강에서 발견된다. 아마존강, 파라과이강, 파라나강, 에세키보강 등 여러 주요 강의 따뜻한 담수 배수구와 수많은 소규모 시스템에서 서식한다.[9] 15°C~35°C 사이의 물에서 살 수 있지만 일정 기간 동안 10°C의 낮은 온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10] 주로 백수하천에서 발견되지만[11], 흑수하천청수하천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9] 붉은배피라냐는 주요 강, 개울, 호수 (댐으로 형성된 우각호와 인공 호수 등), 범람원[9], 홍수림[8]에 서식한다.

1998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벤투라군 시미밸리의 한 골프장 호수에서 붉은배피라냐 한 마리가 발견되었다.[13] 캘리포니아주워싱턴주는 붉은배피라냐의 유입을 막기 위해 감시를 장려하고 있다.[13][14]

5. 행동

붉은배피라냐는 이주하는 종은 아니지만,[17]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찾아 강우량이 증가하는 계절에 이동한다. 잡식성으로 곤충, 물고기, 식물, 유기 파편 등을 먹는다.[2]

독일 로스토크 동물원의 붉은배피라냐

5. 1. 먹이

붉은배피라냐는 잡식성으로 과일[18][19], [19], 곤충[19], 연체동물[19], 부육[19], 물고기[19] 등을 먹는다. 피라냐는 수백 마리까지 무리를 지어 백로카피바라만큼 큰 동물을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주로 청소부와 수렵꾼이며 먹이가 풍부한 우기에는 주로 식물과 곤충을 먹는다.[20] 또한 야생에서는 약하거나 다치거나 죽은 동물만 먹는 경향이 있다.[18] 붉은배피라냐는 더 큰 동물을 사냥하기 위해 무리를 짓는 것이 아니라 포식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무리를 짓는다.

먹이를 찾는 방법은 피라냐의 성장 단계에 따라 다르다. 작은 물고기는 낮에 먹이를 찾는 반면, 큰 물고기는 새벽, 늦은 오후, 이른 저녁에 먹이를 찾는다. 하루 종일 물고기는 어두운 곳에 숨어 먹이를 매복한다. 피라냐는 사냥과 추격을 통해 먹이를 잡을 수도 있으며, 먹이가 헤엄쳐 지나갈 때까지 초목에 숨어 있다가 먹이를 포획한다. 청소할 때는 파편, 곤충, 달팽이, 물고기 지느러미, 비늘, 식물 등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2]

5. 2. 번식

붉은배피라냐는 보통 생후 1년이 되면 번식할 수 있다. 암컷 피라냐는 수생 식물 근처에 수천 개의 알을 낳고, 알은 수생 식물에 달라붙는다. 수컷이 알을 수정하면 2~3일 후에 부화한다. 어린 피라냐는 자신을 방어할 수 있을 만큼 커질 때까지 식물에 숨어 있다가 포식자로부터 피하고 먹이를 찾는다.[18]

자연에서 붉은배피라냐의 번식 행동을 연구한 결과, 둥지 주변에서 특정 행동 패턴이 나타났다. 성체 피라냐는 작은 원을 그리며 나란히 헤엄치는데, 때로는 두 마리가 서로 배를 가까이 한 채 반대 방향으로 헤엄치기도 한다. 이는 구애 행동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성체가 둥지를 지키고 있는 것이다. 둥지는 약 4cm~5cm 깊이로 물풀 사이에 있으며, 알은 풀과 식물 줄기에 붙어 있다.[15]

5. 3. 무리

붉은배피라냐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공격하기 위해 무리를 지어 이동한다. 모의 포식자 공격 실험에서, 2마리보다 8마리가 무리를 이룬 피라냐의 휴식 작동률이 더 빠르게 정상으로 돌아왔다. 피라냐가 무리 지어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협동 사냥보다는 포식자에게서 벗어나기 위한 행동으로 보인다.[22]

이러한 행동은 아마존강돌고래, 대형 포식 어류, 카이만, 황새, 왜가리, 안힝가와 같은 물새 등 큰 동물에게 잡아먹히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22] 피라냐는 포식자에게 공격받을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무리를 지어 둥지로 이동하며, 침수된 지역 가장자리에 둥지를 짓는다.[23]

6. 보존 상태

붉은배피라냐는 널리 퍼져 있으며 지역적으로 풍부하다. 분포 지역의 일부에서는 가장 흔한 어종 중 하나이다.[4] 수족관 거래로 인한 위협은 낮은 편이다.[8]

7. 인간과의 관계

붉은배피라냐는 주로 청소부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사나운 포식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7] 이러한 인식은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일화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루스벨트-런던 과학 탐험대가 끝난 후, 루스벨트 대통령은 몇 분 만에 소 한 마리가 통째로 뼈만 남을 정도로 붉은배피라냐에게 공격당했다는 극적인 이야기를 전했다. 그러나 이 사건은 현지 가이드들이 루스벨트에게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연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즉, 붉은배피라냐가 갇힌 강 구간에서 일주일 넘게 굶주린 상태에서 불쌍한 소가 희생된 것이었다. 루스벨트가 이 사실을 알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참조

[1] 간행물 Pygocentrus nattereri e.T186604A1815617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4-10-30
[2] 웹사이트 "Pygocentrus nattereri"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2016-02-19
[3] FishBase "Pygocentrus nattereri" http://fishbase.org/[...] FishBase 2015
[4] 저널 Genetic differentiation in red-bellied piranha populations (''Pygocentrus nattereri'', Kner, 1858) from the Solimões-Amazonas River 2016
[5] 웹사이트 Black-finned Pacu Fish, ''Colossoma macropomum'': Profile with care, maintenance requirements and breeding information for your tropical fish http://badmanstropic[...] Badmanstropicalfish.com 2012-05-13
[6] 저널 Molecular systematics of Serrasalmidae: Deciphering the identities of piranha species and unraveling their evolutionary histories http://www.mapress.c[...] 2009-06-22
[7] 웹인용 Red-bellied piranha https://www.bbc.co.u[...] BBC 2012-12-10
[8] 웹인용 Red-bellied piranha http://www.arkive.or[...] ARKive 2013-11-14
[9] 웹인용 "Pygocentrus nattereri" http://www.seriously[...] SeriouslyFish 2017-10-08
[10] 저널 Cold Tolerance and Potential Overwintering of the Red-Bellied Piranha in the United States 1997-09
[11] 저널 Fish Communities in Central Amazonian White- and Blackwater Floodplains 2000
[12] 서적 Biological invasions and its management in China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13] 웹인용 California's Invaders: Piranha https://wildlife.ca.[...] 2023-01-17
[14] 웹인용 Red-Bellied piranha https://wdfw.wa.gov/[...] 2023-01-17
[15] 저널 Reproductive strategies of Red-bellied Piranha (''Pygocentrus nattereri'' Kner, 1858) in the white waters of the Mamirauá flooded forest, central Brazilian Amazon 2010-09
[16] 저널 Acoustic Communication: Sound Advice from Piranhas 2011-12-20
[17] 서적 Migration of Freshwater Fishes https://archive.org/[...] Blackwell Science 2001
[18] 웹인용 Red-bellied piranha https://eol.org/page[...] Encyclopedia of Life 2013-10-03
[19] 웹인용 "Pygocentrus nattereri (Redbelly piranha)" https://animaldivers[...]
[20] 웹인용 Piranha – Ferocious Fighter or Scavenging Softie? http://indianapublic[...] Indiana Public Media
[21] 저널 Breeding behaviour of the red-bellied piranha, ''Pygocentrus nattereri'', in nature 1993-12
[22] 저널 Safety in numbers? Shoaling behaviour of the Amazonian red-bellied piranha 2005-06-22
[23] 저널 Population ecology of Red-bellied Piranha ''Pygocentrus nattereri'' Kner, 1858 (Characidae: Serrasalminae) in the Negro River, Pantanal, Brazil https://www.resear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