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붓뚜껑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붓뚜껑말은 'Oedogonium' 속의 녹조류로, 부어오름 또는 종양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19세기 후반부터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형태, 생태, 분포 측면에서 다양한 종이 보고되었다. 붓뚜껑말은 좁고 원통형의 세포가 연결된 실 모양을 가지며, 정체된 담수 환경에 서식한다. 무성 생식과 유성 생식을 하며, 유주자를 통한 번식이 흔하다. 붓뚜껑말은 중금속 흡수 능력이 있어 실용적인 가치를 지니지만, 과도한 번식은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수백 종이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녹조강 - 좁쌀공말
    좁쌀공말은 담수에서 서식하며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을 통해 번식하는 녹조류로, 특이한 콜로니 역전 과정을 보이는 다세포 군체를 이루며 다세포 생물 진화 연구에 활용되는 모델 생물이다.
  • 녹조강 - 붓뚜껑말과
    붓뚜껑말과는 붓뚜껑말목에 속하며 Bulbochaete속, Oedocladium속, 붓뚜껑말속, Pseudoprostratum속을 하위 속으로 거느리고, 특히 붓뚜껑말속은 569종을 포함하는 가장 큰 속이다.
붓뚜껑말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Oedogonium sp., showing an oogonium (swollen cell) and antheridia (short stacked cells)
Oedogonium sp., 난세포 (부푼 세포)와 장정기(짧게 쌓인 세포)를 보여줌
학명Oedogonium
명명자Link ex Hirn, 1900
이명해당 없음
모식종Oedogonium grande
모식종 명명자Kützing ex Hirn
하위 분류 계급
하위 분류본문 참조

2. 어원

처음에는 독일어로 ''Oedogoniaceen''으로 명명되었다. 이후 ''Oedogoniales''라는 이름은 라틴어 ''oedos''(부어오름 또는 종양을 의미)와 ''gonos''(자손 또는 씨앗을 의미)에서 유래했다. 이 이름은 히른(Hirn)이 ''Oedogonium''의 유성 생식과 무성 생식 과정에서 관찰한 형태를 설명하며, 그의 저서 "Monographie und iconographie der Oedogoniaceen"에서 설명되었다.[12]

3. 발견 및 연구사

붓뚜껑말에 대한 연구는 19세기 후반 유럽 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13][14][15][16][17] 20세기 초에는 히른이 붓뚜껑말과 관련된 새로운 분류군에 대한 모노그래프를 발표하며 연구의 기초를 다졌다.[18] 이후 Mrozińska 등 여러 학자들이 폴란드를 중심으로 붓뚜껑말의 형태, 생태, 분포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했다.[3][4][5]

3. 1. 초기 연구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붓뚜껑말속''의 일종, 19세기 삽화


''붓뚜껑말'' 종은 19세기 후반에 힐세(1860),[13] 골로윈(1964),[14] 키르히너(1878),[15] 코즐로프스키(1895)[16] 및 구트빈스키(1897)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17] Mrozińska는 형태, 생태 및 분포 측면에서 이 속을 연구하여 주로 폴란드 남부에서 400종 이상의 종을 기술했다.[3][4][5]

1900년, 히른은 새로운 분류군의 발견에 관한 모노그래프를 작성했으며, 그 분류군에 "Oedogoniaceen"이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이 논문은 60년 후에 출판 및 번역되었다. 히른은 6월부터 10월까지 나타나는 ''붓뚜껑말''을 도랑에서 발견했다.[18]

3. 2. 한국에서의 연구

(내용 없음)

4. 형태

붓뚜껑말은 여러 개의 세포가 길게 이어져 가지가 없는 실 모양의 엽상체를 이루는 녹조류이다. 각 세포는 기본적으로 좁고 긴 원통 형태를 가지며, 기능과 위치에 따라 정단 세포, 부착 세포, 영양 세포 등으로 구분된다. 세포는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에는 핵, 그물 모양의 엽록체, 액포 등이 포함된 원형질이 있다. 대부분은 부착하여 살아가지만, 물에 떠다니는 종류도 있다.

4. 1. 외부 형태

붓뚜껑말속 세포는 좁고 긴 원통 모양이다. 여러 세포가 끝과 끝이 연결되어 가지가 없는 실 모양의 몸(엽상체)을 형성한다.[18] 엽상체를 구성하는 세포는 위치와 기능에 따라 정단 세포, 부착 세포, 영양 세포로 나눌 수 있다.

  • 정단 세포: 실의 가장 위쪽 끝에 있는 세포로, 다른 세포들에 비해 끝부분이 더 넓고 둥근 형태를 가진다.
  • 부착 세포: 실의 가장 아래쪽 끝에 위치하며, 길쭉한 돌기를 내어 실을 바닥이나 다른 표면(기질)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19] 이 세포는 실에서 유일하게 색깔이 없는 세포이다.
  • 영양 세포: 정단 세포와 부착 세포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들로, 대부분 녹색을 띠며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일부 영양 세포의 표면에는 '캡'이라 불리는 뚜껑 모양의 구조가 관찰되는데, 이 캡의 수는 해당 세포가 분열한 횟수를 나타낸다.


실을 이루는 모든 세포는 세 겹으로 이루어진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가장 안쪽 층은 셀룰로오스, 중간 층은 펙토스, 가장 바깥쪽 층은 키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세포벽은 세포에 강성을 부여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대부분의 붓뚜껑말은 부착 세포를 이용해 기질에 붙어서 살아가지만, 일부는 물에 떠다니며 자유롭게 생활하기도 한다.

4. 2. 내부 형태

붓뚜껑말의 원형질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하나의 핵, 그물 모양의 엽록체, 세포질, 그리고 중심 액포로 구성된다. 중심 액포에 포함된 세포액은 무기 화합물, 배설물 및 분비물로 이루어진다. 가장 안쪽의 세포벽과 중심 액포 사이에는 원형질이라고 불리는 얇은 층이 존재한다.

하나의 핵은 크고 타원형이며, 세포 중앙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막에 닿아 있으며 엽록체 안쪽에 자리 잡고 있다. 이 큰 핵 안에는 1~2개의 인과 길쭉한 염색체가 들어 있다. 그물 모양의 벽 엽록체는 세포 내부 전체에 걸쳐 뻗어 있으며 원형질을 감싸고 있다. 이 그물 모양 가닥의 폭은 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종에서는 이 구조가 세포의 긴 축과 나란하게 배열된다. 가닥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전분 판으로 덮인 피레노이드가 있다.[19] 붓뚜껑말의 세포에는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등도 포함된다.

5. 서식지 및 생태

붓뚜껑말(''Oedogonium'')은 담수 생태계에 서식하며, 작은 연못, 웅덩이, 길가의 배수로, , 호수저수지와 같이 물의 흐름이 거의 없는 정체된 환경을 선호한다.[9] 넓은 pH 범위(7.3-9.6)에서 생존 가능하며, 물속 영양소의 종류나 양 변화에 대한 내성이 넓은 편이다.[18]

붓뚜껑말 세포는 물 밑바닥의 기질에 붙어살거나 물속을 자유롭게 떠다닌다. 자유롭게 떠다닐 때는 여러 세포가 서로 얽혀 젤라틴 같은 물질(매트릭스)을 만들고 그 안에 떠 있으며, 물 표면에 여러 조류가 함께 뭉친 패치(매트)를 형성하기도 한다.[18] 이 매트릭스는 자유롭게 떠다니는 엽상체가 분비하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붓뚜껑말은 주로 따뜻한 계절인 6월 말(북반구 기준)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7월과 8월 동안 여러 조류가 함께 만든 매트에서 흔하게 발견된다.[20][8] 붓뚜껑말이 만드는 매트는 여러 종류의 조류가 섞여 있는데, 주로 스피로자이라(''Spirogyra''), 리조클로니움(''Rhizoclonium''), 클라도포라(''Cladophora'') 등과 함께 발견된다.[8][20] 이 조류들은 서로 엉겨 붙어 지지하며 광합성을 하고, 때로는 녹조와 같은 조류 번식을 일으키기도 한다.

6. 생활사

붓뚜껑말은 기본적으로 단상체 상태로 생활하며, 생활환은 단상성이다. 즉, 생활의 대부분을 염색체 수가 절반인 상태(n)로 보내며, 수정 후 형성되는 접합자만이 이배체 상태(2n)이다. 이 접합자는 즉시 감수 분열을 거쳐 다시 단상체 상태로 돌아간다.

붓뚜껑말은 무성 생식과 유성 생식 두 가지 방식으로 번식한다. 무성 생식은 주로 분열이나 유주자 형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환경 조건이 불리할 때는 무운동포자나 아키네테를 만들어 생존하기도 한다. 유성 생식은 난생식 방식으로, 정자난자가 수정하여 접합자를 형성하고, 이 접합자가 발아하여 새로운 붓뚜껑말 개체를 만든다.

6. 1. 무성 생식

''붓뚜껑말''은 분열, 무운동포자, 아키네테의 발아, 그리고 유주자를 통해 무성 생식을 할 수 있다.[19]

분열은 필라멘트(실 모양의 구조)가 여러 조각으로 갈라지고, 각 조각이 자라서 완전한 기능을 하는 새로운 엽체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분열은 필라멘트의 같은 위치에서 여러 번 일어날 수 있으며, 의도적으로 일어나거나 환경적 요인 또는 포식자에 의한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유주자를 통한 무성 생식은 매우 흔하며, 영양 세포 (저서성 세포)에서 일어난다.[19] 영양 세포는 내부에 포자가 형성되는 유주자낭을 만들고, 여기서 유주자가 발생한다. 각 유주자는 앞쪽에 작고 투명한 부분이 있으며, 그 아래쪽에 약 150개의 편모가 고리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유주자는 유주자낭에서 나올 때 깨지기 쉬운 막에 싸여 있다가 곧 방출된다. 방출된 유주자는 잠시 동안 움직이며 부착할 기질을 찾는다. 기질에 부착하면 편모 고리가 사라지고, 유주자는 분열하여 새로운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시작한다.[19]

무운동포자와 아키네테의 발아는 드물지만 가능한 생식 방법이다.[19]

  • 무운동포자: 운동성이 없으며, 영양 세포 내에서 형성된다. 모세포와는 구별되는 세포벽을 가진다.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는 두꺼운 벽을 만들고 많은 영양 물질을 저장한다.
  • 아키네테: 크고 운동성이 없으며 두꺼운 세포벽을 가진다. 이 벽은 모세포의 벽과 융합되어 있으며, 영양 물질이 풍부하다.


무운동포자와 아키네테는 모두 춥거나 영양분이 부족한 환경과 같은 불리한 조건을 견딜 수 있으며, 이 기간 동안 휴면 상태를 유지한다. 환경 조건이 좋아지면(예: 따뜻한 겨울) 발아하여 새로운 개체를 형성할 수 있다.[19]

6. 2. 유성 생식

''붓뚜껑말''의 유성 생식은 난생식이며, 자웅동주 또는 자웅이주일 수 있다.[19] 종에 따라 거웅성(왜소웅성 부재) 또는 왜소웅성(왜소웅성 존재)일 수 있다. 왜소웅성은 난자(암컷 생식 기관) 근처에 부착된 작고 짧으며, 정자기를 생성하는 실이다. 이러한 왜소웅성은 다편모성 웅성자 세포의 반복적인 세포 분열에서 유래한다. 난자 모세포가 분열하면 지지 세포에 의해 결합된 부풀어 오른 난자를 형성한다. 난자 세포는 실을 따라 일련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분열 또한 일련으로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난자는 단일 난자를 포함한다.[19] 난자 생산은 세포벽의 부풀림을 유발한다.

정자기는 짧고 원반 모양이며, 1~2개의 다편모성 정자 세포를 포함한다. 운동성을 가진 수컷 배우자(정자)는 정자기를 빠져나와 난자에 화학 주성적으로 끌린다. 단일 정자 세포는 난자 세포벽의 구멍을 통해 통과하여 수정이 일어나게 한다. 접합자(난포자)는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주황색-빨간색으로 변하고, 종 특이적인 표면 장식이 있는 두꺼운 다층 세포벽을 형성한다. 감수 분열은 발아 전에 접합자에서 일어나며, 발아 후 4개의 다편모성 세포를 생성한다. 난자로부터 해방되면, 각 딸 세포는 짧은 기간 동안만 운동성을 갖는다. 네 개의 세포 모두 결국 기질에 부착된 다음 반복적으로 분열하여 새로운 ''붓뚜껑말'' 실을 형성할 수 있다.[19]

''붓뚜껑말''의 생활환은 단상성이다. 난자에서 나온 난자(단상체, n)와 정자에서 나온 정자(단상체, n)가 융합하여 이배체(2n) 접합자를 형성한다. 그 후, 접합자는 감수 분열을 거쳐 무성적으로 번식하여 단상체(1n)의 사상 녹조류를 형성한다.

7. 게놈

''붓뚜껑말''의 게놈 크기와 조직은 계통 내에서 아직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21]

''붓뚜껑말''은 독특한 게놈 구조를 가진 엽록체를 포함한다. 이 엽록체 게놈은 길이가 196,547 bp(베이스 페어)이며, 광합성을 하는 녹조류 중에서 가장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7개의 I군 인트론과 4개의 II군 인트론을 가진 비정형 사분 구조를 가지며, 인트론이 풍부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99개의 다른 보존 유전자를 포함하는 4개의 긴 개방형 판독 프레임(ORF)이 존재한다. 이 ORF 중 두 개는 일반적으로 엽록체 DNA(cpDNA)에서 발견되지 않는 유전자와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 이러한 분자적 특징은 ''붓뚜껑말''이 OCC 클레이드(계통군)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계통이라는 이론의 증거로 제시된다.[21]

8. 실용적 중요성

2007년 이후의 연구에 따르면 ''붓뚜껑말'' 세포는 높은 중금속 흡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0][11] 흡수의 경우, 주요 기작은 금속 양이온과 ''붓뚜껑말'' 필라멘트 구조 내 리간드 간의 이온 상호작용 및 복합체 형성이다. ''붓뚜껑말목''에 의한 중금속 이온의 생물 흡착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주요 세포벽 구성 요소 세 곳에서의 표면 흡착으로 초기 급격한 흡수가 일어나고, 이후 세포질로 금속 이온이 막을 통해 수송되면서 후속적인 느린 흡수가 진행된다. ''붓뚜껑말'' 필라멘트 세포의 표면은 다당류, 단백질, 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중금속 이온과 결합할 수 있는 여러 기능 그룹을 제공하여 수질 정화에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10][11]

그러나 ''붓뚜껑말''의 과도한 번식은 조류 번성으로 이어져 수생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번성한 조류는 수면을 덮어 다른 유기체에게 도달하는 햇빛을 차단하고, 특히 여름철에는 물 속의 산소 수치를 고갈시킬 수 있다. 번성한 개별 조류는 수명이 짧아 죽은 유기 물질의 농도가 높아지고, 이들의 부패 과정에서 물 속의 용존 산소를 소모하여 저산소 상태를 유발한다. 이는 물 속 동식물이 대량으로 죽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22] 또한, ''붓뚜껑말''은 콘크리트 표면에서 저서성 필라멘트 형태로 과도하게 성장하여 관개 수로를 심각하게 막을 수도 있다.[10]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붓뚜껑말''의 실용적 가치가 드러난다. 조류 번성이 발생했을 때 이 세포들을 제거하는 것은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제거된 ''붓뚜껑말''은 건조하여 산업 폐기물과 같은 다른 담수 시스템에서 유해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데 재활용될 수 있다. 막힌 관개 수로에서 ''붓뚜껑말''을 제거하는 것 역시 건조 후 중금속 흡수에 활용될 수 있어 비용 효율적일 수 있다.[10][11]

9. 종 목록

다음은 모든 인정된 ''Oedogonium'' 종의 목록이다:[23]


  • ''Oedogonium abbreviatum'' (Hirn) Tiffany, 1934
  • ''Oedogonium ackleyae'' Tiffany
  • ''Oedogonium acmandrium'' Elfving ex Hirn, 1900
  • ''Oedogonium acrospirum'' Skuja, 1949
  • ''Oedogonium acrosporum'' De Bary ex Hirn, 1900
  • ''Oedogonium aculeatum'' C.-C.Jao, 1979
  • ''Oedogonium acuminatum'' (Hirn) Tiffany
  • ''Oedogonium acutum'' (West & G.S.West) Tiffany
  • ''Oedogonium aequale'' (Hassall) Kützing
  • ''Oedogonium affine'' Kützing
  • ''Oedogonium affine'' (Hassall) Kützing
  • ''Oedogonium agrarium'' H.-Z.Zhu, 1979
  • ''Oedogonium ahlstrandii''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ahmadii'' Farooq & Faridi
  • ''Oedogonium ahmedabadense'' Kamat
  • ''Oedogonium alatum'' (Hassall) Kützing, 1849
  • ''Oedogonium alatum'' C.-C.Jao, 1979
  • ''Oedogonium albertii'' Gauthier-Lièvre
  • ''Oedogonium allorgeanum'' Lacerda
  • ''Oedogonium alpinum'' Kützing
  • ''Oedogonium alsium'' Skuja
  • ''Oedogonium alternans'' Wittrock & P.Lundell ex Hirn, 1900
  • ''Oedogonium amagerense'' Hallas
  • ''Oedogonium ambiceps'' (Jao) Tiffany
  • ''Oedogonium americanum'' Transeau, 1917
  • ''Oedogonium amplius'' (W.R.Taylor) Tiffany
  • ''Oedogonium amplum'' Magnus & Wille, 1884
  • ''Oedogonium amurense'' Skvortzov
  • ''Oedogonium anastomosans'' C.-C.Jao, 1979
  • ''Oedogonium andinum'' Tutin
  • ''Oedogonium angustissimum'' West & G.S.West ex Hirn, 1900
  • ''Oedogonium angustistomum'' Hoffman, 1967
  • ''Oedogonium annulare'' Gonzalves & Jain, 1970
  • ''Oedogonium anomalum'' Hirn, 1900
  • ''Oedogonium antillarum'' P.L.Crouan & H.M.Crouan
  • ''Oedogonium apiculatum'' Wolle
  • ''Oedogonium aquaticum'' Kamat, 1963
  • ''Oedogonium archerianum'' Cooke
  • ''Oedogonium arcyosporum'' Nordstedt, 1900
  • ''Oedogonium areolatocostatum'' C.-C.Jao, 1979
  • ''Oedogonium areolatofaveolatum'' C.-C.Jao, 1979
  • ''Oedogonium areolatum'' Lagerheim ex Hirn, 1900
  • ''Oedogonium areolatum'' (Singh) Mrozinska, 1985
  • ''Oedogonium areoliferum'' (C.-C.Jao) Tiffany, 1937
  • ''Oedogonium areschougii''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argenteum'' Hirn, 1900
  • ''Oedogonium armigerum'' Hirn, 1900
  • ''Oedogonium armoricanum'' Villeret
  • ''Oedogonium arnoldii'' Kiselev
  • ''Oedogonium arnoldii'' Roll
  • ''Oedogonium ashihoense'' Skvortzov
  • ''Oedogonium ashihoense'' Skvortzov & Noda
  • ''Oedogonium aster''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aureum'' (Tilden) Tiffany
  • ''Oedogonium australianum'' Hirn, 1900
  • ''Oedogonium autumnale''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aveirense'' Lacerda
  • ''Oedogonium baginiense'' Mrozinska-Webb, 1976
  • ''Oedogonium bahusiense'' Nordstedt ex Hirn, 1900
  • ''Oedogonium bancroftii'' Stephen Skinner & Timothy John Entwisle|Entwisle, 2006
  • ''Oedogonium bathmidosporum'' Nordstedt
  • ''Oedogonium bayanhaoteense'' C.-C.Jao, 1979
  • ''Oedogonium bengalense'' Hirn, 1900
  • ''Oedogonium berolinense'' Wittrock
  • ''Oedogonium bharatense'' Gonzalves & Sonnad
  • ''Oedogonium bharuchae'' Kamat
  • ''Oedogonium biforme'' Nordstedt ex Hirn, 1900
  • ''Oedogonium bohemicum'' Hirn, 1900
  • ''Oedogonium bombycinum'' (Bory) Montagne
  • ''Oedogonium boreale'' Hirn, 1900
  • ''Oedogonium borgei'' (Hirn) Tiffany, 1934
  • ''Oedogonium borisian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borisii'' (Lecl.) Kützing
  • ''Oedogonium boscii''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bourrellyanum'' Villeret, 1951
  • ''Oedogonium boyanum'' Claassen
  • ''Oedogonium brasilense'' Borge ex Hirn, 1900
  • ''Oedogonium braunii'' Kützing ex Hirn, 1900
  • ''Oedogonium breve'' C.-C.Jao, 1979
  • ''Oedogonium brevicingulatum'' C.-C.Jao, 1935
  • ''Oedogonium brevifilum'' C.-C.Jao, 1979
  • ''Oedogonium brittonii'' Tiffany, 1936
  • ''Oedogonium broterianum'' Lacerda, 1945
  • ''Oedogonium brunelii'' Gonzalves & Jain
  • ''Oedogonium caespitosum'' P.L.Crouan & H.M.Crouan
  • ''Oedogonium calcareum'' Cleve & Wittrock, 1900
  • ''Oedogonium calcareum'' Ripart, 1876
  • ''Oedogonium calliosporum'' C.-C.Jao, 1979
  • ''Oedogonium calosporum'' Hirn
  • ''Oedogonium calosporum'' C.C.Jao, 1936
  • ''Oedogonium calv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alyptratum'' C.-C.Jao, 1979
  • ''Oedogonium canadense'' (Tiffany) Tiffany
  • ''Oedogonium candollei'' Kützing
  • ''Oedogonium cantonense'' S.-H.Ley, 1949
  • ''Oedogonium capense'' Nordstedt & Hirn, 1900
  • ''Oedogonium capillaceum'' Kützing
  • ''Oedogonium capillare'' Kützing ex Hirn, 1900
  • ''Oedogonium capilliforme'' Kützing ex Hirn, 1900
  • ''Oedogonium capitellat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apricornicum'' Stephen Skinner & Timothy John Entwisle|Entwisle, 2006
  • ''Oedogonium carbonicum'' Wittrock
  • ''Oedogonium cardiac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aricosum'' C.-C.Jao, 1979
  • ''Oedogonium carinatum'' C.-C.Jao, 1979
  • ''Oedogonium carolinianum'' Tiffany
  • ''Oedogonium catenatum'' H.-Z.Zhu, 1964
  • ''Oedogonium catenulatum'' Kützing
  • ''Oedogonium catenulum'' Kützing
  • ''Oedogonium cearense'' Tiffany, 1937
  • ''Oedogonium cerasinum'' Stephen Skinner & Entwisle, 2006
  • ''Oedogonium chapmanii'' Tiffany
  • ''Oedogonium charkoviense'' Arnoldi & Y.V.Roll, 1939
  • ''Oedogonium chengkiangense'' C.-C.Jao, 1979
  • ''Oedogonium chowdarii'' J.P.Keshri, 2012
  • ''Oedogonium chungkingense'' (C.-C.Jao) C.-C.Jao, 1936
  • ''Oedogonium ciliare'' de Notaris
  • ''Oedogonium ciliatum'' Pringsheim ex Hirn, 1900
  • ''Oedogonium circinatum'' Tiffany
  • ''Oedogonium circumlineatum'' M.E.Britton
  • ''Oedogonium circumplicatum'' Margalef
  • ''Oedogonium citriforme'' Hallas
  • ''Oedogonium clavatum'' Hallas, 1905
  • ''Oedogonium clevean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loverae'' Lillick
  • ''Oedogonium collinsii'' Tiffany
  • ''Oedogonium columbianum'' (G.West) Tiffany
  • ''Oedogonium commune'' (Hirn) Tiffany
  • ''Oedogonium completum'' (Hirn) Tiffany
  • ''Oedogonium compressum'' (Hassall) Kützing
  • ''Oedogonium concatenat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onfertum'' Hirn, 1900
  • ''Oedogonium conflectum'' C.-C.Jao, 1979
  • ''Oedogonium congolense'' Gauthier-Lièvre, 1964
  • ''Oedogonium consociatum'' Collins & Hervey, 1917
  • ''Oedogonium constrictum'' C.-C.Jao, 1976
  • ''Oedogonium contortum'' Hallas, 1905
  • ''Oedogonium corrugatum'' C.-C.Jao, 1979
  • ''Oedogonium costatosporum'' C.-C.Jao, 1934
  • ''Oedogonium costatum'' Transeau, 1930
  • ''Oedogonium costulatum'' C.-C.Jao, 1979
  • ''Oedogonium crassidens'' C.-C.Jao, 1936
  • ''Oedogonium crassiuscul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rass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renulatocostat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renulat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ribbianum'' Stephen Skinner & Entwisle, 2006
  • ''Oedogonium crispulum'' Wittrock & Nordstedt
  • ''Oedogonium crisp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roasdalea'' C.C.Jao
  • ''Oedogonium croasdaleae'' C.C.Jao
  • ''Oedogonium croceum'' C.-C.Jao, 1979
  • ''Oedogonium cryptopor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urtum'' Wittrock & P.Lundell ex Hirn, 1900
  • ''Oedogonium curvum'' Pringsheim ex Hirn, 1900
  • ''Oedogonium cuspidatum'' Kützing
  • ''Oedogonium cuvieri'' (Le Clerc) Kützing
  • ''Oedogonium cyathiger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cyclostomum'' Gauthier-Lièvre, 1964
  • ''Oedogonium cylindricum'' C.-C.Jao, 1942
  • ''Oedogonium cylindrosporum'' C.-C.Jao, 1979
  • ''Oedogonium cymatosporum'' Wittrock & Norstedt, 1900
  • ''Oedogonium dacchense'' Islam & Sarma, 1963
  • ''Oedogonium danicum'' Hallas, 1905
  • ''Oedogonium dawsonii'' Prescott, 1957
  • ''Oedogonium debaryanum'' Chmielevsky
  • ''Oedogonium decaryi'' Gauthier-Lièvre
  • ''Oedogonium decipiens''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delacerdanum'' Villeret, 1951
  • ''Oedogonium delicatulum'' Kützing
  • ''Oedogonium demaretianum'' Compère, 1976
  • ''Oedogonium densioculum'' C.-C.Jao, 1979
  • ''Oedogonium densum'' C.-C.Jao, 1979
  • ''Oedogonium dentireticulatum'' C.-C.Jao, 1936
  • ''Oedogonium dentireticulosporum'' Gonzalves & Jain
  • ''Oedogonium depressum'' Pringsheim ex Hirn, 1900
  • ''Oedogonium desikacharyi'' Khan & Kukreti
  • ''Oedogonium desikacharyi'' Gonzalves & Jain
  • ''Oedogonium detonii'' González Guerrero
  • ''Oedogonium de-tonii'' P.González, 1964
  • ''Oedogonium dictyospor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didymosporum'' Montagne
  • ''Oedogonium didymum'' Novis
  • ''Oedogonium dimorphum'' C.-C.Jao, 1979
  • ''Oedogonium dioicum'' H.J.Carter ex Hirn, 1900
  • ''Oedogonium dioicum'' Pétrovsky
  • ''Oedogonium diplandrum'' Jurányi
  • ''Oedogonium discretum'' Tiffany, 1951
  • ''Oedogonium dissimile'' C.-C.Jao, 1979
  • ''Oedogonium diversum'' (Hirn) Tiffany
  • ''Oedogonium doliiforme'' C.-C.Jao, 1979
  • ''Oedogonium donnellii'' Wolle ex Hirn, 1900
  • ''Oedogonium drouetii'' Tiffany
  • ''Oedogonium dubium'' Kützing
  • ''Oedogonium dubium'' (Hassall) Kützing
  • ''Oedogonium dungchwanense'' C.-C.Jao, 1979
  • ''Oedogonium keralense'' N.A.Erady & K.Rajappan
  • ''Oedogonium khannae'' Skuja, 1949
  • ''Oedogonium kiangchwanense'' C.-C.Jao, 1979
  • ''Oedogonium kiayuanense'' C.-C.Jao, 1979
  • ''Oedogonium kirchneri''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kirtikarii'' Kamat, 1963
  • ''Oedogonium kitutae'' G.S.West, 1907
  • ''Oedogonium kjellmanii''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koechlinii'' Gauthier-Lièvre, 1964
  • ''Oedogonium kolhapurense'' Kamat, 1963
  • ''Oedogonium kozminskii'' Prescott
  • ''Oedogonium kufferathii'' Gauthier-Lièvre, 1964
  • ''Oedogonium kunmingense'' H.-Z.Zhu, 1964
  • ''Oedogonium kurzii'' Zeller ex Hirn, 1900
  • ''Oedogonium kushmiense'' R.N.Singh
  • ''Oedogonium kwangsiense'' C.-C.Jao, 1947
  • ''Oedogonium kwangtungense'' S.-H.Ley, 1949
  • ''Oedogonium lacustre'' (Hassall) Rabenhorst
  • ''Oedogonium laetevirens'' P.L.Crouan & H.M.Crouan, 1878
  • ''Oedogonium laetevirens''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laetivirens'' P.L.Crouan & H.M.Crouan
  • ''Oedogonium laeve''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lageniforme'' Hirn, 1900
  • ''Oedogonium lagerheimii'' Wittrock
  • ''Oedogonium lagerstedetii''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lagerstedtii''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landsboroughii''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lanternoides'' C.-C.Jao, 1979
  • ''Oedogonium laporteanum'' M.E.Britton
  • ''Oedogonium laschii'' Rabenhorst
  • ''Oedogonium laticircellum'' C.-C.Jao, 1979
  • ''Oedogonium latiusculum'' Tiffany, 1924
  • ''Oedogonium latviense'' (Tiffany) Tiffany
  • ''Oedogonium lautumniarium''
  • ''Oedogonium lautumniar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leiopleurum'' Nordstedt & Hirn, 1900
  • ''Oedogonium leiriense'' Lacerda
  • ''Oedogonium lemmermannii'' Tiffany, 1934
  • ''Oedogonium lindmanian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lisbonense'' Lacerda, 1949
  • ''Oedogonium londinense''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longatum'' Kützing ex Hirn, 1900
  • ''Oedogonium longiarticulatum'' (Hansgirg) Tiffany
  • ''Oedogonium longicolle'' Nordstedt ex Hirn, 1900
  • ''Oedogonium longipilum'' C.-C.Jao, 1937
  • ''Oedogonium longisporum'' Gauthier-Lièvre, 1964
  • ''Oedogonium longum'' (Transeau) Tiffany
  • ''Oedogonium lopesianum'' Lacerda
  • ''Oedogonium lorentzii'' Wille
  • ''Oedogonium loricatum'' Hirn ex Hirn, 1900
  • ''Oedogonium louisianense'' Taft, 1946
  • ''Oedogonium lucens'' Zanardini
  • ''Oedogonium luisierianum'' Lacerda, 1958
  • ''Oedogonium lusitanicum'' Lacerda
  • ''Oedogonium macrandri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macrandrum'' Wittrock
  • ''Oedogonium macrospermum'' West & G.S.West ex Hirn, 1900
  • ''Oedogonium macrosporum'' P.L.Crouan & H.M.Crouan
  • ''Oedogonium magnusii''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maharastrense'' Kamat, 1963
  • ''Oedogonium majus'' (Hansgirg) Tiffany
  • ''Oedogonium mammifer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manschuricum'' Skvortzov, 1926
  • ''Oedogonium margaritiferum'' Nordstedt & Hirn, 1900
  • ''Oedogonium marinum'' Kützing
  • ''Oedogonium martinicense'' Hirn, 1900
  • ''Oedogonium mattiei'' Claassen
  • ''Oedogonium matvienkoi'' Y.V.Roll, 1948
  • ''Oedogonium maximum'' West & G.S.West, 1901
  • ''Oedogonium mediale'' Tiffany, 1937
  • ''Oedogonium megaporum''
  • ''Oedogonium megaspor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meneghinianum'' Kützing
  • ''Oedogonium meridionale'' Arnoldi & Y.V.Roll, 1939
  • ''Oedogonium mesianum'' Claassen
  • ''Oedogonium mesoreticulatum'' J.P.Keshri, 2012
  • ''Oedogonium mesospirale'' R.N.Singh
  • ''Oedogonium mexican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michiganense'' Tiffany, 1927
  • ''Oedogonium micraster'' C.-C.Jao, 1979
  • ''Oedogonium microdictyon'' C.-C.Jao, 1979
  • ''Oedogonium microgonium'' Prescott, 1944
  • ''Oedogonium midnapurense'' J.P.Keshri, 2012
  • ''Oedogonium minisporum'' Taft, 1939
  • ''Oedogonium minus''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minutum'' Kützing
  • ''Oedogonium mirabile'' H.C.Wood, 1869
  • ''Oedogonium mirandrium'' Skuja, 1927
  • ''Oedogonium mirificum'' H.-Z.Zhu, 1964
  • ''Oedogonium mirpurense'' Islam, 1965
  • ''Oedogonium mitratum'' Hirn, 1900
  • ''Oedogonium moebiusii'' Skinner & Entwisle, 2006
  • ''Oedogonium monile'' Berkeley & Harvey ex Hirn, 1900
  • ''Oedogonium moniliforme''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monodii'' Gauthier-Lièvre, 1964
  • ''Oedogonium montagnei'' Fiorini-Mazzanti ex Hirn, 1900
  • ''Oedogonium muelleri'' (Hassall) Kützing
  • ''Oedogonium multiplex'' Skvortzov
  • ''Oedogonium multiplex'' Skvortzov & Noda
  • ''Oedogonium multisporum'' H.C.Wood ex Hirn, 1900
  • ''Oedogonium muratii'' Gauthier-Lièvre, 1964
  • ''Oedogonium murense'' Lazar
  • ''Oedogonium mutabile'' C.-C.Jao, 1979
  • ''Oedogonium nagii'' Chaudhuri
  • ''Oedogonium nankingense'' C.-C.Jao, 1937
  • ''Oedogonium nan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nebraskense'' Ohashi, 1926
  • ''Oedogonium neomitratum'' C.C.Jao
  • ''Oedogonium nigeriense'' Gauthier-Lièvre, 1964
  • ''Oedogonium nigrum'' Lacerda, 1946
  • ''Oedogonium nitellae'' H.-Z.Zhu, 1964
  • ''Oedogonium nitidum'' C.-C.Jao, 1947
  • ''Oedogonium nobile''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nodosum'' Kützing
  • ''Oedogonium nodulos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nordstedtii'' Wittrock
  • ''Oedogonium obesum'' Hirn, 1900
  • ''Oedogonium oblongellum'' Kirchner, 1900
  • ''Oedogonium oblong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obovatum'' C.-C.Jao, 1979
  • ''Oedogonium oboviforme''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obpyriforme'' C.-C.Jao, 1979
  • ''Oedogonium obsidionale'' Cornu
  • ''Oedogonium obsolet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obtruncat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occidentale'' (Hirn) Tiffany, 1934
  • ''Oedogonium ocellatum'' C.-C.Jao, 1979
  • ''Oedogonium ochroleucum'' (Berk.) Kützing
  • ''Oedogonium octagonum'' C.-C.Jao, 1979
  • ''Oedogonium oelandic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operculatum'' Tiffany, 1936
  • ''Oedogonium opisthostomum'' Skuja, 1949
  • ''Oedogonium orientale'' C.-C.Jao, 1934
  • ''Oedogonium orientale'' (Skvortzov) Skvortzov
  • ''Oedogonium ornatum'' Hirn, 1896
  • ''Oedogonium ornatum'' Arnoldi & Y.V.Roll, 1939
  • ''Oedogonium oryzae''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ouchitanum'' C.E.Taft, 1935
  • ''Oedogonium ovatum'' (Hassall) Kützing
  • ''Oedogonium oviforme'' Hirn, 1900
  • ''Oedogonium ovoidosporum'' Arnoldi & Y.V.Roll, 1939
  • ''Oedogonium oyei'' Kamat, 1963
  • ''Oedogonium pachyandri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pachydermum'' Wittrock & P.Lundell ex Hirn, 1900
  • ''Oedogonium pakistanense'' Islam & P.Sarma, 1963
  • ''Oedogonium palaiense'' Chacko
  • ''Oedogonium pallidum'' Kützing
  • ''Oedogonium paloense'' M.E.Britton, 1948
  • ''Oedogonium paludosum'' Wittrock ex Hirn, 1900
  • ''Oedogonium pandeyi'' J.P.Keshri, 2012
  • ''Oedogonium paradoxum'' C.-C.Jao, 1979
  • ''Oedogonium paraguayense'' Tiffany
  • ''Oedogonium parasiticum'' (cag) Rabenhorst
  • ''Oedogonium parreticulatum'' C.C.Jao
  • ''Oedogonium parthasarathii'' P.Sarma, D.Mukherjee & A.K.Chakrabarty
  • ''Oedogonium parvulum'' Kützing
  • ''Oedogonium parvulum'' Wodenitscharov
  • ''Oedogonium parvum'' C.-C.Jao, 1936
  • ''Oedogonium patulum'' Tiffany, 1934
  • ''Oedogonium paucicostdtum''
  • ''Oedog

참조

[1] AlgaeBase genus
[2] 서적 Monographie und iconographie der Oedogoniaceen http://img.algaebase[...] Acta Societatis Scientiarum Fennicae 1900
[3] 간행물 Kilka nowych dla Polski i interesujących gatunków z rodzaju ''Oedogonium'' 1958
[4] 간행물 A study on epiphytic alga of the order Oedogoniales on the basis of materials from Southern Poland 1976
[5] 간행물 Some species of ''Oedogonium'' New to Poland. Suplement to “Flora Polska, Oedogoniales, Chlorophyta” 1981
[6] 서적 Flora Polski: Zielenice (Chlorophyta) Edogoniowce (Oedogoniales) PWN, WarszawaKraków 1984
[7] 간행물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the genus ''Oedogonium'' Link (''Oedogoniales'') based on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1991
[8] 간행물 An ecological study of freshwater algal mats 1982
[9] 서적 Freshwater Algae of North America. Ecology and Classification; Aquatic Ecology 2003
[10] 간행물 Biosorption of lead(II) from aqueous solutions by non-living algal biomass ''Oedogonium'' sp. and Nostoc sp.—A comparative study 2008
[11] 간행물 Biosorption of hexavalent chromium by raw and acid-treated green alga ''Oedogonium hatei'' from aqueous solutions 2009
[12] 간행물 Monographie und iconographie der Oedogoniaceen. Acta Societatis Scientiarum Fennicae 27 1900
[13] 간행물 Beitraege zur Algen – und Diatomeen-Kunde Schlesiens, insbesondere Strehlens 1860
[14] 간행물 Glony torfowisk Chlebowo (pow. Oborniki, woj. poznańskie) 1964
[15] 간행물 Kryptogamenflora von Schlesien 1878
[16] 간행물 Przyczynek do flory wodorostów okolic Warszawy 1895
[17] 간행물 Wykaz glonów zebranych z okolic Wadowic-Makowa 1897
[18] 간행물 New data on distribution, morphology and ecology of ''Oedogonium'' capillare Kützing ex Hirn (Oedogoniales, Chlorophyta) in Poland 2015
[19] 웹사이트 AlgaeBase http://www.algaebase[...] 2008
[20] 간행물 Identification and Ecology of Macroalgae Species Existing in Poland. Chapter 2, In: S.K. Kim & K. Chojnacka (eds.). Marine Algae Extracts: Processes, Products and Application 2015
[21] 간행물 Chloroplast DNA sequence of the green alga ''Oedogonium'' cardiacum (Chlorophyceae): Unique genome architecture, derived characters shared with the Chaetophorales and novel genes acquired through horizontal transfer 2008
[22] 웹사이트 Lake Erie Is Dying Again, and Warmer Waters and Wetter Weather Are To Blame https://thinkprogres[...] 2013
[23] 웹사이트 Oedogonium Link ex Hirn, 1900 http://www.marinespe[...] 2019-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