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도루터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도루터교는 1840년대 스웨덴 북부에서 라르스 레비 라스타디우스가 시작한 스웨덴의 사미족 부흥 운동에서 기원한 종교 분파이다. 라스타디우스의 가르침을 따르는 이들은 칭의를 강조하며, '참된 기독교인' 교리를 통해 신앙의 순수성을 강조한다. 또한, 죄의 고백과 용서를 중요하게 여기며, 혼전 성관계, 알코올 섭취, 세속적인 활동을 금지하는 등 엄격한 생활 방식을 따른다. 사도루터교는 20세기 초부터 여러 분파로 분열되어 현재 약 20여 개의 분파가 존재하며, 보수적 래스타디안주의가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한다. 이들은 연례 교회 회의, 청소년 모임 등을 통해 신앙을 유지하며, 대가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사도루터교는 문학, 영화, TV 드라마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도루터교 - 유하 시필래
    유하 시필래는 핀란드의 정치인이자 기업가로, CEO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총리직을 수행했으며 의료 개혁 실패로 사임했다.
  • 사도루터교 - 경건주의
    경건주의는 17~18세기 개신교 내에서 일어난 신앙 운동으로, 개인의 신앙과 실천을 강조하며 루터교 정통주의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되어 유럽 각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다양한 종교 운동과 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사도루터교
기본 정보
라에스타디우스의 설교
라에스타디우스의 설교
다른 이름사도 루터교
아포스톨릭 루터교
라에스타디우스주의 루터교
분류루터교
창시자라스 레비 라에스타디우스
설립 시기1840년대
기원 지역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 북부의 사미족 지역
영향 받은 것경건주의
헤르만 프리츠
사미족 문화
분파보수 라에스타디우스주의
제1차생 라에스타디우스주의
신생 라에스타디우스주의
평화로운 라에스타디우스주의
소규모 제1차생 라에스타디우스주의
토르니오 계곡 라에스타디우스주의
신학 및 특징
핵심 교리성서의 권위
죄의 용서의 중요성
공동체 중심의 신앙생활
특징적인 예배 방식간증 집회
죄의 고백과 용서
단순하고 소박한 생활 강조
분포
주요 분포 지역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러시아
북미 (주로 미국, 캐나다)
관련 단체SRK (Suomen Rauhanyhdistysten Keskusyhdistys, 핀란드 평화 연합 중앙 협회)
LLC (Laestadian Lutheran Church,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회)
역사
기원라스 레비 라에스타디우스의 회심과 설교 활동에서 시작됨
확산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북부 지역으로 확산
이민자들을 통해 북미 지역으로 전파
분열다양한 신학적, 실천적 차이로 인해 여러 분파로 나뉨
영향
사회적 영향금욕적인 생활 방식과 공동체 의식 강조
교육 및 사회 복지 활동에 기여
문화적 영향찬송가, 설교, 간증 등을 통해 독특한 문화 형성
관련 용어
라에스타디우스운동의 창시자 라스 레비 라에스타디우스 목사
평화의 모임 (Rauhanyhdistys)라에스타디우스주의 신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예배하고 교제를 나누는 모임
간증 (Todistus)신앙 경험을 공개적으로 나누는 행위
죄의 용서 (Synninpäästö)죄를 고백한 사람에게 공동체가 죄의 용서를 선언하는 의식

2. 역사

1898년 핀마르크의 레스타디우스 평신도 설교자


thumb (1800–1861)]]

라르스 레비 라스태디우스 (1800–1861)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사도루터교는[11] 1840년대 스웨덴 북부에서 라르스 레비 라스태디우스가 스웨덴 교회의 목사로 일하면서 시작한 스웨덴의 사미족 부흥 운동이다.[11] 라스타디우스는 1844년 오셀레 순찰 중 밀라 클레멘츠도터라는 사미족 여성을 만나 영적 깨달음을 얻었다.[11] 그녀는 페르 브란델이 이끄는 스웨덴 교회 내 부흥 운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경건주의와 모라비아 형제단의 영향을 받았다. 이 만남을 통해 라스타디우스는 살아있는 믿음의 비밀을 깨달았다고 느꼈고, 그의 설교는 "새로운 종류의 색깔"을 띠게 되었다.[11]

초기 라스타디우스는 사미 샤머니즘에서 루터교로 개종해야 했던 사미 교구민들의 무관심과 알코올 중독 문제에 직면했다. 그의 영적 깨달음은 "사미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생생한 비유"와 "사람들의 삶에 관심을 갖는 하나님"에 대한 것이었고, 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1] 사미인들 사이에서 글을 배우고자 하는 열망이 생겼고, 교회는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구하는 사람들로 활기를 띠었다. 이를 라스타디우스파에서는 ''liikutukset''라고 불렀다.[11] 음주와 가축 절도가 줄어들면서 사미인들의 관계, 재정, 가족 생활이 개선되었다.[11]

라스타디우스주의가 사미족 사이에서 급부상한 요인으로는 라스타디우스 자신이 사미족 출신이라는 점, 두 개의 사미 방언으로 설교한 점, 교육받지 못한 사미족 출신 평신도 설교자들을 선택한 점, 사미족 고유의 이교 신과 개념을 기독교에 적용한 점 등이 있다.[12] 또한 라스타디우스주의의 엄격한 도덕률과 금주는 사미족에게 호소력이 있었고, 알코올 중독으로 파괴된 공동체가 술을 끊는 데 기여했다.[12] 라스타디우스 자신이 가난하고 학대받는 사미족 여성 밀라 클레멘츠도터를 통해 진정한 믿음을 알게 되었다고 고백한 것처럼, 사미족이 내부에서 기원했다고 인식할 수 있는 신앙이었다는 점도 주요했다.[12] 이 운동은 스웨덴에서 핀란드노르웨이로 퍼져나갔고, 특히 사미족과 크벤족 사이에서 널리 퍼졌다. 라스타디우스는 추종자들이 단순히 "기독교인"으로 불리기를 원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들을 "라스태디우스파"라고 부르기 시작했다.[11]

사도루터교는 20세기 초부터 여러 분파로 분열되어 현재 약 20여 개의 분파가 존재한다.[13]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 '''1. 보수적 래스타디안주의''': 115,000명 (핀란드 (SRK), 미국 (래스타디안 루터교), 스웨덴 (SFC), 러시아, 토고 (ELLT), 캐나다 (LLC), 케냐 (LLOP), 가나 (LLC), 감비아 (LLC), 에콰도르,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ELR), 라트비아, 런던, 독일, 헝가리, 스페인, 스위스, 터키 등)
  • '''2. 장자 래스타디안주의''': 신도 수 불명 (미국 (구 사도 루터교), 핀란드 (에시코이스레스타디올라이세트 ry), 스웨덴, 노르웨이, 러시아, 라트비아)
  • '''3. 작은 장자 그룹''' (라우한 사나 그룹): 21,000명 (핀란드 (LFF 및 LYRS), 미국 (미국 사도 루터교), 스웨덴, 노르웨이, 캐나다 (ALC), 과테말라, 나이지리아, 인도, 토고 (ALC) 및 케냐)
  • '''4. 토롤라 그룹''': 4,000명 (미국 (제1 사도 루터교), 스웨덴 및 핀란드 (SVR))
  • '''5. 리드 그룹''' (폴라라이트): 3,500명 (미국 (독립 사도 루터교))
  • '''6. 재각성''': 3,000명 (핀란드 (LLK) 및 노르웨이)
  • '''7. 에시코이스에트 ry''': 1,500명 (핀란드)
  • '''8. 올드 에리키안''' (린겐 그룹): 1,200명 (노르웨이)
  • '''9. 알라요키트''': 1,000명 (미국 미니애폴리스와 미네소타주 울프 레이크)
  • '''10. 뉴 에리키안''': 800명 (노르웨이)
  • '''11. 오네스 그룹''': 550명 (미국 (사도 루터교))[13]
  • '''12. 엘라멘 사나 그룹''' (성직주의자): 300명 (핀란드, 스웨덴 (SFK) 및 노르웨이)
  • '''13. 레비 그룹''': 200명 (핀란드 및 스웨덴)
  • '''14. GALC''': 50명 (미국 (은혜 사도 루터교))
  • '''15. 레스키넨 그룹''': 50명 (스웨덴 및 노르웨이)
  • '''16. 크바엔앙겐 그룹''' (스바르메리): 50명 (노르웨이)
  • '''17. 데이비디트''': 40명 (미국)
  • '''18. 군데르센 그룹''': 30명 (노르웨이)
  • '''19. 한카 그룹''' (멜비니테): 20명 (미국)
  • '''20. 스텐 그룹''': 15명 (핀란드)
  • '''21. 콘티오 그룹''': 5명 (핀란드)


2. 1. 기원과 초기 발전

라르스 레비 라스태디우스 (1800–1861)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사도루터교는[11] 1840년대 스웨덴 북부에서 라르스 레비 라스태디우스가 스웨덴 교회의 목사로 일하면서 시작한 스웨덴의 사미족 부흥 운동이다.[11] 라스타디우스는 1844년 오셀레 순찰 중 밀라 클레멘츠도터라는 사미족 여성을 만나 영적 깨달음을 얻었다.[11] 그녀는 페르 브란델이 이끄는 스웨덴 교회 내 부흥 운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경건주의와 모라비아 형제단의 영향을 받았다. 이 만남을 통해 라스타디우스는 살아있는 믿음의 비밀을 깨달았다고 느꼈고, 그의 설교는 "새로운 종류의 색깔"을 띠게 되었다.[11]

thumb (1800–1861)]]

초기 라스타디우스는 사미 샤머니즘에서 루터교로 개종해야 했던 사미 교구민들의 무관심과 알코올 중독 문제에 직면했다. 그의 영적 깨달음은 "사미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생생한 비유"와 "사람들의 삶에 관심을 갖는 하나님"에 대한 것이었고, 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1] 사미인들 사이에서 글을 배우고자 하는 열망이 생겼고, 교회는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구하는 사람들로 활기를 띠었다. 이를 라스타디우스파에서는 ''liikutukset''라고 불렀다.[11] 음주와 가축 절도가 줄어들면서 사미인들의 관계, 재정, 가족 생활이 개선되었다.[11]

라스타디우스주의가 사미족 사이에서 급부상한 요인으로는 라스타디우스 자신이 사미족 출신이라는 점, 두 개의 사미 방언으로 설교한 점, 교육받지 못한 사미족 출신 평신도 설교자들을 선택한 점, 사미족 고유의 이교 신과 개념을 기독교에 적용한 점 등이 있다.[12] 또한 라스타디우스주의의 엄격한 도덕률과 금주는 사미족에게 호소력이 있었고, 알코올 중독으로 파괴된 공동체가 술을 끊는 데 기여했다.[12] 라스타디우스 자신이 가난하고 학대받는 사미족 여성 밀라 클레멘츠도터를 통해 진정한 믿음을 알게 되었다고 고백한 것처럼, 사미족이 내부에서 기원했다고 인식할 수 있는 신앙이었다는 점도 주요했다.[12] 이 운동은 스웨덴에서 핀란드노르웨이로 퍼져나갔고, 특히 사미족과 크벤족 사이에서 널리 퍼졌다. 라스타디우스는 추종자들이 단순히 "기독교인"으로 불리기를 원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들을 "라스태디우스파"라고 부르기 시작했다.[11]

2. 2. 라스타디우스의 사미족 교구민에 대한 영향

라에스타디우스는 초기 목회 활동에서 사미 교구민들의 무관심과 알코올 중독이라는 두 가지 큰 문제에 직면했다.[11] 그는 사미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생생한 비유를 사용하고, 그들의 삶에 관심을 갖는 하나님에 대해 설교함으로써 이 문제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1] 사미인들 사이에서 글을 배우고자 하는 열망이 생겨났고, 교회는 활기찬 에너지로 가득 찼다.[11] 라에스타디우스파에서는 이를 ''liikutukset''라고 불렀다.[11] 음주와 가축 절도가 줄어들면서 사미인들의 관계, 재정, 가족 생활이 안정되었다.[11]

사미족 사이에서 라스타디우스주의가 빠르게 확산된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라스타디우스는 스스로 사미족임을 자랑스럽게 여겼고, 두 개의 사미 방언으로 설교했다.[12] 그는 교육받지 못한 사미족 출신 평신도 설교자들을 선택하여 함께 전도하게 했다.[12] 초기 운동 당시 라스타디우스는 사미족 고유의 신과 개념을 기독교에 적용하여 교구민들과의 공통점을 찾으려 노력했다.[12] 국가가 운영하는 기숙 학교에 라스타디우스주의자들이 많이 배치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12] 라스타디우스주의의 엄격한 금주를 포함한 도덕률은 사미족에게 호소력이 있었고, 알코올 중독으로 파괴된 공동체가 거의 하룻밤 사이에 술을 끊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12] 이는 사미족의 사회적 지위 향상에도 기여했다.[12] 라스타디우스 자신이 가난하고 학대받는 사미족 여성 밀라 클레멘츠도터와의 만남을 통해서야 진정한 믿음을 알게 되었다고 고백한 것처럼, 라스타디우스주의는 사미족 내부에서 기원했다고 인식할 수 있는 신앙이었다는 점도 확산의 요인으로 작용했다.[12]

2. 3. 분열과 분파

사도루터교는 20세기 초부터 여러 분파로 분열되어 현재 약 20여 개의 분파가 존재한다.[13]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 '''1. 보수적 래스타디안주의''': 115,000명 (핀란드 (SRK), 미국 (래스타디안 루터교), 스웨덴 (SFC), 러시아, 토고 (ELLT), 캐나다 (LLC), 케냐 (LLOP), 가나 (LLC), 감비아 (LLC), 에콰도르,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ELR), 라트비아, 런던, 독일, 헝가리, 스페인, 스위스, 터키 등)
  • '''2. 장자 래스타디안주의''': 신도 수 불명 (미국 (구 사도 루터교), 핀란드 (에시코이스레스타디올라이세트 ry), 스웨덴, 노르웨이, 러시아, 라트비아)
  • '''3. 작은 장자 그룹''' (라우한 사나 그룹): 21,000명 (핀란드 (LFF 및 LYRS), 미국 (미국 사도 루터교), 스웨덴, 노르웨이, 캐나다 (ALC), 과테말라, 나이지리아, 인도, 토고 (ALC) 및 케냐)
  • '''4. 토롤라 그룹''': 4,000명 (미국 (제1 사도 루터교), 스웨덴 및 핀란드 (SVR))
  • '''5. 리드 그룹''' (폴라라이트): 3,500명 (미국 (독립 사도 루터교))
  • '''6. 재각성''': 3,000명 (핀란드 (LLK) 및 노르웨이)
  • '''7. 에시코이스에트 ry''': 1,500명 (핀란드)
  • '''8. 올드 에리키안''' (린겐 그룹): 1,200명 (노르웨이)
  • '''9. 알라요키트''': 1,000명 (미국 미니애폴리스와 미네소타주 울프 레이크)
  • '''10. 뉴 에리키안''': 800명 (노르웨이)
  • '''11. 오네스 그룹''': 550명 (미국 (사도 루터교))[13]
  • '''12. 엘라멘 사나 그룹''' (성직주의자): 300명 (핀란드, 스웨덴 (SFK) 및 노르웨이)
  • '''13. 레비 그룹''': 200명 (핀란드 및 스웨덴)
  • '''14. GALC''': 50명 (미국 (은혜 사도 루터교))
  • '''15. 레스키넨 그룹''': 50명 (스웨덴 및 노르웨이)
  • '''16. 크바엔앙겐 그룹''' (스바르메리): 50명 (노르웨이)
  • '''17. 데이비디트''': 40명 (미국)
  • '''18. 군데르센 그룹''': 30명 (노르웨이)
  • '''19. 한카 그룹''' (멜비니테): 20명 (미국)
  • '''20. 스텐 그룹''': 15명 (핀란드)
  • '''21. 콘티오 그룹''': 5명 (핀란드)


3. 교리와 특징

3. 1. 칭의 강조

모든 분파는 루터교의 핵심 교리인 칭의(용서 및 은총)에 대한 강조를 포함하여 많은 필수적인 가르침을 공유한다.

3. 2. '참된 기독교인' 교리

사도 루터교는 참된 신자와 거짓된 기독교인 및 불신자(때로는 산 신앙과 죽은 신앙으로 구분됨) 사이의 생활 방식과 믿음의 본질적인 차이에 대한 교리를 강조한다.[6]

보수 라플란드주의와 퍼스트본의 두 주요 라플란드주의 분파 지도자들은 수십 년 동안 서로를, 그리고 다른 모든 라플란드주의 분파들을 천국에서 배제해 왔다.[6] 반면, 세 번째 주요 분파인 연합의 지도부는 다른 분파들을 여전히 살아있는 신앙으로 간주해 왔다.[7]

3. 3. 죄의 고백과 용서 선포

사도루터교회는 모든 신자가 다른 사람의 죄가 용서받았다고 증언할 권한이 있다고 가르치며, 이는 때때로 죄의 용서에 대한 가청 선언이라고 불린다. 레스타디안은 대개 "예수님의 이름과 피로" 죄의 용서를 선포한다.

레스타디우스주의는 기독교인이 생각이나 행동으로 죄를 범했을 때 다른 신자에게 그 죄를 고백해야 한다고 여긴다. 따라서 레스타디우스주의자들 사이에서는 언제든지, 특히 성찬 예식 전에 교회 안팎에서 서로 죄를 고백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며, 때로는 성례전을 집행하는 교회 목사에게 고백하기도 한다. 흔히 사용되는 선언은 "예수의 이름과 (흘리신) 피 안에서 당신의 죄가 용서받았음을 믿으십시오."이다. 레스타디우스주의에 깊이 뿌리내린 이 절차는 몇 가지 측면에서 주류 루터교회의 면죄와 다르다. 용서를 구하는 요청은 반드시 목사에게 할 필요가 없으며, 대부분 그렇지 않다. 고백은 종종 공개적으로 이루어진다. 고백은 약속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지 다른 신자로부터 다른 신자에게 쉽게 가능하다. 그리고 선언의 구체적인 표현은 속죄의 수단이 그리스도의 피 흘림임을 명시한다.

사도루터교 신자는 죄가 특별히 사면된 사람에게만 은총이 존재한다는 명제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용서의 선언만큼 중요한 의식은 이 운동에서 거의 없다. 이 교리는 만인 사제설 교리의 독특한 확장이다.

3. 4. '세속적인 것'과의 단절

사도루터교는 혼전 성관계[8]와 알코올 섭취를 성찬식 때를 제외하고는 금지한다.[8] 보수적인 레스타디안주의는 춤, 텔레비전, 피임, 리듬 있는 음악, 화장, 귀걸이, 영화, 문신, 욕설과 같은 세속적인 악습을 멀리한다.[8] 교회의 일부 보수적인 구성원들은 더 나아가 보험 가입을 거부하고, 자녀의 학교 스포츠 참여를 금지하며, 자동차 라디오를 제거하기도 한다.[8] 최초생 레스타디안을 중심으로 커튼과 꽃을 금지하는 등 가정에서의 단순함도 흔히 주장되지만, 이는 교회 교리는 아니다.[8]

3. 5. 대가족 선호

특히 많은 수의 제일생 장로 루터교인들과 평화의 말씀 그룹 내 가장 보수적인 교인들은 자녀가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라고 믿기 때문에 출산 조절을 사용하지 않는다.[9] 따라서 사도루터교인 가족들은 대가족인 경우가 많다.[9]

3. 6. 사회적 모임

사도루터교는 연례 교회 회의를 주요 활동으로 하며, 멀리 떨어진 회중에서 온 신자들이 참석하는 보수적 레스트라디안의 여름 예배가 포함된다. 또한 청소년들을 위한 ''합스''(「시온의 노래와 찬송가」를 부르고 방문하는 십대와 청년들의 모임), 찬양 예배, 모닥불, 청소년 토론, 돌봄 모임 및 부흥회가 있다.

장자 레스트라디안 내에서 스칸디나비아의 가장 중요한 연례 행사는 옐리바레의 크리스마스 예배와 라흐티의 하지 예배이며, 매년 수천 명의 장자 레스트라디안이 여러 국가에서 모인다.

4. 조직

4. 1. 핀란드와 북미의 조직

핀란드 내 대부분의 라에스타디우스파는 국교인 루터교 핀란드 교회에 속해 있다.[4] Oulu Kontinkangas 지구에는 보수 라에스타디안 중앙 협회의 본부가 있다.

핀란드 Oulu Kontinkangas 지구에 있는 보수 라에스타디안 중앙 협회의 본부


반면, 미국에는 공식적인 루터교회가 없기에 자체 교단을 설립했다.[4] 20세기 중반에 이 교단은 세 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열되었고, 이후 미국 교회 내 분열로 19개의 분파가 생겼으며, 현재 약 15개가 활동하고 있다.

라에스타디안의 약 90%를 차지하는 세 개의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5]

  • 보수 라에스타디안
  • 장자
  • Rauhan Sanafi ("평화의 말씀")


핀란드에서는 여러 분파 중 Elämän Sanafi ("생명의 말씀") 그룹이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이 그룹의 두 명은 Oulu의 주교로 선출되었고, 한 명은 군종 장성으로 봉사했다.

5. 현대의 레스타디우스파

5. 1. 인구 분포

2024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20여 개의 사도루터교 분파가 존재하며, 총 신도 수는 불명확하다. 주요 분파별 신도 수는 다음과 같다:

  • '''보수적 래스타디안주의''': 115,000명 (핀란드 (SRK), 미국 (래스타디안 루터교), 스웨덴 (SFC), 러시아, 토고 (ELLT), 캐나다 (LLC), 케냐 (LLOP), 가나 (LLC), 감비아 (LLC), 에콰도르,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ELR), 라트비아, 런던, 독일, 헝가리, 스페인, 스위스, 터키 등)
  • '''장자 래스타디안주의''': 불명 (미국 (구 사도 루터교), 핀란드 (에시코이스레스타디올라이세트 ry), 스웨덴, 노르웨이, 러시아, 라트비아)
  • '''작은 장자 그룹''' (라우한 사나 그룹): 21,000명 (핀란드 (LFF 및 LYRS), 미국 (미국 사도 루터교), 스웨덴, 노르웨이, 캐나다 (ALC), 과테말라, 나이지리아, 인도, 토고 (ALC) 및 케냐)
  • '''토롤라 그룹''': 4,000명 (미국 (제1 사도 루터교), 스웨덴 및 핀란드 (SVR))
  • '''리드 그룹''' (폴라라이트): 3,500명 (미국 (독립 사도 루터교))
  • '''재각성''': 3,000명 (핀란드 (LLK) 및 노르웨이)
  • '''에시코이스에트 ry''': 1,500명 (핀란드)
  • '''올드 에리키안''' (린겐 그룹): 1,200명 (노르웨이)
  • '''알라요키트''': 1,000명 (미국 미니애폴리스와 미네소타주 울프 레이크)
  • '''뉴 에리키안''': 800명 (노르웨이)
  • '''오네스 그룹''': 550명 (미국 (사도 루터교))[13]
  • '''엘라멘 사나 그룹''' (성직주의자): 300명 (핀란드, 스웨덴 (SFK) 및 노르웨이)
  • '''레비 그룹''': 200명 (핀란드 및 스웨덴)
  • '''GALC''': 50명 (미국 (은혜 사도 루터교))
  • '''레스키넨 그룹''': 50명 (스웨덴 및 노르웨이)
  • '''크바엔앙겐 그룹''' (스바르메리): 50명 (노르웨이)
  • '''데이비디트''': 40명 (미국)
  • '''군데르센 그룹''': 30명 (노르웨이)
  • '''한카 그룹''' (멜비니테): 20명 (미국)
  • '''스텐 그룹''': 15명 (핀란드)
  • '''콘티오 그룹''': 5명 (핀란드)


5. 2. 출산율

사도루터교 신도들은 서구 국가의 기준에서 대가족을 이루는 경향이 있다.[14] 핀란드에서는 국가의 출산율이 감소하면서 1940년대에는 출산율이 전국 평균의 2배였지만, 1980년대에는 4배에 달했다.[14] 1985~1987년까지 레스타디우스파의 합계출산율과 핀란드의 합계출산율은 각각 5.47과 1.45였다.[14] 레스타디우스파의 합계출산율 5.47 내에서도 다양성이 존재하여, '중도' 집단은 4명에서 자녀를 낳는 것을 선호하고 피임을 실천하는 반면, 보수적인 집단은 제한 없는 출산을 한다.[14]

2010년 기준으로 레스타디우스파의 동족혼 수준과 구성원 유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들은 주거 및 직업적으로 통합되어 있어 동화로 인해 더 많은 구성원을 잃는다. 예를 들어, 작은 마을인 라르스모에서, 일부는 타인과의 결혼과 이민으로 손실을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인구의 점유율이 불과 30년 만에 두 배로 증가하여 1991년에는 약 40%에 달했고, "한 세대 만에 마을의 2/3가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14]

6. 대중문화 속의 레스타디우스파

6. 1. 문학

에드윈 A. 수오미넨의 ''진주에 대한 고찰''은 보수적 라에스타디우스주의의 교리와 역사를 연구하며, 마르틴 루터의 가르침, 초기 기독교, 기독교 근본주의와 종파주의, 그리고 성경에 대해서도 다룬다. 미카엘 니에미의 ''곰을 요리하다''는 1852년 스웨덴 최북단을 배경으로, 가출한 사미족 소년과 그의 멘토인 라에스타디우스 목사를 따라가는 소설이다. 워렌 H. 헤포코스키는 ''라르스 레비 라에스타디우스와 라플란드의 부흥'', ''라에스타디우스 운동: 배경 저술과 증언'', ''라에스타디우스 운동: 논쟁과 분열 1861–2000''을 저술하였다. 전 LLC 회원 한나 퓔바에이넨은 라에스타디우스주의에 관한 소설 ''우리 죄인들''을 썼다. 퓔바에이넨의 2023년 소설 ''드럼 시간의 종말''은 1850년대 스칸디나비아 북부를 배경으로, 라르스 레비 라에스타디우스와 사미족 순록 목축업자들이 주요 등장인물로 등장한다.

6. 2. 영화 및 TV


  • 모든 죄(All the Sins) – 2019년 핀란드 텔레비전 드라마로, 핀란드 북부의 레스타디우스파 마을을 배경으로 한다.
  • 금단의 열매(Forbidden Fruit) – 2009년 핀란드 영화이다.
  • 코우토케이노 반란(The Kautokeino Rebellion) – 노르웨이 드라마 영화이다.
  • 지구는 죄 많은 노래(The Earth Is a Sinful Song) – 1973년 핀란드 드라마 영화이다.
  • 엘리나: 마치 내가 없었던 것처럼(Elina: As If I Wasn't There) – 2002년 스웨덴-핀란드 영화이다.
  • 북극권(Arctic Circle) – 2018년 핀란드 TV 시리즈이다.
  • 보더타운(Bordertown) – 시즌 3, 에피소드 7 & 8은 보수적인 레스타디우스파 공동체에서 일어난 미스터리한 죽음을 다룬다.

7. 한국의 관점

8. 저명한 레스타디우스파 신자


  • 유하 시필래는 핀란드 국회의원이자 전 핀란드 총리, 중앙당 대표였으며, 평생 라우한 사나 라스타디안으로 활동했다.
  • 섹스메인(Sexmane, 본명 에드워드 맥시밀리안 세네)은 플래티넘 앨범을 판매한 핀란드 녹음 아티스트로, 실린얘르비의 라스타디안 가정에서 태어나 자랐다.[15]

참조

[1] 서적 Scandinavian Pietists: Spiritual Writings from 19th-Century Norway, Denmark, Sweden, and Finland Paulist Press
[2] 서적 They Chose Minnesota: A Survey of the State's Ethnic Groups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1981-01-01
[3] 웹사이트 Lestadiolaisuuden synty, leviäminen ja hajaannukset. Lestadiolaisuuden tutkija, kirkkohistorian professori Jouko Talosen luento, Laestadiuksen perintö ja perilliset – seminaari Oulussa 4.-5.10.2012 http://www.virtuaali[...] Oulun hiippakunta, Pohjoinen kulttuuri-instituutti and Oulun ev.-lut. seurakunnat 2012-10
[4] 서적 The Religious Bodies of America Concordia Publishing House
[5] 웹사이트 Learning to Live Free: Sports, a Good Thing https://extoots.blog[...] 2008-08-05
[6] 웹사이트 "An Examination of the Pearl" http://examinationof[...] 2012
[7] 웹사이트 "An Examination of the Pearl" http://examinationof[...] 2012
[8] 웹사이트 Gammellaestadianism mer än bara fördomar https://svenska.yle.[...]
[9] 웹사이트 Finland's baby bust extends to historically large Laestadian families https://yle.fi/a/74-[...] 2024-04-29
[10] 웹사이트 Trio Raamattu http://kauppa.srk.fi[...]
[11] 웹사이트 Laestadianismen – Samer.se http://www.samer.se/[...] 2006-08-06
[12] 웹사이트 "Læstadianism and Its Role in the Loss of the Traditional Sámi Worldview" Section: "Laestadianism and the Sámi People" https://www.utexas.e[...]
[13] 문서 Talonen 2012
[14] 서적 Shall the religious inherit the Earth? : demography and polit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Profile Books 2010
[15] 웹사이트 Herkkä ja melankolinen – neljä Emma-ehdokkuutta saanut Sexmane ei ole gangsteri muttei esikuvakaan - Rumba.fi https://www.rumba.fi[...] 2021-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