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도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도좌는 초기 기독교에서 사도들이 직접 세운 교회의 주교 계승을 의미하며, 특히 로마 교회의 권위를 강조하는 개념이다. 특정 주교좌의 관할권은 사도적 기원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으며, 니케아 공의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통해 정치적 중요성에 따라 관할권이 부여되기도 했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사도좌는 교황과 성좌를 지칭하며, 로마 교황청의 여러 부서에도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역사 - 디오클레티아누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3세기 위기 이후 로마 제국을 안정시키기 위해 군사, 행정, 경제 개혁을 단행하고 사두정치 체제를 도입하는 등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나, 최고가격령 실패와 기독교 박해라는 어두운 면도 남겼으며, 그의 통치는 로마 제국의 전환점이자 후대 제국에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의 역사 - 예수회
    예수회는 1534년 이냐시오 데 로욜라가 창립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도회로, 청빈, 순결, 순종을 서약하며 교육, 선교, 사회 정의, 인권 분야에서 활동한다.
사도좌
일반 정보
유형교구
교회법적 지위대수도권 교회
전례로마 전례
관할권(직접적으로) 로마의 교황
(드물게) 이탈리아 주교 회의
국가바티칸 시국과 이탈리아
위치바티칸
역사
설립1세기
리더십
현직 교황프란치스코
교황 대리안젤로 데 도나티스 추기경
교회
대성전성 요한 라테라노 대성당

2. 초기 기독교와 사도 전승

테르툴리아누스와 이레네우스는 사도들이 직접 세운 교구 주교들의 계승을 기독교 교리의 확실한 근원으로 보았다.[5] 이레네우스는 로마 교회의 가르침을 배우는 것이 참된 기독교 교리를 아는 데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테르툴리아누스는 사도들로부터 교리를 직접 받은 교회들이 가장 오래되었고, 이 교회들로부터 다른 교회들이 같은 교리를 받았다고 주장했다.[5]

2. 1. 이레네우스와 테르툴리아누스

테르툴리아누스와 이보다 약간 앞선 이레네우스 (130년경 – 200년경)는 사도들이 직접 세운 교구의 주교들의 계승을 확실한 기독교 교리의 근원으로 언급한다.

이레네우스는 참된 기독교 교리를 알기 위해서는, 가장 오래된 교회, 적어도 그 중 하나인 로마 교회의 가르침을 배우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주장한다.[5] "만약 사도들이 숨겨진 신비를 알고 있었고, 그것들을 '완전한 자'들에게만 비밀리에 전달했다면, 그들은 특히 교회 자체를 위임한 사람들에게 그것들을 전달했을 것이다.[6] [...] 만약 우리 사이에 어떤 중요한 문제에 대한 논쟁이 발생한다면, 우리는 사도들이 끊임없이 교류했던 가장 오래된 교회에 의존하여 현재 문제에 관해 확실하고 명확한 것을 배우지 않겠는가?"[7]

테르툴리아누스의 주장도 이와 유사하다. 사도들로부터 그들이 세운 교회들은 사도들이 그리스도에게서 직접 받은 교리를 받았고, 그 교회들로부터 더 최근의 교회들이 같은 교리를 받았다. 모든 이단은 더 최근의 것이며, 다르기 때문에 오류이다.[5][8]

3. 주교 관할권과 사도 전승

특정 주교좌가 다른 주교좌에 대해 가지는 관할권은 항상 그 주교좌의 사도적 기원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알렉산드리아의 경우, 사도 베드로의 추종자이자 가까운 동료인 성 마르코는 신약 성경에서 사도로 불리지 않는다.

3. 1. 니케아 공의회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의 제4규정은 각 로마 속주의 수도(교구장 주교)에게 해당 주교좌의 설립자에 대한 언급 없이 해당 속주의 주교들 사이에서 권위 있는 지위를 부여했다.[9]

제6규정은 단일 제국 속주를 넘어 로마,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및 기타 속주의 교회들의 특권을 인정했다.[10]

예루살렘 파괴된 도시의 부지에 세워진 로마 도시인 아일리아에 대해, 공의회의 제7규정은 "관습과 고대 전통에 따라 아일리아의 주교를 존중해야 하므로, 대도시의 마땅한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그 다음의 영예를 누리도록 하라."라고 기록하고 있다.[11] 여기서 언급된 대도시는 일반적으로 카이사레아 마리티마로 여겨진다.[12][13][14][15]

3. 2.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381)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좌가 사도적 기원이 아니라 로마 제국의 수도로서 정치적 중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관할권적 중요성을 갖는 지위로 격상되었다고 보았다. 당시 반세기 동안 정치적 수도였던 곳에서 열린 이 공의회는 논란이 있는 효력의 규정에서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주교는 로마의 주교 다음의 영예를 가져야 한다.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새로운 로마이기 때문이다."[17] 이후 이 주교좌는 펜타키 이론에서 두 번째로 순위가 매겨졌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527-565)의 노벨레 131에서 공식화된 이 이론은 트룰로 공의회(692)에서 공식적인 교회 인가를 받았으며,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예루살렘의 5개 주교좌의 순위를 정했다.[18]

4. 주요 교단 및 지역별 사도 전승

주요 교단 및 지역별 사도 전승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사도관련 지역 및 교단
안드레아불가리아 정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고린토스, 그루지야 정교회, 파트라스, 루마니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우크라이나 정교회
바르나바키프로스, 밀라노
바르톨로메오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 바빌론, 고아와 마하라슈트라
야고보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라틴)
대(大) 야고보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요한에페소
마르코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콥트 가톨릭, 그리스 정교회), 아퀼레이아
바울로아테네, 키프로스, 몰타, 빌립보, 로마, 테살로니카, 일리리아 (알바니아 정교회)
베드로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마론파, 멜키트, 시리아 가톨릭, 시리아 정교회),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라틴), 로마, 시라쿠사
필립보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
시몬그루지야 정교회
타대오/유다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 동방 고대 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 칼데아 가톨릭 교회 (바빌론)
에데사의 타대오동방 고대 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 칼데아 가톨릭 교회 (바빌론)
토마스동방 고대 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 칼데아 가톨릭 교회 (바빌론), 성 토마스 기독교도


4. 1. 사도 또는 동료들에 의해 설립된 것으로 여겨지는 교회

교회설립자
알렉산드리아(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콥트 가톨릭, 그리스 정교회)마가 복음사가
안티오크 (그리스 정교회, 마론파, 멜키트, 시리아 가톨릭, 시리아 정교회)베드로
아퀼레이아마가 복음사가 (70인의 사도 중 한 명)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타대오(유다 타대오)와 바르톨로메오
아테네바울
불가리아 정교회안드레아
콘스탄티노폴리스안드레아
고린토바울
키프로스, 뉴 유스티니아나(에르데크)바울과 바나바
에페소요한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빌립보
조지아 정교회안드레아와 열심당 시몬
고아와 마하라슈트라바르톨로메오 (가톨릭 교회의 로마 순교록은 바르톨로메오가 인도에서 설교했다는 전통을 언급한다. A.C. 페루말릴 신부와 모라에스의 연구에 따르면 뭄바이 지역, 즉 콘칸 해안, 고대 도시 칼리안으로 알려졌을 수 있는 지역이 성 바르톨로메오의 선교 활동의 무대였다고 한다. 바르톨로메오의 순교라는 또 다른 비공식 책은 그가 일반적으로 아르메니아에서 순교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인도에서 순교했다고 말한다. 이 텍스트에는 폴리아무스 왕과 아스트리야기스 왕이라는 두 명의 왕이 묘사되어 있다. 서기 55년경 칼리안 근처를 통치했던 풀라이미라는 왕이 있었는데, 라틴어로는 폴리아무스라고 불리며, 풀라이미의 뒤를 이은 아리스타카르만 왕은 아스트리야이스라는 라틴 이름을 가졌을 수 있으며, 사도가 고아와 마하라슈트라에서 설교했다는 것은 고아의 전통이다.)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라틴)베드로와 야고보
몰타바울
밀라노바나바
파트라안드레아
빌립보바울
루마니아안드레아 (스키티아(스키티아 소, 도브루자, 토미스 관구 대주교)에서 설교)
로마베드로와 바울
러시아 정교회우크라이나 정교회안드레아 (나중에 키예프 도시가 세워진 지역을 방문)
성 토마스 기독교도 (케랄라와 사도 토마스와의 관련성을 주장)칼데아 시리아 교회, 야고보 시리아 기독교 교회, 말라바르 독립 시리아 교회, 말란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 마르 토마 시리아 교회, 인도 성 토마스 복음주의 교회, 시로-말라바르 가톨릭 교회, 시로-말란카라 가톨릭 교회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야고보
셀레우키아-크테시폰 또는 바빌론 (동방 고대 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 칼데아 가톨릭 교회)토마스, 바르톨로메오, 에데사의 타대오
시라쿠사베드로
테살로니카바울


4. 2. 사도를 설립자로 주장하는 교회

다음은 사도를 설립자로 주장하는 교회 목록이다.

5.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도좌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관례에 따라, 431년 제3차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우리 지극히 거룩하고 복되신 교황 첼레스티노, 사도좌의 주교"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41] "'''''사도좌'''''"라는 표현은 단수 형태로 사용되며 대문자로 시작하여 특별히 성좌를 의미하고, 전 세계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으로서의 교황과 사도 계승의 성 베드로의 후계자를 나타낸다.[42][43]

가톨릭 교회법에서 이 용어는 로마 교황청의 다양한 부서에도 적용된다. 교회법전은 다음과 같이 명시한다. "이 법전에서 사도좌 또는 성좌라는 용어는 로마 교황뿐만 아니라, 사물의 본질이나 문맥상 반대가 명백하지 않는 한, 국무원, 교회의 공적 사무를 위한 평의회, 그리고 로마 교황청의 다른 기관들을 의미한다."[44] 문제의 기구들은 로마의 사도좌를 대표하여 발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참조

[1] 웹사이트 Merriam-Webster: definition of ''apostolic see'' https://www.merriam-[...]
[2] 웹사이트 Collins English Dictionary: Definition of 'apostolic see' https://www.collinsd[...]
[3] 웹사이트 Tertullian, ''De praescriptione haereticorum'', chapter 36 http://www.ccel.org/[...]
[4] 웹사이트 Tertullian, ''De praescriptionibus adversus haereticos'', chapter XX http://www.ccel.org/[...]
[5] 웹사이트 Honoré Coppieters, "Apostolic Churches"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http://www.newadvent[...]
[6] 웹사이트 Irenaeus, ''Adversus haereses'', III http://www.textexcav[...]
[7] 웹사이트 Irenaeus, ''Adversus haereses'', III, iv, 1 http://www.textexcav[...]
[8] 웹사이트 Tertullian, ''De praescriptionibus adversus haereticos'', chapter xxxii http://www.ccel.org/[...]
[9] 웹사이트 First Council of Nicaea: canons 4, 6, 7 http://www.newadvent[...]
[10] 웹사이트 First Council of Nicaea: canon 6 http://www.newadvent[...]
[11] 웹사이트 First Council of Nicaea: canon 7 http://www.newadvent[...]
[12] 서적 Brian E. Daley, "Position and Patronage in the Early Church" in Everett Ferguson, ''Norms of Faith and Lif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3] 서적 Jonathan Z. Smith, ''To Take Pla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 서적 Ian Gilman, Hans-Joachim Klimkeit, ''Christians in Asia before 15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서적 Lucy Grig, Gavin Kelly, ''Two Rom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Schaff's ''Seven Ecumenical Councils'': First Nicaea: Canon VII http://www.ccel.org/[...]
[17] 웹사이트 NPNF2-14.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18]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Pentarchy'' http://www.britannic[...]
[19] 문서 Saint Mark is not called an apostle in the [[New Testament]], but he is said to have been one of the [[Seventy Apostles]] and to have been commissioned as an apostle when he accompanied [[Paul of Tarsus|Saint Paul]] and [[Saint Barnabas]] in their apostolic journeys.
[20] 웹사이트 Greek Orthodox Church of Alexandria Official Website http://www.greekorth[...] Greekorthodox-alexandria.org 2011-07-26
[21] 웹사이트 website of the Coptic Orthodox Church Network http://www.copticchu[...] Copticchurch.net 2011-07-26
[22] 웹사이트 Syriac Orthodox Resources http://sor.cua.edu/I[...] sor.cua.edu 2011-08-18
[23]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Armenian Church http://66.208.37.78/[...] 66.208.37.78 2011-07-26
[24] 웹사이트 Apostolic Succession of the Catholicos-Patriarch of Cilicia for Armenian Catholics http://www.stgregory[...]
[25] 서적 The Martyrdom of St. Bartholomew: Greek, Arabic, and Armenian Versions https://books.google[...] Dalcassian Publishing Company 2014-01
[26] 웹사이트 Word Pictures in the New Testament - 2 Corinthian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27] 웹사이트 The Establishment of the Ethiopian Church http://www.ethiopian[...] 2015-12-02
[28] 웹사이트 Mission of Saint Bartholomew, the Apostle in India https://www.nasrani.[...] 2007-02-13
[29] 웹사이트 Philip Schaff: NPNF2-01. Eusebius Pamphilius: Church History, Life of Constantine, Oration in Praise of Constantine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30] 웹사이트 St. Bartholomew - Saints & Angels https://www.catholic[...]
[31] 웹사이트 Saints & Blessed – CCBI https://ccbi.in/sain[...]
[32] 웹사이트 Encyclopaedia Britannica: "Saint Bartholomew" https://www.britanni[...]
[33] 서적 Paniker https://books.google[...] 1997
[34] 서적 Sacred Skin: The Legend of St. Bartholomew in Spanish Art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2020-03-02
[35] 웹사이트 Today, the Church remembers St. Bartholomew. {{!}} by Father Troy Beecham {{!}} Medium https://medium.com/@[...]
[36] 뉴스 St bartholomew: Tracing St Bartholomew's footsteps to Betalbatim https://timesofindia[...] 2017-09-10
[37] 웹사이트 "Eusebius Pamphilius: Church History, Life of Constantine, Oration in Praise of Constantine" at the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Ccel.org 2005-07-13
[38] 서적 Acts and Martyrdom of the Holy Apostle Andrew https://books.google[...]
[3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Russian Church http://russian-craft[...] Russian-crafts.com 2011-07-26
[40] 서적 Craig A. Evans, The Bible Knowledge Background Commentary: Acts-Philemon https://books.google[...] David C. Cook 2004
[41] 웹사이트 NPNF2-14.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42] 문서 Bishop Kallistos Ware, Orthodox Church http://www.intratext[...]
[43] 문서 Catholic Encyclopedia, article The Apostolic See http://www.newadvent[...]
[44]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text - IntraText CT http://www.intra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