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는 사도 시대에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였던 예루살렘 교회의 후신으로, 기독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총대주교로 승격되어 자율 교회가 되었으며, 성지로서의 신성함, 비잔틴 황제의 지원 등을 바탕으로 특별한 중요성을 얻었다. 1517년 오스만 제국 지배 이후 성묘 형제단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9세기 아랍 정교 운동이 일어났다. 이스라엘 건국 이후 토지 소유권 문제와 이스라엘 정부와의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 테오필로스 3세가 총대주교로 있다.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는 이스라엘에서 두 번째로 큰 토지 소유주이며, 여러 관구와 대교구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정교회 - 아야 소피아
    아야 소피아는 터키 이스탄불에 있는 건축물로, 교회, 모스크, 박물관을 거쳐 현재는 모스크로 사용되고 있으며, 비잔틴 건축의 대표작이자 돔 구조와 모자이크 장식으로 유명하고 한때 세계에서 가장 큰 성당이었다.
  • 그리스 정교회 -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는 초기 기독교 중심지 안티오키아에서 융합된 기독교 전통을 잇는 교회로, '룸' 또는 '멜키트'라고도 불리며 서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에 22개 대교구를 두고 있지만, 시리아 내전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 예루살렘의 기독교 - 성십자가
    성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형에 처해진 십자가 또는 그 유물 조각을 의미하며, 4세기 헬레나의 발견 이후 전 세계로 분산되어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상징으로 숭배되고 있다.
  • 예루살렘의 기독교 - 비아 돌로로사
    비아 돌로로사는 예수의 수난을 기념하는 예루살렘의 순례길로, 14개의 처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주 금요일 가톨릭 행렬이 진행된다.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기본 정보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문장
공식 명칭 (그리스어)(파트리아르케이온 히에로솔리몬)
분류동방 정교회
지향그리스 정교회
성경칠십인역, 신약성경
신학동방 정교회 신학
정치 체제주교제
언어그리스어, 아랍어, 영어
본부거룩한 무덤 성당, 동예루살렘
관할 지역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기원신약성경의 사도들
독립451년 카이사레아 마리티마의 대도시로부터 독립
교세약 50만 명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지도자
수장 직함예루살렘과 모든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시리아, 요르단 강 건너편, 갈릴래아 가나와 거룩한 시온의 총대주교
현임 수장테오필로스 3세

2. 역사

예루살렘 성묘의 모습


예수의 형제 야고보, 예루살렘의 초대 주교


유대에서 로마 당국의 박해가 심해지면서 유대인과 기독교인 대부분은 로마 제국 전역에 노예로 팔려 흩어졌다. 예루살렘은 기독교 교회의 삶에서 그 중요성과 위치가 감소했지만, 유대인과 기독교인의 잔재는 항상 그 도시와 땅에 남아 있었다.

분쟁, 박해, 적은 인구에도 불구하고 주교들은 계속 선출되거나 임명되었다. 유세비우스는 324년까지 예루살렘의 36명의 주교들의 끊이지 않는 계승자들의 이름을 제공하는데, 처음 16명은 유대인( 예수의 형제 야고보에서 유다 ( † 135)까지)이었고 나머지는 이방인이었다.[10] 가이사랴 마리티마의 교구 대주교는 325년까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의 주교들을 계속 임명했다.

1054년 동서 교회 분열에서 예루살렘 총대주교는 안티오키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와 함께 동방 정교회에 합류했다. 이후 성지 안의 모든 기독교인은 예루살렘 정교회 총대주교의 관할 하에 들어갔다.

614년, 페르시아인들은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기독교의 팔라듐인 귀중한 십자가와 함께 자카리아스 총대주교를 포로로 잡았다. 크리소스토모스 파파도풀로스는 총대주교의 역사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예루살렘 안팎의 교회와 수도원이 파괴되었고, 기독교인들이 잔혹하게 학살당했다… 유대인들이 사들인 수천 명의 포로들이 학살당했다. 존재했던 좋은 것은 무엇이든 파괴되거나 침략자들에게 약탈당했다. 수도사들은, 특히 마르 사바 수도원의 수도사들이 무자비하게 학살당했다."

예루살렘의 성묘 형제단 사제


총대주교청의 깃발(문자 "ΤΦ" (타우 + )는 "taphos"(무덤)를 나타냄)

2. 1. 초기 기독교 시대

사도 시대에,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는 예루살렘을 주요 중심지이자 기준으로 삼았던 불확실한 수의 지역 교회들로 구성되었다. 일부는 안티오크로 가서 복음주의 노력을 기울였고, 그들에게 "그리스도인"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은 기독교에 항상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초기 기독교 시대 동안 예루살렘의 교회는 "모든 교회의 어머니, 거룩하고 영광스러운 시온"으로 불리며 기독교의 중심지였다. 최후의 만찬 장소는 최초의 기독교 교회가 되었으며, 이는 기독교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곳 중 하나였다.[8]

제1차 유대-로마 전쟁 (서기 66-73년)이 발발하기 전, 티투스에 의해 서기 70년에 헤롯 성전이 파괴되기 전에, 시므온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인들은 데카폴리스 (요르단)의 펠라로 피신했고,[9] 135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유대인들은 바르 코크바의 반란 (132–136)에서 로마에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그 시기 또는 그 무렵에 기독교인들은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유대인들의 반란을 처벌하고 추가적인 불안을 방지하기 위해 예루살렘은 로마 식민지가 되었고 하드리아누스에 의해 아엘리아 카피톨리나로 개명되었다. 135년에 가이사랴 마리티마의 교구 대주교는 마르쿠스를 아엘리아 카피톨리나로 개명된 교회의 초대 주교로 임명했다. 그는 예루살렘 교회(또는 아엘리아 카피톨리나)의 첫 번째 이방인 주교였으며, 이전 주교들은 모두 유대인이었다.[10]

2. 2. 니케아 공의회와 칼케돈 공의회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아엘리아 카피톨리나로 이름이 바뀐 예루살렘의 주교에게 일곱 번째 교회법 조항에서 불확실한 우선권을 부여했지만, 여전히 팔레스티나의 가이사랴의 교구 대주교에게 종속되어 있었다.[10]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는 예루살렘 주교가 총대주교로 승격되었고,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에 이어 다섯 번째 순위에 놓이게 되었다. ( 오방서구 참조) 그 이후로 예루살렘 교회는 자율 교회로 남아 있다. 예루살렘이 총대주교로 세워진 이유는 그 장소의 신성함, 제1차에서 제4차 에큐메니컬 공의회 사이에 얻은 특별한 중요성, 웅장한 교회의 건설, 로마 및 비잔틴 시리아-팔레스타인의 상당수 인구의 기독교 개종, 전 세계에서 온 순례자들의 유입, 예루살렘 교회의 뛰어난 주교, 수도사 및 교사들의 중요성, 성묘 형제단의 정교회를 위한 투쟁, 그리고 다양한 비잔틴 황제들의 지원 덕분이었다.

2. 3. 이슬람 시대와 십자군 시대

637년 예루살렘 포위전 이후, 소프로니우스 총대주교는 도시를 칼리프 우마르에게 항복했지만, 기독교인의 보호 권리를 보장하는 우마르의 언약을 체결했다.[11] 그러나 638년 이후 기독교인들은 잦은 박해를 겪었다. 기독교 성지는 우마르의 후계자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약탈당하고 훼손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심한 박해가 있었다. 특히 파티마 왕조의 알-하킴 비-암르 알라(1007-1009) 시대에는 극심한 박해가 있었는데, 그는 기독교인과 유대인 모두를 맹렬하게 핍박했다. 그는 유대인들에게 황소 머리 가면과 방울을 착용하게 하고, 기독교인들에게는 애도 복장과 1야드 길이의 십자가를 착용하게 했다. 또한 알-하킴은 성묘의 파괴를 명했다. 11세기에는 칼리프 알리 앗-자히르가 비잔티움과의 조약에 따라 성소 재건을 허용했다.[12]

1099년 십자군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예루살렘 왕국을 세우면서, 라틴 총대주교 아래 라틴 계층이 수립되고 정교회 총대주교는 추방되었다.[13] 라틴 총대주교는 1099년부터 1187년까지 예루살렘에 거주했고, 그리스 총대주교는 계속 임명되었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머물렀다. 1187년 십자군이 예루살렘에서 물러나면서 정교회 총대주교는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14]

2. 4. 오스만 제국 시대와 근대

오스만 제국 시대에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는 성묘 형제단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성묘 형제단은 성지에 있는 많은 기독교 성지를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로마 가톨릭 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와 협력하기도 했다.

1099년 십자군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예루살렘 왕국을 세우면서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가 임명되고 정교회 총대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추방되었다. 1187년 십자군이 예루살렘에서 물러난 후 정교회 총대주교가 복귀했지만, 라틴 총대주교는 1847년까지 로마에 머물렀다.

2. 5. 현대의 정치적 논란

테오필로스 3세는 중동의 정치적 혼란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이스라엘, 요르단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총대주교가 되었다. 이로 인해 총대주교와 총대주교청의 역할과 지위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11]

2005년, 이리네오스 총대주교가 동예루살렘의 교회 재산을 이스라엘 투자자들에게 매각한 사건으로 인해 예루살렘 성 시노드는 그를 총대주교직에서 해임했다.[11] 같은 해 8월 22일, 예루살렘 교회의 성 시노드는 타보르의 테오필로스 대주교를 예루살렘의 141대 총대주교로 만장일치로 선출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정부는 한동안 테오필로스 3세를 새로운 총대주교로 인정하지 않고 이리네오스를 계속 총대주교로 인정했다. 이는 세계 총대주교의 요청에 따라 파나르에서 열린 모든 동방 정교회 대표자들의 만장일치 결정, 즉 이리네오스와의 성찬을 철회하고 테오필로스 3세의 정식 선출을 인정한 결정에 반하는 것이었다.

이스라엘이 총대주교의 세속적 역할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총대주교는 이스라엘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데 제약을 받았고, 총대주교청 은행 계좌가 동결되기도 했다. 이는 4만 명의 학생이 있는 성지 유지와 총대주교청 학교 시스템을 위협했다. 이러한 분쟁의 배경에는 이스라엘 정착촌 단체와 정치인들이 수억 달러 상당의 총대주교청 소유 토지를 확보하려는 40년간의 시도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2006년 이스라엘은 많은 그리스 성직자들의 비자 갱신을 거부하여 교회 내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뻔했다. 대부분의 수도승이 그리스 시민이었기 때문이다. 테오필로스 총대주교는 이스라엘 대법원에 신청했고, 2006년 중반과 2007년 1월에 결정이 내려질 예정이었으나 이스라엘 정부는 계속해서 재판 지연을 요청했다. 이스라엘 신문 ''하레츠''는 2007년 2월 11일 이스라엘 정부가 테오필로스에게 몇몇 귀중한 재산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하고 교회 재산을 이스라엘인에게만 매각할 경우 그를 인정하겠다고 제안했다고 보도했다.[12]

2007년 5월, 요르단 정부는 테오필로스 3세에 대한 이전 인정을 철회했지만, 2007년 6월 12일 요르단 내각은 결정을 번복하고 테오필로스를 다시 공식적으로 인정한다고 발표했다.[13] 세바스티아의 대주교 테오도시우스 (한나)는 테오필로스에 대한 보이콧을 촉구했다.[14]

2007년 12월, 이스라엘 정부는 마침내 테오필로스 3세를 완전히 인정했다.

3. 토지 소유권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는 이스라엘 정부 다음으로 이스라엘에서 두 번째로 큰 토지 소유주이다. 그리스 교회는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대부분의 토지를 매입했다. 1950년대, 이스라엘 독립 직후, 그리스 총대주교청은 이스라엘 정부에 이스라엘 내 대부분의 토지를 연장 옵션과 함께 99년 동안 임대하기로 합의했다. 이스라엘 의회인 크네세트조차도 그리스 정교회가 소유한 토지에 세워졌다.[15][16]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청의 재산에는 예루살렘 구시가지 내의 임페리얼 호텔과 페트라 호텔을 포함한 역사적인 건물과 구시가지의 야파 게이트,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내의 광대한 지역도 포함되어 있다.[17]

2005년, 당시 총대주교 이리네오스가 아랍인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에서 유대인들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유대인들에게 동예루살렘에 있는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청 소유의 토지를 매각한 사실이 드러났다.[18] 예루살렘의 정교회 기독교인 대다수는 팔레스타인인으로 정체성을 갖고 있으며, 이스라엘인에게 토지를 매각한 사건은 큰 소동을 일으켰고, 이리네오스는 총대주교에서 물러났다.[18]

4. 아랍 정교 운동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의 아랍 정교 운동은 19세기부터 시작된 아랍화를 목표로 하는 정치적, 사회 운동이다.[21]

이 운동은 19세기 발칸 반도의 민족주의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부상하는 아랍 민족주의의 맥락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오스만 제국 하에서 종교 개혁과 민족 해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합쳐졌고,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가 시리아와 레바논에서 성공적으로 아랍화된 사건(1899년)과 맞물렸다. 이 운동은 아랍인 총대주교 임명, 사회 및 교육 목적으로 예루살렘 총대주교의 재산에 대한 아랍 평신도의 통제, 그리고 아랍어를 전례 언어로 사용할 것을 요구하였다. 초기에 팔레스타인과 트란스요르단 정교 아랍 기독교인들 사이의 교회 운동이었으나, 후에 팔레스타인 및 아랍 민족주의적 대의로 지지받았고, 그리스계가 주도하는 총대주교가 초기부터 시온주의를 지지했기 때문에 아랍 무슬림들이 옹호했다.

아랍 정교 평신도는 총대주교가 1543년에 강제로 헬라화되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그리스 성직자들은 역사적으로 총대주교는 그리스계였다고 반박한다. 19세기에 그리스 성직자에 대한 반대가 폭력적으로 시작되었는데, 아랍 평신도들이 거리에서 그들을 물리적으로 공격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오스만 제국, 영국 (1921-1948), 요르단 (1948-1967) 당국은 총대주교의 본부가 동예루살렘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차례 개입했다. 이 도시는 1967년 이후 이스라엘의 점령 하에 들어갔지만, 총대주교는 1958년 요르단 법에 따라 계속 운영되었으며, 이 법은 성직자들이 요르단 시민권을 갖고 아랍어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19]

오늘날까지도 총대주교는 그리스 성직자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이스라엘에서 두 번째로 큰 토지 소유주가 될 정도로 광대한 재산을 소유하고 있다.[21] 최근 수십 년 동안 아랍 평신도와 총대주교 간의 재산 소유권을 둘러싼 소송이 이스라엘 법원에서 벌어졌으며, 총대주교가 이스라엘 투자자에게 토지를 매각한 것은 여러 논란을 낳았고, 가장 최근의 논란으로 인해 2005년에 총대주교 이레나이오스(Irenaios)가 해임되었다.[20] 총대주교의 총대주교에 대한 완전한 통제와 광대한 재산은 그것을 "작은 절대 왕국"과 유사하다고 묘사하게 만들었다.[21]

5. 교구 및 관구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는 여러 관구와 교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교구와 관구는 다음과 같다.

5. 1. 대교구 및 대주교

대교구명대주교
게라사 관구테오파네스(테오도시오스) 하사파키스 (1992-)
티베리아스 관구알렉시오스 모스초나스 (1996-)
아빌라 관구도로테오스(데메트리오스) 레오바리스 (2000-)
이오페 관구다마스키노스(아나스타시오스) 가가니아라스 (2000-)
콘스탄티나 관구아리스타르코스(안토니오스) 페리스테리스 (1998-)
타보르 산 관구메토디오스(니콜라오스) 리베리스 (2005-)
요르다노스 관구공석
세바스티아 관구테오도시오스 (니자르) 한나 (2005-)
아스칼론 관구공석
디오카이사리아 관구공석
마다바 관구아리스토불로스 키리아지스
카타르 관구마카리오스 (카타르) (2013-)


5. 2. 관구 및 관구장

관구관구장
가이사레아 관구 및 팔레스타인 프라이마 엑사르코스공석
스키토폴리스 관구공석
페트라 관구 및 아라비아 페트라에 엑사르코스코르넬리오스 (엠마누엘) 로두사키스 (2005-)
프톨레마이스 관구공석
나사렛 관구 및 모든 갈릴리 엑사르코스키리아코스 (안드레아스) 게오르조페트리스 (1991-)
네아폴리스 관구공석
카피톨리아스 관구이시히오스 (엘리아스) 콘도기안니스 (1991-)
보스트라 관구티모테오스 (테오도로스) 마가리티스 (1998-)
엘레우테로폴리스 관구공석
필라델피아 관구베네딕토스 (조지) 체쿠라스 (2001-)


5. 3. 자치 교회

시나이산 정교회는 시나이산 대교구, 파란 및 라이투를 관할한다.

참조

[1] 문서 Πατριαρχεῖον Ἱεροσολύμων, Patriarcheîon Hierosolýmōn; بطريركية الروم الأرثوذكس في القدس, Baṭriyarkiyyat ar-Rūm al-ʾUrṯūḏuks fī 'l-Quds, הפטריארכיה היוונית-אורתודוקסית של ירושלים
[2] 웹사이트 The first Church https://en.jerusalem[...] 2021-09-15
[3]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second Edition [6 volumes] ABC-CLIO
[4] 서적 World Christianity in the 20th Century Hymns Ancient and Modern Ltd
[5] 성경 Acts 2:1-41
[6] 문서 That is, thirteen days behind the Western (Gregorian) calendar
[7] 성경 Acts 11:19-26
[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Jerusalem (A.D. 71–1099)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10-10-01
[9] 문서 According to Hegesippus. On the flight to Pella, see: Pritz, Ray A., "On Brandon’s Rejection of the Pella Tradition", Immanuel 13 (1981), p. 39-43; Bourgel, Jonathan, The Jewish Christians’ Move from Jerusalem as a pragmatic choice, in: Dan Jaffé (ed), Studies in Rabbinic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Leyden: Brill, 2010), p. 107-138. http://www.newadvent[...]
[10] 서적 The History of the Church Penguin Books
[11] 뉴스 Jerusalem affairs: Religiously political http://fr.jpost.com/[...] 2007-12-20
[12] 뉴스 Haaretz: Government's Precondition for Greek Orthodox Patriarch's Appointment: 'Sell Church Property Only to Israelis' https://www.haaretz.[...] 2007-02-11
[13] 뉴스 Jordan reverses decision over Jerusalem Patriarch http://www.ana.gr/an[...]
[14] 웹사이트 Link lost http://www.panet.co.[...]
[15] 웹사이트 1,500 Jerusalem homeowners up in arms over secret sale of church land http://www.timesofis[...]
[16] 뉴스 This Day in Jewish History / Finally, Construction on the Knesset Begins https://www.haaretz.[...]
[17] 뉴스 Court freezes recognition of Greek Patriarch http://fr.jpost.com/[...]
[18] 뉴스 Ousted patriarch behind locked doors in Jerusalem https://www.jpost.co[...]
[19] 서적 European Cultural Diplomacy and Arab Christians in Palestine, 1918–1948
[20] 뉴스 The Monk in the Window https://www.haaretz.[...]
[21] 학술지 The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Jerusalem and Its Congregation: Dissent over Real Estate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11-04
[22] 문서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23]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24]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25]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