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성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출 성형은 용융된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료를 금형에 주입하여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공정이다. 1846년 찰스 핸콕이 사출 성형기를 특허로 등록한 이후, 1872년 존 웨슬리 하야트 형제가 최초의 사출 성형기 중 하나를 특허로 등록하면서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저렴한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산업이 급성장했으며, 1946년 제임스 왓슨 헨드리가 스크류 사출기를 개발하여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켰다. 사출 성형은 현재 자동차, 의료,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다색 성형, 인몰드 성형, 금속 분말 사출 성형 등 특수한 형태로도 발전했다. 사출 성형 과정에서 다양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금형 설계, 공정 조건 조절, 시험 운전 등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스틱 산업 - 소결
소결은 분말 재료를 녹는점 이하의 고온에서 가열하여 입자들을 결합시켜 고체 덩어리로 만드는 공정으로, 세라믹스 제조 및 분말 야금에 활용되며 재료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 플라스틱 산업 - 스트라타시스
스트라타시스는 1989년 설립되어 FDM 기술 기반 3D 프린터를 개발해 온 제조 업체로, 오브제 합병과 메이커봇 인수를 통해 성장했으나 최근 합병 무산 및 특허 침해 소송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 공정 - 소결
소결은 분말 재료를 녹는점 이하의 고온에서 가열하여 입자들을 결합시켜 고체 덩어리로 만드는 공정으로, 세라믹스 제조 및 분말 야금에 활용되며 재료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 공정 - 조립 라인
조립 라인은 작업자와 설비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부품을 운반하고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대량 생산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지만, 병목 현상, 노동 문제 등 개선 과제도 안고 있다. - 산업 디자인 - 바우하우스
1919년 발터 그로피우스가 독일 바이마르에 설립한 바우하우스는 건축을 중심으로 예술 분야를 통합하고 기능주의와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는 디자인 양식을 추구한 예술 학교로, 나치 정권의 탄압으로 폐교되었으나 그 이념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 산업 디자인 - 디자인 싱킹
디자인 씽킹은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론으로,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강조하며 기업 혁신과 교육 분야에서 활용된다.
사출성형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Injection moulding (영국 영어) 사출 성형 |
공정 정보 | |
적용 분야 | 대량 생산 플라스틱 부품 제조 |
관련 공정 | 압출 성형 블로우 성형 열성형 |
재료 |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엘라스토머 |
주요 단계 | 재료 준비 용융 사출 냉각 이젝션 |
장비 | 사출 성형기 |
장점 | 높은 생산성 정밀한 형상 구현 다양한 재료 사용 가능 |
단점 | 초기 투자 비용 높음 복잡한 형상 설계 어려움 |
세부 정보 | |
역사 |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개발 |
작동 원리 | 용융된 재료를 금형에 주입하여 성형 |
주요 매개변수 | 사출 압력 금형 온도 냉각 시간 |
일반적인 재료 |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스티렌 (PS)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PC) |
응용 분야 | 자동차 부품 전자 제품 케이스 소비재 의료 기기 |
금형 | 재료: 강철, 알루미늄 설계 고려 사항: 냉각 시스템, 이젝션 시스템 |
자동화 | 로봇 활용 공정 제어 시스템 |
품질 관리 | 치수 검사 외관 검사 기능 검사 |
환경 고려 사항 | 재료 재활용 에너지 효율 |
추가 정보 | |
관련 표준 | ISO 9001 ISO 14001 |
문제 해결 | 웰드 라인 싱크 마크 뒤틀림 |
2. 역사
19세기 중반, 영국의 발명가 찰스 핸콕(토마스 핸콕)이 사출 성형기를 특허로 등록했다.[6] 이후, 미국의 존 웨슬리 하야트는 형제 이사야 하야트와 함께 1872년 최초의 사출 성형기 중 하나를 특허로 등록했다.[7]
1979년까지 플라스틱 생산량은 강철 생산량을 넘어섰고, 1990년까지 알루미늄 금형이 사출 성형에 널리 사용되었다.[11] 오늘날 스크류 사출기는 모든 사출기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플라스틱 사출 성형 산업은 빗과 단추를 생산하던 것에서, 자동차, 의료, 항공 우주, 소비재, 장난감, 배관, 포장 및 건설을 포함한 많은 산업을 위한 광범위한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발전했다.[12]
2. 1. 초기 역사
존 웨슬리 하야트는 1872년 자신의 형제 아이자이어와 함께 최초의 사출성형기 특허를 받았다.[34] 이 기계는 오늘날 사용되는 기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했는데, 큰 피하 주사기처럼 플런저를 사용하여 가열된 실린더를 통해 금형에 플라스틱을 주입하는 방식이었다. 초기 산업은 수년에 걸쳐 천천히 발전하여 칼라 지지대, 단추, 머리빗과 같은 제품을 생산했다.2. 2. 발전 과정
1903년, 독일의 화학자 아르투르 아이헨그룬과 테오도어 베커는 셀룰로스 질산염보다 가연성이 훨씬 낮은 아세트산 셀룰로스의 가용성 형태를 최초로 발명했다.[8] 이는 분말 형태로 제공되어 사출 성형에 쉽게 활용될 수 있었다. 1919년, 아르투르 아이헨그룬은 최초의 사출 성형 프레스를 개발하였다. 1939년에는 가소화된 아세트산 셀룰로스의 사출 성형을 특허로 등록했다.제2차 세계 대전은 저렴하고 대량 생산된 제품에 대한 엄청난 수요를 창출하면서, 1940년대에 사출 성형 산업이 급속도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9] 1946년, 미국의 발명가 제임스 왓슨 헨드리는 최초의 스크류 사출기를 제작하여 사출 속도와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훨씬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기계는 사출 전에 재료를 혼합할 수 있게 하여, 유색 또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새 재료에 첨가하여 주입 전에 철저히 혼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70년대에 헨드리는 최초의 가스 보조 사출 성형 공정을 개발하여 복잡하고 속이 빈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는 냉각 속도가 빨랐다. 이는 생산 시간, 비용, 무게 및 폐기물을 줄이면서 설계 유연성뿐만 아니라 제조 부품의 강도와 마감을 크게 향상시켰다.
2. 3. 대한민국 사출 성형 산업의 발전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플라스틱 산업이 성장하면서 사출 성형 기술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주로 생활용품, 완구 등을 중심으로 생산했으나, 점차 산업 전반으로 확대되었다. 1970~80년대 경제 성장과 함께 자동차, 전자 산업이 발전하면서 사출 성형 기술도 고도화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수준의 사출 성형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련 장비 및 금형 산업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2000년대 이후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통해 사출 성형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힘써왔다.3. 사출 성형의 원리 및 특징
사출 성형은 전선 릴, 포장, 병뚜껑, 자동차 부품 및 구성 요소, 장난감, 포켓 빗, 일부 악기(및 부품), 일체형 의자 및 작은 테이블, 보관 용기, 기계 부품(기어 포함) 등 다양한 물건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사출 성형은 플라스틱 부품을 제조하는 가장 일반적인 현대적인 방법이며, 동일한 물체를 대량 생산하는 데 이상적이다.[2]
사출 성형은 램 또는 스크류형 플런저를 사용하여 용융된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료를 금형 캐비티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금형의 윤곽에 따라 고형화된다.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 폴리머를 모두 가공하는 데 사용되며, 열가소성 수지가 더 많이 사용된다.[3] 열가소성 수지는 재활용이 쉽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며,[3] 가열 시 부드러워지고 흐르는 특성 때문에 사출 성형에 매우 적합하다.
사출 성형은 원료를 금형에 고압으로 주입하여 폴리머를 원하는 형태로 성형한다.[3] 금형은 단일 캐비티 또는 다중 캐비티일 수 있으며, 다중 캐비티 금형에서는 각 캐비티가 동일하거나 고유하여 단일 사이클 동안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금형은 일반적으로 공구강으로 만들어지지만, 스테인리스강 및 알루미늄 금형도 사용된다. 알루미늄 금형은 기계적 시스템 특성이 좋지 않아 마모, 손상, 변형이 쉽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금형 제작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어 소량 생산에 효율적이다.[1]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할 때는 펠릿 형태의 원료가 호퍼를 통해 가열된 배럴로 공급된다. 배럴 내 온도 상승으로 반 데르 발스 힘이 약해져 점도가 감소하고 폴리머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스크류는 원료를 전달하고, 폴리머를 혼합 및 균질화하며, 재료를 전단하여 가열 시간을 줄인다. 재료는 '''샷'''이라는 부피에 스크류 앞쪽에 모이고, 금형 캐비티를 채우며, 수축을 보상하고, 압력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충분한 재료가 모이면 고압 및 고속으로 부품 성형 캐비티로 강제된다. 정확한 수축량은 수지에 따라 다르며 비교적 예측 가능하다.[4] 압력 급증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류가 일정한 속도에서 일정한 압력 제어로 전환되는 95~98% 채워진 캐비티에 해당하는 이송 위치를 사용한다. 사출 시간은 종종 1초 미만이며, 스크류가 이송 위치에 도달하면 패킹 압력이 가해져 금형 충전이 완료되고 열 수축을 보상한다. 패킹 압력은 게이트(캐비티 입구)가 고형화될 때까지 가해지며, 이후에는 재료가 더 이상 캐비티로 들어갈 수 없다. 스크류는 왕복 운동을 하여 다음 사이클 재료를 확보하고, 금형 내부 재료는 냉각되어 배출 및 치수 안정성을 유지한다. 냉각 시간은 외부 온도 조절기에서 물 또는 오일을 순환시키는 냉각 라인으로 줄일 수 있다. 필요한 온도가 되면 금형이 열리고, 핀, 슬리브, 스트리퍼 등이 구동되어 품목의 금형을 제거한 후, 금형이 닫히고 공정이 반복된다.
2-샷 금형은 두 개의 별도 재료가 하나의 부품에 통합되며, 손잡이에 부드러운 터치를 더하거나, 제품에 여러 색상을 부여하거나, 여러 성능 특성을 가진 부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5]
열경화성 수지는 두 개의 다른 화학 성분이 배럴에 주입된 후 비가역적인 화학 반응을 시작하여 재료를 분자의 단일 연결 네트워크로 가교한다. 화학 반응으로 두 유체 성분은 점탄성 고체로 변환된다.[3] 사출 배럴과 스크류에서 고형화는 문제가 될 수 있어, 배럴 내 경화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는 체류 시간 분포 및 화학적 전구체의 온도를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체류 시간은 배럴 부피 용량 최소화 및 사이클 시간 최대화로 줄인다. 열 절연된 차가운 사출 장치가 반응하는 화학 물질을 열 절연된 뜨거운 금형에 주입하여 화학 반응 속도를 높이고 고형화 시간을 단축한다. 부품 고형화 후 밸브가 닫혀 사출 시스템과 화학적 전구체를 격리하고, 금형이 열려 성형 부품을 배출한 후, 금형이 닫히고 공정이 반복된다.
사전 성형되거나 가공된 부품을 금형이 열려 있는 동안 캐비티에 삽입하여 다음 사이클에서 주입된 재료가 이를 중심으로 형성 및 고형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인서트 성형'''은 단일 부품에 여러 재료를 포함할 수 있게 하며, 돌출된 금속 나사가 있는 플라스틱 부품, 인몰드 라벨링 등에 사용된다.
파팅 라인, 스프루, 게이트 마크, 이젝터 핀 마크는 일반적으로 최종 부품에 나타나지만, 공정 특성상 불가피하다. 숙련된 설계자는 이러한 미적 결함을 숨겨진 영역에 배치한다.
대부분의 폴리머(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일부 열경화성 수지, 일부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13] 1995년 이후 사출 성형 재료는 연간 750개씩 증가하여, 당시 약 18,000개였다.[14] 재료에는 이전 재료의 합금 또는 혼합물이 포함되어, 제품 설계자는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다. 재료 선택 기준은 최종 부품의 강도와 기능, 비용이며, 각 재료는 굴곡 탄성 계수, 열변형, 흡수율 등 고려할 성형 매개변수가 있다.[12] 에폭시 수지와 페놀 수지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예이다.[1] 최근 폴리머 특성 발전으로 플라스틱 스프링이 가능해져, 야외 장비 웨빙 고정 및 분리용 버클 등에 사용된다.
열가소성 수지는 고온으로 녹여 저온 금형에 넣어 굳힌다. 보통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보다 50~150℃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점도를 낮춘다. 그러나 약 200℃ 이상에서 분자 사슬의 산화 분해가 시작되므로, 온도와 점도의 딜레마가 발생한다. 빠른 사이클 (수 초 ~ 수십 초)로 성형 가능하나, 수지 점도가 높아 고속·고압 충전이 필요하다.
열경화성 수지는 50℃ 전후로 가온하여 유동성을 확보한 후, 고온 금형(약 150℃ 전후)에 충전하여 경화시킨다. 용융 상태에서 분자량이 낮고 점도가 낮아 높은 충전 압력이 필요하지 않아 반도체 봉지 장치 등에 사용되지만, 경화에 시간이 걸려 사이클 시간이 길다(수 분).
3. 1. 기본 원리
사출 성형은 금속 주조법과 유사하지만, 주조는 금속의 융점을 넘는 비교적 낮은 점도의 액체 상태로 저압으로 채워지는(흘려 넣는) 반면, 사출 성형은 비교적 낮은 온도(180 - 450℃)에서 고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3]금속 주조에서도 다이캐스팅은 열융해된 재료를 금형에 압입하는 개략은 동일하지만, 수지 사출 성형 쪽이 용융 온도는 낮지만 소재가 고온에 약하기 때문에 온도 관리가 더 엄격하다는 차이가 있으며, 역시 개별적인 기술 분야로 취급된다.
사출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에서 볼록부는 수형으로 코어(Core)라고도 불리며, 오목부는 암형으로 캐비티(Cavity)라고도 불린다. 사출 성형기에 금형을 장착하는 경우, 반드시 캐비티가 고정 측이 되고 코어가 가동 측이 된다.[33]
3. 2. 주요 특징
사출 성형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복잡한 형태의 제품을 정밀하고 빠르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 다양한 재료 사용: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고무, 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3] 특히 열가소성 수지는 재활용이 쉽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며,[3] 가열하면 부드러워져 흐르는 특성 때문에 사출 성형에 널리 사용된다.[3]
- 정밀한 생산: 복잡한 형태의 제품도 정밀하게 생산할 수 있다.[3]
- 대량 생산 및 빠른 속도: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생산 속도가 빠르다. 사출 시간은 종종 1초 미만이다.[4]
- 자동화 용이: 자동화가 용이하여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4. 사출 성형 공정
사출 성형은 녹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료를 금형 틀 안에 밀어 넣어 굳히는 방식이다.[3] 주로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 폴리머를 가공하며, 특히 열가소성 수지가 많이 쓰인다.[3]
사출 성형은 원료를 고압으로 금형에 주입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만든다.[3] 금형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공간(캐비티)을 가질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캐비티가 있는 금형은 각각 동일한 부품을 만들거나, 한 번에 여러 가지 다른 모양을 만들 수 있다. 금형은 주로 공구강으로 만들어지지만,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늄도 특정 용도에 사용된다.[1]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는 펠릿이나 과립 형태로, 원자재 제조업체에서 종이 봉투에 담아 보낸다. 사출 성형에서는 미리 건조된 과립 플라스틱을 호퍼에서 가열된 배럴로 강제 램을 통해 공급한다. 나사형 플런저에 의해 과립이 천천히 앞으로 이동하면서 플라스틱은 가열된 챔버로 밀려 들어가 녹는다. 플런저가 전진하면 녹은 플라스틱은 노즐을 통해 금형으로 들어가 게이트 및 러너 시스템을 통해 금형 캐비티로 들어간다. 금형은 차가운 상태로 유지되므로 플라스틱은 금형이 채워지자마자 거의 즉시 굳는다.[1]
사출 성형 공정에서 일련의 사건을 사출 성형 사이클이라고 한다. 사이클은 금형이 닫히면서 시작되고, 금형 캐비티에 고분자를 사출한다. 캐비티가 채워지면 재료 수축을 보상하기 위해 압력을 유지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스크류가 회전하여 다음 샷을 스크류 전면으로 보낸다. 이로 인해 다음 샷이 준비되면서 스크류가 후퇴한다. 부품이 충분히 냉각되면 금형이 열리고 부품이 배출된다.[26]
열가소성 수지는 수지를 고온으로 녹여 저온의 금형에 넣어 굳히며, 일반적으로 수지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보다 50~150℃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 열경화성 수지의 경우, 처음에 50℃ 전후로 가온하여 유동성을 확보한 후, 고온의 금형(약 150℃ 전후)에 충전하여 경화(고화)시킨다.
사출 성형의 한 사이클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 형체 결속 (금형 닫힘)
# 사출
# 계량 및 냉각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음)
# 형개 (금형 열림)
# 취출 (부품 배출)
4. 1. 일반적인 사출 성형 공정
사출 성형은 녹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료를 금형 틀 안으로 밀어 넣어 굳히는 방식이다. 주로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 폴리머를 가공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열가소성 수지가 많이 쓰인다.[3] 열가소성 수지는 재활용이 쉽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며,[3] 가열하면 부드러워져 흐르는 성질이 있어 사출 성형에 적합하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보다 안전하다. 열경화성 수지는 제때 배출되지 않으면 화학적 가교 반응이 일어나 사출 성형기를 손상시킬 수 있다.[3]
사출 성형은 원료를 고압으로 금형에 주입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만든다.[3] 금형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공간(캐비티)을 가질 수 있다. 여러 개의 캐비티가 있는 금형은 각각 동일한 부품을 만들거나, 한 번에 여러 가지 다른 모양을 만들 수 있다. 금형은 주로 공구강으로 만들어지지만,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늄도 특정 용도에 사용된다. 알루미늄 금형은 기계적 시스템 특성이 약하고 마모, 손상, 변형되기 쉬워 대량 생산에는 부적합하지만, 소량 생산에는 비용 효율적이다.[1] 많은 강철 금형은 수백만 개의 부품을 생산하도록 설계되며, 제작 비용이 수십만 달러에 달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할 때는 펠릿 형태의 원료가 호퍼를 통해 가열된 배럴로 공급된다. 배럴 안에서 온도가 올라가면 반 데르 발스 힘이 약해져 점도가 낮아지고, 폴리머가 잘 흐르게 된다. 스크류는 원료를 앞으로 밀어내고, 폴리머를 섞고 균질화하며, 기계적으로 전단하여 열을 가한다. 재료는 체크 밸브를 통해 앞으로 이동하여 '샷'이라는 부피로 스크류 앞에 모인다. 샷은 금형을 채우고, 수축을 보상하며, 압력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충분한 재료가 모이면 고압, 고속으로 금형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정확한 수축량은 수지에 따라 다르지만 예측 가능하다.[4] 압력 급증을 막기 위해 95~98% 채워졌을 때 스크류 속도 제어에서 압력 제어로 전환된다. 보통 사출 시간은 1초 미만이다. 스크류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압력을 가해 금형을 완전히 채우고 열 수축을 보상한다. 열 수축은 열가소성 수지에서 상당히 크다. 압력은 게이트(금형 입구)가 굳을 때까지 유지된다. 게이트는 작아서 가장 먼저 굳는 부분이다.[3] 게이트가 굳으면 더 이상 재료가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스크류는 다음 작업을 위해 재료를 확보하면서 금형 내부의 재료가 식도록 한다. 냉각 시간은 냉각 라인을 통해 물이나 오일을 순환시켜 단축할 수 있다. 필요한 온도가 되면 금형이 열리고, 핀, 슬리브, 스트리퍼 등이 부품을 빼낸다. 그 후 금형이 닫히고 과정이 반복된다.
2-샷 금형은 두 가지 재료를 하나의 부품에 결합한다. 이는 손잡이에 부드러운 촉감을 주거나, 여러 색상을 표현하거나, 다양한 성능 특성을 가진 부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5]
열경화성 수지의 경우, 두 가지 화학 성분이 배럴에 주입된다. 이들은 즉시 비가역적인 화학 반응을 시작하여 재료를 가교시킨다.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 두 성분은 영구적으로 점탄성 고체가 된다.[3] 사출 배럴과 스크류에서 굳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배럴 내 열경화성 수지 경화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는 체류 시간 분포 및 화학적 전구체의 온도를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체류 시간은 배럴 용량을 최소화하고 사이클 시간을 최대화하여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열적으로 절연된 차가운 사출 장치가 반응하는 화학 물질을 뜨거운 금형에 주입하여 반응 속도를 높이고 고형화 시간을 단축한다. 부품이 굳으면 밸브가 닫혀 사출 시스템과 화학적 전구체를 분리하고, 금형이 열려 부품을 배출한다. 그 후 금형이 닫히고 과정이 반복된다.
미리 만들어진 부품을 금형이 열려 있는 동안 넣고, 다음 과정에서 주입된 재료가 이를 둘러싸 굳게 할 수 있다. 이 과정을 '''인서트 성형'''이라고 하며, 여러 재료를 포함하는 단일 부품을 만들 수 있다. 이 기술은 금속 나사가 있는 플라스틱 부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또한 인몰드 라벨링에도 사용되어 필름 뚜껑을 플라스틱 용기에 부착할 수 있다.
파팅 라인, 스프루, 게이트 마크, 이젝터 핀 마크는 보통 최종 부품에 나타난다.[3] 이들은 원하지 않지만 공정 특성상 불가피하다. 게이트 마크는 용융 재료 전달 채널(스프루 및 러너)을 부품 형성 캐비티에 연결하는 게이트에서 생긴다. 파팅 라인 및 이젝터 핀 마크는 미세한 정렬 불량, 마모, 가스 배출구, 인접 부품의 여유 공간, 주입된 폴리머와 접촉하는 표면의 치수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 치수 차이는 비균일한 압력, 가공 공차, 금형 구성 요소의 비균일한 열팽창 및 수축으로 인해 발생한다. 금형 구성 요소는 종종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진 재료로 설계된다. 숙련된 금형 및 부품 설계자는 이러한 결함을 숨겨진 영역에 배치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는 펠릿이나 과립 형태로, 원자재 제조업체에서 종이 봉투에 담아 보낸다. 사출 성형에서는 미리 건조된 과립 플라스틱을 호퍼에서 가열된 배럴로 강제 램을 통해 공급한다. 나사형 플런저에 의해 과립이 천천히 앞으로 이동하면서 플라스틱은 가열된 챔버로 밀려 들어가 녹는다. 플런저가 전진하면 녹은 플라스틱은 노즐을 통해 금형으로 들어가 게이트 및 러너 시스템을 통해 금형 캐비티로 들어간다. 금형은 차가운 상태로 유지되므로 플라스틱은 금형이 채워지자마자 거의 즉시 굳는다.[1]
사출 성형 공정에서 일련의 사건을 사출 성형 사이클이라고 한다. 사이클은 금형이 닫히면서 시작되고, 금형 캐비티에 고분자를 사출한다. 캐비티가 채워지면 재료 수축을 보상하기 위해 압력을 유지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스크류가 회전하여 다음 샷을 스크류 전면으로 보낸다. 이로 인해 다음 샷이 준비되면서 스크류가 후퇴한다. 부품이 충분히 냉각되면 금형이 열리고 부품이 배출된다.[26]
열가소성 수지는 수지를 고온으로 녹여 저온의 금형에 넣어 굳힌다. 일반적으로 수지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보다 50~150℃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 이는 고분자 특유의 점도를 낮추기 위함이다.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는 약 200℃ 이상에서 분자 사슬의 산화 분해가 시작된다고 알려져 있다.
빠른 사이클 (수 초 ~ 수십 초)로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수지 점도가 높아 고속·고압 충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열경화성 수지의 경우, 처음에 50℃ 전후로 가온하여 유동성을 확보한 후, 고온의 금형(약 150℃ 전후)에 충전하여 경화(고화)시킨다. 열경화성 수지는 용융 상태에서 분자량이 낮고 점도가 낮기 때문에 높은 충전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반도체 봉지 장치 등에 이용된다. 한편, 경화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사이클 시간이 길어지는(수 분) 단점이 있다.
사출 성형의 한 사이클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 형체 결속 (금형 닫힘)
# 사출
# 계량 및 냉각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음)
# 형개 (금형 열림)
# 취출 (부품 배출)
4. 2. 과학적 성형 (분리 성형)
과학적 성형(분리 성형)은 RJG Inc.[27][28][29]가 개척한 방법으로, 기존의 일정한 압력으로 사출하는 방식 대신 여러 단계로 나누어 사출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부품 치수를 더 정밀하게 제어하고, 생산 주기 간(업계에서는 샷 간이라고 함) 일관성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먼저, 속도 제어를 사용하여 금형 캐비티를 약 98% 채운다. 이때 압력은 원하는 속도를 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해야 하지만, 압력 제한은 적용하지 않는다. 캐비티가 98% 채워지면, 기계는 속도 제어에서 압력 제어로 전환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캐비티를 완전히 채운다. 이 방법을 통해 작업자는 부품 치수를 1/1000인치 이내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30]
5. 사출 성형기 및 금형
사출 성형기는 재료 호퍼, 사출 램 또는 스크류형 플런저, 가열 장치로 구성된다.[1] 이 장치는 플래튼이라고도 불리며, 부품이 성형되는 금형을 고정한다. 프레스는 톤수로 평가되는데, 이는 기계가 가할 수 있는 클램핑력의 양을 나타낸다. 이 힘은 사출 공정 중에 금형을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16] 필요한 총 클램프 힘은 성형되는 부품의 투영 면적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제품에 대해 4 또는 5톤/in2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가 매우 단단하면 금형을 채우기 위해 더 많은 사출 압력이 필요하므로 더 많은 클램프 톤수가 필요하다.[12] 필요한 힘은 사용된 재료와 부품의 크기에 따라서도 결정될 수 있으며, 더 큰 부품은 더 높은 클램핑력이 필요하다.[13]
대한민국의 주요 사출 성형기 제조사는 다음과 같다.
제조사 |
---|
우진 PLAIMM |
금형(또는 다이)은 사출 성형에서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금형은 사출 성형 제품의 형태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금형은 제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천 개의 부품을 생산하는 대량 생산에만 사용된다. 일반적인 금형은 경화강, 예비 경화강, 알루미늄 및/또는 베릴륨-구리 합금으로 제작된다.[17] 금형 재료의 선택은 비용뿐만 아니라 제품 수명 주기도 고려해야 한다.
금형은 사출 금형(A 판)과 이젝터 금형(B 판)의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플라스틱 수지는 사출 금형의 스프루 또는 게이트를 통해 금형으로 들어가며, 스프루 부싱은 성형기의 사출 배럴 노즐에 단단히 밀봉되어 용융된 플라스틱이 배럴에서 금형으로 흐르도록 한다.[12] 용융된 플라스틱은 런너를 통해 흐르고 하나 이상의 특수 게이트를 거쳐 캐비티[18] 형상으로 들어간다.
금형 설계 시에는 드래프트(경사각), 파팅 라인, 게이트, 이젝터 핀 등을 고려해야 한다. 금형은 일반적으로 금형이 열릴 때 성형된 부품이 금형의 이젝터(B) 측에 안정적으로 남아 있고, 런너와 스프루가 부품과 함께 (A) 측에서 빠져나오도록 설계된다. 이젝터 핀(녹아웃 핀이라고도 함)은 완성된 성형 제품 또는 런너 시스템을 금형 밖으로 밀어낸다.[12] 냉각의 표준 방법은 냉각수 (일반적으로 물)를 금형 판을 통해 뚫은 일련의 구멍을 통과시키는 것이다.[12]
금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제작된다: 표준 기계 가공 및 방전 가공(EDM).
5. 1. 사출 성형기

사출 성형기는 재료 호퍼, 사출 램 또는 스크류형 플런저, 가열 장치로 구성된다.[1] 플래튼이라고도 불리는 이 장치는 부품이 성형되는 금형을 고정한다. 프레스는 톤수로 평가되며, 이는 기계가 가할 수 있는 클램핑력의 양을 나타낸다. 이 힘은 사출 공정 중에 금형을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16] 톤수는 5톤 미만에서 9,000톤 이상까지 다양하며, 비교적 소수의 제조 작업에서 더 높은 수치가 사용된다. 필요한 총 클램프 힘은 성형되는 부품의 투영 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이 투영 면적은 제곱 센티미터당 1.8~7.2 톤의 클램프 힘으로 곱해진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제품에 대해 4 또는 5톤/in2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가 매우 단단하면 금형을 채우기 위해 더 많은 사출 압력이 필요하므로 금형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클램프 톤수가 필요하다.[12] 필요한 힘은 사용된 재료와 부품의 크기에 따라서도 결정될 수 있으며, 더 큰 부품은 더 높은 클램핑력이 필요하다.[13]
다음은 대한민국의 주요 사출 성형기 제조사이다.
제조사 |
---|
우진 PLAIMM |
5. 2. 금형
금형 또는 다이는 사출 성형에서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금형은 사출 성형 제품의 형태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금형은 제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천 개의 부품을 생산하는 대량 생산에만 사용되었다. 일반적인 금형은 경화강, 예비 경화강, 알루미늄 및/또는 베릴륨-구리 합금으로 제작된다.[17] 금형 재료의 선택은 비용뿐만 아니라 제품 수명 주기도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강철 금형은 제작 비용이 더 많이 들지만 수명이 더 길어 마모되기 전까지 더 많은 부품을 생산하여 초기 비용을 상쇄한다. 예비 경화강 금형은 내마모성이 낮으며 소량 생산 또는 더 큰 부품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강철 경도는 로크웰-C 척도에서 38–45이다. 경화강 금형은 가공 후 열처리된다. 이들은 내마모성과 수명 측면에서 훨씬 우수하다. 일반적인 경도는 50~60 로크웰-C (HRC)이다. 알루미늄 금형은 비용이 상당히 적게 들 수 있으며 최신 컴퓨터 장비를 사용하여 설계 및 가공하면 수만 개 또는 수십만 개의 부품을 성형하는 데 경제적일 수 있다. 베릴륨 구리는 빠른 열 제거가 필요하거나 가장 많은 전단 열이 발생하는 금형 영역에 사용된다.[17] 금형은 CNC 가공 또는 방전 가공(EDM)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금형은 사출 금형(A 판)과 이젝터 금형(B 판)의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플라스틱 수지는 사출 금형의 스프루 또는 게이트를 통해 금형으로 들어가며, 스프루 부싱은 성형기의 사출 배럴 노즐에 단단히 밀봉되어 용융된 플라스틱이 배럴에서 금형, 즉 캐비티로 흐르도록 한다.[12] 스프루 부싱은 A 판과 B 판의 표면에 가공된 채널을 통해 용융된 플라스틱을 캐비티 형상으로 유도한다. 이 채널을 따라 플라스틱이 흐르므로 런너라고 한다.[12] 용융된 플라스틱은 런너를 통해 흐르고 하나 이상의 특수 게이트를 거쳐 원하는 부품을 형성하기 위해 캐비티[18] 형상으로 들어간다.

금형 설계 시에는 드래프트(경사각), 파팅 라인, 게이트, 이젝터 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드로우 방향과 평행하게 보이는 부품의 측면은 일반적으로 드래프트라고 하는 약간의 각도로 되어 있어 금형에서 부품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드래프트가 부족하면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금형 이형에 필요한 드래프트는 주로 캐비티의 깊이에 따라 달라진다. 캐비티가 깊을수록 더 많은 드래프트가 필요하다. 또한 필요한 드래프트를 결정할 때 수축을 고려해야 한다.[18]
금형은 일반적으로 금형이 열릴 때 성형된 부품이 금형의 이젝터(B) 측에 안정적으로 남아 있고, 런너와 스프루가 부품과 함께 (A) 측에서 빠져나오도록 설계된다. 이젝터 핀(녹아웃 핀이라고도 함)은 금형의 어느 한쪽에 배치된 원형 핀으로, 완성된 성형 제품 또는 런너 시스템을 금형 밖으로 밀어낸다.[12]
냉각의 표준 방법은 냉각수 (일반적으로 물)를 금형 판을 통해 드릴로 뚫은 일련의 구멍을 통과시키고 호스로 연결하여 연속적인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냉각수는 금형에서 열을 흡수하고 플라스틱을 가장 효율적인 속도로 고화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금형을 유지한다.[12]
금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제작된다: 표준 기계 가공 및 방전 가공(EDM). 표준 기계 가공은 전통적인 형태로 사출 금형을 제작하는 방법이었고, 기술 발전으로 CNC 기계 가공은 전통적인 방법보다 짧은 시간에 더 정확한 금형 세부 사항을 가진 복잡한 금형을 만드는 주요 수단이 되었다. 방전 가공(EDM)은 금형 제작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6. 특수 사출 성형
대부분의 사출 성형 공정은 위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공정 설명에 포함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성형 변형이 있다.
- 다이캐스팅
- 금속 사출 성형
- 박육 사출 성형
- 액체 실리콘 고무 사출 성형[26]
- 반응 사출 성형
- 마이크로 사출 성형
- 가스 보조 사출 성형
- 큐브 금형 기술
- 다중 재료 사출 성형


특수 사출 성형에는 다색 성형, 몰드 성형, 금속 분말 사출 성형(MIM) 등이 있다. 다색 성형은 여러 색상이나 재질을 한 번에 성형하는 기술이며, 몰드 성형은 금형 안에 금속 등을 넣고 성형하는 방식이다. 금속 분말 사출 성형은 금속 분말과 수지를 섞어 성형하는 기술이다.
6. 1. 다색 성형
다색 성형은 서로 다른 색상, 재질 등을 색상별로 구분하여, 또는 하나의 금형에 여러 사출 장치로부터 동시에 성형하는 방법이다. 2색이 일반적이다. PC의 키보드나, 칫솔 손잡이, 컬러 컨테이너에 사용된다.반다이 하비 센터에서는 건프라용으로 도시바 기계와 공동 개발한 4색 다색 사출 성형기가 있으며, 프라모델화도 되었다.
6. 2. 인몰드 성형
인몰드 성형은 금형 내에 금속 시트 등을 넣고 사출하여 금속과 플라스틱이 결합된 제품을 만드는 방식이다.6. 3. 금속 분말 사출 성형 (MIM)
금속 분야에서는 금속 분말 사출 성형(Metal Injection Molding, MIM)이라는, 금속 분말과 수지의 혼합물을 사출 성형하는 기술이 있다.[26]7. 사출 성형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사출 성형은 복잡한 기술로, 생산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금형의 결함 또는 성형 공정 자체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3]
새 금형을 처음 사용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금형을 사용할 때는 시험 운전을 통해 적절한 샷 크기를 결정한다. 샷 무게를 조절하고 유지 압력 및 시간을 조절하여 게이트 동결 시간을 결정한다. 게이트 응고 시간은 사이클 시간, 제품 품질 및 일관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생산 공정에서 중요한 요소이다.[31]
산업용 CT 스캔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제품 내부 및 외부의 결함을 확인할 수 있다.[3]
7. 1. 성형 결함
결함 유형 | 다른 이름 | 설명 | 원인 |
---|---|---|---|
블리스터 | 블리스터링 | 부품 표면의 융기 또는 층상 영역 | 금형 또는 재료 과열, 금형 주변 냉각 부족, 히터 결함 |
소손 자국 | 공기 소손, 가스 소손, 디젤링, 가스 자국, 블로우 자국 | 게이트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 또는 공기가 갇힌 곳에 위치한 검은색 또는 갈색의 탄 부위 | 금형 통풍 부족, 사출 속도 과다 |
색상 줄무늬 | 국부적인 색상 변화 | 마스터배치 혼합 불량, 재료 소진, 이전 색상 재료가 노즐이나 체크 밸브에서 "끌려감" | |
오염 | 원치 않거나 이물질 | 제품에서 다른 색상의 물질이 보이며 제품의 강도가 약해짐 | 불량한 재활용 또는 분쇄 정책, 바닥 쓸어 담기, 먼지 및 파편 |
박리 | 부품 벽에 형성된 얇은 운모 유사 층 | 재료 오염 (예: PP와 ABS 혼합), 안전에 중요한 부품의 경우 매우 위험 (재료 결합 불가, 강도 매우 낮음) | |
플래시 | 정상적인 부품 형상을 초과하는 얇은 층의 과도한 재료 | 금형 과다 충전, 금형 이별선 손상, 과도한 사출 속도/재료 주입, 클램핑 힘 부족, 금형 표면 먼지/오염 물질 | |
내장된 오염 물질 | 내장된 미립자 | 부품에 내장된 이물질 (탄 재료 등) | 금형 표면 입자, 오염된 재료, 배럴 내 이물질, 과도한 전단열로 인한 재료 연소 |
흐름 자국 | 흐름선 | 방향성 "톤 오프" 물결 모양 선 또는 패턴 | 사출 속도 부족 (사출 중 플라스틱 냉각 과다, 적절한 속도 설정 필요) |
게이트 블러시 | 헤일로, 블러시 마크 | 게이트 주변 원형 패턴 (핫 러너 금형에서만 문제) | 사출 속도 과다, 게이트/스프루/러너 크기 부족, 용융/금형 온도 부족 |
제팅 | 제한된 영역을 통해 고속으로 밀려나오는 고분자 용융물의 뱀과 같은 흐름 | 불량한 금형 설계, 게이트 위치/러너, 과도한 사출 속도, 다이 스웰 부족 | |
니트 라인 | 용접선 | 부품 코어 핀/창 뒷면의 작은 선 | 돌출 물체 주변 용융 전면 흐름, 채움 끝 지점 용융 전면 재결합 (금형 설계 단계 금형 흐름 연구, 용융/금형 온도 변경으로 최소화/제거 가능) |
고분자 분해 | 가수 분해, 산화 등으로 인한 고분자 분해 | 과립 과도 수분, 배럴 과도 온도, 높은 전단열 유발 과도 스크류 속도, 재료 배럴 장시간 방치, 과도 분쇄 사용 | |
싱크 자국 | 싱크 | 국부적인 함몰 (두꺼운 영역) | 보압/압력 부족, 냉각 시간 부족, 핫 러너 게이트 온도 과다, 과도 재료, 벽 두께 과다 |
숏 샷 | 숏 필, 논필, 숏 금형 | 부분 부품 | 재료 부족, 사출 속도/압력 부족, 금형 온도 부족, 가스 통풍 부족 |
스플레이 자국 | 스플래시 마크, 실버 스트릭 | 흐름 패턴 따라 은색 줄무늬, 갇힌 수분으로 인한 작은 기포 (흡습성 수지 건조 불량, 과도 사출 속도, 재료 과열/전단) | |
끈적임 | 스트링, 롱 게이트 | 이전 샷 잔재가 끈처럼 나타남 | 노즐 온도 과다, 게이트 미닫힘, 스크류 감압/스프루 파단 없음, 금형 내부 히터 밴드 배치 불량 |
보이드 | 부품 내 빈 공간 (에어 포켓) | 보압 부족, 빠른 채움 속도, 불균등 벽 두께, 용융 풀 미녹음, 수지 흐름/열전도율 문제 | |
용접선 | 니트 라인, 멜드 라인, 전달선 | 두 흐름 전선 만남 시 변색 선 | 금형/재료 온도 부족, 사출-전달 전환 시간 부족 |
워핑 | 비틀림 | 왜곡된 부품 | 냉각 시간 부족, 재료 과열, 금형 주변 냉각 부족, 잘못된 물 온도, 불균등 수축 |
균열 | 크레이징 | 두 유체 흐름 부적절 융합, 용접선 전 상태 | 복잡 설계 부품 게이트 위치/구멍 부적절, 공정 최적화/공기 배출 문제 |
이러한 결함은 산업용 CT 스캔과 같은 방법을 통해 내부 및 외부에서 찾을 수 있다.[3]
7. 2. 해결 방안
사출 성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결함은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이러한 결함은 사출 속도, 압력, 온도, 냉각 시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금형 설계 및 유지 보수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각 결함의 구체적인 원인과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다.
결함 유형 | 원인 | 해결 방안 |
---|---|---|
블리스터 (Blister) | 금형 또는 재료 과열, 냉각 부족, 히터 결함 | 온도 조절, 냉각 시스템 점검 |
소손 자국 (Burn marks) | 금형 통풍 부족, 과도한 사출 속도 | 통풍 개선, 사출 속도 조절 |
색상 줄무늬 (Color streaks) | 마스터배치 혼합 불량, 재료 소진 | 혼합 개선, 재료 보충 |
오염 (Contamination) | 불량한 재활용/분쇄 과정, 이물질 유입 | 재활용/분쇄 공정 개선, 이물질 제거 |
박리 (Delamination) | 재료 간 오염 (PP, ABS 혼합 등) | 재료 분리, 오염 방지 |
플래시 (Flash) | 금형 과충진, 이별선 손상, 과도한 사출 속도/압력, 낮은 클램핑 힘 | 금형 수정, 사출 조건 조절, 클램핑 힘 증가 |
내장된 오염 물질 (Embedded contaminants) | 금형 표면/재료 오염, 배럴 내 이물질, 과도한 전단열 | 금형/재료 청결 유지, 배럴 청소, 전단열 감소 |
흐름 자국 (Flow marks) | 낮은 사출 속도 | 사출 속도 증가 |
게이트 블러시 (Gate blush) | 과도한 사출 속도, 작은 게이트/스프루/러너, 낮은 용융/금형 온도 | 사출 속도 조절, 게이트 크기 조절, 온도 조절 |
제팅 (Jetting) | 불량한 금형 설계, 게이트 위치/러너, 과도한 사출 속도 | 금형 설계 개선, 사출 속도 조절 |
니트 라인 (Knit line) | 용융 전면 흐름 후 재결합 | 금형 설계 최적화, 온도 조절 |
고분자 분해 (Polymer degradation) | 과도한 수분, 높은 배럴 온도, 과도한 스크류 속도 | 재료 건조, 온도 조절, 스크류 속도 조절 |
싱크 자국 (Sink marks) | 낮은 보압/압력, 짧은 냉각 시간, 높은 게이트 온도(스프루리스 핫 러너) | 보압/압력 증가, 냉각 시간 증가, 게이트 온도 조절 |
숏 샷 (Short shot) | 재료 부족, 낮은 사출 속도/압력, 낮은 금형 온도, 가스 통풍 부족 | 재료 보충, 사출 조건 조절, 금형 온도 조절, 통풍 개선 |
스플레이 자국 (Splay marks) | 재료 수분, 과도한 사출 속도, 과도한 전단 | 재료 건조, 사출 속도 조절, 전단 감소 |
끈적임 (Stringiness) | 높은 노즐 온도, 게이트 미폐쇄, 스크류 감압/스프루 파단 없음 | 노즐 온도 조절, 게이트 점검, 스크류 감압/스프루 파단 확인 |
보이드 (Voids) | 낮은 보압, 빠른 채움 속도, 금형 미등록 | 보압 증가, 채움 속도 조절, 금형 정렬 |
용접선 (Weld line) | 낮은 금형/재료 온도, 빠른 사출-전달 전환 | 금형/재료 온도 조절, 전환 시간 조절 |
휨 (Warping) | 짧은 냉각 시간, 높은 재료 온도, 냉각 부족, 불균등한 수축 | 냉각 시간 증가, 온도 조절, 냉각 시스템 개선, 균일 냉각 |
균열 (Cracks) | 부적절한 유체 흐름 융합 | 게이트 위치/공기 배출 최적화, 공정 최적화 |
이러한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공정 변수 최적화: 사출 속도, 압력, 온도, 냉각 시간 등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결함을 최소화한다.
- 금형 설계 개선 및 유지 보수: 금형 설계를 최적화하고 정기적인 검사 및 보수를 통해 결함을 예방한다.
- 결함 정밀 진단 및 분석: 산업용 CT 스캔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결함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석한다.
- 고급 사출 성형 기술 도입: 과학적 성형(분리 성형)과 같은 고급 기술을 적용하여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해결 방안들을 통해 사출 성형 공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고품질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8. 사출 성형과 관련된 추가 정보
사출 성형에는 핫 러너와 같은 추가적인 시스템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여러 회사 및 단체들이 사출 성형 기술 개발과 보급에 힘쓰고 있다.
8. 1. 핫 러너
최근에는 재료 낭비를 줄이기 위해 핫 러너라고 하는 사출 노즐 내에 히터를 내장하여 온도를 유지하는 기구가 장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8. 2. 사출 성형기 제조 회사
참조
[1]
서적
Manufacturing Processes Reference Guide
Industrial Press, Inc.
[2]
웹사이트
Application Overview: Injection Molding
http://www.yaskawa.c[...]
Yaskawa America, Inc.
2009-02-27
[3]
서적
Plastic Part Design for Injection Molding
Hanser
[4]
웹사이트
Design Guide: Injection Molding
https://cdn2.hubspot[...]
[5]
웹사이트
Injection Molding
http://www.meridianp[...]
2016-05-08
[6]
서적
Principles of Polymer Engineering Rheolog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991-01-16
[7]
특허
1872-11-19
[8]
웹사이트
Chemical Age
https://books.google[...]
McCready Publishing Company
2018-04-27
[9]
웹사이트
About Injection Molding
http://www.xcentricm[...]
Xcentric Mold & Engineering, Inc.
2013-01-30
[10]
서적
Plastics Technology, Volume 1
https://books.google[...]
Rubber/Automotive Division of Hartman Communications, Incorporated, 1955
[11]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Injection Moulding
http://www.avplastic[...]
2018-05-23
[12]
서적
Plastic Injection Molding: Manufacturing Process Fundamentals
SME
[13]
웹사이트
Injection Molding
http://www.custompar[...]
CustomPartNet
[14]
웹사이트
Injection Molding Applications
http://www.engineers[...]
Engineers Edge, LLC
2013-01-30
[15]
웹사이트
5 Common Plastic Resins Used in Injection Molding
https://www.rodongro[...]
[16]
웹사이트
Suspended
2018-04-27
[17]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Plastics
Springer
[18]
서적
Injection Molding Handbook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서적
Polymer Technology Dictionary
Springer
[20]
서적
Selecting Injection Molds – Weighing Cost versus Productivity
Hanser Publishers
[21]
웹사이트
Micro Systems
https://www.medicalm[...]
2023-11-03
[22]
웹사이트
Micro Moulding vs Conventional Moulding
https://www.medicalm[...]
2023-05-22
[23]
웹사이트
Aluminum vs. steel tooling: Which material is right, and how to design and maintain?
http://www.plasticst[...]
UBM Canon
2012-08-29
[24]
웹사이트
Die Casting
http://advantagetool[...]
[25]
웹사이트
Plastic Injection Molding – Xcentric Mold & Engineering
http://xcentricmold.[...]
2018-04-27
[26]
서적
Injection Molding Handbook
[27]
웹사이트
Almanac: The fundamentals of Decoupled Molding
http://www.plasticst[...]
2015-01-16
[28]
웹사이트
Implementing Decoupled Molding
http://www.paulsontr[...]
2015-01-16
[29]
웹사이트
Injection Molding Guide
https://www.lubrizol[...]
2015-01-16
[30]
웹사이트
Decoupled Molding(SM)
http://www.plasticsn[...]
2015-01-14
[31]
서적
Analysis of Gate Freeze-Off Time in Injection Molding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32]
서적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2003
[33]
웹사이트
金型のキャビティとコア
http://d-engineer.co[...]
[34]
특허
1872-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