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딜레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딜레마는 두 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골라야 하지만, 어느 쪽을 선택해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오는 상황을 의미한다. 논리학에서는 삼단 논법의 일종인 양도논법으로 설명되며, 대전제는 두 개의 가언 명제를 연언 명제로 묶고, 소전제는 전건 긍정 또는 후건 부정의 선언지를 갖는 선언 명제 형태를 취한다. 딜레마는 윤리, 법,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며, 죄수의 딜레마, 트롤리 딜레마 등이 대표적이다. 딜레마에 대응하는 방법으로는 딜레마의 뿔을 피하거나, 반대 딜레마로 대응하는 것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딜레마 - 죄수의 딜레마
    죄수의 딜레마는 게임 이론의 한 유형으로, 두 용의자가 서로 배신하는 선택을 하여 둘 모두에게 더 나쁜 결과가 초래되는 상황을 묘사하며, 내쉬 균형, 파레토 효율성과 관련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딜레마 - 고슴도치 딜레마
    고슴도치 딜레마는 가까이 다가가면 상처를 주고 멀어지면 고립되는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고슴도치에 비유한 개념으로, 쇼펜하우어가 처음 묘사하고 프로이트가 심리학에 도입했으며, 사회적 배제 경험이 사회적 유대 형성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된다.
  • 논증 - 삼단논법
    삼단논법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논리적 추론 방법으로, 대개념, 소개념, 매개념을 통해 결론을 이끌어내며, 명제의 양과 질, 중명사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
  • 논증 - 이유
    이유는 철학에서 현상이나 주장을 설명하고 정당화하는 근거로, 규범적 이유(상황 지지), 설명적 이유(현상 원인), 동기 부여 이유(행동 설명)로 나뉘며, 인식적 이유(믿음 근거)와 실천적 이유(행동 근거)로 구분되고 논증에서는 증거 및 설명을 제공한다.
  • 문제 해결 - 계획
    계획은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과 절차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개인적 목록 작성부터 국가적 자원 사용, 토지 이용 규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상위-하향식, 하위-상향식, PDCA 사이클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명확한 목표 설정, 효율적인 자원 관리, 위험 관리, 유연성을 필요로 한다.
  • 문제 해결 - 시행착오
    시행착오는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반복하며 실패를 통해 학습하는 과정으로, 계층적인 구조로 확장되어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 신약 개발, 유전 알고리즘, 생물학적 진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해결책 중심적인 학습 전략이다.
딜레마
기본 정보
언어영어: dilemma
그리스어: δίλημμα (dílēmma)
어원그리스어 "δί-λημμα" (dílēmma, 이중 명제)
설명
정의동등하게 바람직하지 않은 선택지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는 문제
특징마음의 갈등을 유발함
관련 개념
관련 용어양자택일

2. 용어

딜레마(dilemma영어)는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 어느 쪽을 선택해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오는 곤란한 상황을 가리킨다. 한쪽을 선택하면 다른 한쪽은 포기해야 하며, 둘 다 선택하거나 포기할 수도 없다. 논리학에서 딜레마는 대전제가 두 개의 가언적 명제의 연언 명제로 되어 있고, 소전제가 대전제의 두 전건을 선언적으로 긍정하거나 두 후건을 선언적으로 부정하는 선언지 형태의 삼단 논법(syllogism)이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네가 만일 정직하면 세인이 증오할 것이고, 만일 부정직하면 신이 증오할 것이다. 너는 정직하든가 또는 부정직하다. 그러므로 너는 세인의 증오를 받든지 신의 증오를 받는다.' 이는 선택해야 하는 2개의 선택지가 제시되므로 '양도논법'이라고도 한다.

딜레마라는 용어는 가브리엘 누첼만스에 의해 15세기에 로렌초 발라에게 귀속되었으며, 그의 논리 텍스트의 후기 버전은 전통적으로 ''변증법''(Dialectica)이라고 불린다. 발라는 이것이 그리스어 ''dilemmaton''에 해당하는 적절한 라틴어라고 주장했다. 누첼만스는 그의 유력한 자료가 트라페준다의 게오르기우스의 논리 텍스트라고 주장했다.[2] 그는 또한 발라가 사용되지 않게 된 논증 유형을 라틴 서방에 재도입했다고 결론 내렸다.[3]

발라의 신조어는 즉각적으로 자리를 잡지 못했고, 키케로가 사용한 기존의 라틴어 용어 ''complexio''가 선호되었으며, ''conversio''는 딜레마적 추론의 전복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후안 루이스 비베스의 지원으로 16세기 말까지 ''딜레마''가 널리 사용되었다.[4]

딜레마는 종종 "당신은 A 또는 B를 받아들여야 한다"와 같이 표현되는데, 여기서 A와 B는 각각 어떤 추가적인 결론으로 이어지는 명제이다. 이것이 사실일 경우 "이분법"이라고 부를 수 있지만, 사실이 아닐 경우 딜레마는 논리적 오류인 흑백 논리를 구성한다. 전통적인 용법은 딜레마를 라틴어 이름 ''cornutus''를 얻은 궤변과 구별되는 "뿔 달린 삼단 논법"으로 구별했다.[5] 영어에서 "뿔(horns)"이라는 단어의 원래 사용은 1548년 니콜라스 유달이 저술한 그의 저서 ''의역''(Paraphrases)에서 라틴어 용어 ''cornuta interrogatio''를 번역한 것으로 여겨진다.[6]

딜레마의 첫 번째 용법에 대해 설명하면, 그리스어라틴어에서 원래 "δί-λημμα"(di-lemma)는 "두 개의 가정(전제)"과 같은 의미였으며, 그것들이 가져오는 장애문제를 의미했다. "진퇴양난"이나 "이율배반"이라는 번역어가 사용되기도 하며, "두 방향 모두 갈 수 없다", "두 방향에서 서로 용납할 수 없는 요구로 인해 움직일 수 없다"와 같은 표현[22]으로 설명되는 상태를 말한다. "진퇴유곡"[23]과 같은 번역도 사용된다. 이처럼 딜레마는 "궁지"[24]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두 선택지 모두 받아들여지기 어렵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여 "딜레마의 뿔(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뿔은 두 개이며, 날카롭고 불쾌하기 때문에).

논리학에서 "'A' 또는 'B'이다", "'A'이면 'C'이다", "'B'이면 'C'이다"라는 가정에서 "'C'이다"라는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을 딜레마라고 부른다.

선택지가 3개인 경우에는 '''트릴레마'''(trilemma영어)라고 부른다.

3. 구조

딜레마(dilemma영어)는 선택해야 할 길이 두 가지 중 하나로 정해져 있는데, 그 어느 쪽을 선택해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오게 되는 곤란한 상황이다.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순간 동시에 다른 한쪽은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둘 다 선택하거나 둘 다 포기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딜레마는 논리학에서 대전제가 두 개의 가언적 명제의 연언(連言) 명제로 되어 있고, 소전제가 대전제의 두 전건을 선언적으로 긍정하든가 혹은 두 후건을 선언적으로 부정하는 선언지 형태로 되어 있는 삼단 논법(syllogism)의 형식을 갖는다.

딜레마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대전제: 두 개의 가언 명제를 갖는 연언 명제
  • 소전제: 전건 긍정(구성 딜레마) 또는 후건 부정(파괴 딜레마)의 선언지를 갖는 선언 명제
  • 결론: 선언 명제(단순 딜레마) 또는 정언 명제(복합 딜레마)


딜레마는 삼단논법양도논법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대전제) 네가 만일 정직하면 세인이 증오할 것이고, 만일 부정직하면 신이 증오할 것이다.
  • (소전제) 너는 정직하든가 또는 부정직하다.
  • (결론) 그러므로 너는 세인의 증오를 받든지 신의 증오를 받는다.


이는 복합 구성의 딜레마이다.

그리스어라틴어에서 원래 "δί-λημμα"(di-lemma)는 "두 개의 가정(전제)"과 같은 의미였으며, 그것들이 가져오는 장애문제를 의미했다. "진퇴양난"이나 "이율배반"이라는 번역어가 사용되기도 하며, "두 방향 모두 갈 수 없다", "두 방향에서 서로 용납할 수 없는 요구로 인해 움직일 수 없다"와 같은 표현[22]으로 설명된다. "진퇴유곡"[23]과 같은 번역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딜레마는 "궁지"[24]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두 개의 선택지가 모두 받아들여지기 어렵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여 "딜레마의 뿔(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논리학에서는 "'A' 또는 'B'이다", "'A'이면 'C'이다", "'B'이면 'C'이다"라는 가정에서 "'C'이다"라는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을 딜레마라고 부른다.

선택지가 3개인 경우에는 '''트릴레마'''(trilemma영어)라고 부른다.

4. 딜레마 논증

딜레마(dilemma영어)는 선택해야 할 길이 두 가지 중 하나로 정해져 있는데, 그 어느 쪽을 선택해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오게 되는 곤란한 상황을 가리킨다. 논리학에서 딜레마는 대전제가 두 개의 가언적 명제의 연언 명제로 되어 있고, 소전제가 대전제의 두 전건을 선언적으로 긍정하든가 혹은 두 후건을 선언적으로 부정하는 선언지 형태로 되어 있는 삼단 논법 형식을 갖고있다.[7]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대전제네가 만일 정직하면 세인이 증오할 것이고, 만일 부정직하면 신이 증오할 것이다.
소전제너는 정직하든가 또는 부정직하다.
결론그러므로 너는 세인의 증오를 받든지 신의 증오를 받는다.



이것은 선택해야 하는 2개의 선택지가 제시되므로 '양도논법'이라고도 부른다. 위의 예시는 복합구성의 딜레마이다. 딜레마는 때때로 수사법으로 사용된다. C. S. 퍼스는 '딜레마적 논증'을 배중률에 의존하는 모든 논증으로 정의했다.[8]

논리학에서는 "'A' 또는 'B'이다", "'A'이면 'C'이다", "'B'이면 'C'이다"라는 가정에서 "'C'이다"라는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을 딜레마라고 부른다.

선택지가 3개인 경우에는 '''트릴레마'''(trilemma영어)라고 부른다.

5. 딜레마의 유형

딜레마(dilemma영어)는 선택해야 할 길이 두 가지 중 하나로 정해져 있는데, 그 어느 쪽을 선택해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오게 되는 곤란한 상황을 가리킨다.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순간 동시에 다른 한쪽은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둘 다 선택하거나 둘 다 포기할 수도 없는 곤란한 상황이다.

논리학에서 딜레마는 대전제가 두 개의 가언적 명제의 연언(連言) 명제로 되어 있고, 소전제가 대전제의 두 전건을 선언적으로 긍정하든가 혹은 두 후건을 선언적으로 부정하는 선언지 형태로 되어 있는 삼단 논법(syllogism)의 형식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네가 만일 정직하면 세인이 증오할 것이고, 만일 부정직하면 신이 증오할 것이다. 너는 정직하든가 또는 부정직하다. 그러므로 너는 세인의 증오를 받든지 신의 증오를 받는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은 선택해야 하는 2개의 선택지가 제시되므로 '양도논법'이라고도 부른다.

명제 논리에서 ''딜레마''는 그 자체로는 오류가 아닌, 유효한 일련의 추론 규칙에 적용된다. 각 딜레마는 세 개의 전제를 가지며, 구성적 딜레마와 파괴적 딜레마를 포함한다.[9] 이러한 논증은, 딜레마의 "뿔"인 선언적 전제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반박할 수 있는데, 이는 허위 이분법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A 또는 B"를 받아들이라는 요청을 받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님을 보여줌으로써 반박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를 성공적으로 무너뜨리는 것을 "딜레마의 뿔 사이로 탈출한다"라고 한다.[10]

딜레마의 어원은 그리스어라틴어에서 "δί-λημμα"(di-lemma)이며, "두 개의 가정(전제)"과 같은 의미의 표현이었으며, 그것들이 가져오는 장애문제를 의미했다. "진퇴양난"이나 "이율배반"이라는 번역어가 사용되기도 하며, "두 방향 모두 갈 수 없다", "두 방향에서 서로 용납할 수 없는 요구로 인해 움직일 수 없다"와 같은 표현[22]으로 설명되는 상태를 말한다. "진퇴유곡"[23]과 같은 번역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딜레마는 "궁지"[24]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두 개의 선택지가 모두 받아들여지기 어렵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여 "딜레마의 뿔(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뿔은 두 개이며, 날카롭고 불쾌하기 때문에).

논리학에서는 "'A' 또는 'B'이다", "'A'이면 'C'이다", "'B'이면 'C'이다"라는 가정에서 "'C'이다"라는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을 딜레마라고 부른다. 선택지가 3개인 경우에는 '''트릴레마'''(trilemma영어)라고 부른다.

딜레마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5. 1. 윤리적 딜레마

죄수의 딜레마(또는 용의자의 딜레마), 동맹안보 딜레마, 민주주의의 딜레마, 반대 딜레마, 사회적 딜레마, 선장의 딜레마 등 딜레마는 정치, 경제, 사회, 윤리 등 전반에 걸쳐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동맹안보 딜레마는 이기주의와 이타주의의 한계 및 그러한 동전의 양면성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두 개의 도덕 원칙이 상충되는 경우, 행위자는 어떤 원칙을 따라야 할지에 대한 딜레마에 직면한다. 이러한 종류의 도덕적 사례 연구는 키케로의 저서 《의무론》 3권에 기인한다.[14] 교의학의 기독교 전통에서 16세기에 바르톨로메 데 메디나에 의해 도입된 추상적인 원칙 순위 매기기에 대한 접근 방식은 관용주의 혐의를 받았고, 교의학 자체도 그러했다.[15] 또 다른 접근 방식은 법적 뿌리를 두고 있으며, 주어진 사례에 나타나는 특정 특징, 즉 딜레마의 정확한 틀에 중점을 둔다.[16]

5. 1. 1. 트롤리 딜레마

달리는 전차의 선로 궤도를 바꾸면 소수 또는 다수의 인명을 살릴 수 있지만, 바뀐 궤도에는 또 다른 1명의 목숨이 달려있다. 궤도가 바뀌도록 레버를 당기는 사람은 과연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할까? 이것이 그 유명한 트롤리 딜레마(trolley problem)이다. 자율주행자동차가 개발되는 데 있어서 기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답 없는 트롤리 딜레마의 윤리적 선택지도 인공지능적인 면에서 선행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영역으로 언급되고 있다.

5. 2. 법적 딜레마

발렌틴 유트너는 "법적 딜레마"라는 용어를 전문 용어로 사용하여 법적 주체가 동시에 준수할 수 없는 두 개 이상의 법적 규범에 직면하는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7]

예로는 한 조항이 다른 조항을 직접적으로 무효화하는 모순된 계약, 또는 기본적(헌법) 법적 규범 간의 충돌이 있다. 라이프니츠의 1666년 박사 학위 논문인 ''De casibus perplexis''(복잡한 사건)는 모순된 법적 조건에 대한 초기 연구이다.[18] 국내법에서, 독일 연방 헌법 재판소가 독일 항공 보안법과 관련된 소송과 관련하여 정부 관계자가 축구 경기장에 추락하여 수만 명을 죽일 수 있는 납치된 비행기를 격추함으로써 무고한 민간인을 고의로 죽일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때 법적 딜레마에 직면했다고 주장되었다.[19]

국제법에서 국제 사법 재판소가 1996년 핵무기 자문 의견에서 법적 딜레마에 직면했다고 제안되었다. 그것은 극단적인 자위 상황에서 국가의 자위권이 우선해야 하는지, 아니면 국제법의 핵무기 일반 금지가 우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직면했다.[20]

5. 3. 사회적 딜레마

죄수의 딜레마(용의자의 딜레마), 동맹 안보 딜레마, 민주주의의 딜레마, 반대 딜레마, 사회적 딜레마, 선장의 딜레마, 트롤리 딜레마 등 딜레마는 정치, 경제, 사회, 윤리 등 전반에 걸쳐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동맹 안보 딜레마는 이기주의와 이타주의의 한계 및 그러한 동전의 양면성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5. 4. 기타 딜레마


죄수의 딜레마(또는 용의자의 딜레마), 동맹안보 딜레마, 민주주의의 딜레마, 반대 딜레마, 사회적 딜레마, 선장의 딜레마, 트롤리 딜레마 등 딜레마는 정치, 경제, 사회, 윤리 등 전반에 걸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특히 동맹안보 딜레마는 이기주의와 이타주의의 한계 및 그러한 동전의 양면성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6. 트릴레마

선택지가 3개인 경우에는 '''트릴레마'''(trilemma영어)라고 부른다.[22]


  • 뮌하우젠의 트리렘마
  • 국제 금융의 트리렘마
  • 서비스 경제의 트리렘마 - 탈산업화가 진행되면 소득 평등, 고용 확대, 균형 재정의 세 가지를 모두 성립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 환경 문제의 트리렘마 - 경제 발전, 자원 · 에너지의 확보, 환경 보전의 세 가지를 모두 성립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7. 딜레마 빠져나오기

한편 딜레마에서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은 명제의 선언지에 기인하는데, 이러한 선언지를 '딜레마의 뿔(Horn)'이라고 한다. 이러한 딜레마에 대응하는 것으로는 뿔을 피하기, 뿔을 잡기, 반대 딜레마로 대응하기 등이 있다.

8. 딜레마 구간

딜레마 구간(dilemma區間, dilemma zone)은 신호가 있는 교차로에서 운전자가 황색 신호를 인식하였으나 정지선 앞에서 정지할 수 없어서 계속 진행하여 황색 신호가 끝날 때까지 교차로를 빠져나오지 못한 경우에, 황색 신호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끝난 지점까지 차량이 존재하고 있는 구간으로 과도기적인 영역이다.

딜레마의 첫 번째 용법은 그리스어라틴어에서 원래 "δί-λημμα"(di-lemma)는 "두 개의 가정(전제)"과 같은 의미의 표현이었으며, 그것들이 가져오는 장애문제를 의미했다. "진퇴양난"이나 "이율배반"이라는 번역어가 사용되기도 하며, "두 방향 모두 갈 수 없다", "두 방향에서 서로 용납할 수 없는 요구로 인해 움직일 수 없다"와 같은 표현[22]으로 설명되는 상태를 말한다. "진퇴유곡"[23]과 같은 번역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딜레마는 "궁지"[24]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두 개의 선택지가 모두 받아들여지기 어렵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여 "딜레마의 뿔(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뿔은 두 개이며, 날카롭고 불쾌하기 때문에).

논리학에서는 "'A' 또는 'B'이다", "'A'이면 'C'이다", "'B'이면 'C'이다"라는 가정에서 "'C'이다"라는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을 딜레마라고 부른다.

선택지가 3개인 경우에는 '''트릴레마'''(trilemma|트릴레마영어)라고 부른다.

참조

[1] 서적 Garner's Modern American Usa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 서적 Dilemmatic arguments : towards a history of their logic and rhetoric North-Holland 1991
[3] 서적 Dilemmatic arguments : towards a history of their logic and rhetoric North-Holland 1991
[4] 서적 Dilemmatic arguments : towards a history of their logic and rhetoric North-Holland 1991
[5] 서적 The Logic of Sir William Hamilton, Bart https://archive.org/[...] Moore, Wilstach & Baldwin 1863
[6] 서적 Paraphrase on Luke 11-24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3
[7] 간행물 Rhetorical use of dilemmatic argument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8] 서적 Logic and Its Applications: 7th Indian Conference, ICLA 2017, Kanpur, India, January 5-7, 2017, Proceeding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
[9] 서적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Logic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10] 서적 A Practical Study of Argument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09
[11] 서적 Melissus and Eleatic Mon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12] 웹사이트 Diodorus Cronu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
[13] 웹사이트 Zeno of Elea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
[14] 서적 The Abuse of Casuistry: A History of Moral Reason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15] 서적 The words and will of Go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16] 서적 The Abuse of Casuistry: A History of Moral Reason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17] 간행물 Valentin Jeutner: Irresolvable Norm Conflicts in International Law: The Concept of a Legal Dilemma 2017
[18] 문서 "Inaugural Dissertation on Perplexing Cases in the Law" in Alberto Artosi, Bernardo Pieri, and Giovanni Sartor (eds.), Leibniz: Logico-Philosophical Puzzles in the Law Springer 2013
[19] 서적 Irresolvable Norm Conflicts in International Law: The Concept of a Legal Dilemma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0] 서적 Irresolvable Norm Conflicts in International Law: The Concept of a Legal Dilemma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1] 문서 EXCEED英和辞典
[22] 문서 EXCEED英和辞典・[[広辞苑]]
[23] 문서 広辞苑
[24] 문서 EXCEED英和辞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