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피엔스: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피엔스: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는 유발 하라리가 저술한 책으로, 인류의 역사를 인지 혁명, 농업 혁명, 인류 통합, 과학 혁명을 통해 분석하며, 미래 사회의 변화와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하라리는 사피엔스가 허구적 인지 능력, 대규모 협력, 과학 기술 발전을 통해 세계를 지배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농업 혁명이 노동과 질병의 증가를 초래하고, 돈, 제국, 종교가 인류를 통합하는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과학 기술의 발전이 인류를 '호모 데우스'로 만들 수 있으며, 유전자 공학, 불멸, 인공 지능 등의 기술이 미래 사회에 가져올 불확실성에 대해 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문학 책 - 하이데거 전집
    하이데거 전집은 마르틴 하이데거의 저작을 모아 클로스터만 출판사에서 출간하는 전집으로, 하이데거의 철학적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4개의 부문으로 구성되어 2023년 6월 기준 102권 중 80권 이상이 출판되었다.
  • 2011년 책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이 집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한국 각 지역의 문화유산의 역사적 배경, 예술적 가치,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담아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돕는 인문학적 지침서로 평가받는 문화유산 답사기이다.
  • 2011년 책 - 스티브 잡스 (책)
    월터 아이작슨이 스티브 잡스와 주변 인물 인터뷰를 통해 집필한 공식 전기인 스티브 잡스는 그의 삶, 경영 철학, 애플에서의 역할을 객관적으로 담아낸 평전으로, 출간 후 영화와 만화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사피엔스: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기본 정보
키추르 톨도트 하-에노슈트
초판 (히브리어)
원제קיצור תולדות האנושות (키추르 톨도트 하-에노슈트)
저자유발 노아 하라리
국가이스라엘
언어히브리어 (2011년), 영어 (2014년)
장르논픽션
주제역사, 사회 철학
출판사드비르 출판사 (이스라엘), 랜덤 하우스, 하퍼
출판일2011년
페이지 수443쪽
ISBN9780062316097
후속작호모 데우스: 미래의 역사
관련 도서
관련 도서호모 데우스: 테크놀로지와 사피엔스의 미래

2. 인지 혁명

하라리는 호모 사피엔스가 약 7만 년 전 '뒷담화' 능력을 획득하면서, 존재하지 않거나 경험하지 못한 허구를 믿게 하는 인지 혁명을 통해 조직력을 갖게 되었다고 주장한다.[3] 사피엔스가 세계를 지배하게 된 것은 대규모로 유연하게 협력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는 선사 시대의 사피엔스가 네안데르탈인과 기타 다수의 거대 동물 멸종에 중요한 원인이었다고 주장한다. 사피엔스가 대규모로 협력하는 능력은 , 국가, 화폐, 인권 등 상상 속에 존재하는 것을 믿는 능력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이러한 믿음은 인종적, 성적, 정치적 차별을 야기하며, 완전히 편견 없는 사회를 갖는 것은 잠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2. 1. 허구와 상상력

사피엔스호모 사피엔스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유연하게 대규모로 협력할 수 있었던 이유를 상상력에서 찾는다. 호모 사피엔스는 언어를 통해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과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공유함으로써, 가치와 믿음 체계를 구축했다. 이러한 능력은 인지 혁명의 핵심으로, 호모 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 등 다른 인간 종들을 제치고 세계를 지배하게 된 원동력으로 여겨진다.[4]

이러한 허구와 상상력은 종교, 국가, 화폐, 인권 등 사회 제도의 기반이 되었다. 하라리는 이러한 대규모 협력 시스템이 모두 호모 사피엔스의 허구에 대한 인지 능력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33] 예를 들어, 화폐는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이며, 자본주의는 단순한 경제 이론을 넘어선 종교와 같다고 본다.

2. 2. 대규모 협력

ספר|사피엔스he호모 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을 비롯한 다른 인간 종들과 달리 대규모로 유연하게 협력할 수 있었기 때문에 세계를 지배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협력 능력은 , 국가, 화폐, 인권 등 상상 속에 존재하는 것을 믿는 능력에서 비롯되었다.[4] 종교, 정치 구조, 무역 네트워크, 법적 제도 등 인류의 대규모 협력 시스템은 모두 허구에 기반한다고 보았다.[33] 하라리는 을 상호 신뢰 시스템으로, 정치 및 경제 시스템을 종교와 유사한 것으로 묘사한다.

3. 농업 혁명

유발 하라리는 약 1만 년 전에 시작된 농업 혁명을 인류 역사상 최대의 사기라고 주장한다. 농업 혁명은 인류에게 정착 생활과 식량 생산 증대라는 긍정적인 면을 가져다주었지만, 동시에 사회 불평등 심화와 질병 확산 등 부정적인 결과도 초래했기 때문이다.[33] 하라리는 농업이 심각한 불균형을 초래했고, 가축화로 인해 수많은 질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지적한다.

3. 1. 정착 생활과 잉여 생산

농업은 인류가 한 곳에 정착하여 살도록 만들었다. 잉여 식량 생산은 인구 증가와 도시 발달을 촉진했지만, 사회 계층화와 빈부 격차 심화로 이어지기도 했다. 하라리는 농업 혁명이 사피엔스와 밀이나 소와 같은 가축화하는 종의 증가를 촉진했지만, 대부분의 개체(그리고 동물)의 생활을 악화시켰다고 주장한다. 즉, 농업 혁명으로 인해 사피엔스가 수렵 채집을 하던 시대보다 식생활과 일상생활의 변화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3. 2. 농업의 양면성

농업 혁명사피엔스와 밀이나 소와 같은 가축화하는 종의 증가를 촉진했지만, 사피엔스가 수렵 채집을 주로 하던 시대보다 식생활과 일상생활의 변화가 현저하게 줄어들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개체(그리고 동물)의 생활을 악화시켰다. 유발 하라리는 농업 혁명으로 인류가 노동에 얽매이게 되었고, 인간 스스로를 노예로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특히 농업이 심각한 영향의 불균형을 초래했고, 농사를 위한 가축화로 인해 수많은 질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기술한다. 이런 점에서 농업 혁명은 인간 역사의 최대 사기극으로 보고 있다.[33] 인간의 다른 동물에 대한 폭력적인 취급은 이 책 전체를 관통하는 테마이다.

4. 인류의 통합

사피엔스에서는 인류가 점차 더 큰 규모의 사회를 이루며 통합되어 왔다고 설명한다. 호모 사피엔스는 돈, 제국, 종교라는 세 가지 허구를 통해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했으며, 세계화를 통해 사실상 하나의 글로벌 제국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인류 통합의 과정은 호모 사피엔스가 가진 상상력, 즉 허구를 믿는 능력 덕분에 가능했다.[3]

4. 1. 돈과 경제 시스템

돈은 가치를 교환하는 수단이자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이다. 자본주의는 단순한 경제 이론을 넘어 종교와 유사하다. 지난 2천 년 역사에서 '제국'은 가장 발전된 정치 체계였다. 인류는 돈, 제국, 종교라는 세 가지 허구를 통해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통합되었고, 세계화를 통해 사실상 하나의 글로벌 제국을 만들어가고 있다.

4. 2. 제국과 정치 시스템

사피엔스에서는 지난 2000년의 역사를 통틀어 '제국'이 가장 진일보한 정치 체계라고 주장한다. 제국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를 하나의 통치 체제 아래 통합하는 역할을 했다. 하라리는 인류 역사에서 대부분의 인류는 제국에서 살았지만, 자본주의세계화는 사실상 하나의 글로벌 제국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주장한다.[34]

4. 3. 종교와 보편적 가치

사피엔스는 종교를 초월적인 존재에 대한 믿음으로 설명하고, 이러한 믿음이 사람들을 결속시키고 윤리적 규범과 가치관을 제공한다고 본다. 인류의 대규모 협력 시스템은 종교, 정치 구조, 무역 네트워크, 법 제도 등 모두 인간 특유의 허구적 인지 능력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33] 또한, 자본주의 역시 단순한 경제 이론을 넘어선 종교의 일종으로 보았다.

하라리는 인류의 통합 과정에서 돈, 제국과 더불어 종교를 주요 추진력으로 꼽는다. 세계화 시대에는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공존하며, 보편적 인권과 같은 가치가 확산되고 있다고 설명한다.

4. 4. 한반도와 인류 통합 과정

책의 저자는 인류 통합 과정에서 돈, 제국, 종교라는 세 가지 상상력의 산물이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반도의 역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반도는 삼국시대부터 중국, 일본 등 주변 국가들과 교류하며 문화적, 경제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조선시대에는 유교 이념이 사회 전반에 뿌리내렸고, 개항 이후에는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며 근대화를 추진했다. 대한민국은 현재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고 있다.

5. 과학 혁명

지난 500년간 인간의 힘은 경이롭고 유례없이 커졌다. 특히 무지를 인정하는 데서 시작된 유럽의 발전은 과학 혁명으로 이어졌다. 인지 혁명을 통해 똘똘 뭉친 호모 사피엔스농업 혁명으로 번식에 성공하고, 돈과 제국, 종교로 거대한 네트워크를 이루더니 이제는 과학이라는 어마어마한 힘을 갖게 되었다. 저자는 '호모 데우스'라는 표현을 쓰는데, 데우스la는 라틴어로 '신'이라는 뜻이며, 인간이 신이 되고자 한다는 것이다. 신의 영역이라고 일컬어지던 탄생과 죽음까지 관장한다고 그는 주장한다. 사피엔스가 현재 역사의 변곡점에 서 있다고 시사하며 "우리는 어떤 존재가 되고 싶은가"가 아니라 "우리는 무엇을 원하고 싶은가"가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진정한 질문이라고 말한다.

과학 혁명은 엘리트들이 스스로의 무지를 인정하고 개선하려 했던 유럽 사상의 혁신 과정이다. 하라리는 이를 근대 유럽 제국주의와 현재 인류 문화 융합의 주요 원동력 중 하나로 설명한다. 또한 행복의 역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주장하며, 현대인들이 과거 시대보다 훨씬 더 행복해진 것은 아니라고 가정한다.[5]

5. 1. 무지의 인정과 과학적 방법론

과학 혁명은 유럽 사상의 혁신 과정으로, 엘리트들이 스스로의 무지를 인정하고 개선하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Scientific Revolution|사이언티픽 레볼루션영어 이는 근세 유럽의 제국주의, 그리고 현재 인류 문화 수렴의 원동력 중 하나로 설명된다. 저자 하라리는 행복의 역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주장하며, 현대의 사람들이 과거 시대에 비해 현저하게 행복해진 것은 아니라고 가정한다.[34]

5. 2. 과학과 제국의 결합

유럽 국가들은 과학 기술을 군사력 강화와 식민지 개척에 활용하며 세계를 지배했다. 이는 과학 발전의 어두운 측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과학 기술이 전 세계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34]

5. 3. 산업 혁명과 자본주의 발전

과학 혁명을 통해 엘리트들은 스스로의 무지를 인정하고 개선하려 노력했으며, 이는 근대 유럽의 제국주의와 현재 인류 문화 수렴의 주요 동력 중 하나로 작용했다.[34] 이러한 과학 혁명은 증기 기관, 전기와 같은 새로운 에너지원을 활용한 산업 혁명을 이끌었으며, 이는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의 발달을 촉진했다. 하라리는 자본주의를 단순한 경제 이론을 넘어선 종교와 같은 것으로 보았다.[33]

5. 4. 현대 사회와 과학 기술

20세기 이후 과학 기술은 더욱 빠르게 발전하여 인류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정보 통신 기술, 생명 공학, 인공 지능 등은 미래 사회의 모습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지난 500년간 인간의 힘은 경이로울 정도로 커졌으며, 특히 무지를 인정하는 데서 시작된 유럽의 발전은 과학혁명으로 이어졌다. 인지 혁명을 통해 똘똘 뭉친 호모 사피엔스농업 혁명으로 번식에 성공하고, 돈과 제국, 종교로 거대한 네트워크를 이루더니 이제는 과학이라는 어마어마한 힘을 갖게 되었다. 저자는 사피엔스가 현재 역사의 변곡점에 서 있다고 시사하며, "우리는 어떤 존재가 되고 싶은가"가 아니라 "우리는 무엇을 원하고 싶은가"가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진정한 질문이라고 말한다.

5. 5. 한반도와 과학 혁명

Homo sapiensla는 무지를 인정하는 데서 시작된 유럽의 과학 혁명을 통해 경이로운 힘을 얻게 되었다. 특히,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서양 과학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사회 개혁을 추구했다.[1] 대한민국은 현재 세계적인 과학 기술 강국으로, 반도체, 정보 통신, 바이오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1] 하지만, 과학 기술 발전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안고 있다.[1]

6. 호모 데우스와 미래

하라리는 현대 기술이 유전자 공학, 불멸, 비유기적 생명을 가져와 호모 사피엔스의 종말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이 종을 창조하는 능력을 갖게 됨을 에 비유하며, '호모 데우스'라고 표현한다.[34]

하라리는 사피엔스가 역사의 변곡점에 서 있으며, "우리는 어떤 존재가 되고 싶은가'가 아니라 '우리는 무엇을 원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직면했다고 강조한다.

6. 1. 유전자 공학과 생명 연장

저자 유발 하라리는 Homo sapiens영어가 유전자 공학, 불로불사, 비유기적 생명을 도래시킴으로써 머지않아 종을 끝낼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인간이 종을 창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간을 신에 비유한다.[34]

6. 2. 인공 지능과 사이보그 기술

Homo sapiens영어인공지능사이보그 기술의 발전으로 신의 영역에 도전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적 능력을 넘어서고, 사이보그 기술은 신체 기능을 강화하거나 대체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며, "우리는 무엇을 원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직면하게 한다.

6. 3.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

지난 500년 간 인간의 힘은 경이적으로 커졌다. 특히 무지를 인정하는 데서 시작된 유럽의 발전은 과학혁명으로 이어졌다. 인지 혁명을 통해 똘똘 뭉친 호모 사피엔스농업 혁명으로 번식에 성공하고, 돈과 제국, 종교로 거대한 네트워크를 이루더니 이제는 과학이라는 어마어마한 힘을 갖게 되었다. 저자는 '호모 데우스'라는 표현을 쓴다. 이는 라틴어로 '신'이라는 뜻이며, 인간이 신이 되고자 한다는 것이다. 신의 영역이라고 일컬어지던 탄생과 죽음까지 관장한다고 그는 주장한다. 그는 사피엔스가 현재 역사의 변곡점에 서 있다고 시사하며, "우리는 어떤 존재가 되고 싶은가'가 아니라 '우리는 무엇을 원하고 싶은가!'"가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진정한 질문이라고 말하며 끝을 맺는다.

참조

[1] 뉴스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by Yuval Noah Harari – review https://www.theguard[...] 2014-10-29
[2] 뉴스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by Yuval Noah Harari, review: 'urgent questions' https://www.telegrap[...] 2014-10-29
[3] 뉴스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review – thrilling story, dark messag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9-21
[4] 웹사이트 Sapiens https://www.ynharari[...]
[5] 뉴스 Were we happier in the stone ag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9-05
[6] 간행물 Sapiens http://www.cbc.ca/ra[...] 2015-01-12
[7] 웹사이트 Sapiens - Yuval Noah Harari https://www.ynharari[...] 2022-05-07
[8] 웹사이트 60 Minutes sits down with historian and author Yuval Noah Harari https://www.cbsnews.[...] 2022-05-08
[9] 뉴스 Paperback Nonfiction Books - Best Sellers - Books - May 8, 2022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2022-05-08
[10] 웹사이트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https://bookmarks.re[...] 2024-07-14
[11] 뉴스 China Book Award http://newscontent.c[...] CCTV News 2015-04-23
[12] 뉴스 What makes us human http://europe.chinad[...] China Daily 2016-05-18
[13] 뉴스 How the 'brainy' book became a publishing phenomenon https://www.theguard[...] 2018-07-29
[14] 뉴스 Best 'brainy' books of this decade https://www.theguard[...] 2018-07-29
[15] 웹사이트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https://www.rsb.org.[...] 2019-07-02
[16] 뉴스 My 10 Favorite Books: Bill Gates https://www.nytimes.[...] 2019-01-28
[17] 웹사이트 I finally read 'Sapiens,' the book that Bill Gates and Mark Zuckerberg both recommend to everyone – and I get why Silicon Valley loves it so much https://www.business[...] 2020-06-23
[18] 뉴스 Science Books - Best Sellers - Books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2021-06-20
[19] 뉴스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by Yuval Noah Harari https://www.thetimes[...] 2021-06-20
[20] 웹사이트 Review: Sapiens https://www.smh.com.[...] 2021-06-20
[21] 웹사이트 Israel Museum tur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into exhibit https://www.haaretz.[...] 2021-07-19
[22] 잡지 Yuval Noah Harari's History of Everyone, Ever https://www.newyorke[...] 2023-08-19
[23] 뉴스 The Dangerous Populist Science of Yuval Noah Harari https://www.currenta[...] 2023-08-19
[24] 문서 A Response to Yuval Harari's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https://www.newengli[...] New English Review 2017-12
[25] 웹사이트 How Humankind Conquered the World https://www.wsj.com/[...] 2016-06-15
[26] 뉴스 How humans became human https://www.washingt[...] 2016-06-16
[27] 웹사이트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by Yuval Noah Harari – review https://www.theguard[...] 2016-06-15
[2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human kind http://idiscover.lib[...] 2019-07-25
[29] 서적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Vintage 2014
[30] 뉴스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by Yuval Noah Harari – review https://www.theguard[...] 2019-08-17
[31] 뉴스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by Yuval Noah Harari, review: 'urgent questions' https://www.telegrap[...] 2019-08-17
[32] 문서 河出書房新社HP https://www.kawade.c[...] 2024-02-23
[33] 문서 Sapience (Yuva Noah Harari) https://www.ynharari[...]
[34] 문서 Were we happier in the stone age? (The Guardian, 2014) https://www.theguard[...]
[35] 문서 "Yuval Noah Harari's History of Everyone, Ever". (The New Yorker, 2020) Archived https://www.newyorke[...]
[36] 뉴스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by Yuval Noah Harari – review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9-11
[37] 웹사이트 ベストセラー・『サピエンス全史』で気になる「偏った」視点 https://wedge.ismedi[...] Wedge ONLINE 2017
[38] 웹사이트 オバマ、ザッカーバーグ、ホリエモンも絶賛! NHK「クローズアップ現代+」で紹介され話題に! 今世紀最大の歴史書『サピエンス全史 文明の構造と人類の幸福』とは? https://ddnavi.com/n[...] Kadokawa Group ダ・ヴィンチ 2017
[39] 웹사이트 How Did Humans Get Smart? https://www.gatesnot[...] Gates Notes 2016-05-17
[40] 웹인용 获奖及推荐图书 http://202.96.31.37/[...] 2018-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