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피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피타는 시리아 해안 산맥 남동쪽 끝에 위치한 도시이다. 타르투스에서 남동쪽으로 26km, 홈스에서 북서쪽으로 5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사피타는 페니키아 시대부터 마을이 있었으며, 1102년 십자군에 의해 점령되어 트리폴리 백작령에 속했다가 1271년 맘루크 왕조에 의해 함락되었다. 템플 기사단은 사피타에 샤스텔 블랑 요새를 건설했다. 16세기부터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에는 남부 시리아 해안 산맥의 주요 도시 역할을 했으며, 프랑스 위임 통치 시기에는 타르투스에 행정적 중요성을 잃고 쇠퇴했다. 시리아 독립 이후 타르투스의 위성 도시 역할을 하며, 주변 지역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샤스텔 블랑은 십자군 시대에 템플 기사단이 건설한 요새로, 현재도 잘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니키아의 도시 - 티레
    티레는 레바논 남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페니키아 시대에 주요 도시 국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역사적 유적과 자연 보호 구역을 보유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관광, 계약 서비스, 건설업이 주요 산업이고 다양한 종교 공동체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거주한다.
  • 페니키아의 도시 - 야파
    야파는 기원전 7500년부터 사람이 거주한 고대 도시로,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으며 중요한 항구 도시 역할을 했고, 현재는 텔아비브에 통합되어 다양한 인종이 거주하는 관광 명소이다.
  • 시리아의 도시 - 타르투스
    타르투스는 지중해 동부 해안에 위치한 시리아의 도시로, 고대 페니키아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주요 항구이자 러시아 해군 해외 기지가 위치하고 관광 및 경제적으로 중요한 도시이다.
  • 시리아의 도시 - 알레포
    알레포는 시리아 북부의 도시로, 고대부터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치며 동서양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시리아 내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정부군에 장악됐다가 시리아 반군에 재점령되며 내전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았다.
사피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صَافِيتَا
로마자 표기Ṣāfītā
페니키아어𐤎𐤐𐤕𐤄 (Spṯʾ)
샤스텔 블랑에서 바라본 사피타 전경
샤스텔 블랑에서 바라본 사피타 전경
일반 정보
국가시리아
타르투스 주
사피타 구
소구사피타
좌표34°49′N 36°07′E
지역 번호43
도시 Qrya PcodeC5472
인구 통계
2004년 총 인구20,301명

2. 지리

사피타는 시리아 해안 산맥의 남동쪽 끝에 위치하며, 타르투스에서 남동쪽으로 26km, 홈스에서 북서쪽으로 55km 떨어져 있다.[3] 평균 해발 고도는 400m이고, 십자군 요새는 약 720m 높이에 있다.[3]

사피타와 그 주변 지역의 전경, 2008


사피타 성채가 있는 언덕은 주변 지역을 조망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성채에서는 북쪽으로 마르가트 요새, 동쪽으로 크라크 데 슈발리에, 남쪽으로 트리폴리가 보여 중세 시대에 이들 요새 간 통신 중계소 역할을 했다.

이 도시는 타르투스와 홈스를 잇는 동서 고속도로와 사피타, 드레이키시를 연결하는 남북 고속도로의 교차점에 있다. 사피타 주변 지형은 경사가 완만하고, 북쪽과 남쪽 계곡에 하천이 없어 남북 연결이 용이하다. 사피타-드레이키시 도로는 산맥을 남북으로 잇는 유일한 도로이며 대중교통이 자주 다닌다.

2. 1. 기후

사피타는 덥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하고 습한 겨울이 특징인 지중해성 기후(쾨펜 ''Csa'')를 보인다. 이곳은 지중해 연안 산맥의 지형적 영향으로 인해 시리아에서 가장 습한 지역 중 하나이며, 연간 강수량은 약 1200mm로 다마스쿠스의 약 10배, 알레포의 4배에 달한다.[7]

사피타, 해발 359m (2000–2020) 기후 데이터[4][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13.214.518.021.725.828.330.431.129.727.021.015.1-
평균 기온 (°C)10.311.414.317.621.424.126.327.025.522.917.412.1-
평균 최저 기온 (°C)7.48.210.713.517.019.922.222.921.418.813.89.1-
강수량 (mm)215.1216.7159.5108.121.80.30.45.139.775.4135.2239.2-


3. 역사

사피타는 페니키아 정착지의 유적이 발견된 곳에 위치해 있다. 텔 카젤 유적지의 고고학적 유물은 아마르나 서한에 언급된 페니키아 도시인 수무르로 확인되었다.

페니키아가 시리아-레바논 해안에서 활약하던 시대부터 사피타 부근에는 마을이 있었으며, 고고학 조사를 통해 페니키아인과 가나안인의 주거지 등이 발견되었다.

십자군 시대 이전의 자세한 역사는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으며, 1271년 맘루크 왕조의 바이바르스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행정, 경제적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지만, 프랑스 위임통치 시대와 시리아 독립 이후 타르투스의 성장으로 인해 점차 쇠퇴하였다.

3. 1. 십자군 시대

샤스텔 블랑


툴루즈 백작 레이몽 4세는 트리폴리 백국을 건국했다. 이 지역의 땅을 하사받은 템플 기사단은 오늘날 "샤스텔 블랑(Chastel Blanc)"으로 알려진 요새를 건설했다. 이 요새는 전략적인 전망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북서쪽 해안의 아르와드타르투스, 남서쪽의 샤스텔 루즈, 남동쪽의 크라크 데 슈발리에 등 템플 기사단의 요새 네트워크와 시야를 유지했다.[2] 맘루크 왕조 술탄 바이바르스1271년에 사피타를 점령하여 무슬림 통치하에 두었다.[2]

1102년, 툴루즈 백작 레몽 4세는 트리폴리 영주 바누 안마르의 영지에 대한 침략을 시작했다. 4년에 걸친 공성전 끝에 트리폴리가 함락되었고, 사피타를 포함한 넓은 땅이 트리폴리 백작령이 되었다. 1271년, 맘루크 왕조의 바이바르스에 의해 사피타의 성이 함락되었다.

샤스텔 블랑 내부의 교회


샤스텔 블랑(Chastel Blanc, 아랍어로는 부르지 사피타 Burj Safita, "사피타의 탑")은 십자군 시대에 템플 기사단이 건설한 성이다. 사피타의 세 언덕 중 가운데 언덕에 있던 요새를 개조한 성으로, 주변의 넓은 범위를 감시할 수 있었으며, 십자군 국가와 기사단이 구축한 방어망의 중요한 거점이었다. 지붕에서는 서쪽의 지중해, 남쪽의 눈 덮인 레바논 산맥, 트리폴리의 마을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북서쪽으로 템플 기사단의 요새 도시인 타르투스와 그 앞의 아르와드 섬, 남서쪽 해안선에 샤스텔 루즈(Chastel Rouge) 성채, 남쪽으로 아르카(Arqa), 남동쪽으로 성 요한 기사단의 본부 크라크 데 슈발리에를 볼 수 있었을 것이다. 현재 서 있는 탑은 성의 천수각에 해당하는 탑으로, 높이는 28m, 너비는 18m, 길이는 31m이다. 서쪽 벽에는 큰 종이 있어 사피타에서 5km 떨어진 곳에서도 들을 수 있었다. 성은 1170년1202년에 두 번의 지진 피해를 입고 개수되었다. 탑이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춘 것은 1202년의 개수 때이다.

성 미카엘 예배당이 성의 1층에 있다. 건설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면, 이 성은 교회와 요새라는 두 가지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거대한 대리석을 주의 깊게 쌓아 올려 두께 3m의 견고한 벽이 탑 내부를 보호하고 있다. 1층의 교회 부분은 현재도 사피타의 정교회 신자들이 성 미카엘에게 바치는 예배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부 파손된 계단으로 올라간 3층은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다수의 작은 경사진 창문은 안에서 활을 쏘아 성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다. 성 아래의 바위를 깎아 만든 것은 저수지로, 포위전에 대비한 것이다.[6]

성의 방어를 위해, 이 탑 외에도 요새가 있었다. 45m 동쪽에는 요새 입구의 문만 남아 있다. 프랑스 통치 시대에는 이 탑의 재건이 시도되었지만, 인근 마을 사람들에게 막대한 부담을 주었다.

3. 2. 오스만 제국 시대

사피타는 16세기부터 17세기 초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남부 시리아 해안 산맥의 주요 나히야 (하위 구)의 중심지였으며, 약 50개 마을을 아우르고 때로는 미아르, 쿨라이야 및 타르투스 하위 구역을 관할하기도 했다.[1] 나히야의 주민들은 기독교인과 알라위파였으며, 후자가 인구의 약 5분의 3을 차지했을 것으로 보인다.[1] 사이파 왕조는 트리폴리의 배후지에 근거지를 두고 1640년까지 이 도시를 통치했으며, 종종 그들의 요새를 드루즈의 마안 왕조와의 전쟁에서 사용했다.[2] 1621년, 트리폴리 에얄레트의 총독 유수프 사이파는 하위 구의 세수를 전달하지 않은 이유로 조카이자 마안 왕조의 동맹인 파크르 앗딘 2세의 동맹인 술레이만 사이파를 상대로 사피타에 군대를 파견했다.[3]

1640년 이후, 사피타는 오스만 중기 역대기에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피타가 속해 있던 트리폴리 산자크의 법원 기록은 1666년과 166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1667-1668년에 사피타 나히야의 iltizam|일티잠ar (세금 징수) 계약이 알라위파 형제 무함마드 이븐 샴신과 자이단 이븐 샴신에게 판매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들은 정부를 대신하여 과일나무, 농지, 매, 벌, 비단, 제분소, 물소, 파도 노동, 축제, 결혼식, 투르크멘과 아랍 유목민의 겨울 캠프에 대한 세금을 징수하고, 기독교 공동체로부터 지즈야 (인두세)를 징수하는 책임을 맡았다.[2] 샴신(또는 시블리) 가문은 늦어도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사피타의 지배적인 지역 세력으로 부상했다.[4]

3. 3. 프랑스 위임통치 시대

20세기 초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서 사피타는 많은 인구와 광대한 지역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 및 행정 권한으로 인해 시리아 남부 해안 산맥의 주요 도시 역할을 했다. 프랑스 위임통치 (1923–1946) 하에서 인근 해안 도시인 타르투스산자크의 수도가 되면서 사피타의 영향력이 약화되며 쇠퇴하기 시작했다.[3] 1933년 사피타의 인구는 기독교인 2,715명과 알라위파 280명이었다.[3] 1943년 사피타의 인구 3,500명은 여전히 대부분 그리스 정교회 기독교인으로 구성되었다. 당시 이 지역의 집들은 잘 지어졌고 흑백 교차 석재로 만들어졌으며 십자군 시대의 요새 주변에 밀집되어 있었다.[3]

3. 4. 시리아 독립 이후

사피타 구시가지의 거리, 2008년


시리아는 1946년에 독립했다. 1960년 사피타의 인구는 기독교인 4,300명과 알라위파 1,90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 1967년, 타르투스가 타르투스 주의 주도로 승격되면서 사피타의 타르투스에 대한 행정적 종속 관계가 강화되었다. 타르투스의 시민적 중요성이 증가하고 주요 항구가 건설되었으며, 연안 평야를 따라 관개 상업 농업이 발달하면서 더 많은 경제 및 시민 활동이 사피타에서 멀어졌다. 많은 사피타 기업가들이 개발 중인 항구 도시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한편, 사피타에 주요 거주지를 유지했다.[2]

1967년에서 1970년 사이, 사피타의 행정적 영향력은 사피타 구의 절반이 산악 도시인 드레이키쉬를 중심으로 한 두레이키쉬 구로 새롭게 편입되고, 알-사프사파 하위 구역이 타르투스 구로 이전되면서 더욱 감소했다.[3] 1990년대 후반 기준으로, 대부분의 사피타인들은 타르투스에서 일했으며, 인류학자 파브리스 발란체는 사피타를 타르투스의 위성 또는 교외로 묘사했다.[4]

동시에, 사피타 출신 사람들이 시리아의 모든 주요 도시와 레바논에 정착하여 타르투스에 대한 경제적 의존성을 완화하는 거대한 경제 네트워크를 제공했다.[5] 사피타는 비교적 넓은 배후지를 위한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6] 주변 마을의 많은 주민들이 도시에 상점을 열었으며, 비교적 많은 수의 의료 및 법률 관련 사무실과 엔지니어링 사업체를 갖춘 전문 중심지 역할도 한다.[7]

사피타의 교회, 2008년


사피타의 기독교인들은 출산율이 낮고 이주율이 높으며, 알라위파의 시골에서 도시로의 지속적인 이주가 있었다. 발란체는 자신의 관찰을 바탕으로 사피타의 구시가지는 대부분 기독교인들이 거주하고 있지만, 도시 전체는 알라위파가 약간 더 많다고 추측한다. 두 공동체는 비슷한 생활 방식을 공유하며, 그들의 관계는 종파적 갈등으로 특징지어지지 않았다. 이 도시는 기독교인들의 확립된 경제 네트워크와 많은 지역 알라위파의 시리아 군대 및 정치 권력 중심과의 연결을 통해 이익을 얻었다.

1950년대 이후 이 도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 운동은 집권 바트당과 시리아 공산당이었다. 국가는 Cham 호텔 체인으로부터 사피타에 5성급 럭셔리 호텔을 건설했으며, 1990년대에 사피타-타르투스 및 사피타-홈스 고속도로를 3차선으로 확장하여 현대적인 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사피타 구의 마을들도 이 도시와 잘 연결되어 있으며, 1994년에는 인접한 6개 공동체가 사피타 시에 통합되었다. 이를 통해 도시는 국가로부터 훨씬 더 높은 재정 배분을 받을 수 있었고, 이러한 보조금은 구시가지 보존 노력, 순환 도로 건설, 새로운 하수도 네트워크 또는 개선된 하수 처리 시설을 포함한 주요 시정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다.

4. 샤스텔 블랑 (Chastel Blanc)



툴루즈 백작 레이몽 4세는 트리폴리 백국을 건국했다. 이 지역의 땅을 하사받은 템플 기사단은 오늘날 "샤스텔 블랑"(Chastel Blanc)으로 알려진 요새를 건설했다. 이 요새는 전략적인 전망 지점에 위치해 있어, 템플 기사단의 요새 네트워크인 북서쪽 해안의 아르와드타르투스, 남서쪽의 샤스텔 루즈, 남동쪽의 크라크 데 슈발리에와 시야를 유지했다. 맘루크 술탄 바이바르스는 1271년에 사피타를 점령하여 무슬림 통치하에 두었다.[2]

십자군 요새 "샤스텔 블랑"은 1202년에 지어진 사각형 탑으로 잘 보존되어 있으며 높이가 28m에 달한다. 폭은 18m, 길이는 31m이다. 높이 3m의 벽 안에는 성 미카엘에게 헌정된 예배당이 있으며, 도시의 그리스 정교회 공동체를 위해 사용되었다. 석조 계단으로 올라갈 수 있는 건물의 2층은 원래 기숙사로 사용되었으며 사격 구멍으로 빛이 들어왔다. 탑 아래에는 요새 주민들이 사용하던 물 저장소가 있었다.[2]

샤스텔 블랑(Chastel Blanc, برج صافيتا|부르지 사피타ar, "사피타의 탑")은 십자군 시대에 템플 기사단이 건설한 성이다. 사피타의 세 언덕 중 가운데 언덕에 있던 요새를 개조한 성으로, 주변의 넓은 범위를 감시할 수 있었으며, 십자군 국가와 기사단이 구축한 방어망의 중요한 거점이었다. 지붕에서는 서쪽의 지중해, 남쪽의 눈 덮인 레바논 산맥, 트리폴리의 마을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북서쪽으로 템플 기사단의 요새 도시인 타르투스와 그 앞의 알와르드 섬, 남서쪽 해안선에 샤스텔 루즈(Chastel Rouge) 성채, 남쪽으로 아르카(Arqa), 남동쪽으로 성 요한 기사단의 본부 크라크 데 슈발리에를 볼 수 있었을 것이다. 현재 서 있는 탑은 성의 천수각에 해당하는 탑으로, 높이는 28m, 너비는 18m, 길이는 31m이다. 서쪽 벽에는 큰 종이 있어 사피타에서 5km 떨어진 곳에서도 들을 수 있었다. 성은 1170년과 1202년에 두 번의 지진 피해를 입고 개수했다. 탑이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춘 것은 1202년의 개수 때이다.

성 미카엘 예배당이 성의 1층에 있다. 건설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면, 이 성은 교회와 요새라는 두 가지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거대한 대리석을 주의 깊게 쌓아 올려 두께 3m의 견고한 벽이 탑 내부를 보호하고 있다. 1층의 교회 부분은 현재도 사피타의 정교회 신자들이 성 미카엘에게 바치는 예배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부 파손된 계단으로 올라간 3층은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다수의 작은 경사진 창문은 안에서 활을 쏘아 성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다. 성 아래의 바위를 깎아 만든 것은 저수지로, 포위전에 대비한 것이다.[6]

성의 방어를 위해, 이 탑 외에도 요새가 있었다. 45m 동쪽에는 요새 입구의 문만 남아 있다. 프랑스 통치 시대에는 이 탑의 재건이 시도되었지만, 인근 마을 사람들에게 막대한 부담을 주었다.

5. 인구

시리아는 1946년에 독립했다. 1960년 사피타의 인구는 기독교인 4,300명과 알라위파 1,90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 1967년부터 1970년 사이, 사피타의 행정적 영향력은 사피타 구의 절반이 산악 도시인 드레이키쉬를 중심으로 한 두레이키쉬 구로 새롭게 편입되고, 알-사프사파 하위 구역이 타르투스 구로 이전되면서 더욱 감소했다.[2]

1990년대 후반 기준으로, 대부분의 사피타인들은 타르투스에서 일했으며, 인류학자 파브리스 발란체는 사피타를 타르투스의 위성 또는 교외로 묘사했다.[3] 이와 함께, 사피타 출신 사람들이 시리아의 주요 도시들과 레바논에 정착하여 타르투스에 대한 경제적 의존성을 완화하는 거대한 경제 네트워크를 제공했다.[4]

사피타의 기독교인들은 출산율이 낮고 이주율이 높은 반면, 알라위파는 시골에서 도시로 지속적인 이주를 보였다. 발란체는 자신의 관찰을 바탕으로 사피타 구시가지는 대부분 기독교인들이 거주하지만, 도시 전체로는 알라위파가 약간 더 많다고 추측한다. 두 공동체는 비슷한 생활 방식을 공유하며, 종파적 갈등은 나타나지 않았다.[5]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Census of Population 2004. https://view.officea[...] 2017-10-20
[2] 서적 Crusader Archaeology: The Material Culture of the Latin Eas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 서적 Syria, April 1943 https://books.google[...] Naval Intelligence Division, Great Britain 1944
[4] 웹사이트 SYNOP/BUFR observations. Data by months http://www.meteomanz[...] Meteomanz 2024-12-19
[5] 서적 Climates of Southern and Western Asia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6] 기타 "Lost Worlds: Knights Templar" The History Channel 2006-07-10
[7] 서적 Climates of Southern and Western Asia https://archive.org/[...]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