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1951년~201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물산은 1951년에 설립되어 2015년 제일모직에 합병된 대한민국의 종합상사 및 건설 회사였다. 1938년 삼성상회에서 시작하여 1975년 종합상사 1호로 지정되었으며, 건설 부문에서는 부르즈 할리파, 인천대교 등 굵직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1993년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해외 건설 시장 진출을 통해 기술력을 축적했다. 2015년 제일모직과의 합병을 통해 현재의 삼성물산으로 재탄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1년 해체된 기업 - 핀란드 국영비행기공장
핀란드 국영비행기공장은 1920년 설립되어 항공기 제작, 정비, 조립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후 발메트의 일부로 편입, 회사명 변경을 거쳐 파트리아 피나비텍 OY로 최종 변경되어 군용 및 민간 항공기를 생산했다. - 1948년 해체된 기업 - 신한공사
신한공사는 일제강점기 동양척식주식회사 재산을 인수하여 미 군정 시기 남한 지역의 일본인 소유 토지를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며, 소작료 징수 등으로 원성을 사기도 했으며, 중앙토지행정처로 개편된 후 농지 분배를 시행하다가 해체되었다. - 1948년 해체된 기업 - 바르셀로나 전기전력회사
바르셀로나 전기전력회사는 1881년 바르셀로나 일반 트램 회사에서 시작하여 1911년 Barcelona Traction, Light and Power Company, Limited로 개편된 스페인의 전력 회사로, 전력 및 대중교통 시스템을 확장했으나 스페인 내전 등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고, 1970년 국제사법재판소 판결은 외교적 보호권 관련 중요한 판례로 남았다. - 1938년 설립된 기업 -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는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 따라 설립되어 공간 정보, 지적 제도 관련 연구 및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며, 지적 측량 및 지적 재조사 사업을 주요 업무로 한다. - 1938년 설립된 기업 - 머큐리 (자동차)
머큐리는 포드 모터 컴퍼니가 1938년에 설립한 중급 자동차 브랜드로, 포드와 링컨 사이의 가격대를 채우며 다양한 차종을 생산했으나, 판매 부진으로 2011년에 브랜드가 폐지되었다.
삼성물산 (1951년~2015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삼성물산 |
로고 | Samsung C&T hangul logo.svg |
형태 | 주식회사, 대기업 |
창립 | 1951년 1월 11일 |
이전 회사 | 삼성상회 |
이전 회사 | 삼성물산공사 |
이후 회사 | 삼성물산 주식회사 |
해체 | 2015년 9월 2일 |
분할 | 유통부문: 홈플러스 |
상장일 | 1975년 12월 12일 |
국가 | 대한민국 |
사업 지역 | 대한민국 및 해외 |
대표자 | 최치훈, 김신 |
인물 | 최치훈 (대표이사 사장) |
인물 | 김신 (대표이사 사장) |
인물 | 이영호 (부사장, 건설 경영지원실장) |
산업 | 건설, 도매 |
서비스 | 기타 전문 도매업 |
재무 정보 (2014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 804,332,085,000원 |
매출액 | 28,445,512,981,053원 |
영업이익 | 652,364,236,757원 |
순이익 | 285,519,448,134원 |
자산 총액 | 29,505,834,471,368원 |
주주 정보 | |
주주 | 삼성SDI 외 특수관계인 : 14.12% |
종업원 | 8,219명 (2015년) |
2. 역사
1938년 삼성상회 설립 후, 1948년 삼성물산공사를 거쳐 1951년 삼성물산이 설립되었다. 1975년 종합상사 1호로 지정되었으며, 1977년 통일건설을 인수하여 삼성종합건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8년에는 신원개발을 인수하였고, 1979년 신원개발과 삼성종합건설을 합병하여 삼성종합건설이 되었다.
1993년 3월, 삼성종합건설의 불법 발파로 인해 구포 참사가 발생하여 과징금 및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7] 같은 해 7월, 삼성종합건설은 삼성건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5년, 삼성건설은 삼성물산 건설부문으로 흡수되었다.
1997년에는 홈플러스 대구점 및 삼성플라자 분당점을 개점했다.[8] 1999년에는 영국 테스코와 유통합작법인 삼성테스코(현 홈플러스주식회사)를 설립 및 분리했다.
2004년 부르즈 칼리파 공사를 수주하였다. 2008년 서초 삼성타운으로 이전하고, 미국 멕시코만 생산광구 및 인도네시아 바이오에너지 팜농장을 인수했다. 2009년에는 에너지 제로 건물 그린투모로우를 개관하고, 인천대교를 완공했다.
2010년에는 한국 최초의 원자력발전소 수출사업인 UAE 원전 사업과 아부다비 클리블랜드 클리닉 공사를 수주했다. 2011~2012년에는 사우디 쿠라야 복합화력발전소, EMAL 복합화력, 말레이시아 Prai 복합화력 등을 수주했다. 2013년에는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 사우디 리야드 프로젝트 등을 수주하며 해외 수주 125억불을 돌파, 한국 건설사 사상 최대 해외수주액을 기록했다.[9] 2015년, 제일모직에 합병되었다.
2. 1. 삼성물산주식회사 (1938년 ~ 1995년)
1938년 삼성상회 설립 후, 1948년 삼성물산공사를 거쳐 1951년 삼성물산이 설립되었다. 대한민국 최초의 종합상사로, 초기에는 무역업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이후 건설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였다. 1975년 종합상사 1호로 지정되었으며, 1977년 통일건설을 인수하여 삼성종합건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8년에는 신원개발을 인수하였고, 1979년 신원개발과 삼성종합건설을 합병하여 삼성종합건설이 되었다.1993년 3월, 삼성종합건설의 불법 발파로 인해 구포 참사가 발생하여 과징금 및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7] 같은 해 7월, 삼성종합건설은 삼성건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5년, 삼성건설은 삼성물산 건설부문으로 흡수되었다.
이후 건설 부문에서는 2004년 부르즈 칼리파 공사 수주, 2009년 인천대교 완공, 2010년 한국 최초의 원자력발전소 수출사업인 UAE 원전 사업 수주 등 굵직한 사업들을 진행하였다. 2013년에는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 사우디 리야드 프로젝트 등을 수주하며 해외 수주 125억불을 돌파, 한국 건설사 사상 최대 해외수주액을 기록했다.[9]
상사 부문에서는 자원개발, 철강, 화학, 전자재료, 섬유 등의 국제무역을 담당하였다. 2008년 미국 멕시코만 생산광구 및 인도네시아 바이오에너지 팜농장을 인수하는 등 사업을 확장했다.
2015년, 삼성물산은 제일모직에 흡수 합병되었다.
2. 2. 삼성건설 (1977년 ~ 1995년)
삼성건설은 1977년 삼성종합건설로 시작하였다.[7] 1993년 3월 구포 참사를 일으켜 280여 명의 사상자를 내고 과징금 2550만원 및 영업정지 6개월 처분을 받았다.[7] 이 사고로 인해 국내 수주가 불가능해져 1조 원에 가까운 손실을 입었다. 같은 해 7월 삼성종합건설에서 삼성건설로 상호명을 변경하였다.[7] 이후 삼성건설은 해외 진출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기술력을 축적해 나갔다. 1995년 삼성건설은 삼성물산 건설부문으로 흡수되었다.[7]2. 3. 삼성물산 (삼성건설 합병 후, 1995년 ~ 2015년)
1993년 구포 참사의 여파로 국내 수주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삼성물산은 해외로 눈을 돌려 1997년 외환 위기를 극복하고 기술력을 축적했다.[7] 그 결과, 2001년 삼성 타워팰리스를 건설하고, 2004년에는 부르즈 칼리파 공사를 수주하였다. 2008년에는 서초 삼성타운으로 이전하고, 미국 멕시코만 생산광구 및 인도네시아 바이오에너지 팜농장을 인수했다.[9] 2009년에는 에너지 제로 건물 그린투모로우를 개관하고, 인천대교를 완공했다.2010년에는 한국 최초의 원자력발전소 수출사업인 UAE 원전 사업과 아부다비 클리블랜드 클리닉 공사를 수주했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사우디 쿠라야 복합화력발전소, EMAL 복합화력, 말레이시아 Prai 복합화력 등을 수주했다. 2013년에는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 사우디 리야드 프로젝트 등을 수주하며 해외 수주 125억불을 돌파, 한국 건설사 사상 최대 해외수주액을 기록했다.[9] 2015년, 제일모직에 합병되었다.
2. 4. 제일모직과의 합병 (2015년 ~ 현재)
2015년 5월 26일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이사회에서 합병을 결의했고, 제일모직이 1대 0.35로 삼성물산을 합병하는 방식을 채택했다.[5] 합병 회사의 사명은 '삼성물산'으로 결정했으며, 합병 기일은 9월 1일이다.[5] 2015년 6월 10일 삼성물산은 합병 마무리를 위해 자사주 전량 899만 557주(지분율 5.76%)를 KCC에 장 마감 이후 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6,743억 원에 넘기기로 했다.[6]3. 사업 영역
3. 1. 건설 부문
구포 참사 이후 국내 토목 수주가 불가능해지고 '삼성건설'의 이름을 버리게 되자 해외의 건축 사업으로 위기를 타개하여, 세계 최고층 마천루인 부르즈 할리파, 타이베이 금융센터 (TFC 101)와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등 세계 최고층 빌딩들을 시공하였다. 반도체 클린룸과 LCD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인천국제공항 터미널, 일산 KINTEX, 수원 월드컵 경기장 등의 사회기반 건축물과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등의 의료시설, 홈플러스, 이마트 등 유통판매시설, 리움 등의 관람 시설, 호텔, 레저시설 등 다양한 건축물을 건설한 바 있다. 아파트 브랜드로는 '''래미안'''이 있다.말레이시아 암팡 타워
타이 랑산 타워[10]
삼성물산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영종대교, 인천대교, 광안대로 등 국내외 초장대교량 건설 사업에 참여하면서 교량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플랜트 사업 실적은 다음과 같다:
사업 종류 | 내용 |
---|---|
화력발전소 | |
원자력발전소 | |
에너지 저장시설 |
삼성물산의 아파트 브랜드인 래미안은 2014년 NCSI 전체 1위와 아파트 부문 17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
3. 1. 1. 건축
구포 참사 이후 국내 토목 수주가 불가능해지고 '삼성건설'의 이름을 버리게 되자 해외의 건축 사업으로 위기를 타개하여, 세계 최고층 마천루인 부르즈 할리파, 타이베이 금융센터 (TFC 101)와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등 세계 최고층 빌딩들을 시공하였다. 반도체 클린룸과 LCD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인천국제공항 터미널, 일산 KINTEX, 수원 월드컵 경기장 등의 사회기반 건축물과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등의 의료시설, 홈플러스, 이마트 등 유통판매시설, 리움 등의 관람 시설, 호텔, 레저시설 등 다양한 건축물을 건설한 바 있다. 아파트 브랜드로는 '''래미안'''이 있다.말레이시아 암팡 타워
타이 랑산 타워[10]
3. 1. 2. 토목
삼성물산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영종대교, 인천대교, 광안대로 등 국내외 초장대교량 건설 사업에 참여하면서 교량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았다.3. 1. 3. 플랜트
플랜트 사업 실적은 다음과 같다:사업 종류 | 내용 |
---|---|
화력발전소 | |
원자력발전소 | |
에너지 저장시설 |
3. 1. 4. 주택
삼성물산의 아파트 브랜드인 래미안은 2014년 NCSI 전체 1위와 아파트 부문 17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3. 2. 상사 부문
화학 제품(석유화학 제품, 합성수지 제품, 유기화학 제품, 무기화학 제품, 정밀화학 제품 등)과 철강 제품(열연, 냉연, 선재, 후판, API강재, 전기강판, 스테인리스 등)을 주로 취급한다. 비철금속(전기동ㆍ알류미늄ㆍ연ㆍ아연ㆍ주석 등), 산업 광물(리튬ㆍ인광석 등), 희유 금속(몰리브덴ㆍ니켈 등), 귀금속, 수송 장비, 산업 장비, 일반 기계, 플랜트 설비, 기계 설비 등도 다룬다.생산 공장 및 코일센터 운영에도 참여하고 있다. 루마니아의 오텔리녹스, 2008년 1월 인수한 일본 5대 스테인리스 정밀재 메이커인 묘도메탈, 중국 내 정밀재 시장 수요에 대응하는 펑호 스테인리스 정밀재 공장 등에 대한 투자 사업을 펼치고 있다.

3. 2. 1. 화학ㆍ철강 거래
화학 제품(석유화학 제품, 합성수지 제품, 유기화학 제품, 무기화학 제품, 정밀화학 제품 등)과 철강 제품(열연, 냉연, 선재, 후판, API강재, 전기강판, 스테인리스 등)을 주로 취급한다. 비철금속(전기동ㆍ알류미늄ㆍ연ㆍ아연ㆍ주석 등), 산업 광물(리튬ㆍ인광석 등), 희유 금속(몰리브덴ㆍ니켈 등), 귀금속, 수송 장비, 산업 장비, 일반 기계, 플랜트 설비, 기계 설비 등도 다룬다.3. 2. 2. 자원 개발
삼성물산은 비철금속(전기동ㆍ알류미늄ㆍ연ㆍ아연ㆍ주석 등), 산업 광물(리튬ㆍ인광석 등), 희유 금속(몰리브덴ㆍ니켈 등), 귀금속 등도 다루고 있다.3. 2. 3. 에너지
에너지 분야와 관련된 내용은 제공된 소스에 없습니다.3. 2. 4. 바이오
4. 논란 및 사건/사고
1992년 6월 15일 서울지방검찰청 형사4부(김준규 검사)는 삼성물산을 관세법위반 혐의로 기소했다. 삼성물산은 제조업체만이 수입할 수 있는 중고 컴퓨터를 계열회사를 위해 자사 명의로 대리 수입하였다.[3][4]
2015년 5월 26일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이사회에서 합병을 결의했고, 제일모직이 1대 0.35로 삼성물산을 합병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합병 회사의 사명은 '삼성물산'으로 결정했으며, 합병 기일은 9월 1일이다.[5] 2015년 6월 10일 삼성물산은 합병 마무리를 위해 자사주 전량 899만 557주(지분율 5.76%)를 KCC에 장 마감 이후 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6,743억 원에 넘기기로 했다.[6]
4. 1.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
4. 2. 관세법 위반
1992년 6월 15일 서울지방검찰청 형사4부는 삼성물산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다. 삼성물산은 제조업체만이 수입할 수 있는 중고 컴퓨터를 계열회사를 위해 자사 명의로 대리 수입하였다.[3][4]4. 3. 제일모직과의 합병 논란
2015년 5월 26일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이사회에서 합병을 결의했고, 제일모직이 1대 0.35로 삼성물산을 합병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합병 회사의 사명은 '삼성물산'으로 결정했으며, 합병 기일은 9월 1일이다.[5] 2015년 6월 10일 삼성물산은 합병 마무리를 위해 자사주 전량 899만 557주(지분율 5.76%)를 KCC에 장 마감 이후 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6,743억 원에 넘기기로 했다.[6]5. 시공 건축물 목록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타워 2), 중화민국 타이베이 101, 아랍에미리트 부르즈 할리파, 말레이시아 암팡 타워, 타이 랑산 타워[10] 등을 시공하였다.
참조
[1]
뉴스
재벌 사랑이 애국인 이상한 나라
https://news.v.daum.[...]
시사저널
2015-07-23
[2]
뉴스
삼성물산 시공능력 2년 연속 1위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15-08-03
[3]
뉴스
中古컴퓨터 대리수입 三星간부 불구속기소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92-06-15
[4]
뉴스
외제 중고 컴퓨터 7억원대 부정수입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92-06-16
[5]
간행물
제일모직·삼성물산, 9월 합병…합병회사 사명 '삼성물산'
http://www.ebn.co.kr[...]
EBN
2015-05-26
[6]
간행물
삼성물산, ‘백기사’ KCC에 자사주 매각
http://www.hani.co.k[...]
한겨레
2015-06-10
[7]
웹인용
삼성, 부산 열차전복사고 관련 6개월 영업정지
http://imnews.imbc.c[...]
MBC 뉴스
1993-04-17
[8]
문서
[9]
웹인용
네이버/지식백과/기업사전/삼성물산
http://m.terms.naver[...]
굿모닝미디어
2014-07-11
[10]
뉴스
삼성물산 최고층 주상복합, 말레이 스카이라인 바꾼다
https://news.naver.c[...]
News1 Korea
2015-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