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지연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지연시는 백두산 동남쪽 기슭에 위치하며, 압록강과 두만강의 발원지에 있는 도시이다. 북한의 공식 역사에서 김일성이 이끈 조선인민혁명군의 항일 투쟁지이자 김정일의 출생지로 여겨지는 "혁명의 성지"로, 삼지연, 리명수 폭포 등의 자연 경관과 삼지연 비행장을 갖춰 백두산 관광의 거점으로 개발되었다. 1961년 삼지연군으로 설치된 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2019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10개의 동과 6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삼지연 공항과 삼지연선 철도를 통해 교통이 이루어지며, 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개최가 무산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량강도의 도시 - 혜산시
량강도에 위치한 혜산시는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 지린성과 국경을 접하며, 백두산맥의 분지 지형에 자리 잡아 한반도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이고, 김정숙사범대학 등의 교육기관과 괘궁정,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삼지연시 - 백두산
백두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북중 국경에 위치한 화산으로, 예로부터 한민족과 만주족에게 신성시되어 왔으며 천지가 있고, 활발한 화산 활동과 잠재적 폭발 위험이 연구되는 중요한 관광 자원이다. - 삼지연시 - 정일봉
정일봉은 백두산에 위치한 1,793m 높이의 봉우리로, 원래 장수봉이라 불렸으나 김정일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개명되었으며, 북한에서는 김정일의 출생지로 선전되어 혁명 사적지로 활용되지만 우상화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2019년 설치 - 개성시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시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정치, 경제, 문화,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한, 현재 개성공업지구와 고려 유적이 남아있는 황해북도 소재의 특별시이다. - 2019년 설치 - 퇴계원읍
퇴계원읍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읍으로, 대한민국 읍 중에서 면적이 가장 작고 인구 밀집 지역이며, 왕숙천과 용암천 합류 지점에 위치하고, 경춘선 퇴계원역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퇴계원 나들목을 통해 교통이 연결된다.
삼지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한글 표기 | 삼지연시 |
한자 표기 | 三池淵市 |
로마자 표기 | Samjiyon-si |
행정 구역 | |
국가 | 북한 |
도 | 량강도 |
행정 구역 단위 | 동 10개, 리 6개 |
지리 | |
면적 | 1,326.14 km² |
해발고도 | 1381 m |
인구 통계 | |
인구 (2008년) | 31,471명 |
언어 | 함경 방언 |
시간대 | |
시간대 | 평양 시간 |
UTC 오프셋 | +9 |
2. 지리
백두산의 동남쪽 기슭, 압록강·두만강의 발원지에 위치한다. 북쪽과 서쪽은 중국에 접하고 동쪽에는 대홍단군, 남쪽에는 보천군이 있다.
백두산 천지(351호), 삼지연(347호), 리명수폭포(345호) 등 지리적 천연기념물이 있다.
2. 1. 기후
최한월(1월) 평균 기온은 -17°C, 최난월(7월) 평균 기온은 17°C 정도로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아극 기후(Dwc)에 해당한다. 한반도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으며, 최저 기온이 -39.7°C를 기록한 적이 있다. 비공식적이지만 고산지대에서 -45.1°C, 백두산 일원에서는 -54.7°C에 달했다는 기록이 있다. 다만, 한반도 기록 상 가장 추운 곳으로 예상되는 백두산 정상부의 최저기온은 기록된 바 없다.[19][20] 삼지연시는 서늘한 여름과 춥고 건조한 겨울이 나타나는 아한대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 ''Dwc/Dwb'')를 보인다. 겨울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해발 1381m의 고지에 위치해 있어 한반도에서 가장 추운 곳으로 꼽힌다. 최고 기온 극값은 33.5°C(2018년 8월 3일), 최저 기온 극값은 -40°C(1987년 1월 10일)이다. 고산 지대에서는 비공식적으로 -45.1°C가 관측되었다.[9][10][14]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 | -10.2°C | -6.7°C | -0.9°C | 7.8°C | 15.4°C | 19.8°C | 22.6°C | 22°C | 17.1°C | 9.8°C | -0.8°C | -8.6°C | 7.3°C |
평균 기온 (℃) | -16.9°C | -13.7°C | -7.2°C | 1.5°C | 8.5°C | 13.2°C | 16.8°C | 16.1°C | 10°C | 2.6°C | -6.6°C | -14.5°C | 0.8°C |
평균 최저 기온 (℃) | -23.2°C | -20.9°C | -14.7°C | -5.1°C | 1.8°C | 7°C | 11.7°C | 11°C | 3.3°C | -3.9°C | -12.4°C | -20.5°C | -5.5°C |
강수량 (mm) | 14.7mm | 17.5mm | 31.5mm | 46.5mm | 91.4mm | 128.5mm | 188.9mm | 188.9mm | 72.6mm | 42.3mm | 44.7mm | 23.6mm | 891.1mm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9.4 | 8.7 | 11.8 | 11.3 | 15.0 | 16.9 | 17.0 | 15.5 | 9.0 | 8.7 | 12.3 | 11.9 | - |
평균 상대 습도 (%) | 76.8 | 72.6 | 69.5 | 66.1 | 68.2 | 78.1 | 84.1 | 84.5 | 77.1 | 69.9 | 75.8 | 78.1 | 75.1 |
최고 기온 기록 (℃) | 5.3°C | 12°C | 14.7°C | 24.5°C | 32.9°C | 29.8°C | 32.3°C | 34.2°C | 29°C | 23.8°C | 18°C | 10.2°C | - |
최저 기온 기록 (℃) | -42°C | -42°C | -33.6°C | -23°C | -9°C | -3.7°C | 0°C | -3.8°C | -11.7°C | -25.5°C | -31.4°C | -37.7°C | - |
1930년대 말 혜산과 무산을 잇는 갑무경비도로가 개척되면서 삼지연 관광객이 많아졌다. 해방 당시 마천령산맥 남서쪽은 혜산군에, 북동쪽은 무산군에 속하였다.
3. 역사
1961년 량강도 보천군과 함경북도 연사군의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삼지연군을 신설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다. 1979년 보천군 일부 지역이 편입되었고, 1988년 소백산로동자구가 백두산밀영로동자구로 개칭되었으며, 1991년에는 리명수로동자구 일부가 5호물동로동자구로 분리되었다.
2019년 12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삼지연군에서 삼지연시로 승격되었다.[16] 삼지연읍은 광명성동, 베개봉동, 봇나무동, 이깔동으로 분리되었고, 여러 로동자구는 동으로 승격되었다.[21]
3. 1. 연표
3. 2. 뉴타운 개발
2010년대 후반부터 2020년대 초반에 걸쳐 삼지연시 교외에서 뉴타운 개발이 이루어졌다. 2022년, 김정은은 건설 부문 활동가들을 모아 개최한 강습회에 보낸 서한에서 뉴타운 개발을 "김정일 총비서의 탄생 80주년에 바치는 충성의 선물"이라고 극찬했다. 같은 해 2월 16일, 삼지연시에서 "김정일 탄생 80주년" 기념식이 개최되었다.[17]
4. 행정 구역
삼지연시는 10개의 동과 6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1]
동 | 리 |
---|---|
5. 교통
삼지연선은 혜산에서 삼지연시의 주된 시가지를 지나 삼지연 호수 인근으로 통하는 노선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의 협궤 삼지연선이 운행한다.
- 삼지연선
- * 포태역 - 리명수청년역 - 삼지연청년역 - 삼지연모카역
대통령 전용 열차역은 량강도 보천군 Ŭihwa-ri 인근의 매우 좁은 협곡에 위치해 있어 공중 공격이 어렵다. 이 역의 시설은 인근의 민간 혜산청년역보다 훨씬 더 정교하다.[7] 공식 명칭은 '''혜산 제1철도역'''이지만, 1985년에 처음 건설된 역이 왕덕에서 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일반적으로 '''왕덕역'''으로 알려져 있다.[7]
1985년에 건설된 첫 번째 역은 중국에서 쉽게 볼 수 있었기 때문에 1989년에 파괴되어 두 번째 부지로 이전되었다. 두 번째 역은 현재의 세 번째 부지에서 북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 그러나 김일성은 완공된 시설을 검사한 후 중국 산이 보이는 위치에 있다는 이유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세 번째 재건을 명령했고, 1992년 현재의 세 번째 부지가 완공된 후 두 번째 역은 삼지연정밀기계공장(제95병기공장)에 인수되었다.[7] 이 세 번째 역은 김일성 별장 단지로 바로 접근할 수 있는 백두산 관광도로에 직접 위치해 있다. 역 주변 지역은 20명의 민간인과 두 개의 군 부대가 보호한다. 매년 7월 또는 8월에 대통령 방문 기간 동안 전체 민간 인력이 교통 시스템과 지역 환경을 청소하는 데 동원된다.[7]
5. 1. 항공
삼지연공항은 주로 백두산 관광객 수송에 이용되며, 2005년에 대한민국이 지원한 피치 8천 톤으로 활주로와 진입로를 보수하였다.[22]조선인민군 공군과 국영 항공사인 고려항공이 운항하며, 삼지연과 평양, 원산, 청진 간의 정기 항공편 및 전세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5년, 이 공항은 현대그룹의 일부 지원을 받아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로 인해 폐쇄되었다.
5. 2. 철도
삼지연선은 혜산에서 삼지연시의 주된 시가지를 지나 삼지연 호수 인근으로 통하는 노선으로, 리명수역, 삼지연역, 못가역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의 협궤 삼지연선이 운행한다. 2008년부터 북부내륙선의 혜산에서 삼지연까지 78km의 표준궤 노선 신설이 진행 중이며, 2015년 6월 기준으로 노반 공사는 80%, 선로변 구조물 공사는 70%가 완료되었다.[5] 새로운 종착역은 삼지연시 중흥리에 건설될 예정이다.[6]- 삼지연선
- * 포태역 - 리명수청년역 - 삼지연청년역 - 삼지연모카역
5. 3. 대통령 전용 열차역
대통령 전용 열차역은 량강도 보천군 Ŭihwa-ri 인근의 매우 좁은 협곡에 위치해 있어 공중 공격이 어렵다. 이 역의 시설은 인근의 민간 혜산청년역보다 훨씬 더 정교하다.[7] 공식 명칭은 '''혜산 제1철도역'''이지만, 1985년에 처음 건설된 역이 왕덕에서 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일반적으로 '''왕덕역'''으로 알려져 있다.[7]첫 번째 역은 1985년에 건설되었지만, 중국에서 쉽게 볼 수 있었기 때문에 1989년에 파괴되어 현재의 세 번째 부지에서 북쪽으로 2km 떨어진 두 번째 부지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김일성은 완공된 시설을 검사한 후 중국 산이 보이는 위치에 있다는 이유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세 번째 재건을 명령했고, 1992년 현재의 세 번째 부지가 완공된 후 두 번째 역은 삼지연정밀기계공장(제95병기공장)에 인수되었다.[7] 이 세 번째 역은 김일성 별장 단지로 바로 접근할 수 있는 백두산 관광도로에 직접 위치해 있다. 역 주변 지역은 20명의 민간인과 두 개의 군 부대가 보호한다. 매년 7월 또는 8월에 대통령 방문 기간 동안 전체 민간 인력이 교통 시스템과 지역 환경을 청소하는 데 동원된다.[7]
6. 관광
백두산 동남쪽 기슭, 압록강과 두만강 발원지대에 위치하며, 북쪽과 서쪽은 중국과 접하고 있다. 동쪽에는 대홍단군, 남쪽에는 보천군이 있다.
북한의 공식 역사에 따르면, 이곳은 김일성이 이끄는 조선인민혁명군이 항일 투쟁을 벌인 "혁명의 성지"로 여겨지며, 김정일이 태어났다고 하는 "백두산 밀영" 등의 학습 시설이 조성되어 혁명 사상 학습의 장이 되고 있다.
삼지연, 리명수 폭포 등의 자연 경관이 뛰어나 휴양소와 스키장 등이 건설되어 있다. 삼지연 비행장이 있으며, 백두산 관광의 거점이 되고 있다.
6. 1. 주요 관광지
- '''삼지연''': 삼지연읍에서 4km 떨어진 지점에 있는 호수이다. 호수의 유출입구는 없지만 항상 맑은 물을 담고 있으며, 진달래가 만개하는 봄의 경관은 특히 유명하다.
- '''삼지연 대기념비''': 조선인민혁명군의 조국 진군을 기념하여 건립된 기념비이다. 김일성 동상을 중심으로 폭 250m로 축조되었다. 한쪽에는 봉화탑(50m)과 혁명사적비, 다른 한쪽에는 "진격의 나팔수"(12m), 정면에 "조국편", "흠모편", "진군편", "숙영편", "조국의 물" 등 80여 개의 조각상으로 이루어진 군상이 늘어서 있다. '전투의 길에서', '조국', '그리움', '앞으로'라는 4개의 조각상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8]
- '''리명수 폭포''': 현무암 절벽 중턱에서 솟아나는 물이 암벽을 타고 비스듬히 흐르는 폭포이다. 평균 높이 6m, 평균 폭 4m이며, 물구멍은 9곳이다. 겨울에도 얼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7. 스포츠
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은 원래 1995년에 삼지연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자연 훼손과 환경 보호를 이유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개최권을 반납하였다. 결국 해당 대회는 중국 하얼빈에서 개최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대회에 불참하였다.
삼지연시에는 북한 내 3개의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 중 하나가 있다.[11]
참조
[1]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2009
[2]
뉴스
North Korea's Kim celebrates completion of 'modern mountainous city'
https://www.reuters.[...]
Reuters
2019-12-02
[3]
웹사이트
Newstream
https://kcnawatch.or[...]
[4]
웹사이트
North Korea to partially reopen for tourism after five years
https://bbc.com/news[...]
[5]
웹사이트
Samjiyon Railway Line
http://www.nkeconwat[...]
2018-06-25
[6]
웹사이트
혜산~삼지연 철길, 정치적 의도 내포
http://www.rfa.org/k[...]
2018-06-25
[7]
웹사이트
Kim Jong Il's Personal Train Station in Hyesan
http://www.dailynk.c[...]
2007-09-19
[8]
서적
Hirviöidenkin on kuoltava: Ryhmämatka Pohjois-Koreaan
Tammi
[9]
웹사이트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3
[10]
웹사이트
Global Surface Summary of the Day - GSOD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1-26
[11]
웹사이트
Rink card of: Icestadion Samji Samjion (Samjiyŏn)
http://www.speedskat[...]
2018-06-25
[12]
뉴스
北朝鮮、白頭山麓の三池淵郡を「三池淵市」に昇格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9-12-12
[13]
뉴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제171호 주체108(2019)년 12월 10일 량강도 삼지연군을 삼지연시로 함에 대하여(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最高人民会議常任委員会政令 第171号 主体108(2019)年12月10日 両江道三池淵郡を三池淵市とすることについて)
http://www.rodong.re[...]
労働新聞 (朝鮮労働党)
2019-12-11
[14]
웹사이트
Climate: Samjiyon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6-08-06
[15]
뉴스
양강도 삼지연군 역사
http://www.cybernk.n[...]
[16]
뉴스
北朝鮮、三池淵を「郡」から「市」に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ジャパン
2021-03-28
[17]
웹사이트
「オール電化のニュータウン」金正恩氏が発した大号令のその後
https://globe.asahi.[...]
朝日新聞GLOBE+
2023-12-28
[18]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2009
[19]
웹인용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
https://data.kma.go.[...]
대한민국 기상청
2022-01-31
[20]
웹인용
Global Surface Summary of the Day - GSOD
https://www.ncei.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01-26
[21]
뉴스
북 최고인민회의 정령, 삼지연군을 삼지연시로 승격 (전문)
http://www.tongilnew[...]
2019-12-12
[22]
뉴스
백두산도 빗장 연다①
http://www.yonhapmid[...]
연합뉴스 마이더스
2015-05-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