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 순교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 순교자는 특정 종교의 신앙을 지키기 위해 박해를 받거나 살해된 순교자들을 지칭한다. 이들은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오스만 제국 시대, 공산주의 정권, 나치즘 치하, 그리고 기타 지역과 시대에 걸쳐 발생했다. 동방 정교회는 이들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기념일을 제정했으며, 러시아 정교회는 20세기 공산주의 정권 하의 순교자들을 '러시아의 성스러운 새로운 순교자들과 고해자들'로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성인 - 가경자
    가경자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신앙의 모범이 되는 사람에게 주는 칭호로 시복 및 시성 절차의 첫 단계이며, 교황청의 시복 조사가 접수되거나 교황의 특별 칙령을 통해 부여될 수 있고, 동방 정교회와 성공회에서도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유형별 성인 - 그리스도를 위한 어리석음
    그리스도를 위한 어리석음은 동방 정교회 금욕주의의 한 형태로, 의도적으로 어리석은 행동을 통해 세속적 가치에 도전하고 세상의 칭찬을 피하기 위해 정신 이상을 가장하는 행위이다.
새 순교자
개요
정의기독교 신앙을 지키다 순교한 비교적 최근의 순교자 및 증거자
관련 용어신앙 증거자
언어별 명칭그리스어: Νεομάρτυρες (네오마르티레스)
러시아어: Новомученики (노보무체니키)
영어: New Martyr (뉴 마터)
역사적 맥락
배경이슬람 정복 이후의 순교자 발생 증가
특징새로운 순교자들은 종종 이슬람 통치에 저항하거나 기독교 신앙을 공개적으로 고백하다가 순교함.
이들의 이야기는 정교회 신앙을 강화하고 민족적 정체성을 고취하는 데 기여함.
지역별 특징
그리스오스만 제국 시대에 많은 새로운 순교자들이 등장함.
이들은 종종 이슬람으로 개종하라는 압력에 저항하다가 순교함.
러시아러시아 혁명 이후 공산주의 정권하에서 많은 새로운 순교자들이 발생함.
이들은 종교적 신념을 지키기 위해 고문, 투옥, 처형을 감수함.
중요성
신앙적 의미새로운 순교자들은 기독교 신앙의 불변성과 승리를 보여주는 상징으로 여겨짐.
문화적 영향이들의 이야기는 동방 정교회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예술, 음악, 문학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됨.
추가 정보
참고 문헌Christian Sahner, "Old Martyrs, New Martyrs and the Coming of Islam: Writing Hagiography after the Conquests" (2002)
"Threskeutika", Textbook of Religion, for the 3rd year of Greek high school ("Gymnasion"), chapter 30 (b), circa 2007. In Greek language.

2. 초기 새 순교자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새 순교자"로 공식적으로 시성된 순교자와 성인이 나타났다. 그러나 1453년 이전에도 중동, 아나톨리아 등지에서 이슬람교 지배자로부터 탄압을 받은 성인들이 많이 존재했다. 또한 발칸 반도 제국에서도 오스만 제국의 탄압 속에서 순교하여 성인으로 기억되는 사람들이 다수 있었다.

2. 1. 우마이야 왕조 시대


  • 다마스쿠스의 에우페미아 (700년 이전)[1]
  • 예루살렘의 60 순교자들 (725년)[1]

2. 2. 아바스 왕조 시대


  • 헬리오폴리스의 엘리아스 (779)[1]
  • 로마누스 (780)[2]
  • 새로운 테오필루스 (780년대)[3]
  • 티플리스의 아보 (786)[4]
  • 바쿠스-다하크 (786/7)[5]
  • 조지-무자힘 (978)[6]

3. 오스만 제국 시대의 새 순교자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새 순교자"로 공식적으로 시성된 순교자 · 성인이 나타났다. 그러나 1453년 이전에도 중동 · 아나톨리아 등지에서 이슬람교 지배자로부터 탄압을 받은 성인들이 많이 존재했다. 또한 발칸 반도 제국에서도 오스만 제국의 탄압 속에서 순교하여 성인으로 기억되는 사람들이 다수 있다.[4] 동방 정교회에서는 오순절 후 셋째 주일을 "터키의 압제 아래 모든 새 순교자 기념일"이라고 부른다.

오스만 제국 시대의 새 순교자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아흐메드 서예가[5]
할키디케의 아킬리나
조지아의 안티모스
테살로니키의 아퀼리나
새 순교자 아타나시오스
뽀막의 보리스
알바니아의 크레스토스
스미르나의 크리소스토모스
콘스탄틴 브란코베아누
콘스탄틴 하가리트
아이톨리아의 코스마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키릴로스 6세 (민족 순교자)
데메트리오스 두카스
필라델피아의 데메트리오스
새 순교자 데메트리오스
새 순교자 에프라임
페치의 가브리엘 1세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가브리엘 2세 총대주교
이오아니나의 게오르기우스
새 성 게오르기우스
크라토보의 게오르기우스 (1515년 사망)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그레고리오스 5세
하산
[https://web.archive.org/web/20070927123955/http://www.stjohndc.org/Russian/saints/e_Kalphes.htm 칼파스 ("견습공")]
이오아니나의 요한, 일명 재단사 요한
수체아바의 요한
키프로스의 키프리아노스 대주교
수도자 마카리오스
미카엘 마브루디스
젊은 니케타스
파이시우스와 하바쿡
판텔레이몬 두사
[https://web.archive.org/web/20070927124001/http://www.stjohndc.org/Russian/saints/e_9804c.HTM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바울], 1683년 4월 6/19일
러시아의 바울
필로테이
테오차리스
브르샤츠의 테오도르
테오도르 가브라스
코모고비나의 테오도르
토마스 파스치디스
메글렌의 즐라타



4. 공산주의 정권 하의 새 순교자

20세기 공산주의 정권, 특히 소련과 동유럽에서 많은 기독교인들이 신앙 때문에 박해받고 순교했다.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1월 25일(그레고리력으로는 2월 7일)에 가장 가까운 일요일을 "러시아의 성스러운 새로운 순교자들과 고해자들의 주일"로 지킨다. 1월 25일은 1918년 키예프의 대주교인 성 블라디미르 (보고야블렌스키)가 순교한 날로, 그는 "러시아 공산주의 멍에의 원순교자"로 불린다.[10]

1931년 소련 정부에 의해 폭파되어 무너지는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의 모습은 thumb, 소련 정부에 의해 폭파되어 무너지는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과 같다.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 순교한 새 순교자들은 다음과 같다.


  • 알렉산드르 호토비츠키
  • 아나스타샤 헨드리코바
  • 안드로니크 니콜스키
  • 아르카디우스 오스탈스키 주교
  • 아르세니 자다노프스키 주교
  • 키네슈마의 바실(프레오브라셴스키) 주교
  • 드미트리 (도브로세르도프) 대주교
  • 엘리자베스 표도로브나 대공녀와 바르바라 수녀
  • 예브게니 보트킨 박사 (로마노프 성인 참조)
  • 헤르모게네스 (돌가뇨프) 주교
  • 페트로그라드의 대주교 벤자민
  • 이오안 코추로프
  • 이오안 보스토르고프 대사제
  • 요셉 대주교
  • 크로니드 류비모프 아르키만드라이트
  • 마카리 퀴트킨 대사제
  • 멘젤린스크의 마가레테
  • 가치나의 마리아
  • 세르푸호프의 막심 주교
  • 니콜라이 2세와 그의 직계 가족 및 하인들 (로마노프 성인 참조)
  • 니콜라스 자고로프스키 신부
  • 니키타 딜렉토르스키 주교
  • 솔로비키의 니코딤
  • 니콜라이 도브로나브로프 대주교
  • 크루티치의 대주교 표트르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대주교 세라핌 치차가고프
  • 총대주교 티혼
  • 블라디미르 베네셰비치
  • 블라디미르 (보고야블렌스키) 대주교
  • 플라톤 (쿨부쉬) 주교

4. 1. 소련 시대의 탄압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무신론을 숭상하는 소비에트 정권이 성립되자, 러시아 정교회는 탄압을 받았다. 다수의 성당이나 수도원이 폐쇄되고 재산이 몰수되었으며, 솔로베츠키 수도원은 강제 수용소로 전용되었다.[10]

교회는 공산주의 세력에 저항하거나 타협하거나 망명하는 등 다양한 대응을 보였지만, 결국 저항하던 이들은 살해되거나 망명했다. 성직자와 신자들은 스파이 혐의 등으로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일본 정교회 교토 주교였던 페름의 성 안드로니크는 생매장 후 총살당했다. 니콜라이 2세와 그 가족도 총살되었다.

1921년부터 1923년까지 주교 28명, 사제 2691명, 수도사 1962명, 수녀 3447명 등이 처형되었다.[10] 1918년부터 1930년까지는 약 4만 2천 명의 성직자가 살해되었고, 1930년대에도 3만에서 3만 5천 명의 사제가 총살 또는 투옥되었다.[11] 1937년1938년에는 52명의 주교 중 40명이 총살되었다.[12]

이러한 희생자들은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신 순교자로 시성되었으며, 2000년 8월에는 860명이 시성 대상이었다.

볼셰비키에 의해 살해된 니콜라이 2세와 그 가족은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추대되었지만, 그 칭호에 "치명자"를 붙일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한다.

러시아 정교 자치 교회는 1982년에 니콜라이 2세 가족을 치명자(Martyrs)로 시성한 반면, 러시아 정교회2000년 8월에 "수난을 견디는 자(스트라스체르페츠, Passion-Bearers)"로 시성했다. 러시아 정교회는 러시아 정교 자치 교회에 비해 성인 추대에 소극적이었고, 이러한 입장 차이가 칭호의 차이로 나타났다.

하지만 새로운 치명자의 이콘에는 니콜라이 2세 가족이 중심 하단에 그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5. 나치즘 하의 새 순교자

나치 독일 치하에서도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저항하다 희생된 이들이 있다.


  • 알렉산더 슈모렐: 백장미단의 일원으로, 독일 저항 단체에서 활동했다.[1]
  • 프라하의 고라즈드 주교[2]
  • 그리고르 페라제 대주교[3]
  • 마리아 스콥초바 수녀: 파리 출신으로, 라벤스브뤼크 수용소에서 생존했다.[4]

6. 기타 지역/시대의 새 순교자

오스만 제국 치하의 새로운 순교자들은 1437년부터 1860년까지 활동했으며, 이들에 대한 내용은 Nomikos Michael Vaporis의 ''Witnesses for Christ: Orthodox Christian Neomartyrs of the Ottoman Period 1437-1860''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슬람 통치하의 기독교 순교자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Christian C. Sahner의 ''Christian Martyrs under Islam Religious Violence and the Making of the Muslim World''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방 기독교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341-43쪽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세르비아

세르비아의 모든 새로운 순교자 축일은 6월 28일에 기념된다.

  • 조르제 보기치
  • 고라즈드 파블리크
  • 요아니키예 리포바츠
  • 성 라자르 공
  • 페타르 지몬지치
  • 플라톤 요바노비치
  • 라파일로 오브 시샤토바츠
  • 사바 트를라지치
  • 부카신 만드라파

6. 2. 의화단 운동 (중국)

正教殉道者|정교 순교자중국어 축일은 의화단 운동 중 살해된 이들을 기념한다.[1]

6.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성직 순교자 막시무스 산도비치는 1914년 9월 6일에 순교하였다.[6]

6. 4. 소련 붕괴 이후

소련 붕괴 이후 새 순교자로 언급되는 대표적인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다니엘 시소예프[7][8]: 이슬람교 무장세력에 의해 암살된 모스크바 사제이자 선교사
  • 예브게니 로디오노프[9]: 제1차 체첸 전쟁에 참전한 러시아 군인으로, 포로로 잡혀 고문을 당했으나 이슬람으로 개종을 거부하고 살해됨


러시아 정교회는 2016년 기준으로 이 두 명을 아직 성인으로 추대하지 않았지만, 이들은 대중에게 널리 존경받고 있다.

7. 한국의 순교자

한국의 개신교와 천주교 역사에도 새 순교자에 해당하는 인물들이 많다.

참조

[1] 간행물 Old Martyrs, New Martyrs and the Coming of Islam: Writing Hagiography after the Conquests https://www.academia[...]
[2] 문서 Encyclopedia "Papyrus-Larousse, c. 1965, article "Νεομάρτυς", in Greek language.
[3] 웹사이트 "Threskeutika", Textbook of Religion, for the 3rd year of Greek high school ("Gymnasion"), chapter 30 (b), circa 2007. In Greek language. http://ebooks.edu.gr[...] 2016-08-22
[4] 서적 Byzantinoslavica https://books.google[...] Academia, Slovanský ústav v Praze. Byzantologická komise
[5] 웹사이트 Saint Ahmed, ''Synaxaristes'' (Compedium) ''of Neomartyrs'', editions "Orthodoxos Kypsele" (Orthodox Bee-hive) http://www.impantokr[...]
[6] 웹사이트 HIEROMARTYR MAXIMUS SANDOVICH http://www.lemko.org[...] 2015-04-24
[7] 웹사이트 Hieromonk Job Gumerov. Can One Consider the Death of Father Daniel Sysoev to be a Martyrdom? / OrthoChristian.Com http://www.pravoslav[...] 2015-04-24
[8] 웹사이트 Byzantine, Texas: Podcasts on New Martyr Fr. Daniel Sysoev http://byztex.blogsp[...] 2015-04-24
[9] 웹사이트 MYSTAGOGY http://www.johnsanid[...] 2015-04-24
[10] 서적 迫害下のロシア正教会 無神論国家における正教の70年 教文館
[11] 서적 迫害下のロシア正教会 無神論国家における正教の70年
[12] 서적 迫害下のロシア正教会 無神論国家における正教の70年
[13] 간행물 Old Martyrs, New Martyrs and the Coming of Islam: Writing Hagiography after the Conquests https://www.academia[...]
[14] 문서 Encyclopedia "Papyrus-Larousse, c. 1965, article "Νεομάρτυς", in Greek language.
[15] 웹인용 "Threskeutika", Textbook of Religion, for the 3rd year of Greek high school ("Gymnasion"), chapter 30 (b), circa 2007. In Greek language. http://ebooks.edu.gr[...] 2016-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