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여성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태여성주의는 1970년대 여성 운동과 생태계 파괴를 연결하여 등장한 사상으로, 인간과 자연의 지배 관계, 여성 억압을 비판하며 가부장제, 이원론적 사고, 극단적 이성주의에 반대한다. 여성과 자연의 연관성을 강조하며, 문화적·사회적·유물론적·영성적 접근 방식을 포괄한다. 주요 개념으로는 이원론적 사고 비판, 여성과 자연의 연관성이 있으며, 칩코 운동, 녹색벨트 운동, 러브캐널 시위 등 국제적·한국적 실천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본질주의 비판, 신비주의적 해석, 여성의 실제 삶에 대한 관심 부족 등의 비판과 논쟁이 존재하며, 프랑수아즈 도본느, 캐롤린 머천트, 반다나 시바 등이 주요 인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태여성주의 - 채식 생태여성주의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여성에 대한 착취, 자연, 비인간 동물에 대한 착취가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하며 종차별주의를 핵심 개념으로 삼아 채식주의와 페미니즘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학문적, 실천적 운동이다. - 생태여성주의 - 돌봄 윤리
돌봄 윤리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공감, 책임, 배려를 중시하는 윤리적 관점으로, 여성적 관점에서 도덕성을 재해석하며 추상적 원칙보다 구체적 관계 속 책임을 강조하고, 정치, 정신 건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여성주의 - 여성의당
여성의당은 2020년 3월 8일 국제 여성의 날에 창당된 대한민국 정당으로, 여성의 안전과 권익 보장, 성평등한 사회 구현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을 유지하고 있으나, 트랜스젠더 배제적 입장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 - 여성주의 - 올랭프 드 구주
프랑스 혁명 시대 작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인 올랭프 드 구주는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 선언'을 통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촉구하고 노예제 폐지 등을 주장했으나, 반혁명 혐의로 처형당했다. - 여성주의 운동과 이념 - 제2세대 여성주의
제2세대 여성주의는 1960년대부터 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평등과 차별에 대한 문제 의식에서 시작된 여성 해방 운동의 한 흐름으로, 성차별 철폐, 동일 노동 동일 임금, 낙태의 자유 등 다양한 이슈를 제기하며 사회 변혁을 주도했지만, 백인 중산층 여성의 시각에 치중되어 이후 제3세대 여성주의로 이행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도 있다. - 여성주의 운동과 이념 - 급진적 여성주의
급진적 여성주의는 가부장제를 여성 억압의 근본으로 보고 사회 규범에 도전하며 여성 해방을 추구하는 사상이다.
생태여성주의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페미니즘 및 생태학 관점 |
관련 분야 | 환경 운동, 페미니스트 철학 |
주요 관심사 | 여성과 자연의 연관성 가부장제와 환경 파괴의 관계 생태 위기 해결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
이론적 배경 | |
핵심 개념 | 가부장제 인간 중심주의 자연 착취 지속 가능성 |
주요 이론가 | 프랑수아즈 도본 반다나 시바 마리아 미스 캐롤린 머천트 캐런 워런 |
특징 | |
관점 | 여성과 자연의 억압은 공통된 근원에서 비롯된다고 주장 가부장적 사회 구조가 자연 파괴를 초래한다고 비판 여성의 경험과 지식을 환경 운동에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 |
접근 방식 | 탈성장 지역주의 공동체주의 사회적 정의 |
비판 | 여성과 자연의 본질적인 연관성을 강조하는 것이 여성의 역할을 고정관념화할 수 있다는 비판 모든 여성이 자연과 동일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주장은 인종, 계급, 문화적 차이를 무시한다는 비판 |
관련 운동 | |
주요 활동 | 환경 운동 페미니즘 운동 반핵 운동 대안 경제 운동 식량 주권 운동 |
주요 문서 | |
저서 | 프랑수아즈 도본의 "Le Féminisme ou la Mort" 캐롤린 머천트의 "죽음의 자연" 반다나 시바의 "흙의 포옹" 캐런 워런의 "생태여성주의: 이론과 실천" |
논문 | 트리쉬 글레이즈브룩의 "캐런 워런의 생태여성주의" (Ethics & the Environment, 2002) |
영향 | |
사회적 영향 | 환경 운동의 성인지적 관점 강조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제시 환경 정의 운동에 기여 여성의 권익 신장에 기여 녹색 정치에 대한 영향 |
2. 역사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1990년대에 여성 운동의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생태여성주의는 기존의 여성 운동과 환경 운동의 방향을 비판하며, 여성 운동이 가부장적 사고방식을 완전히 없애고 양성평등 인식을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환경 운동은 단순한 오염 물질 처리나 고가의 친환경 설비 건설을 넘어, 생태 자체를 보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2. 1. 생태여성주의의 등장
1970년대 전국적으로 여성 운동이 일어나는 시기에, 프랑수아즈 도본을 포함한 일부 여성운동가들은 사회가 생태계를 무분별하게 착취하는 현상과 여성이 남성에 의해 억압받는 현상을 연결 지어 설명하며 생태여성주의를 처음 주장했다. 이들은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고, 여성이 남성에 의해 지배받는다는 것을 동일시하며, 생태주의와 여성주의의 연관성을 강조했다. 즉, 여성은 사회에서 남성들에 의해 무시되고 억압되는 현상은 인간이 자연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으려 하고 자연 파괴를 일삼는 사회현상과 같다고 주장했다.[69]생태여성주의는 기본적으로 양성에 대한 차별의식이 이원론적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모든 관점에서 이원론적 관점을 배제한다. 또한, 단순한 이성이 아닌 극단적 이성주의, 남성주의, 가부장주의에도 반대한다.[70]
생태여성주의는 인간과 자연을 통합시켜 똑같은 권리를 누릴 존재로 인식하였다. 또한, 기존의 여성 운동과 환경 운동에 대한 새로운 수단을 제시하였다. 여성 운동은 사회적으로 남성의 권위와 거의 '똑같아질 정도'의 권위 향상만으로는 만족해서는 안 되며, 가부장적 사고방식을 완전히 없애고, 남성과 여성 간의 양성평등 인식을 후대에 널리 전할 수 있도록 직접적인 행동과 파격적인 권위 향상을 조건으로 내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71] 환경 운동 또한, 고액의 보수를 들여 만든 친환경 사업일지라도 그것은 환경 운동이 아니며, 생태는 애초에 물질적인 것으로 살 수 없기 때문에 환경 자체를 보존한다는 마음가짐으로 환경 운동에 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설사 그것이 미미하게 지구 생태에 영향을 주는 친환경적인 정책 및 설계일지라도, 생태 자체를 있는 그대로 보존해야 하므로 이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72]
2. 2. 발전 과정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여성 건강, 환경 정의, 평화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태여성주의적 관점을 반영한 풀뿌리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전국 독성 물질 캠페인, 이스트 로스앤젤레스 어머니들(Mothers of East Los Angeles)(MELA), 깨끗한 환경을 위한 원주민 미국인(NACE) 등이 그 예시이다.[20] 이들 단체의 활동은 녹색당 정치, 평화 운동, 직접 행동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21] 이 시기 독일 녹색당(Alliance 90/The Greens)의 창립자인 페트라 켈리(Petra Kelly)가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1990년대 이후 생태여성주의는 여성 운동의 중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3. 주요 개념 및 특징
생태여성주의는 여성과 자연이 모두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체제에서 억압받는 존재라는 점에 주목한다. 일부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이 '돌봄 제공자'라는 전통적인 사회적 역할에서 비롯된 기술과 경험이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25]
인도의 생태여성주의자이자 활동가인 반다나 시바는 여성 농민들이 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환경과 특별한 유대감을 갖고 있으며, 이것이 과소평가되어 왔다고 설명한다. 그녀는 자급자족 경제에서 "자연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부를 창출하는" 여성들은 자연 과정에 대한 생태적 지식의 전문가라고 말한다. 그러나 시바는 환원주의적 자본주의 패러다임이 사회적 이익과 생계 유지를 위한 필요에 초점을 맞춘 이러한 대안적인 인식 방식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26]
다른 생태여성주의 학자들은 여성이 자연에 민감한 것은 "여성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동일한 남성 중심적 세력에 의한 억압을 경험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이들은 "지구 어머니" 또는 "자연 어머니"와 같이 자연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성별 언어와 여성을 경멸적으로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동물화된 언어가 여성과 자연에 대한 억압을 강화할 수 있다고 비판한다.[24]
생태여성주의는 크게 문화적 생태여성주의, 사회적 생태여성주의, 유물론적 생태여성주의, 영성적 생태여성주의로 나눌 수 있다.
- 문화적 생태여성주의: 생태낭만주의의 한 갈래로, 감성적으로 자연과 여성의 합일을 주장하며, 여성이 환경 문제를 심적으로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 사회적 생태여성주의: 인간과 자연, 남성과 여성의 지배 관계를 동일시하여 여성 해방과 자연 해방을 동시에 추구한다. 시바와 마리아 미스(Maria Mies)는 현대 과학이 보편적이고 가치 중립적인 체계로 받아들여지는 것을 비판하며, 과학의 주류가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서구 가부장적 도구주의의 투영이라고 보았다.[28]
- 유물론적 생태여성주의: 마리아 미스(Maria Mies)와 반다나 시바(Vandana Shiva)는 현대 과학이 서구 가부장적 도구주의의 투영이라고 비판하며 유물론적 생태여성주의를 발전시켰다.[28] 이들은 노동, 권력, 재산과 같은 경제 제도를 여성과 자연에 대한 통제의 주요 메커니즘으로 분석한다.
- 영성적 생태여성주의: Starhawk영어 등은 지구 중심의 영성을 강조하며, 돌봄, 연민, 비폭력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다. 이들은 가이아 숭배와 같은 고대 전통을 언급하며, 자연과의 연결성을 회복하고자 한다.[52]
3. 1. 이원론적 사고 비판
생태여성주의는 남성/여성, 인간/자연, 정신/육체, 문화/자연 등 서구 전통의 이원론적 사고방식이 여성과 자연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기제로 작용한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는 남성 중심적 구조의 지배를 정당화하며, 사회적 가치 판단에 영향을 미쳐 억압을 강화한다.[70] 출산의 의료화와 식물 번식의 산업화는 과학 지식과 그 활용이 주로 남성에게 제한된 사례이다.생태여성주의는 이원론적 관점을 배제하고 극단적 이성주의, 남성주의, 가부장주의에 반대한다.[70] 반다나 시바(Vandana Shiva)와 마리아 미스(Maria Mies)는 현대 과학이 보편적이고 가치 중립적인 체계라는 주장에 비판적이며, 현대 과학이 서구 가부장적 도구주의의 투영이라고 본다.[28]
3. 2. 여성과 자연의 연관성
생태여성주의는 여성과 자연이 모두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체제에서 억압받는 존재라는 점에 주목한다. 일부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이 '돌봄 제공자'라는 전통적인 사회적 역할에서 비롯된 기술과 경험이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25]인도의 생태여성주의자이자 활동가인 반다나 시바는 여성 농민들이 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환경과 특별한 유대감을 갖고 있으며, 이것이 과소평가되어 왔다고 설명한다. 그녀는 자급자족 경제에서 "자연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부를 창출하는" 여성들은 자연 과정에 대한 생태적 지식의 전문가라고 말한다. 그러나 시바는 "사회적 이익과 생계 유지를 위한 필요에 초점을 맞춘 이러한 대안적인 인식 방식은 자연의 상호 연결성이나 여성의 삶, 일, 그리고 지식과 부 창출의 관계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환원주의적 자본주의 패러다임에 의해 인정받지 못한다"라고 지적한다.[26]
다른 생태여성주의 학자들은 여성이 자연에 민감한 것은 "여성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동일한 남성 중심적 세력에 의한 억압을 경험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이들은 "지구 어머니" 또는 "자연 어머니"와 같이 자연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성별 언어와 여성을 경멸적으로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동물화된 언어가 여성과 자연에 대한 억압을 강화할 수 있다고 비판한다.[24]
3. 3.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와 사회적 생태여성주의
문화적 생태여성주의는 생태낭만주의의 한 갈래로, 감성적으로 자연과 여성의 합일을 주장하며, 여성이 환경 문제를 심적으로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반면, 사회적 생태여성주의는 인간과 자연, 남성과 여성의 지배 관계를 동일시하여 여성 해방과 자연 해방을 동시에 추구한다. 시바와 마리아 미스(Maria Mies)는 공저 『에코페미니즘』(1993)에서 현대 과학이 보편적이고 가치 중립적인 체계로 받아들여지는 것을 비판하며, 과학의 주류가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서구 가부장적 도구주의의 투영이라고 보았다.[28]캐롤린 머천트(Carolyn Merchant)는 "사회 에코페미니즘은 삶의 모든 측면을 시장 사회로 전환시키는 경제적, 사회적 계층 구조를 뒤엎음으로써 여성의 해방을 옹호하며, 오늘날에는 자궁까지 침범하고 있다"고 주장한다.[3] 이러한 관점에서 에코페미니즘은 전통적으로 여성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생물학적 및 사회적 재생산보다 상품의 이윤 생산을 우선시하는 사회적 계층을 제거하고자 한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비평가들이 생태여성주의의 정치적 급진성에 대해 '본질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생태여성주의자 노엘 스터전(Noel Sturgeon)은 인터뷰를 통해 반본질주의자들이 다양하고 광범위한 여성, 이론가, 활동가 그룹을 동원하는 정치 전략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32]
3. 4. 유물론적 생태여성주의
마리아 미스(Maria Mies)와 반다나 시바(Vandana Shiva)는 현대 과학이 서구 가부장적 도구주의의 투영이라고 비판하며 유물론적 생태여성주의를 발전시켰다.[28] 이들은 노동, 권력, 재산과 같은 경제 제도를 여성과 자연에 대한 통제의 주요 메커니즘으로 분석하며, 생산이 가치 있게 여겨지는 반면, 살아있는 관계의 재생산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대조된다. 이러한 생태여성주의는 "사회 페미니즘", "사회주의 에코페미니즘" 또는 "마르크스주의 에코페미니즘"으로 불린다. 캐롤린 머천트(Carolyn Merchant)는 "사회 에코페미니즘은 삶의 모든 측면을 시장 사회로 전환시키는 경제적, 사회적 계층 구조를 뒤엎음으로써 여성의 해방을 옹호하며, 오늘날에는 자궁까지 침범하고 있다"고 설명한다.[3] 즉, 전통적으로 여성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생물학적 및 사회적 재생산보다 상품의 이윤 생산을 우선시하는 사회적 계층을 제거하려는 것이다.3. 5. 영성적 생태여성주의
Starhawk영어 등은 지구 중심의 영성을 강조하며, 돌봄, 연민, 비폭력의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영성적 생태여성주의를 주장한다. 이들은 가이아 숭배와 같은 고대 전통을 언급하며, 자연과의 연결성을 회복하고자 한다.[52]4. 실천 운동
케냐의 왕가리 마타이가 주도한 그린 벨트 운동, 인도 여성들이 나무에 매달려 산림 파괴에 저항한 칩코 운동이 대표적이다. 일본에서는 기타큐슈시의 “푸른 하늘을 원하는 운동”[67], 시가현의 “비누 운동” 등이 있었다.
4. 1. 국제적 운동
인도 우타라칸드에서 1973년 여성들이 숲을 산림 벌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칩코 운동(Chipko movement)에 참여했다. 이들은 비폭력 저항 전술을 사용하여 나무를 점거하여 벌목꾼들이 나무를 베지 못하도록 했다.[19] 반다나 시바(Vandana Shiva)는 이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케냐에서는 1977년 환경 및 정치 운동가인 왕가리 마타이(Wangari Maathai) 교수가 녹색벨트 운동(Green Belt Movement)을 시작했다. 이는 여성이 주도하는 농촌 조림 프로그램으로, 마타이는 해당 지역의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 프로그램은 마을 주변에 최소 1,000그루의 나무로 이루어진 '녹색 벨트'를 조성했고, 참가자들에게 지역 사회를 책임질 수 있는 능력을 부여했다.[9]
1978년 뉴욕에서 어머니이자 환경 운동가인 로이스 기브스(Lois Gibbs)는 자신의 동네 전체인 러브캐널(Love Canal)이 독성 쓰레기 매립지 위에 지어졌다는 사실을 발견한 후 지역 사회의 시위를 이끌었다. 이 운동으로 연방 정부는 약 800가구를 이주 및 이전시켰다.[10]
1980년과 1981년, 인에스트라 킹(Ynestra King)과 같은 여성 생태여성주의자들은 펜타곤에서 평화 시위를 조직했다. 여성들은 손을 맞잡고 사회적, 경제적, 생식권을 포함한 평등권과 정부의 군사 행동 및 지역 사회(사람과 환경)의 착취 종식을 요구했다. 이 운동은 여성 펜타곤 행동으로 알려져 있다.[21]
1985년, 캣시 쿡(Katsi Cook)은 악웨사스네(Akwesasne) 모유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연구는 모호크 보호구역 근처의 높은 수준의 오염 물질이 아기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11]
4. 2. 한국의 운동
1980년대 이후 여성단체들을 중심으로 공해 반대 운동, 환경 운동 등 다양한 환경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생태여성주의 담론이 확산되었다.[67] 특히, 여성환경연대 등은 생태여성주의적 관점에서 환경 문제와 여성 문제를 연계하여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5. 비판 및 논쟁
생태여성주의는 여성과 자연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관점 때문에 남성 중심적 지배 규범을 강화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고, 여성의 실제 삶의 조건보다 신비주의적 해석에 치중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5. 1. 본질주의 논쟁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생태여성주의가 여성과 자연의 연관성을 강조함으로써 남성 중심적 지배 규범을 강화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탈구조주의 페미니스트와 일부 제3세대 페미니스트들은 생태여성주의가 모든 여성을 하나의 범주로 묶어 페미니즘이 벗어나고자 하는 사회 규범을 강화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생태여성주의자들은 다양한 여성, 이론가, 활동가 그룹을 동원하는 정치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생태여성주의가 다양한 의제와 관련되어 있음을 설명했다.[28]5. 2. 기타 비판
사회생태학자 재닛 비엘(Janet Biehl)은 생태여성주의가 여성과 자연에 대한 신비주의적 해석에 치중하고 여성의 실제 삶의 조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카티아 파리아(Catia Faria)는 야생 동물의 고통이 가부장적 문화뿐만 아니라 자연 과정 자체에서도 비롯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자연 보전이 최선의 해결책이 아닐 수 있다고 주장했다.[28]6. 주요 인물
문예비평의 한 분야인 에코크리티시즘에는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을 도입한 에코페미니즘 비평이 있다. 대표적인 에코페미니즘 비평가로는 그레타 가드(Greta Gaard)와 패트릭 머피(Patrick Murphy)가 있다.
6. 1. 국제
프랑수아즈 도본(Françoise d'Eaubonne)은 사회가 생태계를 무분별하게 착취하듯이 여성을 억압한다고 주장하며 생태여성주의를 처음 제시했다.[69] 캐롤린 머천트(Carolyn Merchant)는 저서 《자연의 죽음: 여성, 생태학 및 과학 혁명》을 통해, 수잔 그리핀(Susan Griffin)은 저서 《여성과 자연》을 통해 남성에 의한 여성 지배와 문화에 의한 자연 지배 사이의 연관성을 강화했다.[20] 반다나 시바(Vandana Shiva)는 여성 농민들이 자연과의 특별한 유대감을 갖고 있으며, 자연 과정에 대한 생태적 지식 전문가라고 설명했다.[26] 마리아 미스(Maria Mies)는 가부장제, 빈곤, 환경의 교차점을 연구했다.[34] 메리 멜러(Mary Mellor)는 유물론적 분석에 기반한 저서 《경계를 넘어서》와 《페미니즘과 생태학》을 통해 생태여성주의 사상을 제시했다. 카렌 워렌(Karen Warren)은 알도 레오폴드의 "토지 윤리"를 생태여성주의 철학의 기초로 언급했다.[19] 발 플럼우드(Val Plumwood)는 저서 《페미니즘과 자연의 지배》에서 인류와 환경의 관계를 설명했다.[45]엘렌 스왈로우 리차즈(Ellen Swallow Richards)와 레이철 카슨(Rachel Carson)은 여성 환경 윤리학의 선구자로, 레이철 카슨의 저서 《침묵의 봄(Silent Spring)》은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6][7] 스타호크(Starhawk)는 영성과 에코페미니즘에 대한 작업을 통해 사회 정의를 옹호했다.[52] 그레타 가드(Greta Gaard)는 퀴어 이론, 채식주의, 동물 해방의 개념을 연결하고 생태 비평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43] 패트릭 머피(Patrick Murphy)는 에코페미니즘 비평가로서 활동했다.
왕가리 마타이(Wangari Maathai)는 케냐에서 녹색벨트 운동(Green Belt Movement)을 시작하여 여성 주도의 농촌 조림 프로그램을 통해 사막화를 방지하고 시민들에게 권한을 부여했다.[9]
6. 2. 한국
아오키 야요히(青木やよひ), 와타누키 레이코(綿貫礼子), 하기와라 나츠코(萩原なつ子)는 일본의 생태여성주의 관련 인물들이다. 한국의 생태여성주의 운동과 학계에 기여한 인물들에 대한 정보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며, 여성환경연대 등 관련 단체의 활동가들과 학자들을 중심으로 자료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참조
[1]
서적
Beyond mothering earth: ecological citizenship and the politics of car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
학술지
Karen Warren's Ecofeminism
2002-09-00
[3]
서적
Radical Ecology
Routledge
[4]
서적
Ecofeminism and the Sacred
Continuum
[5]
학술지
Karen Warren's Ecofeminism
2002-09-00
[6]
Submitted manuscript
Building Receptivity: Leopold's Land Ethic and Critical Feminist Interpretation
https://philpapers.o[...]
2011-12-00
[7]
학술지
Rachel Carson Died of Breast Cancer: The Coming of Age of Feminist Environmentalism
2003-03-00
[8]
웹사이트
The Life and Legacy of Sunderlal Bahuguna and the Chipko Movement in India
https://www.nhpr.org[...]
2022-01-10
[9]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www.greenbelt[...]
2016-10-08
[10]
웹사이트
Love Canal
http://chej.org/abou[...]
2016-10-08
[11]
웹사이트
Mother's Milk Project
http://www.personal.[...]
2016-10-09
[12]
뉴스
Neighborhood Report: Harlem; Sowing a Future With Green in It
https://www.nytimes.[...]
2016-10-09
[13]
서적
Wild Politics: Feminism, Globalisation, Bio/diversity
Spinifex Press
[14]
학술지
Vegetarian ecofeminism: A review essay
[15]
웹사이트
Do Feminists Need to Liberate Animals, Too?
https://caroljadams.[...]
1995-00-00
[16]
서적
Reweaving the World: The Emergence of Feminism
Sierra Club Books
1990-00-00
[17]
학술지
Ecofeminism: Toward Global Justice and Planetary Health
1993-00-00
[18]
서적
Feminism And Philosophy: Essential Readings In Theory, Re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Routledge
2018-00-00
[19]
서적
Ecofeminist Philosophy: A Western Perspective on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
서적
Radical Ecology
Routledge
[21]
학술지
Ecofeminist Theory and Grassroots Politics
[22]
웹사이트
Ecofeminism: Historic and International Evolution
http://www.clas.ufl.[...]
2012-03-17
[23]
학술지
Feminism, Capitalism, and Ecology
2018-03-00
[24]
웹사이트
Feminist Environmental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5-00-00
[25]
학술지
Ecofeminism, Hegemonic Masculinity, And Environmental Movement Participation In British Columbia, Canada, 1998-2007: "Women Always Clean Up The Mess"
[26]
서적
Staying alive: women, ecology and development
Zed Books
[27]
서적
Development as a New Project of Western Patriarchy
Sierra Club Books
[28]
서적
Ecofeminism
Fernwood Publications
[29]
서적
Power, Authority, and Mystery: Ecofeminism and Earth-based Spirituality
Sierra Club Books
[30]
서적
The Gaia Tradition & The Partnership Future: An Ecofeminist Manifesto
Sierra Club Books
[31]
서적
Radical Ecology
Routledge
[32]
간행물
Social Movements And Feminism
[33]
학술지
Toward Ecofeminist Communication Studies
[34]
서적
Ecofeminism and Globalization
Rowman & Littlefield
[35]
서적
Rethinking eco-feminist politics
South End Press
[36]
서적
Feminist Political Ecology: Global Issues & Local Experiences
Routledge
[37]
학술지
Essentialism and Ecofeminism
1991
[38]
서적
Ecofeminism as Politics: nature, Marx, and the postmodern
Zed Books
2017
[39]
학술지
Deafness and Disability—Forgotten Components of Environmental Justice: Illustrated by the Case of Local Agenda 21 in South Wales
http://www.tandfonli[...]
2007-06-00
[40]
학술지
'The white woman's burden' – the racialized, gendered politics of volunteer tourism
https://www.tandfonl[...]
2017-08-08
[41]
뉴스
"La lucha por la igualdad y la justicia es necesariamente feminista y antiespecista"
https://www.diagonal[...]
2021-02-13
[42]
서적
Radical ecology: the search for a livable world
Routledge
1992
[43]
웹사이트
Greta Gaard
https://www.uwrf.edu[...]
2019-10-08
[44]
웹아카이브
The World as the Body of God Ecofeminist Theological Discourse with Special Reference to Tribal Women in India
http://www.rethinkin[...]
2012-03-24
[45]
서적
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
Routledge
[46]
서적
Global Issues in Contemporary Hispanic Women's Writing
Routledge
2019-02-20
[47]
웹사이트
Finding Aid for Rosemary Radford Ruether Papers, 1954-2002
http://library.colum[...]
2013-03-15
[48]
서적
The greening of theology: the ecological models of Rosemary Radford Ruether, Joseph Sittler, and Juergen Moltmann
https://www.worldcat[...]
Scholars Press
1995
[49]
웹사이트
Who's Who of Women and the Environment
http://www.unep.org/[...]
2013-03-15
[50]
학술지
An ecofeminist position in critical practice: Challenging corporate truth in the Anthropocene
[51]
서적
Green Parties
[52]
위키
Starhawk
[53]
서적
Guia ecofeminista: Mulheres, direito, ecologia
https://www.amazon.c[...]
[54]
웹사이트
Ecofeminist Talks – Medium
https://medium.com/e[...]
2023-01-00
[55]
웹사이트
Meet Google Drive – One place for all your files
https://sites.google[...]
2023-01-00
[56]
웹사이트
Instagram
https://www.instagra[...]
2023-01-00
[57]
서적
Ecofeminism and rhetoric: critical perspectives on sex, technology, and discourse
Berghahn Books
2011-01-01
[58]
서적
Feminist ecocriticism: environment, women, and literature
Lexington Books
2012-01-01
[59]
서적
Dystopias and Utopias on Earth and Beyond: Feminist Ecocriticism of Science Fiction
https://www.routledg[...]
Routledge
[60]
서적
Ecofeminist Science Fic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Gender, Ecology, and Literature
https://www.routledg[...]
Routledge
[61]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Ecofeminism and Literature
https://www.routledg[...]
Routledge
[62]
서적
Indian Feminist Ecocriticism
https://rowman.com/I[...]
Lexington Books
[63]
서적
Ecofeminism in Dialogue
Lexington Books
[64]
서적
Literature and Ecofeminism: Intersectional and International Voices
Routledge
[65]
서적
Women and Nature?: Beyond Dualism in Gender, Body, and Environment
Routledge
[66]
학술지
Françoise d'Eaubonne, « Le Féminisme ou la Mort », éd. P. Horay
https://www.persee.f[...]
1974
[67]
학술지
北九州の「青空がほしい」公害反対運動における主婦の活動
https://doi.org/10.1[...]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2018-03-00
[68]
서적
《Beyond mothering earth: ecological citizenship and the politics of care》
UBC Press
[69]
서적
《Staying alive: women, ecology and development》
Zed Books
[70]
논문
《Ecofeminism: Historic and International Evolution.》
www.clas.ufl.edu/use[...]
2012-03-17
[71]
서적
Ecofeminism
Fernwood Publications
[72]
서적
Rethinking eco-feminist politics
South End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