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채식 생태여성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모든 형태의 억압이 연결되어 있으며 근절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문적, 실천적 운동이다. 생태여성주의의 하위 분야로, 여성에 대한 착취와 자연 및 비인간 동물에 대한 착취가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종차별주의를 핵심 개념으로 삼는다. 주요 개념으로는 종차별주의, 상호연결성, 위계질서, 언어와 상징 등이 있으며, 채식주의와 페미니즘의 연관성을 강조한다.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동물권 운동, 윤리적 소비, 연대 등의 실천을 통해 사회 운동과 연결되며, 채식주의 강요 논란, 인간 중심주의적 사고 비판 등의 비판과 논쟁이 존재한다. 주요 사상가로는 그레타 가드와 캐롤 J. 아담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태여성주의 - 돌봄 윤리
    돌봄 윤리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공감, 책임, 배려를 중시하는 윤리적 관점으로, 여성적 관점에서 도덕성을 재해석하며 추상적 원칙보다 구체적 관계 속 책임을 강조하고, 정치, 정신 건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채식주의 - 세계 채식인의 날
    세계 채식인의 날은 매년 10월 1일에 채식주의를 장려하고 채식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기념되는 날로, 이 날을 전후로 다양한 기념일과 행사가 이어진다.
  • 채식주의 - 과식주의
    과식주의는 식물에 해를 가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떨어진 열매만 먹는 식습관으로, 요리된 과일, 견과류, 씨앗 등을 섭취하며 윤리적, 건강상의 동기와 다양한 이념이 있지만 영양 불균형의 위험이 있다.
채식 생태여성주의
채식 생태여성주의
개요
정의채식 생태여성주의는 페미니즘, 생태학적 우려, 채식주의적 실천을 결합하는 관점이다.
핵심 주장억압 시스템 (예: 성차별, 인종차별, 종차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억압은 상호 강화된다.
목표이러한 시스템을 해체하고 해방을 증진
모든 존재에 대한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
이론적 토대
동물 권리동물은 도구적 가치가 아닌 고유한 가치를 지닌다.
동물 착취는 부당하다.
생태 중심주의인간 중심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모든 생명체의 상호 연결성을 강조
페미니즘가부장제가 여성과 자연 모두에 대한 억압을 정당화한다고 주장
역사적 배경
등장1980년대
영향생태여성주의 운동의 발전
동물 권리 운동의 확장
사회 정의 운동의 심화
주요 논점
연결된 억압성차별, 인종차별, 계급차별, 종차별은 모두 가부장적 체제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억압은 서로 교차하며 강화된다.
육식의 문제점여성 혐오적 관행과 관련
환경 파괴적인 산업
동물 착취에 기반
대안적 실천채식주의적 식단
지속 가능한 생활 방식
사회 정의 운동 참여
비판
본질주의 비판모든 여성이 자연과 더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에 대한 비판
전략적 비판채식 생태여성주의가 사회 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인지에 대한 논쟁
영향 및 의의
사회 운동동물 권리 운동
환경 운동
페미니즘 운동
학문 분야여성학
환경 철학
동물 연구

2. 역사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여성주의의 역사와 흐름을 같이 한다. 여성주의는 여성의 선거권, 여권운동사를 포함하여 여성의 권리 신장을 위한 다양한 운동을 포괄하며, 제1세대, 제2세대, 제3세대, 제4세대 등으로 구분된다.

2. 1. 여성주의의 역사

여성사는 여성의 역사를 다루는 학문 분야이다. 여성주의적 역사는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역사를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주의사는 여성주의 운동의 역사를 다룬다.

여성의 권리 신장을 위한 노력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여성의 선거권 운동은 여성 참정권 획득을 위한 투쟁이었으며, 여권운동사는 여성의 권리 향상을 위한 다양한 운동의 역사를 포괄한다. 여성 공직자의 증가는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여성주의는 시대에 따라 여러 세대로 구분된다. 제1세대 여성주의는 참정권 획득 등 법적, 정치적 평등을 강조했다. 제2세대 여성주의는 사회, 문화적 성차별 문제에 주목했다. 제3세대 여성주의는 여성 내부의 다양성과 교차성을 강조한다. 제4세대 여성주의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연대와 실천을 특징으로 한다.

2. 2. 채식 생태여성주의의 등장

상호교차성이라는 여성주의적 관점은 성 차별, 인종 차별, 계급 차별 등 모든 종류의 인간적 억압은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을 환기시켰다.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환경에 대한 착취뿐 아니라, 비인간 동물에 대한 인간의 착취도 지적한다.[21]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착취 대상에 대한 착취자의 억압에 자연에 대한 인간의 착취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생태여성주의의 학문적, 철학적 하위 분야이다.[22] 여성에 대한 착취가 자연에 대한 착취와 연결되어 있고, 양자 모두 억압을 해소하기 위해 근절되어야 한다는 것이 생태여성주의의 주요 주제 중 하나이다.[22]

3. 주요 개념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모든 종류의 억압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근절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실천적, 학문적 운동이다.[20] 특히 비인간 동물에 대한 인간의 착취에 중점을 둔다. 상호교차성이라는 여성주의적 관점은 성 차별, 인종 차별, 계급 차별 등 모든 종류의 인간적 억압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을 환기시켰으며,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환경과 비인간 동물에 대한 착취를 지적한다.[21]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착취 대상에 대한 착취자의 억압에 자연에 대한 인간의 착취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생태여성주의의 학문적, 철학적 하위 분야이다.[22] 여성에 대한 착취가 자연에 대한 착취와 연결되어 있고, 양자 모두 억압의 해소를 위해 근절되어야 한다는 것이 생태여성주의의 주요 주제 중 하나이다.[22]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비인간 동물을 착취하고 죽이는 방식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비인간 동물에 대한 억압이 인간 사이의 억압과 연결됐다고 믿는다는 점에서 생태여성주의를 확장한다고 볼 수 있다.[21] 종 차별은 채식 생태여성주의와 일반적인 생태여성주의를 구별하는 핵심 개념이며, 비인간 동물 사이의 계층을 인간 계층과 연결시킨다.[23]

여성은 종종 고기 조각에 비유되어 대상화되거나 '암소', '새' 등으로 불리며 비인간화된다.[2] 인간을 동물에 비유하여 비인간화하는 것은 종차별주의적 관점에서 그 가치를 폄하하고, 다른 인간보다 못한 존재로 여기게 만든다. 이는 집단 학살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인데, 르완다에서는 투치족을 바퀴벌레에 비유하여 실제 집단 학살이 일어나기 몇 달 전부터 혐오를 조장했다.[10] 이처럼 인간을 동물로 비유하는 것은 그들에 대한 억압을 쉽게 만들며, 인간의 억압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비인간 동물의 억압 또한 함께 종식시켜야 한다.

채식 생태여성주의 학자 캐럴 애덤스(Carol Adams)는 동물 신체가 "재미나 식용을 위한 일회용 물건"이라는 문화적으로 용인된 믿음이 "이성애를 규범으로 하고 남자를 즐겁게 하는 것이 여성의 일이라는 생각"을 용인하게 한다고 주장한다.[9]

3. 1. 종차별주의

종차별주의는 생태여성주의 개념의 핵심적인 억압 형태이며,[2] 종차별주의가 근절되어야 할 타당한 형태의 억압이라는 믿음은 대부분의 채식주의 생태여성주의 논쟁의 중심에 있다. 이는 인간이 아닌 동물의 착취와 살해를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5] 다른 모든 형태의 억압과 마찬가지로 종차별주의는 억압받는 사람들을 희생시키면서 지배자에게 이익을 주는 사회적 구성물이다.

인본주의자들은 종차별주의가 인종차별이나 성차별과 같은 "나쁜 주의"가 아니라고 믿는다. 여성, 유색 인종 및 기타 억압받는 인간 집단은 도덕적인 인간이지만, 비인간 동물은 그렇지 않으므로 동일한 권리를 가질 자격이 없기 때문이다.[5] 인본주의에 따르면 인간이 동물을 지배하는 것은 정당하며, 동물은 실제로 인간의 소비를 위해 존재한다.[5] 인간의 권리는 동물의 권리보다 본질적으로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인간과 생물학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도덕적으로도 다르기 때문이다.[5]

채식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인간과 비인간 동물 사이에 본질적인 유대가 있으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인간의 우월성과 동물의 타락은 인간-동물 유대를 약화시키기 위한 사회적 구성이라고 주장한다.[6] 이것은 비인간 동물을 돌보고 공감하는 소수의 비정상적인 사람들의 특징이 아니라, 대부분의 인간에게 정상적인 상태이다.[6] 이는 애완동물을 기르는 문화 간 관행이나 치료에 동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는 인간과 동물 사이의 유대의 강점을 보여준다.[6] 인간이 비인간 동물을 죽이는 행위를 정당화하는 속죄 행위는 인간이 동물을 해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지 않다면 동물을 죽이는 데서 느끼는 죄책감을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문화 간 메커니즘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6]

동물을 해치는 행위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능에 어긋나며, 언어는 인간이 비인간 동물을 해치는 행위를 숨기기 위해 사용된다.[6] 농업에서는 비인간 동물을 죽이는 행위를 "도살"이 아닌 "종료" 또는 "육류 가공"으로 부르며, 동물 자체는 "가축"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용어는 살아있는 동물과 제품을 분리하고, 인간이 이러한 비인간 동물에게 가하는 해악을 은폐함으로써 공감을 막는다.[6] 동물을 착취하고 해치는 또 다른 정당성은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이라는 것이다. 이는 인간이 건강을 유지하려면 고기와 달걀을 섭취해야 한다는 담론, 또는 의학 발전을 위해 동물 실험을 사용해야 한다는 담론에 의해 뒷받침된다.[6] 따라서 인간은 본질적으로 비인간 동물에게 공감하고 배려하지만, "제도화된 동물 착취의 상당한 힘이 무지를 유지하고, 두려움을 조장하며, 잔혹 행위를 보상하고, 친절을 처벌"함으로써 만들어진 많은 장애물이 존재한다.[6] 이러한 장애물은 많은 사회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므로, 비인간 동물에 대한 사회 정의를 얻는 것은 종종 어렵다.

3. 2. 상호연결성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인간과 인간이 아닌 동물 사이에 본질적인 유대가 있다고 강조한다. 인간 사이의 억압(성차별, 인종차별, 계급차별 등)과 비인간 동물에 대한 억압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한다.[6]

인간은 인간적 특성을 가진 인간이 아닌 동물과 더 밀접하게 동일시하며, 이를 통해 인간과 더 가깝게 동일시할 수 있는 동물을 최상위에, 공유하는 특성이 적은 동물을 최하위에 두는 위계를 만든다.[6] 인간은 자신과 유사한 존재에 공감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에,[6] 특정 동물을 다른 동물보다 죽이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이 만든 위계 때문에 일부 동물은 가치가 낮고 권리가 적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구 문화에서는 소, 닭, 물고기를 먹기 위해 죽이지만, 사자, 개, 돌고래를 죽이는 것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는 서구의 도덕적 가치가 인간과 사자, 개, 돌고래 사이의 연관성은 발견하지만, 소, 닭, 물고기 사이의 연관성은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어떤 종이 다른 종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지는 문화, 국가, 종교 등에 따라 다르다. 많은 아시아 문화권에서 개를 먹는 것이 사회적으로 용인되지만, 대부분의 서구 문화권에서는 도덕적으로 부패한 것으로 간주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인간이 아닌 동물에 대한 보편적인 위계가 없다는 것은 이것이 인간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사회적 구성물임을 보여준다.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어떤 동물을 죽이는 것도 더 큰 억압 시스템의 일부이며, 어떤 동물을 다른 동물보다 선택하거나 인간을 인간이 아닌 동물보다 선택하는 대신, 인간은 모든 억압받는 대상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며 모든 존재의 억압을 끝내기 위해 각 대상의 억압을 종식시키는 데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간이 아닌 동물에서 위계를 만드는 것은 빠르게 인간에서 위계를 만드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종차별주의가 인종차별주의, 계급주의, 성차별주의 및 기타 형태의 억압과 연결된다고 본다.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인간이 동물에게 폭력적이라면 종종 서로에게도 폭력적"이며, 이 "폭력과 파괴의 악순환은 인간이 다른 동물 종 및 자연 세계와 조화로운 관계(비 위계적이고 비 착취적)를 형성하는 법을 배울 때만 끝날 수 있다."[7]라고 주장한다.

3. 3. 위계질서

인간이 아닌 동물 사이에서 만들어진 위계는 인간 사이에서 만들어진 위계를 정당화한다. 인간은 인간적 특성을 가진 인간이 아닌 동물과 더 밀접하게 동일시하며, 이를 통해 인간은 더 가깝게 동일시할 수 있는 인간이 아닌 동물을 최상위에, 공유하는 특성이 적은 동물을 최하위에 두는 위계를 만들 수 있다.[6] 인간은 자신과 유사한 존재에 공감하도록 진화했다.[6] 이는 인간이 특정 동물을 다른 동물보다 죽이는 것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간이 만든 위계 때문에 일부 동물은 가치가 낮고 권리가 적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구 문화권에서는 소비를 위해 소, 닭, 물고기를 죽이지만, 사자, 개, 돌고래를 죽이는 것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는 서구의 도덕적 가치가 인간과 사자, 개, 돌고래 사이의 연관성은 발견하지만, 소, 닭, 물고기 사이의 연관성은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정 종의 생명을 다른 종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게 된다. 어떤 종이 다른 종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지는 문화, 국가, 종교 등에 따라 다르다. 많은 아시아 문화권에서 개를 먹는 것이 사회적으로 용인되지만, 대부분의 서구 문화권에서는 도덕적으로 부패한 것으로 간주된다는 사실에서 이를 알 수 있다. 인간이 아닌 동물에 대한 보편적인 위계가 없다는 것은 이것이 인간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사회적 구성물임을 보여준다.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어떤 동물을 죽이는 것도 더 큰 억압 시스템의 일부이며, 어떤 동물을 다른 동물보다 선택하거나 인간을 인간이 아닌 동물보다 선택하는 대신, 인간은 모든 억압받는 대상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며 모든 존재의 억압을 끝내기 위해 각 대상의 억압을 종식시키는 데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간이 아닌 동물에게 위계를 만드는 것은 빠르게 인간에게 위계를 만드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종차별주의가 인종차별주의, 계급주의, 성차별주의 및 기타 형태의 억압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다시 한번 관찰할 수 있다.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인간이 동물에게 폭력적이라면 종종 서로에게도 폭력적"이며, 이 "폭력과 파괴의 악순환은 인간이 다른 동물 종 및 자연 세계와 조화로운 관계(비 위계적이고 비 착취적)를 형성하는 법을 배울 때만 끝날 수 있다."라고 주장한다.[7]

3. 4. 언어와 상징

여성은 종종 고기 조각에 비유되어 대상화되거나 '암소', '새' 등으로 불리며 비인간화된다.[2] 인간을 동물에 비유하여 비인간화하는 것은 종차별주의적 관점에서 그 가치를 폄하하고, 다른 인간보다 못한 존재로 여기게 만든다.[2] 이는 집단 학살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인데, 르완다에서는 투치족을 바퀴벌레에 비유하여 실제 집단 학살이 일어나기 몇 달 전부터 혐오를 조장했다.[10] 이처럼 인간을 동물로 비유하는 것은 그들에 대한 억압을 쉽게 만들며, 인간의 억압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비인간 동물의 억압 또한 함께 종식시켜야 한다. 비인간 동물이 인간보다 본질적으로 열등하다고 여겨지는 한, 동물을 빗댄 비인간화는 계속 정당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채식 생태여성주의 학자 캐럴 애덤스(Carol Adams)는 동물 신체가 "재미나 식용을 위한 일회용 물건"이라는 문화적으로 용인된 믿음이 "이성애를 규범으로 하고 남자를 즐겁게 하는 것이 여성의 일이라는 생각"을 용인하게 한다고 주장한다.[9]

4. 이론적 기반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모든 종류의 억압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근절해야 한다는 실천적, 학문적 운동으로, 특히 비인간 동물에 대한 인간의 착취에 중점을 둔다.[20] 상호교차성이라는 여성주의적 관점은 성 차별, 인종 차별, 계급 차별 등 모든 종류의 인간적 억압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을 가져왔다.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환경과 비인간 동물에 대한 착취를 지적한다.[21]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생태여성주의의 하위 분야로, 여성에 대한 착취가 자연에 대한 착취와 연결되어 있으며, 양자 모두 억압에서 해방되어야 한다는 생태여성주의의 주요 주제를 공유한다.[22]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비인간 동물을 착취하고 죽이는 방식에 대한 관심을 통해 생태여성주의를 확장하며, 비인간 동물에 대한 억압이 인간 사이의 억압, 특히 여성에 대한 억압과 연결된다고 본다.[21] 종 차별은 채식 생태여성주의가 일반적인 생태여성주의와 구별되는 핵심 개념으로, 비인간 동물 사이의 계층을 인간 계층과 연결시킨다.[23]

4. 1. 생태여성주의

종차별주의는 생태여성주의 개념의 핵심적인 억압 형태이며,[2] 종차별주의가 근절되어야 할 타당한 형태의 억압이라는 믿음은 대부분의 채식주의 생태여성주의 논쟁의 중심에 있다. 이는 인간이 아닌 동물의 착취와 살해를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5] 다른 모든 형태의 억압과 마찬가지로, 종차별주의는 억압받는 사람들을 희생시키면서 지배자에게 이익을 주는 사회적 구성물이다.

비인간 동물에 대한 공감과, 동일한 지배 세력이 모든 억압을 남용하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은 모든 억압을 종식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타고난 공감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도덕적 인식의 기초"이기 때문이다.[11] 따라서 인간의 경험과 비인간의 경험 사이의 도덕적이고 공감적인 연결을 할 수 있다.[2] 여기에는 어머니가 우유 착취를 위해 이용되는 소에게 느끼는 감정, 또는 "유색 인종, 여성, 게이, 레즈비언은 모두 서구 문화에서 '사냥감'이 되는 경험을 안다"는 이해가 포함될 수 있다.[2] 채식 생태여성주의자들은 페미니스트로서 가부장적 권력의 지배를 인식하는 사람들이 그것이 비인간 동물을 지배하고 객체화하는 방식을 또한 인식해야 하며, 따라서 여성의 억압뿐만 아니라 동물의 억압을 종식시켜야 할 도덕적 의무를 느껴야 한다고 주장한다.[11]

4. 2. 채식주의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육식이 가부장제적 지배의 한 형태이며, 남성 폭력과 육식 위주의 식단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한다.[2] "개인의 문제는 정치적이다"라는 말처럼, 페미니스트는 땀 흘려 일하는 공장에서 만들어진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위선적인 것처럼, 공장식 축산으로 생산된 제품을 구매하는 것 또한 위선적이라고 생각한다.[2] 이는 캄보디아에서 인권을 침해당한 여성들이 만든 옷이나, 죽을 때까지 비인간 동물로서의 권리를 침해당한 소에서 얻은 육류와 같은 제품을 구매하고 소비하는 것이 더 큰 가부장적 시스템을 지지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2]

채식주의는 모든 종류의 폭력에 항의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동물과 인간은 똑같이 고통받고 죽기 때문에, 폭력은 똑같은 고통, 똑같은 피를 흘림, 똑같은 죽음의 악취, 똑같은 오만하고 잔혹하며 야만적인 생명 빼앗음을 초래한다.[3] 따라서 채식주의는 생태여성주의자들이 자신의 신념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인데, 육식은 인간이 비인간을 지배하는 종차별주의와 위계질서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이다.[3]

유제품 산업은 인공 수정을 통해 수익을 얻고, 그 결과 암컷의 젖샘에서 젖을 짜낸다. 송아지가 태어나면 갓 태어난 송아지는 어미 젖소로부터 즉시 떼어낸다. 수컷 송아지라면 송아지 고기나 쇠고기 산업에 팔려갈 운명이고, 암컷 송아지라면 어미와 똑같은 젖소의 삶을 살 운명이다. 채식주의자들은 비인간 동물에게 공감하고 종차별주의 개념을 거부하며, 그들의 식단은 그들의 신념을 반영한다.[3] 채식 생태여성주의자들도 마찬가지지만, 인간이 동물을 억압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비인간 동물에 대해 느끼는 공감과 동정을 불신하는 것임을 인식한다.[2]

4. 3. 페미니스트-채식주의 연결

페미니스트-채식주의 연결은 도살되어 소비되는 형태의 동물 억압이 가부장 사회에서의 여성 억압과 유사하다는 개념이다.[12] 이는 페미니즘과 채식주의 사이에 연관성을 설정한다.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모든 억압을 종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특히 비인간 동물과 여성의 억압 간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춘다. 이들은 지배적인 가부장제의 담론 내에서 남성에 의해 대상화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여성은 성적 대상으로, 비인간 동물은 음식으로 대상화된다.[3] 이 과정에서 여성과 비인간 동물 모두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로 간주되며, 더 많은 특권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사용, 학대, 소비될 수 있다는 논리가 적용된다.[3]

캐롤 애덤스(Carol Adams)와 같은 생태여성주의 학자들은 인간 어머니와 비인간 어머니 사이에 본질주의적이고 공감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애덤스는 "수유하는 어머니로서, 나는 생식의 자유를 박탈당하고 간호 경험이 매우 비참해 보이는 암퇘지에게 공감한다."라고 언급하며 이러한 연결을 강조한다.[3]

계란, 송아지, 유제품 산업은 여성 비인간 동물의 생식 시스템을 착취하여 이익을 얻는다. 이와 유사하게, 광고 산업과 같은 여러 산업은 여성의 신체를 대상화하여 지배해야 할 대상으로 취급함으로써 이익을 얻는다. 애덤스는 동물 신체가 "재미나 식용을 위한 일회용 물건"이라는 문화적으로 용인된 믿음이 "이성애를 규범으로 하고 남자를 즐겁게 하는 것이 여성의 일이라는 생각"을 용인하게 한다고 주장한다.[9]

이러한 페미니스트-채식주의 연결은 1975년 캐롤 J. 아담스에 의해 처음 발표되었고,[12] 1990년 '생태여성주의 태스크 포스'가 결성되어 이 연결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12] 이후 조세핀 도노반과 캐서린 팩스턴 조지와 같은 학자들이 이 주제를 광범위하게 분석했다.[12]

캐롤 J. 아담스는 저서 《고기의 성 정치학: 페미니스트-채식주의 비판 이론》에서 사람들의 음식 선택에 내재된 성 정체성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페미니즘과 채식주의의 상호 연관성"을 확립한다.[15] 가부장적 사회에서 "고기는 남성에게는 지속적이지만 여성에게는 간헐적이다".[15]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 여성과 소녀들은 남성을 위한 식사와 여성을 위한 식사를 따로 준비해야 하는데, 여성용 식사에는 고기나 다른 단백질이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임신을 준비하는 여성들에게 아들을 원하면 고기를 먹고, 딸을 원하면 유제품, 견과류 등을 먹으라는 조언이 주어지기도 한다.[15]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여성이 닭고기, 오리고기, 돼지고기, 생선, 해산물, 달걀 등을 먹는 것이 금지되는 문화적 음식 금기가 존재한다.[15] 채식은 "무력화 또는 여성성"을 암시하는 반면, 육식은 남성성과 연결된다.[15] 데리다는 "육식남근중심주의" 개념을 통해 "남성성과 육식주의가 남성성, 권력, 권위를 뒷받침하기 위해 함께 작용한다"고 강조한다.[16]

애덤스는 동물과 여성은 "융합된 억압"을 통해 연결된다고 주장하며, 동물을 지칭할 때 성별 대명사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한다.[15] '주요 권력'(그)을 가진 동물은 특수:넘겨주기/본문으로/특수:넘겨주기/본문으로/활성적인 권력과 잠재적인 위험을 의미하는 반면, '사소한 권력'(그녀)을 가진 동물은 특수:넘겨주기/본문으로/특수:넘겨주기/본문으로/잠재적인 먹잇감의 권력, 즉 파괴해야 할 권력을 의미한다.[15] 여성 성별 대명사는 억압받는 자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어 "남성 폭력의 희생자, 침해받은 희생자를 나타낸다".[15]

애덤스는 또한 암탉, 암소와 같은 암컷 동물과 달걀, 유제품과 같은 부산물의 소비를 통해 동물의 "여성성"을 이용한다고 지적한다.[15] 육류 산업에서는 "임신 후기"의 암컷 동물은 도살하지 말라고 하는데, 이는 "여성의 생리적 상태가 교란되고 살이 정상적이지 않기" 때문이다.[15]

애덤스는 여성과 동물 간의 연관성이 "부재하는 지시체의 구조를 통해" 강화된다고 주장한다.[15] 동물의 살을 "고기"라고 부르는 것은 도살을 통해 동물을 "부재하는 지시체"로 만들며, 죽은 시체를 고기로 이름을 바꿈으로써 사람들은 "죽고 도살된 동물을 연상하는 것이 아니라 요리를 연상한다".[15] 한편, 여성 또한 성폭력에 대한 언어에서 부재하게 된다.[15] 강간이라는 용어는 지구의 "강간"과 같은 다른 파괴적인 폭력 사건을 묘사하는 데 은유적으로 사용되는데, 이 경우 여성의 경험은 "다른 존재의 억압을 설명하는 수단으로" 기억되지만, 여성 자신은 부재한다.[15]

마티 킬(Marti Kheel)은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이 자신의 생식 능력에 대해 갖는 통제력 부족은 암컷 소가 지속적인 수유 상태로 유지되고 강간틀이 암컷 동물을 임신시키는 데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장식 농장에서 더욱 증폭된다"고 주장한다.[17]

애덤스는 채식주의가 "도덕적 관점을 논리적으로 실천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페미니즘 이론과 여성적 경험에도 공명한다"고 제안한다.[15] 윤리학자 베벌리 해리슨(Beverly Harrison)은 모든 지식이 '신체 매개적 지식'임을 인정해야 하며, 몸으로부터의 단절은 페미니스트들 사이의 '도덕적 관계의 가능성' 파괴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15] 애덤스는 "윤리적 채식주의는 사람들이 자신의 몸으로 실천하는 이론"이며, 채식주의자들은 건강한 몸과 동물과의 도덕적 관계를 존중하는 식단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한다고 주장한다.[15] 또한 인간의 신체 구조가 초식동물에 가깝다는 생물학적 증거를 제시하며 채식주의를 지지한다.[15]

5. 실천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학문 분야이지만, 종 차별을 포함한 모든 억압을 근절하고 종차별주의와 성 차별주의 간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핵심 원리와 사상은 행동주의를 통해 실천될 수 있다.[3]

채식 생태여성주의적 실천은 여성이나 동물의 착취 및 학대를 지원하는 제품을 불매하는 행동주의의 형태를 띨 수 있다.[3] 예를 들어, 여성을 착취하는 작업장에서 만들어진 제품, 동물 실험을 거친 제품, 동물을 죽여서 만든 제품 등을 불매할 수 있다. 채식주의나 비건이 되는 것 또한 동물을 죽이거나 학대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소비하지 않는 일종의 불매 운동이다.[3]

전국 여성학 협회(National Women's Studies Association)의 생태여성주의 태스크 포스는 1990년 NWSA 회의 등에서 생태적, 인도적 문제로 동물성 제품을 제공하지 말 것을 제안했다.[3] 1990년 동물 행진에서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인간이 비인간 동물을 지배하는 방식이 생태여성주의와 페미니즘에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보여주는 현수막을 들고 시위에 참여하기도 했다.[3]

5. 1. 채식/비건주의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비인간 동물과 여성에 대한 억압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보며, 육식이 동물을 착취하고 가부장제를 지지하는 행위라고 주장한다.[2]

"개인의 문제는 정치적이다"라는 생태여성주의의 구절처럼, 공장식 축산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가부장제를 지지하는 것과 같다고 본다. 페미니스트는 인권 침해를 겪은 여성이 만든 옷이나, 권리를 침해당한 소에게서 얻은 육류를 구매하는 것이 땀 흘려 일하는 공장과 공장식 축산, 더 나아가 가부장제를 지지하는 행위임을 인지한다.[2]

채식주의는 모든 종류의 폭력에 항의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동물과 인간은 똑같이 고통받고 죽기 때문에, 폭력은 동일한 고통, 피, 죽음, 잔혹함을 초래한다.[3] 육식은 인간이 비인간을 지배하는 종차별주의와 위계질서를 지지하기 때문에, 채식주의는 생태여성주의자들이 신념을 실천하는 방법이다.[8] 유제품 산업은 인공 수정으로 수익을 얻고, 암컷 젖소에게서 젖을 짜낸다. 태어난 수컷 송아지는 송아지 고기나 쇠고기 산업에 팔려가고, 암컷 송아지는 어미와 같은 젖소의 삶을 살게 된다. 채식주의자들은 종차별주의를 거부하며, 식단을 통해 신념을 반영한다.[3] 채식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인간이 동물을 억압하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비인간 동물에 대한 공감과 동정을 불신한다고 본다.[2]

캐롤 J. 아담스와 조세핀 도노반과 같은 학자들은 페미니즘-채식주의의 연관성을 지지한다. 아담스는 《고기의 성 정치학: 페미니스트-채식주의 비판 이론》에서 음식 선택에 내재된 성 정체성을 분석하여 페미니즘과 채식주의의 상호 연관성을 제시한다.[15] 가부장제 사회에서 고기는 남성에게 지속적이지만, 여성에게는 간헐적이다.[15]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 여성과 소녀들은 남성을 위한 식사와 여성을 위한 식사를 따로 준비해야 하는데, 여성용 식사에는 고기나 단백질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아들을 원한다면 임신하기 최소 6주 전에 고기(또는 생선, 채소, 초콜릿, 소금)를 먹어야 한다. 하지만 딸을 원한다면 고기는 먹지 말고 우유, 치즈, 견과류, 콩, 시리얼을 먹어라."[15]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여성이 닭고기, 오리고기, 돼지고기, 생선, 해산물, 달걀을 먹는 것이 금지되기도 한다.[15] 채소와 같은 비육류 식품만이 여성의 음식으로 간주된다.[15] 육식은 남성성과 연결되는 반면, 채식은 여성성을 암시한다.[15] 자크 데리다육식남근중심주의는 남성성과 육식주의가 권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함께 작용한다는 개념이다.[16]

아담스는 채식주의가 도덕적 실천일 뿐만 아니라, 페미니즘 이론과 여성적 경험에 공명한다고 말한다.[15] 윤리학자 베벌리 해리슨은 페미니스트가 자신의 몸과 함께해야 하며, 모든 지식이 '신체 매개적 지식'임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몸으로부터의 단절은 페미니스트 간의 도덕적 관계를 파괴한다.[15] 아담스는 윤리적 채식주의가 사람들이 자신의 몸으로 실천하는 이론이며, 채식주의자들이 건강한 몸과 동물과의 도덕적 관계를 존중하는 식단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한다고 주장한다.[15] 인간의 신체 구조가 초식동물에 가깝다는 생물학적 증거를 제시하며, 채식주의와 페미니즘이 신체의 참여를 통해 연결된다고 본다.[15]

도노반은 채식 및 비건 식단의 건강상 이점을 증명하는 여러 영양 연구를 바탕으로, 페미니스트는 채식주의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8] 적절한 영양 섭취에 주의하면 채식은 건강에 긍정적일 수 있으며, 유아, 어린이, 청소년, 임산부도 비건 식단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고 말한다.[18] 또한, 서구 문화 제국주의를 통해 육식이 비서구 국가에 강요된다고 주장한다.[18] 동물성 제품 구매는 잔혹 행위를 지원하는 것이므로, 페미니스트는 동물 학대와 착취에 반대해야 한다.[12][18]

5. 2. 동물권 운동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학문 분야이지만, 종차별주의를 포함한 모든 억압을 근절하고 종차별주의와 성차별주의 간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핵심 원리와 사상은 행동주의를 통해 실천될 수 있다. 행동주의는 다양한 형태를 띨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이고 실현 가능한 형태 중 하나는 여성 및/또는 동물의 착취와 학대를 지원하는 제품을 보이콧하는 것이다.[3] 예를 들어, 채식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을 착취하는 작업장에서 만들어진 제품이나, 동물 실험을 거친 제품, 또는 동물을 죽여서 만든 제품을 보이콧할 수 있다. 이는 비인간 동물을 착취하는 행위이다. 채식주의자 또는 비건이 되는 행위는 동물을 죽이거나 학대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소비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일종의 보이콧이다.[3] 전국 여성학 협회(National Women's Studies Association)의 생태여성주의 태스크 포스(Ecofeminist Task Force)는 생태학적 및 인도적인 문제로 인해 1990년 NWSA 회의 또는 향후 컨퍼런스에서 어떤 동물성 제품도 제공되어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3] 채식 생태여성주의자들은 1990년 동물 행진에서 볼 수 있듯이 시위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신념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데, 이 행사에서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인간이 비인간 동물을 지배하는 방식이 생태여성주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페미니즘에도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보여주는 현수막을 들었다.[3]

5. 3. 윤리적 소비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학문 분야이지만, 그 핵심 원리와 사상은 행동주의를 통해 실천될 수 있다. 행동주의는 다양한 형태를 띨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이고 실현 가능한 형태 중 하나는 여성 및/또는 동물의 착취와 학대를 지원하는 제품을 불매하는 것이다.[3] 예를 들어, 채식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을 착취하는 작업장에서 만들어진 제품이나, 동물 실험을 거친 제품, 또는 동물을 죽여서 만들어진 제품을 불매할 수 있다. 이는 비인간 동물을 착취하는 행위이다. 채식주의자 또는 비건이 되는 행위 자체가 동물을 죽이거나 학대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소비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일종의 불매 운동이다.[3] 전국 여성학 협회(National Women's Studies Association)의 생태여성주의 태스크 포스(Ecofeminist Task Force)는 생태학적 및 인도적인 문제로 인해 1990년 NWSA 회의 또는 향후 컨퍼런스에서 어떤 동물성 제품도 제공되어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3] 채식 생태여성주의자들은 1990년 동물 행진에서 볼 수 있듯이 시위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신념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데, 이 행사에서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인간이 비인간 동물을 지배하는 방식이 생태여성주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페미니즘에도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보여주는 현수막을 들었다.[3]

5. 4. 연대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학문 분야이지만, 그 핵심 원리와 사상, 즉 종차별주의를 포함한 모든 억압을 근절하고 종차별주의와 성차별주의 간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것은 행동주의를 통해 이론에서 행동으로 옮겨질 수 있다. 행동주의는 다양한 형태를 띨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이고 실현 가능한 형태 중 하나는 여성 및/또는 동물의 착취와 학대를 지원하는 제품을 보이콧하는 것이다.[3] 예를 들어, 채식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을 착취하는 작업장에서 만들어진 제품이나, 동물 실험을 거친 제품, 또는 동물을 죽여서 만들어진 제품을 보이콧할 수 있는데, 이는 비인간 동물을 착취하는 행위이다. 채식주의자 또는 비건이 되는 행위 자체가 동물을 죽이거나 학대하는 대가로 만들어진 제품을 소비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일종의 보이콧이다.[3] 전국 여성학 협회(National Women's Studies Association)의 생태여성주의 태스크 포스(Ecofeminist Task Force)는 생태학적 및 인도적인 문제로 인해 1990년 NWSA 회의 또는 향후 컨퍼런스에서 어떤 동물성 제품도 제공되어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3] 채식 생태여성주의자들은 1990년 동물 행진에서 볼 수 있듯이 시위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신념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데, 이 행사에서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인간이 비인간 동물을 지배하는 방식이 생태여성주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페미니즘에도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보여주는 현수막을 들었다.[3]

6. 비판과 논쟁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모든 종류의 억압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근절해야 한다는 실천적, 학문적 운동이다.[20] 상호교차성이라는 여성주의적 관점은 성 차별, 인종 차별, 계급 차별 등 모든 종류의 인간적 억압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을 환기시킨다.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생태여성주의의 하위 분야로, 착취 대상에 대한 착취자의 억압에 자연과 비인간 동물에 대한 인간의 착취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21][22]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비인간 동물을 착취하고 죽이는 방식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비인간 동물에 대한 억압이 인간 사이의 억압과 연결됐다고 믿는다는 점에서 생태여성주의를 확장한다고 볼 수 있다.[21] 종 차별은 인간과 비인간 동물 사이의 계층을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채식 생태여성주의와 일반적인 생태여성주의를 구별하는 핵심 개념이다.[23]

6. 1. 채식주의 강요 논란

캐서린 팍스턴 조지(Kathryn Paxton George)는 채식주의와 페미니즘의 연관성에 반대하며, 채식 식단이 "남성이 짊어지지 않아도 되는 임의적인 부담을 여성에게 부과한다"고 주장한다.[13] 조지는 남성이 여성보다 채식 식단을 통해 성공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믿음에 근거하여, 채식 또는 비건 식단이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인 건강 위험이 "서구 성인 남성에게는 드물며, 이들에게 이상적인 식단"이라고 말한다.[13]

예를 들어, 조지는 임신이 태아에게 해를 끼칠 위험이 있는 영양학적 스트레스의 원인이라고 언급했다.[13] 또한, 여성의 사회 경제적 불이익을 채식주의의 장벽으로 묘사했으며, 특히 철분 및 B12|비타민 B12영어 보충제의 사용에 대해 우려했다.[13] 조지는 식물성 영양에 대한 연구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거의 전적으로 남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고 주장했다.[14]

7. 한국 사회와 채식 생태여성주의

여성주의의 한 갈래인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인간이 비인간 동물을 착취하는 문제에 주목하며, 모든 종류의 억압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함께 근절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실천적, 학문적 운동이다.[20] 상호교차성이라는 여성주의적 관점은 성 차별, 인종 차별, 계급 차별 등 인간 사회의 다양한 억압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을 불러일으켰다.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환경에 대한 착취뿐만 아니라, 비인간 동물에 대한 인간의 착취 역시 문제 삼는다.[21]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착취 대상에 대한 착취자의 억압에 자연에 대한 인간의 착취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생태여성주의의 하위 분야이다.[22] 여성을 착취하는 것이 자연을 착취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두 가지 억압 모두 없어져야 한다는 것이 생태여성주의의 주요 주제 중 하나이다.[22]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인간이 아닌 동물을 착취하고 죽이는 방식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비인간 동물에 대한 억압이 인간 사이의 억압과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는 점에서 생태여성주의를 확장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21] 종 차별은 채식 생태여성주의가 일반적인 생태여성주의와 구별되는 핵심 개념이다. 종 차별은 비인간 동물 사이의 계층을 인간 계층과 연결한다.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비인간 동물에 대한 억압을 다른 종류의 억압, 특히 여성에 대한 억압과 연결 짓는 데 주목한다는 점에서 생태여성주의와 구별된다.[23]

8. 주요 사상가

그레타 가드는 생태여성주의 사상가이자 활동가, 작가이며, 위스콘신 대학교 리버폴스 교수이다. 그녀의 에세이 "채식 생태여성주의"는 종 차별주의를 생태여성주의에 포함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포함하여, 이 분야의 많은 핵심 개념에 대해 이야기한다.[2]

캐롤 J. 아담스는 채식 생태여성주의 작가이자 활동가로서, 20년 넘게 생태여성주의에 대해 글을 써왔으며, 종차별주의를 성 차별주의와 연결하는 것의 중요성에 중점을 두었다.[19] 그녀의 논문 "생태여성주의와 동물을 먹는 행위"는 이 분야의 필수적인 연구이며, 생태여성주의자로서 고기를 소비하지 않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녀의 주요 저서로는 『고기의 성정치』가 있다.

참조

[1] 간행물 Lois Ann Lorentzen, University of San Francisco, and Heather Eaton, Saint Paul University 2002
[2] 논문 Vegetarian Ecofeminism: A Review Essay 2015-10-02
[3] 논문 Ecofeminism and the Eating of Animals
[4] 논문 Linking Sexism and Speciesism 2014-09-01
[5] 논문 Against "Humanism": Speciesism, Personhood, and Preference https://philpapers.o[...] 2003
[6] 논문 Justice, Caring, and Animal Liberation
[7] 논문 Rethinking Revolution: Animal Liberation, Human Liberation, and the Future of the Left
[8] 서적 The evolution of the human diet Book Publishing Co. 2015-11-11
[9] 논문 The Poetics of Christian Engagement: Living Compassionately in a Sexual Politics of Meat World
[10] 서적 The War on Compass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1] 논문 Animal Rights and Feminist Theory
[12] 논문 A defense of the Feminist-Vegetarian Connection https://philarchive.[...]
[13] 논문 Should Feminists Be Vegetarians?
[14] 뉴스 PODCAST: Should Feminists be Vegetarians? 2016-10-26
[15] 서적 The Sexual Politics of Meat: A Feminist-Vegetarian Critical Theory Bloomsbury Publishing
[16] 논문 Carnophallogocentrism and the Sexual Politics of Meat
[17] 논문 Toppling Patriarchy with a Fork: the Feminist Debate Over Meat
[18] 논문 Comment on George's "Should Feminists Be Vegetarians?"
[19] 서적 Sister Species: Women, Animals, and Social Justic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 간행물 Lois Ann Lorentzen, University of San Francisco, and Heather Eaton, Saint Paul University 2002
[21] 논문 Vegetarian Ecofeminism: A Review Essay 2015-10-02
[22] 논문 Ecofeminism and the Eating of Animals 2015-10-02
[23] 저널 인용 Linking Sexism and Speciesism http://eds.b.ebscoho[...] 2014-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