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발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발턴(Subaltern)은 이탈리아의 마르크스주의 사상가 안토니오 그람시의 연구에서 유래하여 포스트콜로니얼 이론에 도입된 개념으로, 식민 지배를 받는 계층을 지칭한다. 1970년대 남아시아 아대륙의 민중을 지칭하는 용어로 시작하여, 역사학, 인류학, 사회학, 인문지리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탈식민주의 이론에서는 서구 중심적인 지식 생산 방식과 권력의 지배를 연구하며, 서발턴은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서구적인 지식 방식을 채택해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한다. 주류 개발 담론은 서구식 현대화를 따르도록 강요하며, 서발턴은 이러한 담론에 반대하는 사회 운동을 통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대안적인 미래를 만들어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식민주의 - 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는 식민 지배 이후 사회의 사회, 문화, 정치적 현실을 분석하는 이론으로,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인한 정체성 문제, 지식 체계, 권력 관계를 연구하며, 이론적 비판과 과제도 함께 다룬다.
  • 신식민주의 - 워싱턴 합의
    워싱턴 합의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 워싱턴 D.C. 소재 국제기구들이 개발도상국 및 체제 전환 국가의 경제 발전을 위해 제시한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 패키지로, 적용 결과와 비판적 평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포스트식민주의 - 프란츠 파농
    프란츠 파농은 마르티니크 출신의 정신의학자, 혁명가, 작가로서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폭력과 해방, 정체성, 인간성에 대한 통찰을 제시한 저술로 유명하며, 알제리 독립 전쟁 당시 알제리 민족해방전선을 지원했고, 그의 사상은 탈식민주의 이론과 흑인 해방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포스트식민주의 - 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는 식민 지배 이후 사회의 사회, 문화, 정치적 현실을 분석하는 이론으로,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인한 정체성 문제, 지식 체계, 권력 관계를 연구하며, 이론적 비판과 과제도 함께 다룬다.
  • 탈구조주의 - 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는 식민 지배 이후 사회의 사회, 문화, 정치적 현실을 분석하는 이론으로,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인한 정체성 문제, 지식 체계, 권력 관계를 연구하며, 이론적 비판과 과제도 함께 다룬다.
  • 탈구조주의 - 대륙 철학
    대륙 철학은 20세기 중반 영미권 분석철학에 동참하지 않은 유럽 대륙의 철학 사조를 지칭하는 용어로, 현상학, 실존주의,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등을 포괄하며 칸트주의의 영향을 받아 지식, 경험, 현실이 철학적 성찰을 통해 이해되는 조건들에 의해 제약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서발턴
개념
정의서발턴 (Subaltern)은 종속적인 위치에 놓인 사람이나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
기원안토니오 그람시의 저작에서 유래
설명사회적, 정치적, 지리적으로 중심 세력에 의해 주변부로 밀려난 집단을 의미
이론적 배경
마르크스주의계급 투쟁과 사회 구조 분석에 영향
탈식민주의식민 지배의 유산과 권력 관계 분석에 영향
비판 이론사회 불평등과 지배 구조 비판에 영향
주요 학자
안토니오 그람시서발턴 개념의 창시자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서발턴의 목소리와 재현 문제 연구
호미 바바식민주의와 문화적 혼성 연구
에드워드 사이드오리엔탈리즘 비판
서발턴의 특징
배제와 소외사회 주류에서 배제되고 소외된 경험
목소리의 부재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 어렵거나 억압받는 상황
다양한 형태계급, 성별, 인종, 민족, 종교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음
서발턴의 연구
역사 연구역사 기록에서 누락된 서발턴의 경험과 관점 복원
문화 연구서발턴의 문화적 표현과 저항 방식 분석
정치 연구서발턴의 정치 참여와 권리 획득 과정 연구
비판적 시각
재현의 문제서발턴을 대변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한 논쟁
지나친 일반화서발턴의 다양성을 간과할 수 있다는 비판
권력 관계의 고정화서발턴의 위치를 고정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는 우려
관련 개념
헤게모니지배 계급의 사상문화가 사회 전체에 스며들어 피지배 계급의 동의를 얻는 현상
오리엔탈리즘서양이 동양을 왜곡하고 지배하는 담론
문화 제국주의강대국의 문화가 약소국에 영향을 미쳐 문화적 종속을 초래하는 현상

2. 역사

'서발턴'이라는 용어는 이탈리아마르크스주의 사상가였던 안토니오 그람시의 업적에서 유래했으며[15], 남아시아사에서 비엘리트 계층의 역할에 주목한 남아시아사 연구자들의 그룹인 서발턴 연구 그룹의 업적을 통해 포스트콜로니얼 이론에 도입되었다[16].

1970년대에는 이 용어는 식민지 통치 하에 놓인 남아시아 아대륙(인도 아대륙)의 민중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개념은 식민지화된 장소의 역사 기술을 식민 지배하는 측의 시각이 아닌, 식민 지배를 받는 측의 시각에서 파악하는 새로운 관점을 가져왔다.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들은 이미 주로 프롤레타리아트의 관점에서 식민지의 역사를 검토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유럽 중심주의적인 세계관이라는 면이 있어 이론적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여겨졌다. 1980년대에 "서발턴 연구"는 "남아시아 사학에 대한 개입"으로 시작되었다. "서발턴"은 인도 아대륙의 상황에 적합한 모델로 만들어졌지만, 곧 "활발한 포스트콜로니얼 비평"이 다양한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오늘날에는 역사학, 인류학, 사회학, 인문지리학, 문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가 되었다[17].

1999년에 현대사상7월호에서 특집 "스피박 - 서발턴은 누구인가"가 편성되었다.

2. 1. 한국에서의 수용과 변용

3. 이론

탈식민주의 이론은 서구 중심적인 지식 생산 방식과 권력의 지속적인 지배를 연구한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저서 ''오리엔탈리즘''(1978)에서 억압받는 서발턴 원주민을 개념적으로 다루며, 오리엔탈리즘의 유럽 중심적 관점이 어떻게 식민 지배의 이념적 기초와 정당성을 만들어냈는지 설명한다. 유럽인들은 동방을 실제로 탐험하기 전에 동방에 대한 가상의 지도를 만들어 놓았다. 서구 세계의 지평선 너머에 있는 야만적인 민족과 이국적인 장소에 대한 미리 정의된 이미지를 만들어 놓은 것이다. 오리엔탈리즘의 신화는 괴물과 야만적인 땅에 대한 보고서를 가지고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돌아온 여행자들에 의해 강화되었으며, 이는 동방의 개념적 ''차이''와 '낯설음'에 기반을 두었다. 동방의 타자에 대한 이러한 문화적 담론은 당시의 대중 매체를 통해 영속되었고, 유럽인들이 동방과 서방의 차이점을 정의함으로써 스스로를 규정하는 우리-그들 이분법적 사회 관계를 만들었다. 식민주의의 기초로서, 우리-그들 이분법적 사회 관계는 동방을 뒤떨어지고 비합리적인 땅으로 잘못 묘사했으며, 따라서 서구적 의미에서 현대가 되도록 돕기 위해 유럽의 문명화 사명이 필요했다. 따라서 오리엔탈리즘의 유럽 중심적 담론은 서발턴 원주민, 즉 동방인들의 목소리를 배제한다.[8][9]

문화 이론가 스튜어트 홀은 문화적 담론의 권력이 서구의 비서구 세계 지배를 창조하고 강화했다고 말했다. 서방과 동방의 차이를 설명하는 유럽의 담론은 유럽의 문화적 범주, 언어 및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비유럽의 타자를 표현했다. 이러한 담론에 의해 생산된 지식은 사회적 실천이 되었고, 이는 다시 현실이 되었다. 유럽은 차이의 담론을 생산함으로써 동방과 서방 사이의 담론 생산에서 타자를 배제함으로써 실현된 서발턴 원주민을 창조하고 확립하는 이분법적 사회 관계를 사용하여 비유럽의 타자에 대한 서구의 지배를 유지했다.[10]

스피박의 논지에 따르면, 서발턴 원주민은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서구적인 지식(언어, 사고, 추론) 방식을 채택해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한다.[11] 이는 서구화를 통해 자신의 고유한 지식 표현 방식을 억압하고, 진정한 목소리를 왜곡할 수 있기 때문이다.[11] 식민지 라틴 아메리카의 사례처럼, 종속된 원주민은 식민지 권력에 호소하기 위해 자신의 언어에 종교와 예속이라는 필터를 사용해야 했다.[11]

베를린에서 열린 ''Internationaler Kongress''에서 연설하는 가야트리 스피박.


역사학자 페르난도 코로닐은 서발턴의 목소리를 듣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자가 자신의 권위를 내려놓고, 서발턴과의 진정한 소통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2][30] 벨 훅스(bell hooks) 역시 학자가 비서구적 타자와 맺는 관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서발턴 원주민과 진정으로 소통하기 위해서는 학자가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3. 1. 서발턴의 목소리

스피박의 논지에 따르면, 서발턴 원주민은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서구적인 지식(언어, 사고, 추론) 방식을 채택해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한다.[11] 이는 서구화를 통해 자신의 고유한 지식 표현 방식을 억압하고, 진정한 목소리를 왜곡할 수 있기 때문이다.[11] 식민지 라틴 아메리카의 사례처럼, 종속된 원주민은 식민지 권력에 호소하기 위해 자신의 언어에 종교와 예속이라는 필터를 사용해야 했다.[11] 1600년, 프란시스카 데 피게로아는 스페인에서 노예로 있던 아프리카 여성으로서, 아메리카 대륙에서 노예로 있는 딸과 함께 있고 싶다는 호소를 왕권에 전달했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모국어 사용을 피하고 스페인어를 사용했으며, 자신을 "물라토"로 지칭하며 낮은 위치에 있음을 강조했다.[29]

역사학자 페르난도 코로닐은 서발턴의 목소리를 듣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자가 자신의 권위를 내려놓고, 서발턴과의 진정한 소통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2][30] 벨 훅스(bell hooks) 역시 학자가 비서구적 타자와 맺는 관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서발턴 원주민과 진정으로 소통하기 위해서는 학자가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4. 개발 담론과 서발턴

주류 개발 담론은 식민주의와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하며, 근대화 이론에 집중한다.[14][31] 이는 덜 발전된 국가의 현대화가 서구 선진국이 취하고 확립한 현대화의 경로를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화는 자유 무역, 시장 개방,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 및 민주적 거버넌스 시스템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국가가 서구식 선진국으로 ''가는 길''에 자국을 현대화해야 하는 수단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주류 개발 담론은 그러한 현대화를 전국적으로 확립하는 보편적인 사회, 정치, 경제 및 문화 정책의 적용에 집중한다.[14]

빅토리아 로슨은 저서 『개발 지리학 만들기』(2007)에서 주류 개발 담론을 하위 주체를 재창조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이는 하위 주체가 지역 및 공동체와 같은 다른 사회적 규모에서 분리되고, 현대화되는 사람들과 국가들 간의 지역, 계급, 민족, 젠더 계층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으며, 하위 주체를 개발의 대상, 즉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는 하위자로 사회 문화적으로 대우하고, 현대화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책 및 실천의 공식화에서 대상인 사람들의 목소리를 배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14][31]

이러한 맥락에서 하위 주체는 자신들을 구성하는 식민 국가의 행정에서 침묵당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주류 개발의 담론에 반대하는 정치적 행동을 통해 들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체적인 적절한 형태의 현대화와 개발을 창조한다. 따라서 하위 주체 사회 집단은 서구 제국주의 권력의 배타적인 권력 주장을 반박하고 해체하는 사회 운동을 창조하여, 지역 지식을 활용하고 적용하여 반대와 대안, 비제국주의적 미래를 위한 새로운 공간을 창출한다.[14][31]

5. 한국 사회와 서발턴

5. 1. 서발턴 여성

5. 2. 서발턴과 민주주의

참조

[1] 서적 Reading Subaltern Studies: Critical History, Contested Meaning and the Globalisation of South Asia Permanent Black
[2] 논문 Subaltern Studies as Postcolonial Criticism 1994-12
[3] 서적 Postcolonia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Interview With Gayatri Chakravorty Spivak: New Nation Writers Conference in South Africa. http://ariel.synergi[...]
[5] 서적 "The Subaltern: Genealogy of a Concept" Polity
[6] 논문 "Rethinking the Subaltern and the Question of Censorship in Gramsci's Prison Notebooks" https://www.academia[...]
[7] 서적 "Unsatisfied: Notes on Vernacular Cosmopolitanism" Camden House
[8] 서적 Race and Racialization: Essential Readings Canadian Scholars Press
[9] 서적 Geographies of Postcolonialism SAGE Publications
[10] 서적 "The West and the Rest: Discourse and Power" Canadian Scholars Press
[11] 서적 Geographies of Postcolonialism SAGE Publications
[12] 논문 Listening to the Subaltern: The Poetics of Neocolonial States
[13] 서적 "Marginality as a Site of Resistance" MIT
[14] 서적 Making Development Geography Hodder Education
[15] 논문 A.グラムシにおけるサバルタン論の生成に関する覚書 https://www.ritsumei[...] 2024-06-18
[16] 논문 〈ポジションとマヌーヴァ〉、「実践の転倒」と成人教育をめぐって : グラムシ「サバルタン」論のポストコロニアル多文化主義批評による再訪ノート https://hdl.handle.n[...] 生涯教育学講座紀要編集委員会事務局 2024-06-18
[17] 논문 Subaltern Studies as Postcolonial Criticism https://www.jstor.or[...]
[18] 서적 サバルタンの歴史 ―インド史の脱構築― http://www.iwanami.c[...] 2011-12-15
[19] 서적 サバルタンは語ることができるか https://www.msz.co.j[...] 2011-12-15
[20] 서적 サバルタンと歴史 http://www.seidosha.[...] 2011-12-15
[21] 서적 Postcolonia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The subaltern: Genealogy of a concept" Polity
[23] 서적 Race and Racialization: Essential Readings Canadian Scholars Press
[24] 서적 Geographies of Postcolonialis SAGE Publications
[25] 서적 Race and Racialization: Essential Readings Canadian Scholars Press
[26] 웹사이트 The Removal of Agency from Africa http://www.africanho[...] Owen Alik Shahadah , African Holocaust Society 2007-01-04
[27] 뉴스 The removal of agency from Africa http://www.pambazuka[...] Pambazuka 2011-12-14
[28] 서적 Geographies of Postcolonialis SAGE Publications
[29] 서적 Afro-Latino Voices: Narratives From the Early Modern Ibero-Atlantic World, 1550-1812 Hackett Publishing Company
[30] 논문 Listening to the Subaltern: The Poetics of Neocolonial States 2011-12-06
[31] 서적 Making Development Geography Hodder Education
[32] 서적 Reading Subaltern Studies: Critical History, Contested Meaning and the Globalisation of South Asia Permanent Black
[33] 서적 Postcolonia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Race and Racialization: Essential Readings Canadian Scholars Press
[35] 서적 Geographies of Postcolonialism SAGE Publications
[36] 서적 "The West and the Rest: Discourse and Power" Canadian Scholars Press
[37] 서적 Geographies of Postcolonialism SAGE Publi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