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주선기념박물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주선기념박물관은 단국대학교 부속 박물관으로, 1967년 개관 이후 고고학, 민속 복식 등 다양한 분야의 유물을 수집, 전시해왔다. 1981년 석주선 박사의 유물 기증을 계기로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으로 개칭되었으며, 1999년 중앙박물관과 통합하여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국보인 단양 신라 적성비와 충주 고구려비, 안중근 의사 유묵 등을 소장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 최대 규모의 복식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2009년 용인 수지캠퍼스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용인 지역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설립된 박물관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은 컨트리 음악의 역사와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기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컨트리 음악 유물 보관소이자 명예의 전당으로, 다양한 소장품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컨트리 음악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경험을 제공한다. - 1967년 설립된 박물관 -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은 조선 시대 명승지였으나 흥선대원군 집권기 천주교 박해로 수많은 신자가 처형당한 곳이며 현재는 절두산순교박물관이 위치한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 유적지이다. - 용인시의 단체 - 느티나무도서관 (용인시)
느티나무도서관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위치한 사립 공공도서관으로, 5만여 권의 장서와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열람실, 메이커스페이스, 텃밭 등의 시설을 갖춘 4층 건물이다. - 용인시의 단체 - 호암미술관
- 단국대학교 - 김학준 (1943년)
정치학자 김학준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정치학 석,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가인 김병로 평전』, 『북한의 역사』 등 다수의 저서를 집필했으며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등을 수상하고 제12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단국대학교 -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는 독립운동가 장형 선생의 교육이념과 조희재 여사의 재산 희사를 바탕으로 1947년 설립된 단국대학의 역사를 잇는 고등학교로, 1983년 서울 대치동에 개교하여 교육 환경 개선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며 2022년 2월 현재 21,18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석주선기념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박물관 정보 | |
이름 | 석주선기념박물관 |
유형 | 박물관 |
국가 | 대한민국 |
웹사이트 | 죽전으로 간 ‘석주선 박물관’ 재정리 마치고 14일 신축개관 |
2. 역사
1978년 단양신라적성비(국보 제198호), 1979년 충주 고구려비(국보 제205호) 등 수많은 문화재를 발견 조사하여 대한민국 역사학계에 공헌하였다. 1981년 고 난사 석주선 박사가 평생 수집한 유물 3,365점을 기증하여 대한민국 민속 복식 분야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2001년 경기도 양주 해평 윤씨 묘역에서 350년 된 6세 소년의 미라와 부모의 옷(중치막)을 수습하여 조선 복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고, 세계적으로도 주목받았다.[3][4] 같은 해 문화기반시설 박물관 부문(문화관광부)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2004년 10월 세계박물관 대회(ICOM) 특별전을 개최하였고, 2009년 4월 14일 단국대학교 수지캠퍼스로 이전하여 신축박물관을 개관하였다.
연도 | 내용 |
---|---|
1967년 | 11월 개교 20주년을 맞아 단국대학교 박물관 개관 |
1967년 | 경상남도 사천 구평리, 송지리 발굴 |
1976년 | 7월 이희승 박사를 위원장으로 하는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건립사업 추진위원회 발족 |
1978년 | 단양지구조사에서 온달산성과 신라의 북진로를 조사하던 중 단양 신라 적성비(국보 제198호) 발견 |
1979년 | 충청북도 중원군에서 충주 고구려비(국보 제205호) 발견 |
1981년 | 5월 석주선 박사가 3,365점의 유물을 기증하여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개관 |
1987년 | 일본인 오리타 간지(折田幹二)로부터 안중근 의사 유묵(보물 제569-21호) 기증받음 |
1999년 | 3월 중앙박물관과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을 석주선기념박물관으로 통합 |
2001년 | 제1종 종합박물관(문화관광부)으로 정식 등록, 문화기반시설 박물관 부문(문화관광부) 장려상 수상, 경기도 양주 해평 윤씨 묘역에서 남아 미라와 복식 수습 |
2004년 | 10월 서울 세계박물관 대회(ICOM) 특별전 개최 |
2006년 | 4월 석주선 박사 10주기 추모 특별전 개최 (서울역사박물관), 6월 석주선 박사 추모 10주년 전통 옷 선보이기(패션쇼) 개최(하이얏트 호텔 컨벤션 센터) |
2008년 | 8월 수지캠퍼스로 학교 이전 계획 발표[5] |
2009년 | 4월 14일 단국대학교 수지캠퍼스에서 신축박물관 개관, 대학 박물관으로는 처음으로 전문학술지 『한국복식사』 발간[6] |
2. 1. 설립과 초기 활동 (1967년 ~ 1981년)
1967년 11월, 단국대학교 개교 20주년을 맞아 박물관이 개관하였다. 개관 직후부터 지표조사와 발굴을 통해 1978년에는 단양 신라 적성비(국보 제198호), 1979년에는 충주 고구려비(국보 제205호)를 비롯해 수많은 문화재를 발견 조사하여 대한민국 역사학계에 공헌을 인정받았다.[3] 1978년 단양지구조사에서 온달산성과 신라의 북진로를 조사하던 중 단양 신라 적성비(국보 제198호)를 발견하였고, 1979년 충청북도 중원군에서 충주 고구려비(국보 제205호)를 발견하였다.1976년 7월 이희승 박사를 위원장으로 하는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건립사업 추진위원회가 발족되었고, 1981년 5월 고 난사 석주선 박사가 평생 수집한 3,365점의 유물을 기증함에 따라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이 개관하였다.[3]
2. 2. 석주선 박사의 기증과 민속박물관 개관 (1981년 ~ 1999년)
1981년 5월 고(故) 난사 석주선 박사가 평생 수집한 3,365점의 유물을 기증하여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이 개관하였다. 석주선 박사의 기증품은 대한민국 민속 복식 분야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1987년에는 일본인 오리타 간지(折田幹二)로부터 안중근 의사 유묵(보물 제569-21호)을 기증받았다. 이는 민족의 독립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로 평가된다.
2. 3. 통합과 발전 (1999년 ~ 2009년)
1999년 3월, 중앙박물관과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이 석주선기념박물관으로 통합되었다.[3] 2001년 제1종 종합박물관(문화관광부)으로 정식 등록되었고,[3] 같은 해 문화기반시설 박물관 부분(문화관광부) 장려상을 수상하였다.[3] 2001년 경기도 양주 해평 윤씨 묘역에서 350년 된 6세 소년의 실물 남아 미라와 당시 시신을 감싸 관에 넣어졌던 부모의 옷(중치막)이라는 조선 복식을 수습하여[3][4] 조선시대 복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2004년 10월 세계박물관 대회(ICOM) 특별전을 개최하여[3] 국제적인 교류를 확대하였다. 2006년 4월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고(故) 난사 석주선 박사 10주기 추모 특별전을 개최하여 그의 업적을 기렸다.[3]2. 4. 용인 이전과 새로운 도약 (2009년 ~ 현재)
2007년 8월 30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서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로 이전한 석주선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에 연면적 4844m2 규모이며 3개의 수장고를 갖추고 있다.[2] 2009년 4월 14일 단국대학교 수지캠퍼스에서 신축박물관을 개관하였다.2001년 경기도 양주 해평 윤씨 묘역에서 350년 된 6세 소년의 실물 남아 미라와 당시 시신을 감쌌던 부모의 옷(중치막)을 공개하여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3][4]

용인문화원 주관으로 1997년부터 향토문화유적답사를 동서남북 4개 코스로 운영하였고, 2013년부터 기본 5개 코스에 특별 5개 코스를 추가하여 총 10개 코스로 확대하였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은 이 중 3코스에 포함되어 있다.
3. 주요 유물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는 보물 1점(안중근 의사 유묵, 보물 제569-21호)을 비롯하여 총 11건 100점의 중요민속 문화재, 고고 미술, 민속 복식에 이르기까지 약 4만여 점의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1][3]
석주명의 유품 및 관련 사료 50여 점 또한 이곳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전쟁 당시 석주명은 연구 자료와 나비 표본을 지키기 위해 박물관에 남았으나, 폭격으로 대부분 소실되었다. 이후 석주선의 도움으로 복원 작업을 시작했으나, 1950년 10월 6일 석주명은 인민군으로 오인받아 총격으로 사망하였다.
3. 1. 고고학 유물
- 중원 고구려비 (국보 제205호)
- 단양 신라 적성비 (국보 제198호)
- 경주 능지탑터 출토 금동여래입상, 불좌상
- 경기 이천 설성산성의 새발자국무늬항아리
- 포천 반월산성 출토 기와
- 강원도 양양군 진전사터의 금동용두(金銅龍頭)
3. 2. 복식 유물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복식 자료(총 9,412점)가 소장되어 있다.[1][3] 주요 소장품으로는 덕온공주당의(중요민속문화재 제1호), 덕온공주의복(중요민속자료 제211호), 덕온공주유물(중요민속자료 제212호), 항아당의(중요민속자료 제213호), 흥선대원군 자적단령(중요민속자료 제214호), 조선 광해군의 정비인 중궁 유씨의 당의, 조선 말기 문신 심동신의 조복(朝服) 등이 있다.3. 3. 기타 유물

4. 학술 조사 사업
단국대학교 박물관으로는 처음으로 전문학술지 『한국복식사』를 발간하여 한국 복식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였다.[6]
- 주요 발굴조사
5. 위치
2007년 8월 30일 이전에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 있었으나, 이후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내로 이전하였다.[2]
참조
[1]
뉴스
죽전으로 간 ‘석주선 박물관’ 재정리 마치고 14일 신축개관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3-07-15
[2]
뉴스
조선시대 미라와 이집트 미라, 어떻게 다른가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3-07-17
[3]
서적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석주선 박사 10주기 추모 우리 옷 선뵈기)
단국대학교출판부
2011-05-10
[4]
뉴스
“발로 뛴 사진 120만 장 모아 한국미술사연구 집대성할 것”
https://news.naver.c[...]
동아일보(네이버)
2013-03-12
[5]
뉴스
수지 신캠퍼스 이전, 개교 60주년, 천안캠퍼스 개교 30주년...’
https://www.dankook.[...]
단국대학교
2007-01-09
[6]
서적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