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단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섬(石, 고쿠)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부피 및 생산량의 단위이다. 한국, 일본, 중국에서 각기 다른 역사와 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봉건 시대의 토지 생산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쌀 한 가마니의 용적을 의미하며, 일본에서는 쌀 10말, 약 180리터에 해당하는 부피를, 중국에서는 질량의 단위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일본의 사케 제조량 표기, 목재 거래 등 일부 상업 관행에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척관법 - 자 (단위)
척(尺)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길이 단위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길이가 다양하게 변화했으며, 현재는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 척관법 - 되
되는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부피 단위로, 일본에서 다이호 율령 시기부터 사용되어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크기로 존재했으며, 에도 시대 신쿄 되가 표준으로 사용되다 메이지 시대 미터법에 따라 크기가 정의되었으나 현대에는 사용이 금지되었고, 일본 문화에서 번성을 기원하는 상징으로도 활용되었다. - 사용하지 않는 단위 - 척관법
척관법은 동아시아에서 길이, 면적, 부피, 질량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던 전통적인 단위계이며, 일본과 한국에서는 미터법으로 대체되었지만 일부 분야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 사용하지 않는 단위 - 측정 단위
측정 단위는 물리량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준으로, 초기에는 인체 치수나 자연 현상을 기준으로 발전했으나 국제단위계(SI)가 표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단위의 통일과 정확한 사용은 안전과 효율성을 위해 필수적이다. - 부피의 단위 - 리터
리터는 10 센티미터 정육면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 단위로, 미터법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재정의되었고, SI 단위는 아니지만 SI와 함께 사용이 허용되며, 실생활과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단위 기호로 l과 L이 함께 쓰인다. - 부피의 단위 - 세제곱미터
세제곱미터(m³)는 부피를 나타내는 SI 단위로, 1m x 1m x 1m의 공간을 차지하며, 1,000 리터와 같고, 물의 질량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 섬 (단위) | |
|---|---|
| 단위 정보 | |
| 종류 | 척관법의 부피 단위 |
| 정의 | 10 두 |
| SI 단위 환산 | 180.39 L (일본) 100 L (중국) |
| 어원 및 명칭 | |
| 명칭 | 석 (斛) |
| 한자 (한국어) | 석 (石) |
| 한자 (중국어) | 斛 (hú) 또는 石 (dàn, shí) |
| 일본어 | 斛 (こく, koku) |
| 사용 정보 | |
| 설명 | 과거 일본에서 쌀의 생산량을 측정하는 단위로 사용됨. 다이묘의 재력을 나타내는 기준으로도 사용됨. |
| 환산 | 1 koku = 10 두 (to) |
| 환산 (리터) | 약 180 L |
| 환산 (무게) | 약 150 kg (현미) |
| 참고 사항 | 성인 남성 1명이 1년간 소비하는 쌀의 양은 약 1.8 koku로 여겨졌음. |
| 한국에서의 '섬' 정보 | |
| 한국어 명칭 | 섬 |
| 설명 | 한국에서도 곡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로 사용됨. 1섬은 약 144 kg에 해당하며, 쌀 80 kg을 담는 포대 1.8개에 해당함. |
| 참고 사항 | 과거에는 '섬'을 '苫'으로 표기하기도 했음. |
2. 역사
섬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기준이 달랐던 부피와 무게의 단위이다.
조선 시대에는 '石'으로 표기하고 '섬'으로 읽었으며, '苫'이라는 한자를 사용하기도 했다.[5][6] 1섬은 10말이었으나,[7] 신라 시대에는 15말이었다.[6]
일본에서는 '石'을 '고쿠'라고 읽으며, 1석은 10말, 100되, 1000홉에 해당한다.[1] 에도 시대에 신교마스로 통일되면서 현재와 같은 용량(약 180.39L)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石'을 '단'이라고 읽으며, 10두와 같다. 원래 "석(石)"은 질량의 단위였으나, 『사기(史記)』 등 고대 문헌에서 부피 단위로 사용된 예가 보인다.
2. 1. 한국
조선 시대에는 한자 '石'으로 표기하고, 한자음은 '석'으로 읽었으나, '가마'와 동일시되어 고유어인 '''섬'''으로 더 자주 불렀다.[5] '苫'이라는 한자를 사용하기도 했다.[5][6]1섬의 용량은 180L이지만, 곡물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무게는 달랐다. 낟알은 200kg, 쌀은 144kg, 정맥은 138kg이다. 1섬은 10말이다.[7] 그러나 신라 시대에는 원래 15말이었다.[6]
2. 2. 일본
일본에서는 '石'을 '고쿠'라고 읽으며, 1000석 이상일 경우 탁음화되어 '고쿠'로 발음한다. 1석은 10말, 100되, 1000홉에 해당한다.[1] 성인 1명이 1년 동안 소비하는 쌀의 양(약 1홉/1끼, 3홉/1일)을 기준으로 1석이 정해졌다.에도 시대 간분 9년(1669년)에 신교마스로 통일되면서 현재와 같은 용량(약 180.39L)이 되었다. 메이지 시대에 미터법을 채택하면서 1되 = 약 1.8039L로 정해졌고, 이에 따라 1석 = 약 180.39L가 되었다.[1]
배의 적재량이나 목재의 체적을 나타낼 때는 1석 = 10 입방 자 (약 278L)로 계산한다. 현재는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나, 목재 거래 등 일부 상업 관행에 남아있다.
2. 3. 중국
중국의 단(중국어: 石, 병음: dàn, 주음 부호: ㄉㄢ)은 10두(斗, dǒu) "곡"과 같고, 100 승(升, shēng) "파인트"와 같다. 현재의 단은 부피가 103L이지만, 당 시대(618–907)의 단은 59.44L에 해당했다.원래 "석(石)"은 '세키'로 읽으며, 질량의 단위였다. 『공총자(孔叢子)』에 "균 넷을 석(石)이라 한다(鈞四謂之石)", 『회남자(淮南子)』에 "사균을 일석(四鈞為一石)으로 한다"고 하여, 1균은 30근(斤)이므로 1석은 120근이 된다. 예를 들어, 한(漢) 시대의 근은 약 258g이었으므로, 1석은 약 31kg이 된다.
『한서(漢書)』 율력지(律暦志)에는, 부피의 단위로 "두(斗)"의 10배인 "곡(斛, )"이 있고, 한편 질량의 단위로는 "근"의 120배인 "석(石, )"이 있었다. 그러나, "석"을 부피의 10두의 의미로 사용한 예가 『사기(史記)』 등 고대 문헌에서도 보인다.
송(宋) 왕조 시대에는 부피의 단위로서 10두가 1석, 5두가 1곡으로 정해졌으며, 이후 중국에서 "석"과 "곡"은 별개의 단위가 되었다.
근대에 이와는 별개로 지게를 의미하는 "담(担/擔)"이 단위로 사용되게 되었고, 이것이 "석"과 혼동되어 사용되었다. 현재 중국의 시제(市制) (단위계)에서는 부피에 "석"(= 10두, 100L), 질량에 "담(担/擔)"(= 100근, 50kg)의 글자를 사용하지만, 둘 다 발음은 "담"에서 유래한 ""이다.
근대 중국에서는, 실용되지 않는 단위이지만, 미터법에서의 100L에 해당하는 헥토리터(hL)에 "석"자를 붙여 "공석(公石)"이라고 칭하기도 했으며, 시제(市制) (단위계)의 "시석(市石)"도 같은 값이다.
과거, 홍콩에서는 120근의 "석"이 영어로 stone이라고 직역되기도 했다. 야드파운드법의 질량 단위에 동음이의어(cf. 동음이의어)인 스톤이 있지만, 홍콩의 자관법의 석은 72.5747784kg(=160파운드), 야드파운드법의 스톤은 약 6.4kg(=14파운드)으로, 그 값은 크게 다르다.
"곡"은 현대 중국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3. 석고제(石高制)
중세 말기부터 근세 말기에 걸쳐 일본에서는 토지의 종합적인 생산력을 곡물인 "쌀"의 양으로 환산한 수치를 "고쿠(石高)"로 명시했으며, 이는 지역별 세력과 영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었다. 고쿠의 차이는 전쟁 시 동원력과 경제력의 우열과 관련이 있었다.[3]
에도 시대 도쿠가와 막부 (1603–1868) 치하에서, 각 봉건 영지는 막부 조정에서의 우선 순위를 부분적으로 결정하는 ''고쿠다카''(생산량)라고 알려진 잠재적 수입에 대한 평가를 받았다. 영주가 ''다이묘'' 칭호를 얻기 위한 최소 ''고쿠다카''는 10,000 ''고쿠'' (705528600JPY 상당)였으며, 가가 번은 (''쇼군''을 제외하고) 가장 큰 영지였으며 "백만 ''고쿠'' 영지"라고 불렸다. 그 소유지는 약 1,025,000 ''고쿠'' (72300000000USD 상당)에 달했다. 많은 사무라이, 심지어 ''하타모토''(고위 사무라이)를 포함해서, ''고쿠''로 봉급을 받았으며, 일부는 대신 급여를 받았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고쿠다카''는 현미(''겐마이'')로 보고되었으며, 사쓰마 번이 통치하는 토지를 제외하고는 껍질을 벗기지 않거나 도정하지 않은 쌀(籾|모미일본어)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관행이 지속되었기 때문에 과거 일본 쌀 생산 통계는 백미 또는 쌀 도정기로 생산량을 보고하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기 위해 조정되어야 한다.
쌀을 재배할 수 없는 도호쿠 지방이나 에조 (홋카이도)의 특정 지역에서도, 경제는 여전히 ''고쿠''로 측정되었으며, 다른 작물과 생산물은 쌀 가치로 환산되었다. ''고쿠다카''는 매년 조정되지 않았고, 토지 개간과 새로운 논 개발로 인해 일부 영지는 명목상의 ''고쿠''가 나타내는 것보다 더 큰 경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개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할 수 있었다.
4. 현대적 용도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부터의 관습에 따라, 현재도 일본 술 등의 양조 업계에서 제조량을 석고(쌀 생산량으로 토지를 평가하던 제도)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조석고(造石高)라고 부른다.[1] 목재 거래에서 1섬은 "1자 x 1자 x 10자"로 계산된다.
5. 문화
햐쿠만고쿠 축제(백만 석 축제)는 일본 가나자와시에서 1583년 다이묘 마에다 도시이에의 입성을 기념하는 축제이다. 마에다 가문의 쌀 생산량은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 100만 석을 넘었다.[3]
6. 소설
제임스 클래벨의 소설 쇼군은 주요 등장인물들이 보상, 처벌, 유인책으로 사용하는 플롯 장치로 곡물 단위(섬)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이는 허구이지만, 봉토, 쌀 척도 및 지불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참조
[1]
간행물
2012
[2]
간행물
1978
[3]
웹사이트
Shōhisha bukka shisū (CPI) kekka
http://www.e-stat.go[...]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2018-04-14
[4]
웹사이트
(附)参考資料 地域森林計画の用語解説
https://www.pref.yam[...]
2023-12-23
[5]
서적
"{{lang|ko|개정증보판 韓國 固有漢字 硏究}}"
보고사(寶庫社)[集文堂(집문당)]
2014
[6]
웹사이트
"{{lang|ko|섬}} [苫]"
https://terms.naver.[...]
네이버
2019-12-29
[7]
논문
"{{lang|ko|국내쌀 포장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国内米包装デザイン改善に関する研究)"
http://www.riss.kr/l[...]
한밭대 산업대학원
2019-12-29
[8]
웹인용
섬
https://encykorea.ak[...]
2023-08-06
[9]
저널
국내쌀 포장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한밭대 산업대학원
2007-02
[10]
웹인용
섬,석,가마,T
https://www.joongang[...]
2023-08-06
[11]
문서
섬 [苫] 엔사이버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