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북구 을은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 선거구로, 성북구의 일부 지역을 관할한다. 1996년과 2008년 선거를 제외하고 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가 강세를 보였으며, 조윤형, 신계륜, 강성재, 조순형, 김효재, 기동민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김남근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정치 - 성북구 갑
성북구 갑은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성북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중도좌파 성향이 강했으나 2008년 이후 변화를 겪었고, 2020년에는 더불어민주당 김영배 의원이 당선되었다. - 서울 성북구의 정치 - 성북구청장 선거
성북구청장 선거는 성북구청장을 선출하기 위해 1995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역대 선거에서 다양한 정당의 후보가 당선되었고, 2022년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승로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성북구 을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선거구 이름 | 성북구 을 |
선거구 유형 | 단독 선거구 |
의회 | 국회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
구역 | 성북구 (일부) |
선거구 설정 연도 | 1988년 |
선출 의원 수 | 1명 |
총 의석 수 | 1석 |
이전 선거구 | 성북구 |
유권자 수 | 180,743명 (2020년 기준) |
대표 정보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김남근 |
2. 역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소선거구제가 다시 도입되면서 성북구 선거구가 성북구 갑과 성북구 을로 나뉘어 신설되었다. 처음에는 돈암1동, 길음3동, 종암동, 월곡동, 상월곡동, 장위동, 석관동을 관할했다.[1]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길음2동 전체가 성북구 을로 넘어오는 조정이 있었다.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보면, 1996년 (강성재, 신한국당)과 2008년 (김효재, 한나라당)을 제외하고는 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들이 꾸준히 당선되어 민주당의 텃밭으로 여겨진다.[1][2]
- 조윤형 (평화민주당) 의원이 이 지역구의 첫 국회의원이었다.[3]
- 신계륜 (민주당) 의원은 1992년 총선에서 당선되었으나, 1996년 재선에서는 신한국당 강성재 후보에게 패했다.[4]
- 신계륜 의원은 2000년 총선에서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다시 당선되었고, 2004년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재선에 성공했다.[5][6]
- 신계륜 의원은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2006년에 의원직을 상실했다.[7][8][9][11][12]
- 2006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조순형 (민주당) 의원이 당선되었다.[13][14]
- 김효재 (한나라당) 의원은 2008년 총선에서 당선되었다.[15]
- 신계륜 의원은 2012년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소속으로 다시 당선되었으나, 2015년 입법 로비 의혹으로 또다시 정치적 어려움을 겪었다.[16][17][18]
-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6년 총선과 2020년 총선에서 연이어 당선되었다.[19][20]
선거 | 정당 | 의원 |
---|---|---|
1988년 | 평화민주당 | 조윤형 |
1992년 | 민주당 | 신계륜 |
1996년 | 신한국당 | 강성재 |
2000년 | 새천년민주당 | 신계륜 |
2004년 | 열린우리당 | |
2006년 | 민주당 | 조순형 |
2008년 | 한나라당 | 김효재 |
2012년 | 민주통합당 | 신계륜 |
2016년 | 더불어민주당 | 기동민 |
2020년 | 더불어민주당 | |
2024년 | 더불어민주당 | 김남근 |
성북구 을 지역구는 1996년과 2008년 선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민주당 계열 정당이 강세를 보여온 지역이다.[1][2] 역대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관할 구역
대수 관할 구역 13 ~ 17대 성북구 돈암1동, 길음3동, 종암1동, 종암2동, 월곡1동, 월곡2동, 월곡3동, 월곡4동, 상월곡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석관1동, 석관2동 18대 ~ 현재 성북구 돈암1동, 길음2동, 종암동, 월곡1동, 월곡2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석관동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의원 정당 임기 1988년 조윤형 평화민주당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1992년 신계륜 민주당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1996년 강성재 신한국당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2000년 신계륜 새천년민주당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2004년 신계륜 열린우리당 2004년 5월 30일 ~ 2006년 2월 10일[11][12] 2006년 재보궐선거 조순형 민주당 2006년 7월 27일 ~ 2008년 5월 29일 2008년 김효재 한나라당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2012년 신계륜 민주통합당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16년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020년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2024년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2024년 5월 30일 ~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 의원 정당 임기 비고 1988년 조윤형 평화민주당 1988년–1992년 국회부의장 (1990년–1992년) 1992년 신계륜 민주당 1992년–1996년 1996년 강성재 신한국당 1996년–2000년 2000년
2004년신계륜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2000년–2006년 서울특별시 부시장 (1998년–1999년)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2006년 2월 10일 의원직 상실[11][12]2006년 재보궐 조순형 민주당 2006년–2008년 2008년 김효재 한나라당 2008년–2012년 2012년 신계륜 민주통합당 2012년–2016년 2016년
2020년기동민 더불어민주당 2016년–2024년 서울특별시 부시장 (2012년–2014년) 2024년 김남근 2024년–현재 5. 1.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소선거구제가 다시 도입되면서 성북구 선거구가 성북구 갑과 성북구 을로 나뉘어 신설되었다. 당시 성북구 을에는 돈암1동, 길음3동, 종암동, 월곡동, 상월곡동, 장위동, 석관동이 포함되었다.[3]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윤형 | 평화민주당 | 50,310 | 38.57% |
강성재 | 민주정의당 | 30,771 | 23.59% |
현승일 | 통일민주당 | 30,600 | 23.46% |
김유 | 신민주공화당 | 16,833 | 12.90% |
임태백 | 한겨레민주당 | 1,904 | 1.45% |
총합 | 130,418 | 100% |
이 선거에서 중도자유주의 성향의 평화민주당 소속 조윤형 후보가 당선되어 성북구 을 지역구의 초대 국회의원이 되었다.[3]
5. 2.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신계륜 후보가 당선되었다.[4]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신계륜 | 민주당 | 52,935 | 41.67% |
강성재 | 민주자유당 | 44,999 | 35.42% |
이필선 | 통일국민당 | 25,661 | 20.20% |
송수강 | 신정치개혁당 | 3,423 | 2.69% |
합계 | 127,018 | 100% |
5. 3.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강성재 후보가 42.5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정치국민회의 신계륜 후보는 39.16%의 득표율로 낙선했다.[4]
5. 4.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성북구 을) |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신계륜 | 새천년민주당 | 50,644 | 52.21% | 당선 |
강성재 | 한나라당 | 38,818 | 40.02% | |
목지영 | 청년진보당 | 4,198 | 4.32% | |
김지운 | 자유민주연합 | 3,335 | 3.43% | |
합계 | 96,995 | 100% |
5. 5.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신계륜 후보가 50.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7][8][9] 한나라당 최수영 후보는 39.05%, 새천년민주당 박찬희 후보는 9.95%를 득표했다. 신계륜 후보는 대검찰청으로부터 3억 원에 달하는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수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당선되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열린우리당 | 신계륜 | 54,979 | 50.99% |
한나라당 | 최수영 | 42,101 | 39.05% |
새천년민주당 | 박찬희 | 10,728 | 9.95% |
합계 | 107,808 |
5. 6. 200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04년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소속 신계륜 의원이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수사 중임에도 재선에 성공하였으나,[7][8][9][10] 2006년 2월 10일 유죄 판결을 받아 의원직을 상실하였다.[11][12] 이에 따라 2006년 7월 26일 재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13][14]200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는 민주당 조순형 후보가 44.2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13][14] 한나라당 최수영 후보는 40.06%, 열린우리당 조재희 후보는 9.99%, 민주노동당 박창완 후보는 5.63%를 득표하였다.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민주당 | 조순형 | 23,382 | 44.29% |
한나라당 | 최수영 | 21,149 | 40.06% |
열린우리당 | 조재희 | 5,276 | 9.99% |
민주노동당 | 박창완 | 2,975 | 5.63% |
합계 | 52,782 |
5. 7.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김효재 후보가 당선되었다. 전 지역구 의원이었던 신계륜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29%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다.[15]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효재 | 한나라당 | 38,322 | 47.25% |
신계륜 | 무소속 | 23,577 | 29.07% |
박찬희 | 통합민주당 | 14,293 | 17.62% |
박창완 | 진보신당 | 4,266 | 5.26% |
정종수 | 평화통일가정당 | 638 | 0.78% |
합계 | 81,096 | 100% |
5. 8.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총선에서 신계륜은(는) 민주통합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53.98%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성북구 을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복귀했다.[16][17] 그러나 2015년 서울예술대학 관련 입법 로비 의혹으로 또다시 정치적 스캔들에 휘말렸다.[18]5. 9.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지낸 기동민 후보를 공천했다. 기동민 후보는 새누리당 김효재 전 의원을 누르고 당선되었다.[19]5. 10.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후보가 59.3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20]
5. 11.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성북구 을)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더불어민주당 | 김남근 | 68,872 | 56.82% | |
국민의힘 | 이상규 | 52,328 | 43.17% | |
합계 | 121,200 | |||
무효표 | 2,039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후보가 56.8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22대 총선 프로젝트][서울](3)4.10 총선 뛰는 사람들... ‘외곽벨트’ 23개 지역구, 민주당 상대적 강세지역
https://www.polinews[...]
2024-03-18
[2]
웹사이트
격전지 '총력전' 나선 민주당…지지층 결집 읍소
https://www.nocutnew[...]
2024-03-18
[3]
웹사이트
7ㆍ26 재보선 조순형 화려한 부활
https://n.news.naver[...]
2024-03-18
[4]
웹사이트
[여의도 정가산책] 정치인의 악몽… 낙선·낙천…떨어지면 정치가 보인다
https://n.news.naver[...]
2024-03-18
[5]
웹사이트
[총선이후] 재대결 후보 喜悲 .. 정대철, 박성범에 설욕
https://n.news.naver[...]
2024-03-18
[6]
웹사이트
노무현 정부2년-열린우리당의 실세들
https://n.news.naver[...]
2024-03-18
[7]
웹사이트
"신계륜 의원 '굿머니'서 불법정치자금 받았다"
https://n.news.naver[...]
2024-03-18
[8]
웹사이트
굿머니 불법자금 받은 신계륜 의원 24일 소환
https://n.news.naver[...]
2024-03-18
[9]
웹사이트
"신계륜의원, 굿머니서 3억받아"
https://n.news.naver[...]
2024-03-18
[10]
웹사이트
재판계류 당선자 7명 ‘산넘어 산’
https://n.news.naver[...]
2024-03-18
[11]
웹사이트
신계륜 의원직 상실, 여당의석 또 줄어
https://www.khan.co.[...]
2024-03-18
[12]
웹사이트
신계륜 집유 확정…의원직 상실(종합)
https://n.news.naver[...]
2024-03-18
[13]
웹사이트
민주 조순형 성북을 당선,한나라 3곳 승리
https://n.news.naver[...]
2024-03-18
[14]
웹사이트
서울 성북을 조순형 당선..재보선 3:1
https://n.news.naver[...]
2024-03-18
[15]
웹사이트
서울-최종
https://n.news.naver[...]
2024-03-18
[16]
웹사이트
[4.11 총선] 민주통합, 수도권에서 약진
https://www.newscj.c[...]
2024-03-18
[17]
웹사이트
"中原을 잡는 당이 서울의 승자"
https://www.donga.co[...]
2024-03-18
[18]
웹사이트
‘입법로비’ 신계륜 징역 2년ㆍ신학용 징역 2년 6개월 실형 선고(종합)
https://news.heraldc[...]
2024-03-18
[19]
웹사이트
[당선자] '박원순맨' 기동민, 20대 국회 입성
https://www.news1.kr[...]
2024-03-18
[20]
웹사이트
[서울구청장선거-18] ‘현역’ 이승로 vs ‘의원 출신’ 정태근… 진보성향 성북구 선택은
https://www.segye.co[...]
2024-03-18
[21]
웹사이트
발길 돌린 조순형, 자유선진당으로
https://www.segye.co[...]
2024-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