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칠곡군의 농어촌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주군·칠곡군의 농어촌버스는 성주군과 칠곡군에서 운행되는 농어촌버스 노선 및 운임 정보를 다룬다. 2024년 12월 14일 기준, 좌석버스는 어른 1,900원(카드), 2,000원(현금), 일반버스는 어른 1,500원(카드/현금)이며, 칠곡군 관내 노선은 김천시, 구미시 시내버스와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및 도시철도와는 광역환승제를 적용한다. 주요 노선으로는 7, 9, 20, 21, 26, 27, 30, 31, 32, 33, 34, 34-1, 35, 36, 37, 38, 41, 41-1, 42, 50, 50-1, 51, 51-1, 200, 250, 250-1, 300, 400번 등이 있으며, 대구광역시 및 구미시 시내버스 노선 정보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주군의 교통 -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경기도 양평군을 잇는 총 연장 301.7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1976년 대구-마산고속도로로 지정되어 2001년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성주군의 교통 -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은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을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로서, 1996년 '통영 ~ 칠곡선'으로 지정된 후 2016년 노선 변경을 거쳐 창원, 함안, 의령, 합천, 창녕, 청도, 달성, 고령, 성주를 경유하며 총 연장 253.4km에 이른다. - 칠곡군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칠곡군의 교통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경상북도의 버스 교통 - 경주시의 시내버스
경주시의 시내버스는 새천년미소에서 급행, 시내, 좌석, 순환버스로 나뉘어 운행되며, 각 노선은 경주시와 인접 지역을 연결하고 교통카드 이용 시 환승 할인 혜택이 있는 단일요금제를 적용한다. - 경상북도의 버스 교통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은 경주시에 위치하며 전국 각지로 향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2010년대 이후 노선 변경이 있었다.
성주군·칠곡군의 농어촌버스 | |
---|---|
버스 정보 | |
관리 기관 | 성주군청 건설과 교통행정담당 칠곡군청 지역경제과 교통행정담당 |
차적지 | 경상북도 성주군, 칠곡군 |
운행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칠곡군, 김천시, 고령군, 대구광역시 중구, 서구, 북구, 달서구, 달성군, 군위군 효령면 |
노선 수 | 24 |
인가 대수 | 39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원패스, 레일플러스, 티머니, 이즐, 한페이 |
후불 카드 | KB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하나카드 |
웹사이트 | 성주군청 농어촌버스 노선안내 칠곡군 버스 노선안내 |
2. 운임
2024년 12월 14일 기준이다.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1,900 | 2,00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300 | 1,60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800 | 1,500 | |
일반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50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850 | 1,20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400 | 800 |
칠곡군 관내 노선은 김천시의 시내버스, 구미시의 시내버스와 광역환승 협의를 맺어 2013년 11월 1일부터 무료 환승이 적용된다.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및 대구 도시철도와는 2024년 12월 14일부터 광역환승제를 적용하고, 동시에 시계외요금을 폐지했다.
과거 시계외요금을 받을 당시에는 성주군 관내 또는 칠곡군 관내 구간에만 기본요금을 적용했다. 성주군과 칠곡군을 오가거나 구미, 대구 등으로 이동할 때 시계외요금(10km 이후)은 km당 116.14원씩 가산했다. 칠곡-대구북부간 250번 노선의 경우 최대 2,000원까지 부과되었다.
2. 1. 운임 요금표
wikitext2024년 12월 14일 기준이다.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1,900 | 2,00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300 | 1,60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800 | 1,500 | |
일반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50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850 | 1,20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400 | 800 |
칠곡군 관내 노선은 김천시의 시내버스, 구미시의 시내버스와 광역환승 협의를 맺어 2013년 11월 1일부터 무료 환승이 적용된다.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및 대구 도시철도와는 2024년 12월 14일부터 광역환승제를 적용하고, 동시에 시계외요금을 폐지했다.
과거 시계외요금을 받을 당시에는 성주군 관내 또는 칠곡군 관내 구간에만 기본요금을 적용했다. 성주군과 칠곡군을 오가거나 구미, 대구 등으로 이동할 때 시계외요금(10km 이후)은 km당 116.14원씩 가산했다. 칠곡-대구북부간 250번 노선의 경우 최대 2,000원까지 부과되었다.
2. 2. 광역환승제
2. 3. 과거 시계외요금
3. 버스 노선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노선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 비고 | ||
---|---|---|---|---|---|---|
7 | 숭오리 | ↔ | 문양역 | 북삼, 약목, 왜관, 왜관공단, 동곡 | 2회 | |
9 | 성곡리 | ↔ | 문양역 | 석적, 왜관, 왜관공단, 동곡 | 2회 | |
20 | 왜관북부 | ↔ | 문양역 | 왜관남부, 왜관공단, 동곡 | 5회 | |
21 | 왜관북부 | → | 왜관북부 | 왜관남부, 왜관공단(1,2,3), 낙산3리, 왜관공단, 왜관남부 | 5회 | |
26 | 왜관북부 | ↔ | 봉계리 | 왜관남부, 삼청, 매원 | 5회 | |
27 | 왜관북부 | ↔ | 기곡리(하빈면) | 왜관남부, 삼청, 연화, 금호 | 2회 | |
30 | 왜관북부 | ↔ | 도개2리 | 망정 | 6회 | |
31 | 도개2리 | ↔ | 석적 | 망정 | 2회 | |
32 | 왜관북부 | ↔ | 천평 | 망정, 도개, 다부 | 2회 | |
33 | 왜관북부 | ↔ | 심곡 | 망정, 도개, 다부, 천평 | 1회 | |
34 | 왜관북부 | ↔ | 송산3리 | 망정, 도개, 다부, 동명 | 1회 | |
34-1 | 왜관북부 | ↔ | 송산3리 | 망정, 도개, 다부, 대구예술대, 동명 | 2회 | |
35 | 왜관북부 | ↔ | 황학리 | 망정, 도개 | 2회 | 200번과 연계 |
36 | 왜관북부 | ↔ | 동명 | 망정, 도개, 다부 | 2회 | |
37 | 동명 | ↔ | 가천리 | 3회 | ||
38 | 칠곡경대병원 | ↔ | 한티재 | 칠곡경대병원역, 동명, 남원리, 가산산성야영장 | 4회 | |
41 | 왜관북부 | ↔ | 각산 | 기산, 경북과학대 | 3회 | |
41-1 | 왜관북부 | ↔ | 각산 | 기산, 경북과학대, 비룡사 | 2회 | |
42 | 왜관북부 | ↔ | 인촌 | 기산, 경북과학대, 각산 | 1회 | |
50 | 왜관북부 | ↔ | 문양역 | 왜관남부, 군립도서관, 노석, 광영 | 2회 | |
50-1 | 왜관북부 | ↔ | 문양역 | 왜관남부, 군립도서관, 기산, 노석, 제정리, 광영 | 1회 | |
51 | 왜관북부 | ↔ | 광영 | 왜관남부, 군립도서관, 노석 | 1회 | |
51-1 | 왜관북부 | ↔ | 광영 | 왜관남부, 군립도서관, 기산, 노석 | 2회 | |
200 | 황학리 | ↔ | 대구북부 | 신동, 신동재, 대구보건대, 태전역, 만평역 | 4회 | |
250(성주) | 성주 | ↔ | 대구북부 | 선남, 동곡, 다사, 대실역, 계명대, 성서산업단지역, 두류역, 동산의료원, 서부시장, 원대역 | 40회 | |
250(칠곡) | 왜관북부 | ↔ | 대구북부 | 왜관남부, 신동, 대구보건대, 태전역, 만평역 | 32회 | 좌석버스 |
250-1 | 왜관북부 | ↔ | 대구북부 | 왜관남부, 영진전문대, 신동, 대구보건대, 태전역, 만평역 | 4회 | 좌석버스 |
300 | 가산2리 | ↔ | 대구북부 | 고매리, 천평, 다부, 동명, 칠곡중학교, 태전역, 만평역 | 4회 | |
400 | 성주 | ↔ | 왜관북부 | 월항, 기산 | 16회 | |
성주 | → | 왜관북부 | 광영, 노석, 왜관남부 | 1회 | ||
성주 | ↔ | 대구서부 | 대가, 가천, 수륜, 고령, 성산, 본리동 | 16회 |
4. 타 지역 시내버스
4. 1.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간격
(분)
신진자동차
(동명교통)
우진교통
(동명교통)
(동명교통)
하산스무지, 육신사
파계사, 남원리
(동명교통)
동명교통
(동명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