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부내륙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부내륙고속도로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경기도 양평군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1976년 대구-마산고속도로로 지정되어 1977년 임시 개통되었으며, 2001년 중부내륙고속도로, 구미-옥포고속도로와 통합되어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총 연장은 301.7km이며, 전 구간 왕복 4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통과 지역은 창원, 함안, 창녕, 대구 달성, 고령, 성주, 김천, 구미, 상주, 문경, 괴산, 충주, 음성, 여주, 양평 등이다.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되고 있으며, 스마트하이웨이 체험도로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경시의 도로 - 경서로
    경서로는 상주시 함창읍에서 안동시 서후면을 연결하는 도로이며, 2009년 11월 26일에 고시되었고, 상주시, 문경시, 예천군, 안동시를 경유하며 국도 및 지방도와 교차한다.
  • 문경시의 도로 - 문경대로
    문경대로는 2009년 고시된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서 문경시를 잇는 도로로, 국도 3호선과 34호선의 일부 구간을 포함하며 중부내륙고속도로 나들목과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그리고 마성파출소, 문경유교문화관, 문경도자기박물관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고령군의 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는 광주광역시 북구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잇는 총 연장 176.22km의 고속도로로, 과거 88올림픽고속도로였으나 2015년 확장 개통하며 명칭이 변경되었고, 일부 구간은 호남고속도로와 중복되며, 왕복 4~6차로로 구성되어 전 구간 제한 속도가 적용된다.
  • 고령군의 도로 - 가야로
    경상북도 고령군에서 칠곡군을 잇는 가야로는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여러 국도와 연결되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의 여러 면과 읍을 주요 경유지로 한다.
  • 성주군의 도로 - 심산로
    심산로는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을 지나는 도로로, 국도 제33호선과 접속하는 대황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성주읍을 통과, 경산교를 거쳐 국도 제33호선과 만나는 경산교삼거리를 지나 군청삼거리를 통과 후 성주로와 직결된다.
  • 성주군의 도로 - 성주로
    성주로는 경상북도 성주군 내 여러 면을 지나 달구벌대로와 연결되는 도로로, 다양한 국도, 지방도와 연결되며 성주군청 등 주요 기관과 시설이 위치한다.
중부내륙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종류고속국도
노선 번호45
노선명중부내륙고속도로
다른 이름중부내륙고속도로
로마자 표기Jungbu Naeryuk Gosok Doro
한자 표기中部內陸高速道路
총 연장301.77km
개통일1977년 12월 17일 (일부 구간)
방향남북
주요 경유지
도시창원시
함안군
창녕군
대구광역시
고령군
성주군
김천시
구미시
상주시
문경시
괴산군
충주시
음성군
여주시
양평군
구간 정보
기점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내서IC)
종점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차산JC)
주요 연결 도로
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 (AH 1)
남해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함양울산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영천상주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79호선

2. 역사

1976년 3월 19일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경상남도 창원군까지를 잇는 고속국도 7호 대구-마산선으로 지정되었다. 1977년 12월 16일 팔달교 시점 ~ 내서 분기점 구간이 완공되면서 대구-마산고속도로로 임시 2차선 개통되었으며, 1978년 12월 26일부터 통행료를 징수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나들목에 요금소를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본선 요금소를 설치하여 고정 요금을 받는 방식이었다.

1986년 6월 28일 금호 분기점 ~ 이현 분기점(현 서대구 나들목)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고, 이현 분기점 ~ 팔달교 시점은 고속국도 7호의 2호 대구-마산고속도로 지선으로 분리되었다. 같은 해 12월 24일에는 이현 분기점 ~ 옥포 분기점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다. 1994년 6월 1일 대구-마산고속도로 지선이 폐지되면서 이 구간은 이후 대구 도시고속도로 신천대로가 되었다.

1995년 11월 7일 옥포 분기점 ~ 창녕 나들목 구간이, 12월 27일에는 창녕 나들목 ~ 내서 분기점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면서 전 구간 4차선화가 완료되었다. 이와 함께 본선 요금소가 폐지되고 각 나들목에 설치된 요금소에서 요금을 받는 방식으로 전환되었으며, 다른 고속도로와의 체계를 통합하였다.

1996년 7월 1일 대구-마산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의 미싱링크를 연결하는 고속국도 24호 구미-옥포고속도로가 신규 지정되었다. 1998년에는 구미 ~ 옥포(현풍) 구간 건설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송천동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지리 62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3]

2001년 8월 25일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개정에 따라 고속국도 7호 대구-마산고속도로, 18호 중부내륙고속도로, 24호 구미-옥포고속도로를 모두 통합, 내서 분기점을 기점으로, 양평군을 종점으로 하는 노선이 고속국도 45호 중부내륙선으로 지정되었다. 이때 현풍 분기점에서 금호 분기점까지 구간은 고속국도 451호 대구-마산고속도로로 남게 되었다.[20] 2007년 11월 30일에는 현풍 분기점 ~ 김천 분기점 62km 구간이 개통되면서 현풍 나들목이 나들목 겸용 분기점으로 전환되었다.[32][33]

2. 1. 구마고속도로 구간 (현풍 분기점 이남)

1976년 3월 19일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경상남도 창원군까지를 잇는 고속국도 7호 대구-마산선으로 지정되었다. 1977년 12월 16일 팔달교 시점 ~ 내서 분기점 구간이 완공되면서 대구-마산고속도로로 임시 2차선 개통되었으며, 1978년 12월 26일부터 통행료를 징수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나들목에 요금소를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본선 요금소를 설치하여 고정 요금을 받는 방식이었다.

1986년 6월 28일 금호 분기점 ~ 이현 분기점(현 서대구 나들목)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고, 이현 분기점 ~ 팔달교 시점은 고속국도 7호의 2호 대구-마산고속도로 지선으로 분리되었다. 같은 해 12월 24일에는 이현 분기점 ~ 옥포 분기점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다. 1994년 6월 1일 대구-마산고속도로 지선이 폐지되면서 이 구간은 이후 대구 도시고속도로 신천대로가 되었다.

1995년 11월 7일 옥포 분기점 ~ 창녕 나들목 구간이, 12월 27일에는 창녕 나들목 ~ 내서 분기점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면서 전 구간 4차선화가 완료되었다. 이와 함께 본선 요금소가 폐지되고 각 나들목에 설치된 요금소에서 요금을 받는 방식으로 전환되었으며, 다른 고속도로와의 체계를 통합하였다.

1996년 7월 1일 대구-마산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의 미싱링크를 연결하는 고속국도 24호 구미-옥포고속도로가 신규 지정되었다. 1998년에는 구미 ~ 옥포(현풍) 구간 건설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송천동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지리 62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3]

2001년 8월 25일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개정에 따라 고속국도 7호 대구-마산고속도로, 18호 중부내륙고속도로, 24호 구미-옥포고속도로를 모두 통합, 내서 분기점을 기점으로, 양평군을 종점으로 하는 노선이 고속국도 45호 중부내륙선으로 지정되었다. 이때 현풍 분기점에서 금호 분기점까지 구간은 고속국도 451호 대구-마산고속도로로 남게 되었다.[20] 2007년 11월 30일에는 현풍 분기점 ~ 김천 분기점 62km 구간이 개통되면서 현풍 나들목이 나들목 겸용 분기점으로 전환되었다.[32][33]

2. 2. 중부내륙고속도로 구간 (김천 분기점 이북)

1992년 4월 29일 경기도 여주군 가남면에서 경상북도 금릉군 아포면(현 김천시 아포읍) 구간을 고속국도 제18호 중부내륙고속도로(중부내륙선)로 지정하였다.[2] 이후 여러 차례 도로구역 결정[4][6][7][9][10][11][12][15][19] 및 변경[14][16][17][18] 고시를 거쳐 구간별로 공사가 진행되었다.

2001년 8월 25일 기존 구마고속도로 내서 분기점 ~ 현풍 분기점 구간을 통합하고 경기도 여주군 가남면 ~ 양평군 옥천면 구간을 연장해 기점과 종점을 각각 경기 여주군 → 대구 달성군에서 경남 마산시 → 경기 양평군으로 변경하면서 노선번호가 제18호에서 '''제45호'''로 변경되었다.[20]

2001년 9월 28일 김천 분기점 ~ 상주 나들목 32.1km 구간이 개통되었고,[21] 2002년 12월 5일 여주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 같은 해 12월 20일에는 충주 나들목 ~ 여주 분기점 41km 구간이 개통되었고,[23] 북여주 나들목 ~ 양평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

2004년에는 1월 16일 북상주 나들목 ~ 상주 나들목 12.7km 구간,[25] 7월 15일 괴산 나들목 ~ 충주 나들목 14.9km 구간,[26] 12월 15일 북상주 나들목 ~ 괴산 나들목 49.7km 구간이 차례로 개통되었다.

2004년 11월 10일 김천 분기점 ~ 여주 분기점 구간의 제한 속도가 최고 110km/h, 최저 60km/h로 지정되었다.[27]

2007년 11월 28일 낙동 분기점이 개통되었고, 11월 30일에는 현풍 나들목 ~ 김천 분기점 62km 구간이 개통되면서 현풍 나들목이 나들목 겸용 분기점으로 전환되었다.[32][33]

2008년 1월 3일 종점이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에서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으로 연장되면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첩 구간이 생겼다.[34]

2010년 9월 15일 여주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17.6km 구간이 개통되었으며,[37] 2010년 9월 1일 김천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 변경[36]

2012년 12월 28일 북여주 나들목 ~ 양평 나들목 18.51km 구간이 개통되었다.[41]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중리'로 명시, 종점을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에서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로 단축해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첩 구간 삭제.[44]

2. 3. 기타

2008년 1월 3일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종점을 경기도 양평군에서 남양주시 화도읍으로 연장하면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이 생겼다.[34] 그러나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로 종점을 다시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로 단축하면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의 중첩 구간이 삭제되었다.[44]

3. 구성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301.7km이며, 기점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내서 분기점)이고, 종점은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양평 나들목)이다.

낙동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구간은 최고 110 km/h, 최저 50 km/h로 제한된다. 양평 나들목 ~ 북여주 나들목, 낙동 분기점 ~ 내서 분기점 구간은 최고 100 km/h, 최저 50 km/h로 제한된다.

3. 1. 차로수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

3. 2. 총 연장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301.71km이며,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 기점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내서 분기점)이고, 종점은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양평 나들목)이다. 낙동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구간은 최고 110km/h, 그 외 구간(양평 나들목 ~ 북여주 나들목, 낙동 분기점 ~ 내서 분기점)은 최고 100km/h로 제한속도가 다르며, 최저 속도는 50km/h로 동일하다.

3. 3. 제한 속도

낙동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구간은 최고 110 km/h, 최저 50 km/h로 제한된다. 양평 나들목 ~ 북여주 나들목, 낙동 분기점 ~ 내서 분기점 구간은 최고 100 km/h, 최저 50 km/h로 제한된다. 내서 분기점 ~ 김천 분기점 / 남여주 나들목 ~ 양평 분기점은 시속 100km, 김천 분기점 ~ 남여주 분기점은 시속 110km이다.

4. 나들목 · 분기점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1내서 분기점Naeseo JC-0.00102호선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국도 제5호선 (경남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함마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함마대로)
지방도 제1004호선 (함마대로)
광려천서로·유통단지로>경상남도창원시창원방향의 경우 남해고속도로제1지선(함안방향) 진출 불가능
나들목 역할 병행TG칠원 요금소Chilwon TG함안군본선요금소2칠원 분기점Chilwon JC3.493.4910호선 남해고속도로양평방향의 경우 남해고속도로 진출 불가능3칠서Chilseo5.188.67국도 제5호선 (경남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삼칠로·유성로)
지방도 제1041호선 (원서로·함의로)SA칠서휴게소Chilseo SA양평방향4남지Namji8.8417.51국도 제5호선 (경남대로)
지방도 제1021호선 (박진로)
지방도 제1022호선 (낙동로)>창녕군SA영산 휴게소Yeongsan SA창원방향5영산Yeongsan6.8924.40국도 제5호선 (경남대로)
국도 제79호선 (영산계성로·온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경남대로·영산장마로)
지방도 제1008호선 (영산계성로·온천로)5-1창녕 분기점Changnyeong JC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6창녕Changnyeong11.5735.97국도 제20호선 (우포1대로)
국도 제24호선 (우포1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우포1대로)
지방도 제1080호선 (창녕대로·우포2로)8현풍 분기점Hyeonpung JC16.4152.38451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국도 제5호선 (비슬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과학남로·우곡로)
국가산단북로대구광역시달성군창원방향의 경우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금호방향) 진출 불가능
양평방향 직진 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과 직결
나들목 역할 병행9고령 분기점Goryeong JC10.7163.0912호선 광주대구고속도로경상북도고령군양평방향의 경우 광주대구고속도로(대구방향) 진출 불가능10남성주S.Seongju10.6173.70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운용로)
지방도 제905호선 (상성로)성주군SA남성주참외휴게소S.Seongju Korea Melon SA양방향[62]11성주Seongju11.9185.61국도 제30호선 (가야로·심산로)
국도 제33호선 (가야로·참별로)
지방도 제913호선 (동강한강로)SA성주휴게소Seongju SA양방향12남김천S.Gimcheon16.71102.32국도 제4호선 (영남대로)
지방도 제905호선 (주천로)
농남로김천시13김천 분기점Gimcheon JC12.06114.381호선 경부고속도로14선산Seonsan9.01123.39국도 제59호선 (김선로·선상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선상서로)구미시SA선산휴게소Seonsan SA양방향
경부선 고속버스 환승 가능15낙동 분기점Nakdong JC15.61139.00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
301호선 영천상주고속도로상주시16상주Sangju7.40146.40국도 제25호선 (낙동대로)
영남제일로17북상주N.Sangju13.04159.44국도 제3호선 (경상대로)18점촌함창Jeomchon-Hamchang7.46166.90국도 제3호선 (문경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당교로)SA문경휴게소Mungyeong SA문경시양방향19문경새재Mungyeongsaejae13.98180.88국도 제3호선 (문경대로)
국도 제34호선 (문경대로)
지방도 제901호선 (새재로)
봉명길20연풍Yeonpung14.01194.89국도 제3호선 (중원대로)
국도 제34호선 (중부로)
연풍로충청북도괴산군SA괴산휴게소Goesan SA양방향21괴산Goesan14.24209.13국도 제19호선 (충민로)
지방도 제597호선 (미선로·충민로)22충주Chungju15.48224.61국도 제3호선 (중원대로)
국도 제36호선 (중원대로)
지방도 제525호선 (중원대로)
지방도 제599호선 (중원대로·첨단산업로)충주시22-1
SA중앙탑
충주휴게소Jungangtap
Chungju SA5.01229.62원앙4길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양방향23노은 분기점Noeun JC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창원방향의 경우 평택제천고속도로(제천방향) 진출 불가능북충주N.Chungju4.16233.78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감노로)
지방도 제525호선 (솔고개로)24충주 분기점Chungju JC5.77239.55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양평방향의 경우 평택제천고속도로(제천방향) 진출 불가능25감곡Gamgok11.58251.13국도 제38호선 (북부로)음성군26여주 분기점Yeoju JC14.49265.6250호선 영동고속도로경기도여주시27남여주S.Yeoju2.34267.96지방도 제333호선 (여주남로)SA서여주휴게소W.Yeoju SA양방향28서여주W.Yeoju5.84273.80국도 제42호선 (중부대로)29북여주N.Yeoju9.40283.20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이여로)
(52호선 광주원주고속도로)나들목 진출 시 광주원주고속도로 흥천이포 나들목과 간접 연결29-1
SA남양평
양평남한강휴게소S.Yangpyeong
Yangpyeong-Namhangang SA13.5296.7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강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강남로·양평대교길)양평군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양방향[62]30양평Yangpyeong5.01301.71국도 제6호선 (경강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직결



5. 주요 통과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 함안군 (칠원읍 - 칠서면) - 창녕군 (남지읍 - 영산면 - 계성면 - 장마면 - 창녕읍 - 대지면 - 대합면)을 지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 현풍읍)을 지난다.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 성산면) - 성주군 (용암면 - 선남면 - 성주읍 - 대가면 - 벽진면 - 초전면) - 김천시 (남면 - 아포읍) - 구미시 (고아읍 - 선산읍 - 옥성면) - 상주시 (낙동면 - 헌신동 - 병성동 - 사벌국면 - 낙상동 - 사벌국면 - 낙상동 - 사벌국면 - 외서면 - 공검면 - 이안면 - 함창읍) - 문경시 (공평동 - 유곡동 - 불정동 - 호계면 - 마성면 - 문경읍)을 지난다.

선산휴게소 창원방향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 장연면) - 충주시 (대소원면 - 중앙탑면 - 노은면 - 앙성면) - 음성군 감곡면을 지난다.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 가남읍 - 세종대왕면 - 흥천면 - 금사면 - 산북면) - 양평군 (강상면 - 옥천면)을 지난다.

6. 터널

wikitable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 년도비고
고령1터널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부리424m2007년양평 방면
487m창원 방면
고령2터널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오곡리260m2007년
고령3터널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오곡리484m2007년양평 방면
471m창원 방면
고령4터널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상용리516m2007년양평 방면
499m창원 방면
성주터널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장학리760m2007년양평 방면
690m창원 방면
김천1터널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부상리760m2007년양평 방면
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오봉리770m창원 방면
김천2터널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대성리1,055m2007년양평 방면
1,045m창원 방면
김천3터널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대성리1,669m2007년양평 방면
1,570m창원 방면
상주터널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신오리1,685m2001년양평 방면
1,612m창원 방면
낙동터널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신상리370m2001년양평 방면
400m창원 방면
공검터널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화동리406m2003년
불정터널경상북도 문경시 불정동194m2004년
진남터널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968m2004년양평 방면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견탄리992m창원 방면
문경2터널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마원리1,187m2004년양평 방면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진안리1,205m창원 방면
문경1터널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진안리115m2004년양평 방면
180m창원 방면
문경새재터널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각서리2,635m2004년양평 방면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주진리2,645m창원 방면
연풍터널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행촌리1,224m2004년양평 방면
1,240m창원 방면
장연터널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유상리3,100m2004년양평 방면
3,055m창원 방면
추점터널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추점리547m2004년양평 방면
536m창원 방면
조곡터널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조곡리859m2004년양평 방면
870m창원 방면
매현2터널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문주리970m2004년
매현1터널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매현리328m2004년
탄용터널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매현리380m2004년
두정터널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탄용리615m2004년양평 방면
640m창원 방면
장고개터널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두정리470m2004년양평 방면
475m창원 방면
만정터널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만정리440m2004년양평 방면
445m창원 방면
용전터널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완오리845m2002년양평 방면
835m창원 방면
중원터널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980m2002년
금사1터널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궁리375m2012년양평 방면
385m창원 방면
금사2터널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외평리132m2012년양평 방면
165m창원 방면
금사3터널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외평리900m2012년
금사4터널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하호리266m2012년양평 방면
268m창원 방면
금사5터널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소유리1,889m2012년양평 방면
1,869m창원 방면
강상1터널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대석리1,354m2012년양평 방면
1,347m창원 방면
강상2터널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세월리1,740m2012년양평 방면
1,737m창원 방면


7. 스마트하이웨이 체험도로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안금리에서 삼승리 구간에 위치한 스마트하이웨이 체험도로는 중부내륙고속도로 여주 분기점 창원 방향 약 1.1km 지점에 있으며, 2004년 3월 24일 개통되었다. 이 도로는 본선 창원 방향과 약 5m 이격을 두고 본선과 평행하게 건설되었으며, 편도 2차선, 총 길이 7.7km이다.

스마트하이웨이 체험도로는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과 포장성능 개선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로포장 거동 및 공용성 자료를 장기간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하여 도로포장 연구 및 기술력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

이 체험도로는 콘크리트 포장 25개 단면 2.8km, 아스팔트 포장 33개 단면 2.7km, 시험 교량 3개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11종 1,900여 개의 계측기가 설치되어 있다.

8. 구간 과속 단속

중부내륙고속도로에서는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되고 있다. 창원 방향(하행선)으로는 충주 나들목 ~ 괴산 나들목 14.1km 구간(2008년 12월 20일부터 시행)[63], 낙동 분기점 ~ 선산 휴게소 8.4km 구간, 창녕 나들목 ~ 영산 나들목 9.9km 구간(100km/h, 2014년 12월 29일부터 시행)[64]이 있다. 양평 방향(상행선)으로는 문경2터널 ~ 문경새재터널 4.9km 구간(2013년 11월 20일부터 시행), 선산 휴게소 ~ 낙동 분기점 8.5km 구간(2015년 12월 시행), 충주 분기점 ~ 감곡 나들목 9.8km 구간(2016년 2월 시행)이 있다.

9. 사고

2021년 4월 5일 오전 0시 50분경 경상북도 상주시 북상주 나들목 부근에서 차량 7대가 추돌하였다. 사고 원인은 짙은 안개로 앞서가던 화물차 2대가 추돌하면서 뒤따르던 차량이 추돌한 것으로 추정된다.[65] 대한민국 기상청의 기상 기록에 의하면 당일 상주시의 시정은 0시에 2.7 km, 1시에 1.6 km, 2시부터 6시까지 0.2 km였다.[66]

2021년 11월 5일 오전 2시 15분경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중부내륙고속도로 가남졸음쉼터 부근에서 7중 추돌 사고가 발생해 1명이 숨졌다. 사고 원인은 짙은 안개가 낀 상황에서 저속으로 달리던 SUV 차량을 1톤 화물차가 보지 못해 사고가 난 것으로 추정된다. 당일 오전 여주시, 용인시, 이천시, 화성시 등지에는 시정이 100m 이하의 심한 안개가 발생하였다.[67] 당시 대한민국 기상청의 기상 기록에 의하면 11월 5일 사고가 발생한 새벽 2시 이천시의 시정은 0.3 km(기온 5.0°C, 이슬점온도 4.9°C)에 불과했으며 수증기가 최대치(100%)까지 포화되었고 새벽 3시부터는 시정이 0.1 km 미만으로 떨어져 오전 10시까지도 심한 안개가 지속되었다.[68] 경기도 양평군, 충청북도 충주시청주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홍성군 등지에서도 시정 0.1 km 미만의 심한 안개가 발생했다.

사고 당일 기상 상황
대한민국 기상청 기상실황표, 2021년 11월 5일 정오 이전
시각경기도 이천시경기도 양평군경기도 수원시대전광역시충청북도 충주시충청북도 청주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서산시충청남도 홍성군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시정
km
기온
°C
이슬점
°C
습도
%
정오2.310.410.31006.113.38.3729.116.57.6564.816.89.9642.612.78.3752.812.78.1746.012.311.394>2017.56.6494.812.412.299
11시0.47.47.31003.910.410.31007.115.28.8662.414.312.5892.211.28.2821.19.37.9912.29.79.297>2015.29.1670.29.29.099
10시<0.16.76.61001.27.57.41005.313.49.2760.810.610.1971.58.88.6990.58.37.0920.29.18.69714.712.211.8980.17.97.799
9시<0.15.75.61000.56.86.71005.111.210.8980.29.59.0971.07.57.1980.58.17.093<0.18.78.29713.510.410.1980.17.27.099
8시<0.15.55.41000.16.96.81005.17.27.11000.18.37.8970.37.06.7980.57.56.493<0.18.37.8972.06.96.698<0.16.76.599
7시<0.14.94.81000.16.86.71003.56.46.31000.47.57.0970.26.96.6980.87.36.092<0.18.27.7975.36.25.998<0.16.96.799
6시<0.15.25.11000.16.76.61000.65.85.71001.27.97.4970.16.86.3971.37.86.0890.18.27.7970.45.75.498<0.16.86.699
5시<0.15.65.51000.16.86.71003.96.16.01001.18.37.8970.26.35.8971.49.07.1880.28.17.6970.76.25.998<0.16.66.499
4시<0.15.75.6100<0.16.96.81003.56.36.21001.38.88.3971.54.63.8951.39.57.6882.87.36.6961.46.46.198<0.16.76.599
3시<0.15.04.9100<0.17.47.31002.56.56.41001.59.48.9971.45.14.3951.39.67.7883.88.67.9967.27.36.998<0.17.47.299
2시0.35.04.91000.27.67.51002.47.37.21001.710.19.6971.65.65.1972.010.57.9843.39.28.49510.77.36.9980.27.27.099
1시1.67.17.01001.67.47.31003.18.48.31002.410.69.9961.66.05.2952.111.18.3833.39.89.0953.27.06.798<0.16.96.799
0시0.97.06.91001.67.87.71004.28.78.61002.711.610.5931.86.04.9932.412.08.4794.110.39.3942.57.67.298<0.17.67.499



이러한 안개 사고는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 도로 안전 시설 확충 및 관리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안개와 같은 악천후 상황에서의 안전 운행을 위한 시정 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10. 사진



참조

[1] 뉴스 (2014국감)여주~양평 고속도로, 예측 대비 이용률 '10%' https://news.naver.c[...] 아시아경제 2014-10-08
[2] 간행물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2-04-29
[3] 간행물 대통령령 제14486호 http://www.law.go.kr[...] 1994-12-31
[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86호 http://theme.archive[...] 1995-06-03
[5] 간행물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55호 http://theme.archive[...] 1997-02-26
[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59호 http://theme.archive[...] 1997-05-24
[8] 간행물 대통령령 제1546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7-08-27
[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39호 http://theme.archive[...] 1997-10-28
[1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40호 http://theme.archive[...] 1997-10-28
[1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69호 http://theme.archive[...] 1997-11-18
[1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85호 http://theme.archive[...] 1997-11-27
[1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7호 http://theme.archive[...] 1998-02-12
[1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87호 http://theme.archive[...] 1998-03-21
[1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72호 http://theme.archive[...] 1998-06-10
[1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08호 http://theme.archive[...] 1998-09-21
[1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111호 http://theme.archive[...] 1999-04-21
[1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52호 http://theme.archive[...] 1999-11-15
[1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69호 http://theme.archive[...] 1999-12-07
[20] 간행물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5-24
[21]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70호 http://gwanbo.mois.g[...] 2001-09-24
[2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246호 http://gwanbo.mois.g[...] 2002-11-05
[23]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2-333호 http://gwanbo.mois.g[...] 2002-12-20
[2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251호 http://gwanbo.mois.g[...] 2003-10-29
[25]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4-2호 http://gwanbo.mois.g[...] 2004-01-14
[26]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4-203호 http://gwanbo.mois.g[...] 2004-07-14
[27]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4-3호 http://gwanbo.mois.g[...] 2004-11-10
[2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67호 http://gwanbo.mois.g[...] 2005-03-25
[2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188호 http://gwanbo.mois.g[...] 2006-06-19
[3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579호 http://gwanbo.mois.g[...] 2006-12-28
[31]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7-4호 http://gwanbo.mois.g[...] 2007-11-08
[32]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7-479호 http://gwanbo.mois.g[...] 2007-11-30
[33] 뉴스인용 중부내륙고속도(道) 현풍 ~ 김천 구간 30일 개통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7-11-28
[34] 간행물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01-03
[35]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9-2호 http://gwanbo.mois.g[...] 2009-05-27
[36]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10-2호 http://gwanbo.mois.g[...] 2010-08-31
[37]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10-788호 http://gwanbo.mois.g[...] 2010-09-14
[38]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938호 http://gwanbo.mois.g[...] 2010-12-16
[39]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40]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77호 http://gwanbo.mois.g[...] 2011-03-15
[41]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12-1547호 http://gwanbo.mois.g[...] 2012-12-28
[42]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3-371호 http://gwanbo.mois.g[...] 2013-06-26
[43] 뉴스 중부내륙고속도로 남여주 IC 개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6-27
[4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4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269호 http://gwanbo.mois.g[...] 2015-05-01
[46] 뉴스 남성주휴게소→남성주참외휴게소 인근 성주휴게소와 구별되게 지명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5-07-17
[4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561호 http://gwanbo.mois.g[...] 2015-08-25
[48] 뉴스 양평군, 중부내륙고속도 '강상IC' 착공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5-10-02
[49] 뉴스 양평, 중부내륙고속도로 강상IC 설치 확정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3-04-11
[50] 뉴스 양평군, 중부내륙고속도로 '양평하이패스IC' 착공 http://www.joongboo.[...] 중부일보 2015-10-05
[5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54호 http://gwanbo.mois.g[...] 2016-02-22
[52]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16-7호 http://gwanbo.mois.g[...] 2016-08-03
[53]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1693호 http://gwanbo.mois.g[...] 2016-12-21
[54] 뉴스 평창동계올림픽 가는 길 빨라졌다…중부·영동고속도로 전면 개량공사 완공 http://www.kyeonggi.[...] 경기일보 2017-12-24
[55] 뉴스 내년 88고속도로 확장 완공… 창녕 대합IC도 착공 http://www.knnews.co[...] 경남신문 2014-12-03
[56] 뉴스 창녕 대합IC '경제성 저조' 평가 극복할까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17-01-31
[5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25호 http://gwanbo.mois.g[...] 2018-02-21
[5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01호 http://gwanbo.mois.g[...] 2019-09-23
[59]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9-1770호 http://gwanbo.mois.g[...] 2019-12-30
[6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286호 http://gwanbo.mois.g[...] 2020-03-23
[6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972호 https://gwanbo.go.kr[...] 2021-07-23
[62] 일반 옛 이름은 남성주휴게소이다.
[63] 뉴스 중부내륙고속도로,구간 과속단속 시스템 도입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12-01
[64] 뉴스 '꼼수 과속 꼼짝마!' 구간단속 카메라 추가 설치 http://www.knnews.co[...] 경남신문 2014-12-24
[65] 뉴스 중부내륙고속도로서 차량 7대 추돌…3명 부상 https://news.kbs.co.[...] KBS 2021-04-05
[66] 웹사이트 도시별관측 - 상주시 https://www.weather.[...] 2021-04-05
[67] 뉴스 ‘짙은 안개’ 중부내륙고속도로서 7중 추돌사고…1명 숨져 https://news.kbs.co.[...] KBS 2021-11-05
[68] 웹사이트 도시별관측 - 이천시 https://www.weather.[...] 2021-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