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내륙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부내륙고속도로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경기도 양평군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1976년 대구-마산고속도로로 지정되어 1977년 임시 개통되었으며, 2001년 중부내륙고속도로, 구미-옥포고속도로와 통합되어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총 연장은 301.7km이며, 전 구간 왕복 4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통과 지역은 창원, 함안, 창녕, 대구 달성, 고령, 성주, 김천, 구미, 상주, 문경, 괴산, 충주, 음성, 여주, 양평 등이다.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되고 있으며, 스마트하이웨이 체험도로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경시의 도로 - 경서로
경서로는 상주시 함창읍에서 안동시 서후면을 연결하는 도로이며, 2009년 11월 26일에 고시되었고, 상주시, 문경시, 예천군, 안동시를 경유하며 국도 및 지방도와 교차한다. - 문경시의 도로 - 문경대로
문경대로는 2009년 고시된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서 문경시를 잇는 도로로, 국도 3호선과 34호선의 일부 구간을 포함하며 중부내륙고속도로 나들목과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그리고 마성파출소, 문경유교문화관, 문경도자기박물관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고령군의 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는 광주광역시 북구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잇는 총 연장 176.22km의 고속도로로, 과거 88올림픽고속도로였으나 2015년 확장 개통하며 명칭이 변경되었고, 일부 구간은 호남고속도로와 중복되며, 왕복 4~6차로로 구성되어 전 구간 제한 속도가 적용된다. - 고령군의 도로 - 가야로
경상북도 고령군에서 칠곡군을 잇는 가야로는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여러 국도와 연결되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의 여러 면과 읍을 주요 경유지로 한다. - 성주군의 도로 - 심산로
심산로는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을 지나는 도로로, 국도 제33호선과 접속하는 대황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성주읍을 통과, 경산교를 거쳐 국도 제33호선과 만나는 경산교삼거리를 지나 군청삼거리를 통과 후 성주로와 직결된다. - 성주군의 도로 - 성주로
성주로는 경상북도 성주군 내 여러 면을 지나 달구벌대로와 연결되는 도로로, 다양한 국도, 지방도와 연결되며 성주군청 등 주요 기관과 시설이 위치한다.
중부내륙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종류 | 고속국도 |
노선 번호 | 45 |
노선명 | 중부내륙고속도로 |
다른 이름 | 중부내륙고속도로 |
로마자 표기 | Jungbu Naeryuk Gosok Doro |
한자 표기 | 中部內陸高速道路 |
총 연장 | 301.77km |
개통일 | 1977년 12월 17일 (일부 구간) |
방향 | 남북 |
주요 경유지 | |
도시 | 창원시 함안군 창녕군 대구광역시 고령군 성주군 김천시 구미시 상주시 문경시 괴산군 충주시 음성군 여주시 양평군 |
구간 정보 | |
기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내서IC) |
종점 |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차산JC) |
주요 연결 도로 | |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AH 1) 남해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함양울산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영천상주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국도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79호선 |
2. 역사
1976년 3월 19일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경상남도 창원군까지를 잇는 고속국도 7호 대구-마산선으로 지정되었다. 1977년 12월 16일 팔달교 시점 ~ 내서 분기점 구간이 완공되면서 대구-마산고속도로로 임시 2차선 개통되었으며, 1978년 12월 26일부터 통행료를 징수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나들목에 요금소를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본선 요금소를 설치하여 고정 요금을 받는 방식이었다.
1986년 6월 28일 금호 분기점 ~ 이현 분기점(현 서대구 나들목)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고, 이현 분기점 ~ 팔달교 시점은 고속국도 7호의 2호 대구-마산고속도로 지선으로 분리되었다. 같은 해 12월 24일에는 이현 분기점 ~ 옥포 분기점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다. 1994년 6월 1일 대구-마산고속도로 지선이 폐지되면서 이 구간은 이후 대구 도시고속도로 신천대로가 되었다.
1995년 11월 7일 옥포 분기점 ~ 창녕 나들목 구간이, 12월 27일에는 창녕 나들목 ~ 내서 분기점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면서 전 구간 4차선화가 완료되었다. 이와 함께 본선 요금소가 폐지되고 각 나들목에 설치된 요금소에서 요금을 받는 방식으로 전환되었으며, 다른 고속도로와의 체계를 통합하였다.
1996년 7월 1일 대구-마산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의 미싱링크를 연결하는 고속국도 24호 구미-옥포고속도로가 신규 지정되었다. 1998년에는 구미 ~ 옥포(현풍) 구간 건설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송천동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지리 62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3]
2001년 8월 25일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개정에 따라 고속국도 7호 대구-마산고속도로, 18호 중부내륙고속도로, 24호 구미-옥포고속도로를 모두 통합, 내서 분기점을 기점으로, 양평군을 종점으로 하는 노선이 고속국도 45호 중부내륙선으로 지정되었다. 이때 현풍 분기점에서 금호 분기점까지 구간은 고속국도 451호 대구-마산고속도로로 남게 되었다.[20] 2007년 11월 30일에는 현풍 분기점 ~ 김천 분기점 62km 구간이 개통되면서 현풍 나들목이 나들목 겸용 분기점으로 전환되었다.[32][33]
2. 1. 구마고속도로 구간 (현풍 분기점 이남)
1976년 3월 19일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경상남도 창원군까지를 잇는 고속국도 7호 대구-마산선으로 지정되었다. 1977년 12월 16일 팔달교 시점 ~ 내서 분기점 구간이 완공되면서 대구-마산고속도로로 임시 2차선 개통되었으며, 1978년 12월 26일부터 통행료를 징수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나들목에 요금소를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본선 요금소를 설치하여 고정 요금을 받는 방식이었다.1986년 6월 28일 금호 분기점 ~ 이현 분기점(현 서대구 나들목)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고, 이현 분기점 ~ 팔달교 시점은 고속국도 7호의 2호 대구-마산고속도로 지선으로 분리되었다. 같은 해 12월 24일에는 이현 분기점 ~ 옥포 분기점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다. 1994년 6월 1일 대구-마산고속도로 지선이 폐지되면서 이 구간은 이후 대구 도시고속도로 신천대로가 되었다.
1995년 11월 7일 옥포 분기점 ~ 창녕 나들목 구간이, 12월 27일에는 창녕 나들목 ~ 내서 분기점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면서 전 구간 4차선화가 완료되었다. 이와 함께 본선 요금소가 폐지되고 각 나들목에 설치된 요금소에서 요금을 받는 방식으로 전환되었으며, 다른 고속도로와의 체계를 통합하였다.
1996년 7월 1일 대구-마산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의 미싱링크를 연결하는 고속국도 24호 구미-옥포고속도로가 신규 지정되었다. 1998년에는 구미 ~ 옥포(현풍) 구간 건설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송천동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지리 62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3]
2001년 8월 25일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개정에 따라 고속국도 7호 대구-마산고속도로, 18호 중부내륙고속도로, 24호 구미-옥포고속도로를 모두 통합, 내서 분기점을 기점으로, 양평군을 종점으로 하는 노선이 고속국도 45호 중부내륙선으로 지정되었다. 이때 현풍 분기점에서 금호 분기점까지 구간은 고속국도 451호 대구-마산고속도로로 남게 되었다.[20] 2007년 11월 30일에는 현풍 분기점 ~ 김천 분기점 62km 구간이 개통되면서 현풍 나들목이 나들목 겸용 분기점으로 전환되었다.[32][33]
2. 2. 중부내륙고속도로 구간 (김천 분기점 이북)
1992년 4월 29일 경기도 여주군 가남면에서 경상북도 금릉군 아포면(현 김천시 아포읍) 구간을 고속국도 제18호 중부내륙고속도로(중부내륙선)로 지정하였다.[2] 이후 여러 차례 도로구역 결정[4][6][7][9][10][11][12][15][19] 및 변경[14][16][17][18] 고시를 거쳐 구간별로 공사가 진행되었다.2001년 8월 25일 기존 구마고속도로 내서 분기점 ~ 현풍 분기점 구간을 통합하고 경기도 여주군 가남면 ~ 양평군 옥천면 구간을 연장해 기점과 종점을 각각 경기 여주군 → 대구 달성군에서 경남 마산시 → 경기 양평군으로 변경하면서 노선번호가 제18호에서 '''제45호'''로 변경되었다.[20]
2001년 9월 28일 김천 분기점 ~ 상주 나들목 32.1km 구간이 개통되었고,[21] 2002년 12월 5일 여주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 같은 해 12월 20일에는 충주 나들목 ~ 여주 분기점 41km 구간이 개통되었고,[23] 북여주 나들목 ~ 양평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
2004년에는 1월 16일 북상주 나들목 ~ 상주 나들목 12.7km 구간,[25] 7월 15일 괴산 나들목 ~ 충주 나들목 14.9km 구간,[26] 12월 15일 북상주 나들목 ~ 괴산 나들목 49.7km 구간이 차례로 개통되었다.
2004년 11월 10일 김천 분기점 ~ 여주 분기점 구간의 제한 속도가 최고 110km/h, 최저 60km/h로 지정되었다.[27]
2007년 11월 28일 낙동 분기점이 개통되었고, 11월 30일에는 현풍 나들목 ~ 김천 분기점 62km 구간이 개통되면서 현풍 나들목이 나들목 겸용 분기점으로 전환되었다.[32][33]
2008년 1월 3일 종점이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에서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으로 연장되면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첩 구간이 생겼다.[34]
2010년 9월 15일 여주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17.6km 구간이 개통되었으며,[37] 2010년 9월 1일 김천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 변경[36]
2012년 12월 28일 북여주 나들목 ~ 양평 나들목 18.51km 구간이 개통되었다.[41]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중리'로 명시, 종점을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에서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로 단축해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첩 구간 삭제.[44]
2. 3. 기타
2008년 1월 3일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종점을 경기도 양평군에서 남양주시 화도읍으로 연장하면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이 생겼다.[34] 그러나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로 종점을 다시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로 단축하면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의 중첩 구간이 삭제되었다.[44]3. 구성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301.7km이며, 기점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내서 분기점)이고, 종점은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양평 나들목)이다.
낙동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구간은 최고 110 km/h, 최저 50 km/h로 제한된다. 양평 나들목 ~ 북여주 나들목, 낙동 분기점 ~ 내서 분기점 구간은 최고 100 km/h, 최저 50 km/h로 제한된다.
3. 1. 차로수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3. 2. 총 연장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301.71km이며,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 기점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내서 분기점)이고, 종점은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양평 나들목)이다. 낙동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구간은 최고 110km/h, 그 외 구간(양평 나들목 ~ 북여주 나들목, 낙동 분기점 ~ 내서 분기점)은 최고 100km/h로 제한속도가 다르며, 최저 속도는 50km/h로 동일하다.3. 3. 제한 속도
낙동 분기점 ~ 북여주 나들목 구간은 최고 110 km/h, 최저 50 km/h로 제한된다. 양평 나들목 ~ 북여주 나들목, 낙동 분기점 ~ 내서 분기점 구간은 최고 100 km/h, 최저 50 km/h로 제한된다. 내서 분기점 ~ 김천 분기점 / 남여주 나들목 ~ 양평 분기점은 시속 100km, 김천 분기점 ~ 남여주 분기점은 시속 110km이다.4. 나들목 · 분기점
거리
거리
국도 제5호선 (경남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함마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함마대로)
지방도 제1004호선 (함마대로)
광려천서로·유통단지로
나들목 역할 병행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삼칠로·유성로)
지방도 제1041호선 (원서로·함의로)
지방도 제1021호선 (박진로)
지방도 제1022호선 (낙동로)
국도 제79호선 (영산계성로·온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경남대로·영산장마로)
지방도 제1008호선 (영산계성로·온천로)
국도 제24호선 (우포1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우포1대로)
지방도 제1080호선 (창녕대로·우포2로)
국도 제5호선 (비슬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과학남로·우곡로)
국가산단북로
양평방향 직진 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과 직결
나들목 역할 병행
지방도 제905호선 (상성로)
국도 제33호선 (가야로·참별로)
지방도 제913호선 (동강한강로)
지방도 제905호선 (주천로)
농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선상서로)
경부선 고속버스 환승 가능
301호선 영천상주고속도로
영남제일로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당교로)
국도 제34호선 (문경대로)
지방도 제901호선 (새재로)
봉명길
국도 제34호선 (중부로)
연풍로
지방도 제597호선 (미선로·충민로)
국도 제36호선 (중원대로)
지방도 제525호선 (중원대로)
지방도 제599호선 (중원대로·첨단산업로)
SA
충주휴게소
Chungju SA
양방향
지방도 제525호선 (솔고개로)
(52호선 광주원주고속도로)
SA
양평남한강휴게소
Yangpyeong-Namhangang SA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강남로·양평대교길)
양방향[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