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시는 지구의 자전을 기준으로 하는 시간 척도이다. 표준시 도입 이전에는 각 지역의 태양시에 따라 시계를 설정했지만, 철도 여행의 등장으로 표준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884년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그리니치 천문대의 평균 태양시를 기준으로 하는 세계시가 채택되었고, 이후 여러 종류의 세계시가 개발되었다. 현재는 협정 세계시(UTC)가 국제 표준시로 사용되며, 지구 자전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윤초를 통해 UTC와 UT1의 차이를 조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문학에서의 시간 - 동지점
    동지는 태양 황경이 270°인 시점으로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짧고, 여러 문화권에서 축제와 풍습이 행해지며, 한국에서는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는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날이다.
  • 천문학에서의 시간 - 완화 시간
    완화 시간은 물리학, 화학, 천문학 등에서 시스템이 외부 섭동이나 불균형으로부터 평형 상태로 복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볼츠만 운송 방정식, 응축물질물리학, 핵자기 공명, 화학 반응 속도, 대기 과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스템의 동역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활용된다.
  • 시간 - 오전
  • 시간 - 과거
    과거는 이전에 일어난 일, 개인의 경험, 특정 시점 등을 의미하며, 찰스 디킨스의 소설에 등장하고, 철학, 학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교훈을 담고 있는 주제이다.
  • 시간대 - 남아프리카 표준시
    남아프리카 표준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에스와티니에서 사용되며, 서머타임을 실시하지 않고 중앙아프리카 시간과 동일하다.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한국 표준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표준 시간으로, 동경 135도(UTC+09:00)를 기준으로 하며, 과거에는 변경된 역사가 있고 일광 절약 시간제(서머타임)가 시행되기도 했다.
세계시
개요
다른 이름협정 세계시, 만국 표준시
사용천문학, 위성 항법, 시간대 결정
약칭UT
정의
내용지구 자전 기준으로 정의되는 시간 척도
종류UT0
UT1
UT2
UT1지구 자전 각도에 직접 비례
태양의 위치와 관련
문제점지구 자전 속도 불규칙성
윤초 도입 필요
역사
기원그리니치 평균시(GMT)에서 유래
발전전파를 이용한 정밀 측정
현재국제원자시(TAI)와 함께 사용
활용
천문학천체 위치 계산
위성 항법GPS 등 위성 시스템 운용
시간대 결정각 지역 표준시 설정 기준
관련 용어
국제원자시(TAI)원자 시계 기반의 정밀한 시간 척도
협정 세계시(UTC)TAI에 윤초를 적용하여 UT1에 근접하게 유지
윤초UT1과 UTC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추가되는 1초
주의사항
오해UTC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2. 역사

표준시가 도입되기 전, 세계 각 지역은 그 지역의 태양시에 따라 시계를 설정했다. 이는 영국 철도 여행 도입 전까지는 잘 작동했지만, 철도 여행으로 인해 여러 도시를 빠르게 이동하면서 시계를 재설정해야 할 정도로 장거리 이동이 가능해졌다. 1847년부터 영국은 그리니치 평균시(GMT)를 확립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 GMT는 그리니치 본초 자오선의 평균 태양시로, 그리니치, 잉글랜드를 기준으로 하며, 영국 내 모든 시계는 현지 정오와 관계없이 이 시간에 맞춰졌다.[2]

세계의 표준 시간대. 각 시간대의 하단에 있는 숫자는 UTC에 더하여 현지 시간으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시간 수이다.


국제 상업이 증가함에 따라 국제적인 시간 측정 표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세계시의 발전이 시작되었고, 1884년 10월 22일 그리니치 천문대의 현지 평균 태양시가 "세계시"로 발표되었으며, 그리니치 평균 자정에서 0시간부터 계산되었다. 이는 1847년부터 그레이트 브리튼 섬에서 사용된 시민용 GMT와 일치했다.

1848년과 1972년 사이 모든 주요 국가들은 그리니치 본초 자오선을 기반으로 하는 시간대를 채택했다.

1928년, 국제천문연맹은 GMT를 지칭하기 위해 ''세계시''(UT)라는 용어를 도입했으며, 날짜는 자정에 시작되었다. 일반 대중은 항상 자정부터 날짜를 시작했기 때문에 시간 척도는 계속 그리니치 평균시로 제시되었다.

방송 시보가 도입되었을 때, 이는 UT를 기반으로 했으며, 지구의 자전을 기반으로 했다. 1955년 BIH는 UT를 UT0, UT1, UT2로 나누었다. UT1은 "많은 천문학적 및 측지학적 응용 분야"에 충분한 버전이었고, UT2는 대중에게 라디오를 통해 방송되었다.[3][4]

UT0와 UT2는 협정 세계시(UTC)의 도입으로 곧 무의미해졌다. 1960년까지 미국 해군 천문대,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 및 영국 국립 물리 연구소는 UTC를 개발했다. 1972년 1월 1일부터 UTC는 UT1을 따르도록 정의되었다.

현대 시민 시간은 일반적으로 UTC를 따른다. 1초보다 정확한 정밀도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UTC를 UT1의 근사치로 사용할 수 있다. UT1과 UTC의 차이를 DUT1이라고 한다.

2. 1. 표준시 도입 이전

표준시가 도입되기 전에는 각 지역에서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 평균 태양시를 사용했다. 영국 철도 여행 도입 전까지는 이러한 방식이 잘 작동했지만, 철도 여행으로 인해 여러 도시를 빠르게 이동하면서 각 지역의 시간 차이로 인해 시계를 재설정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847년부터 영국은 그리니치 평균시(GMT)를 확립했다. GMT는 그리니치, 잉글랜드의 그리니치 본초 자오선에서의 평균 태양시로, 영국 내 모든 시계는 현지 정오와 관계없이 이 시간에 맞춰졌다.[2]

2. 2. 그리니치 평균시 (GMT)

1847년부터 영국은 그리니치 평균시(GMT)를 확립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리니치 평균시는 그리니치 본초 자오선의 평균 태양시로, 영국의 그리니치를 기준으로 한다. 영국 내의 모든 시계는 현지 정오와 관계없이 이 시간에 맞춰졌다.[2] 망원경을 사용하여 GMT는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의 평균 태양시에 맞춰 조정되었다. 항해용 크로노미터 또는 전신을 사용하여 이 시계를 동기화했다.

국제 상업이 증가함에 따라 국제적인 시간 측정 표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여러 저자들이 "보편적인" 또는 "우주적인" 시간을 제안했다.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세계시의 발전이 시작되었다. 이 회의가 끝나고 1884년 10월 22일 세계 시간의 권장 기본 참조, 즉 "세계시"는 그리니치 천문대의 현지 평균 태양시로 발표되었으며, 그리니치 평균 자정에서 0시간부터 계산되었다. 이는 1847년부터 그레이트 브리튼 섬에서 사용된 시민용 그리니치 평균시와 일치했다. 모든 항해 지도와 지도의 3분의 2가 이미 이를 본초 자오선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그리니치를 선택했다.

1928년에 국제천문연맹은 GMT를 지칭하기 위해 ''세계시''(UT)라는 용어를 도입했으며, 날짜는 자정에 시작되었다. 이 용어는 "GMT"가 정오에 시작하는 천문학적 날 또는 자정에 시작하는 시민 날을 모두 지칭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니치 평균시''보다 더 정확한 용어로 권장되었다. 일반 대중은 항상 자정부터 날짜를 시작했기 때문에 시간 척도는 계속 그리니치 평균시로 제시되었다.

2. 3. 세계시의 발전과 대한민국

1904년 대한제국일본의 압력으로 일본 표준시를 따르게 되었다.[6] 1908년 대한제국은 자체적인 표준 자오선을 설정하여 시간을 다시 변경했으나, 1910년 한일병합으로 일본 표준시로 재변경되었다. 1954년 대한민국 정부는 독자적인 표준시를 회복했으나, 1961년 다시 일본 표준시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1955년 국제천문연맹(IAU)은 UT0, UT1, UT2 개념을 도입하였다.[3] 1960년대 대한민국은 경제 성장과 함께 국제적인 시간 표준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1960년 국제전파과학연합(URSI) 총회와 1961년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보시 신호의 국제 동기화 문제가 논의되었고, 대한민국은 1961년 9월부터 이를 실시하였다.[35][36]

1972년 협정 세계시(UTC)가 도입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3. 세계시의 종류

세계시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태양의 위치는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별이나 다른 천체의 일주 운동을 이용하여 평균 태양의 이동을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시간을 바탕으로 여러 종류의 세계시가 정의된다.


  • UT0: 본초자오선에서의 평균 태양시로, 관측 지점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2]
  • UT1: UT0에 극운동에 의한 경년 변화를 보정하여 실제 지구가 자전한 각도를 계산한 값이다. UT1은 지역마다 다르다.[2]
  • UT2: 지구 자전 주기의 계절적인 변동을 고려하여 UT1을 보정한 값이다.[2]


협정 세계표준시(UTC)는 UT1과의 차이가 일정 시간 이하가 되도록 특정 시기에 보정하여 얻는 시간이다. 표준시가 도입되기 전에는 각 지역에서 자체적인 태양시를 사용했지만, 영국 철도 여행의 발달로 여러 도시를 빠르게 이동하면서 시간 재설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847년 영국은 그리니치 평균시(GMT)를 확립했고, 이는 그리니치 본초 자오선의 평균 태양시를 기준으로 했다.[2]

국제 상업이 증가하면서 국제적인 시간 표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1884년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그리니치 평균시를 세계시의 기준으로 채택했다. 이후 1928년 국제천문연맹은 GMT를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세계시''(UT)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1956년에는 UT를 UT0, UT1, UT2로 세분화했고, 협정 세계시(UTC)의 도입으로 UT0와 UT2는 곧 중요성을 잃었다. 현대 시민 시간은 일반적으로 UTC를 따르며, 일부 국가에서는 "그리니치 평균시"라는 용어가 여전히 UT1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UT1과 UTC의 차이는 DUT1이라고 한다.[4]

국제천문연맹(IAU)은 UT0, UT1, UT2 및 UTC의 구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UT를 사용할 수 있지만, 과학 간행물에서는 명확성을 위해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5]

3. 1. UT0

UT0는 천문대에서 항성이나 은하계외 전파원일주 운동을 관측하거나, 달이나 인공위성을 지속적으로 관측하여 결정하는 세계시다. UT0는 지구 극 운동의 보정을 포함하지 않는데, 극 운동은 지구상 임의의 장소에서 지리적 위치가 수 미터 정도 어긋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다른 천문대에서 같은 시각에 구한 UT0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므로, UT0는 엄밀한 의미에서 "Universal"하지 않다.

3. 2. UT1

'''UT1'''은 UT0에서 관측지의 경도에 나타나는 극운동의 효과를 보정한 세계시다. UT1은 지구상의 어디에서나 같은 시각이며, 정지 좌표계에 대한 지구의 진정한 회전각을 정의한다. 지구 자전의 각속도는 균일하지 않으므로, UT1은 하루에 ±3밀리초 정도의 불확정성을 가진다.[1]

국제천문연맹(IAU)은 윤초를 통해 UT1의 0.9 이내로 협정 세계표준시(UTC)를 유지하는 현재의 방법이 SI 초와 안전한 천측항법의 필요성을 모두 충족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항공・항해력은 UT1을 인수로 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2]

3. 2. 1. UT1R

UT1R은 UT1에서 단기간(35일 미만)의 장주기 조석(zonal tide) 효과를 제거한 것으로, UT1보다 진도가 매끄러운 시각이다.[1] 장주기 조석은 반일주조나 일주조보다 긴 주기의 조석을 말한다.

3. 3. UT2

'''UT2'''는 UT1을 평준화한 시각으로, 연주기·반년 주기 등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다음 보정항을 추가한다. ''t''는 태양년으로 나타낸 시간이다.

::UT2 = UT1 + 0.0220\cdot\sin(2\pi t) - 0.0120\cdot\cos(2\pi t) - 0.0060\cdot\sin(4\pi t) + 0.0070\cdot\cos(4\pi t)\;\mbox{seconds}

세계시는 불규칙하게 변동하여 균일한 시각계로 역표시를 도입했으나, 역표시는 달의 엄폐 관측 등으로 결정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William Markowitz|위리엄 마코위츠영어의 "이중 속도 월 위치 카메라"로도 수개월이 걸려, 당장 사용되는 시계열은 세계시에 의존해야 했기에 UT2가 도입되었다.[15]

1960년대에는 천문항법 등에 필요했지만,[17] 원자 시계 기반 협정 세계표준시(UTC) 채택 후 사용 빈도가 감소했다.

국제시보국(BIH)은 1983년 보고서까지 UT2와 국제원자시(TAI)의 차이를, 1984년 보고서부터는 UT2R과 TAI의 차이를 게재했다.[18][19][20] 1988년 국제 지구 회전 관측 사업(IERS) 개편 후에도 UT2R-TAI를 게재하며 1980년대까지 지구 자전 연구에 이용되었다.[21] UT2 보정항은 수년간 평균값이므로 실제 기상에 의한 오차가 발생, 1989년 IERS는 대기 순환 데이터를 제공하게 되었다.[22][23][24]

3. 3. 1. UT2R

UT2R은 UT2에서 단기간(35일 미만)의 장주기 조석 효과를 제거한 세계시이다.[19][21]

3. 4. UTC (협정 세계시)

협정 세계시(UTC)는 원자시를 기준으로 하며, 윤초를 통해 UT1과의 차이를 0.9초 이내로 유지하는 국제 표준 시간이다.[48][49][50][51]

1950년대 세슘 원자시계가 실용화되면서 각국은 표준 전파를 세슘 원자시계를 기준으로 발사하게 되었다. 한편, 인공위성 국제 관측이 활발해짐에 따라 전 세계 데이터를 정리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통일된 시간 체계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었다.

1959년 미국과 영국은 표준 전파 주파수를 원자 주파수 표준에 맞추고 보시 신호를 동기화하는 것에 합의한 후, 각국에 이를 권유하였다. 1960년 국제 전파 과학 연합(URSI) 제13차 총회와 1961년 버클리에서 개최된 국제 천문 연맹(IAU) 제11차 총회에서는 보시 신호 국제 동기화 문제가 논의되어 구체화되었다(일본은 1961년 9월부터 실시).[35][36]

1964년 함부르크에서 열린 국제 천문 연맹(IAU) 제12차 총회 결의에 따라, 보시는 UT2에 근사하도록 1년간 일정한 주파수 오프셋과 0.1의 스텝 조정을 하고, 오프셋 및 초 신호 수정량과 시기는 국제보시국(BIH, 현 IERS)이 결정하여 보시 신호를 국제적으로 동기화하는 협정 세계시(UTC) 방식이 권고되었다.[37] 이 방식은 현재 사용되는 방식과 달라 구 협정 세계시라고 불린다.

구 협정 세계시는 운용이 복잡하고 1초의 눈금이 균일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1970년 브라이턴에서 개최된 국제 천문 연맹(IAU) 제14회 총회에서 대폭적인 개선책이 결의되었다.[46][47] 1971년 국제 무선 통신 자문 위원회(CCIR) 중간 회의에서 현행 협정 세계시(UTC)가 결정되어 1972년부터 시행되었다. 이로써 UTC에 윤초가 도입되었고, UTC는 UT1과의 차이가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국제시보국(BIH, 현 IERS)에서 조정·관리하게 되었다.

1973년 시드니에서 열린 국제 천문 연맹(IAU) 제15회 총회에서는 협정 세계시 관리 규칙 개정이 결의되어, UT1-UTC 허용 오차가 ±0.7초 미만에서 ±0.950초( DUT1의 최댓값을 0.9초로 유지)로 확대되고, 윤초 실시 시기 추가가 권고되었다.[48][49] 이후 1974년 3월 CCIR 회의에서 UTC 운용 규칙(현 ITU-R 권고 TF.460[50])이 개정되어 UTC-UT1 절대값 허용 한계가 0.9초 이내로 확대되고, 시간 조정(윤초) 실시 예정일이 기존 UTC 6월 말 및 12월 말에 더해 3월 말 및 9월 말이 추가되어, 1975년 1월 1일부터 개정된 규칙이 시행되었다.[51]

대부분의 국가에서 표준시 기준으로 UTC를 사용하며, 대한민국은 UTC+9를 한국 표준시(KST)로 사용한다.

4. 지구의 자전과 LOD (Length of Day)

천문학자태양을 관측하는 것보다 (태양시) 항성의 자오선 통과를 관측하는 쪽(항성시)을 자주 사용하는데, 항성을 이용하는 쪽이 더 정밀한 관측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는 VLBI를 이용하여 멀리 있는 퀘이사를 관측함으로써 UT를 결정한다. 실제로는 국제원자시(TAI)와의 차이를 구하며, 마이크로 단위의 정밀도로 결정이 가능하다.[12]

지구 자전과 UT는 국제지구회전·기준계 사업 (IERS)에 의해 감시되고 있다. 시각 표준 제정에는 국제천문연맹 (IAU)도 관여하고 있지만, 시각 표준을 통보하는 방식에 관해서는 국제전기통신연합 (ITU)이 책임을 가진다.

지구 자전은 불규칙적이며, 1 의 길이 (LOD: Length of Day)영어도 장기적(수백 년)으로는 조석 가속 등에 의해 매우 미세하게 길어지고 있다. 국제단위계에서 1 의 길이는 1750년부터 1890년까지의 달 관측에서 결정된 값을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평균태양일의 현재 평균값은 86,400 (=60×60×24) SI 초와는 밀리초 단위의 차이가 있다.

지구 자전 관측에 의한 LOD는 단기적(10~50년)으로는 항상 86,400초보다 길게 계속되는 것은 아니다. 1970년대에는 LOD가 86,400.003초 정도 (86,400초보다 3밀리초 정도 긴)였지만, 2000년부터 2012년까지는 86,400.001초 (86,400초보다 1밀리초 정도 긴) 이하로 짧아지고 있다.[13][14] 1999년 이후 매년 6~8월에는 LOD가 86,400초보다 짧아지는 기간도 있다.

LOD가 86,400초보다 수 밀리초만 긴 것이 윤초를 삽입하는 이유이다. LOD가 86,400초보다 1밀리초만 길다면 1,000일간 누적으로 1초에 달한다. 따라서 1,000/365 = 2.74년이므로, 약 3년마다 윤초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5. 측정

역사적으로 세계시는 하늘에서 태양의 위치를 관측하여 계산되었다. 그러나 천문학자들은 매일 자오선을 통과하는 별을 관측하여 지구의 자전을 측정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오늘날, 국제 원자시(TAI)와 관련된 UT는 초장기선 간섭계(VLBI) 관측으로 먼 천체 (별과 퀘이사)의 위치를 결정하여 측정하며, 이 방법은 UT1을 15 마이크로초 이내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3][4]

1853년 "만국 시계판"은 세계시 채택 이전의 "모든 국가"의 상대적인 시간을 보여준다.


지구 자전과 UT는 국제 지구 자전 및 기준계 서비스(IERS)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국제 천문 연맹(IAU)도 표준 설정에 관여하지만, 방송 표준의 최종 중재자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이다.[5]

지구의 자전은 다소 불규칙하며, 조석 가속으로 인해 매우 서서히 느려지고 있다. 또한, 초의 길이는 1750년과 1890년 사이의 관측으로부터 결정되었다. 이러한 모든 요인으로 인해 현대 평균 태양일은 평균적으로 명목상의 86,400 SI 초보다 약간 더 길다. 따라서 UT는 그 속도가 약간 불규칙하다.

천문학자들은 역표시를 도입했으며, 이후 지구시(TT)로 대체되었다. 협정 세계시는 지구 자전에 의해 결정되므로, 더 정확한 원자 주파수 표준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방송 시간'이 대체로 태양시와 동기화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윤초 조정이 필요하다. 시간 및 주파수에 대한 시민 방송 표준은 일반적으로 국제 원자시를 밀접하게 따르지만, 평균 태양시에서 너무 멀리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때때로 조정된다.

중심 동역학시(TDB)는 행성 및 기타 태양계 천체의 역표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원자시의 한 형태이다.[8] TDB 시간 척도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보정을 포함하여 뉴턴의 운동 법칙을 따르도록 맞추어져 있으며, 지구 자전을 기반으로 한 시간 척도는 균일하지 않으므로 태양계 내 물체의 운동을 예측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1962년 국제시보국(BIH, 현 IERS) 주도로 천문대 채용 경도의 제1회 국제적 전면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때 경도 극 원점은 국제 시보 사업에 참가하는 천문대의 채용 경도계에서 평균적으로 규정되었으며, 그 후 채용되는 관용 국제 원점(CIO, 1900년부터 1905년까지 6년 동안 극 운동으로 이동한 북극의 평균 위치)과는 무관했다.

1964년 함부르크에서 개최된 제12회 국제천문연맹(IAU)에서 천문 상수 변경이 비준되었고[40][41][42], 1968년부터 실시되었다.

1967년 8월 프라하에서 개최된 제13회 IAU 결의에 따라, 북극점으로 관용 국제 원점(CIO)이 채용된다.[43][44]

참조

[1] 학회논문 Legislative Specifications for Coordinating with Universal Time https://www.ucolick.[...] American Astronautical Society 2011-10-05
[2] 웹사이트 Why Britain Sets Its Clocks To London https://londonist.co[...] 2019-11-25
[3] 웹사이트 William Markowitz Obituary https://ad.usno.navy[...] 2018-12-15
[4] 웹사이트 On the Determination of Universal Time by the Time Services according to the Decisions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I.A.U. in Dublin https://www.ucolick.[...] Bulletin Horaire 1955-07-01
[5] 웹사이트 Seasonal Variation of Earth Rotation https://www.ucolick.[...]
[6]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80
[7] 뉴스 The New Zealand Gazette https://library.vict[...] 1868-10-30
[8]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13
[9] 웹사이트 Time Scales: UT1, UTC, TAI, ET, TT, GPS time https://stjarnhimlen[...] 2022-05-24
[10] 웹사이트 A Brief Note on Time Systems https://www.astronom[...] 2022-05-24
[11] 웹사이트 Common Units and Conversions in Earth Orientation https://maia.usno.na[...]
[12] 웹사이트 Deviation of day length from SI day https://web.archive.[...] 위키미디어 커먼즈 2014-01-09
[13] 웹사이트 LOD의 추이 http://www.ucolick.o[...]
[14] 웹사이트 최근 2개월간 매일의 (LOD-86400)의 값 (단위는 밀리초) http://hpiers.obspm.[...]
[15] 학술지 精密時の新しい定義 ―暦表時の改正・新しい世界時― 日本測地学会 1956-03-20
[16] 학술지 特集・IAU総会その他の諸会議から 第IX回国際天文学連合総会の報告 行政的各委員会および位置天文学関係諸分科会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1955-10-20
[17] 학술지 時間の問題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1963-03-20
[18] 서적 Bureau International de l’Heure Annual Report for 1983 https://webtai.bipm.[...] Bureau International de l’Heure 1984
[19] 서적 Bureau International de l’Heure Annual Report for 1984 https://webtai.bipm.[...] Bureau International de l’Heure 1985-07
[20] 서적 Bureau International de l’Heure Annual Report for 1987 https://webtai.bipm.[...] Bureau International de l’Heure 1988-06
[21] 학술지 標準時について 日本時計学会 1994-09-20
[22] 학술지 時刻および時間の標準 計測自動制御学会 1972-12
[23] 학술지 気象異変による地球自転速度の急変 https://www.asj.or.j[...] 日本天文学会 1963-08-20
[24] 학술지 国際測地学および地球物理学連合地球回転 日本測地学会 1991-11-25
[25] 웹사이트 Earth orientation data http://www.iers.org/[...] 독일 연방 지도 측지청 (Federal Agency for Cartography and Geodesy) 2013-05-21
[26] 웹사이트 Plots: EOP 08 C04 (IAU2000) one file http://datacenter.ie[...] 독일 연방 지도 측지청 (Federal Agency for Cartography and Geodesy) 2013-05-21
[27] 학술지 雑報 天文時と常用時の統一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1919-09
[28] 학술지 雑報 天文時の廃止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1924-12
[29] 학술지 雑報 緑威平均時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1921-10
[30] 학술지 雑報 緑威平均時の争論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1925-10
[31] 학술지 雑報 万国時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1925-11
[32] 학술지 展望 チューリッヒに於ける国際天文同盟総会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1949-01
[33] 학회논문 Ⅶth General Assembly, Zurich, Switzerland, 1948 / Ⅶe Assemblée Générale, Zurich, Suisse, 1948 http://www.iau.org/s[...]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34] 학술지 世界時の新しい内容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1956-01
[35] 학술지 IAU総会だより(6) 位置天文学関係の諸分科会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1961-12
[36] 논문 雑報-0.1秒の報時信号調整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2014-01-26
[37] 논문 I.A.U.第12回総会-第8,19,31委員会の報告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2024-04-22
[38] 논문 IAU第12回総会に出席して https://www.asj.or.j[...] 日本天文学会 2024-04-22
[39] 논문 IAU第12回総会に出席して(9頁より続く) https://www.asj.or.j[...] 日本天文学会 2024-04-22
[40] 논문 改定される天文常数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2014-02-02
[41] 논문 第12回国際天文学連合総会の報告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2014-02-02
[42] 학회발표 Ⅻth General Assembly, Hamburg, Germany, 1964 / Ⅻe Assemblée Générale, Hambourg, Allemagne,1964 http://www.iau.org/s[...]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4-02-02
[43] 논문 第19(地球回転)委員会 (第13回IAU総会からの報告)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2014-02-02
[44] 학회발표 XIIIth General Assembly, Prague, Czechoslovakia, 1967 / XIIIe Assemblée Générale, Prague, Tchécoslovaquie, 1967 http://www.iau.org/s[...]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4-02-02
[45] 논문 採用経度値と極原点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2014-02-01
[46] 논문 第19(地球回転)委員会,第31(時)委員会 (IAU第14回総会(特集)) -- (第14回IAU総会からの報告)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2014-01-26
[47] 학회발표 XIVth General Assembly, Brighton, UK, 1970 / XIVe Assemblée Générale, Brighton, UK, 1970 http://www.iau.org/s[...]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4-01-18
[48] 논문 IAU第15回総会に出席して 日本時計学会 2014-01-26
[49] 학회발표 XVth General Assembly, Sydney, Australia, 1973 / XVe Assemblee Generale, Sydney, Australie, 1973 http://www.iau.org/s[...]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4-01-17
[50] 간행물 RECOMMENDATION ITU-R TF.460-6 Standard-frequency and time-signal emissions http://www.itu.int/d[...] ITU-R 2014-01-26
[51] 논문 第7回 CCDS 会議に出席して 日本時計学会 2014-02-01
[52] 논문 IAU第16回総会に出席して 日本時計学会 2014-01-26
[53] 서적 Bureau International de l’Heure Annual Report for 1976 https://webtai.bipm.[...] Bureau International de l’Heure 2024-04-05
[54] 서적 Annual Report of the BIPM Time Section for 1988 https://webtai.bipm.[...]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24-04-05
[55] 서적 Annual Report of the BIPM Time Section for 1992 https://webtai.bipm.[...]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24-04-05
[56] 웹사이트 NTP Working Group http://hiroshi1.hong[...] WIDEプロジェクト 2024-04-04
[57] 웹사이트 第10回IERS技術開発センター会議・議事録 https://www2.nict.go[...] 情報通信研究機構 2024-04-04
[58] 서적 Annual Report of the BIPM Time Section for 1997 https://webtai.bipm.[...]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24-04-05
[59] 논문 Ⅱ 各研究分野の研究成果・活動状況 9. 地球回転研究系 水沢観測センター https://www.nao.ac.j[...] 国立天文台 2024-04-09
[60] 서적 Bureau International de l’Heure Annual Report for 1980 https://webtai.bipm.[...] Bureau International de l’Heure 2024-04-05
[61] 서적 1992年度WIDEプロジェクト研究報告書 第15部NTP http://hiroshi1.hong[...] WIDEプロジェクト 2024-04-04
[62] 서적 Annual Report of the BIPM Time Section for 2001 https://webtai.bipm.[...]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24-04-05
[63] 서적 Annual Report of the BIPM Time Section for 2003 https://webtai.bipm.[...]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24-04-05
[64] 서적 Annual Report of the BIPM Time Section for 1988 https://webtai.bipm.[...]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24-04-05
[65] 논문 第XIX回 IAU総会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2014-02-01
[66] 학회발표 XIXth General Assembly, Delhi, India, 1985 / XIXe Assemblee Generale, Delhi, Inde,1985 http://www.iau.org/s[...]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4-02-01
[67] 논문 天文保時室とNTPサーバー http://www.asj.or.jp[...] 日本天文学会 2014-01-24
[68] 학회발표 XXth General Assembly, Baltimore, USA, 1988 / XXe Assemblee Generale, Baltimore, USA, 1988 http://www.iau.org/s[...]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4-02-15
[69] 서적 理科年表 http://www.rikanenpy[...] 丸善 2014-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