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게이 소콜로프 (원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게이 소콜로프는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나 소련의 원수로 진급한 군인이다. 1932년 붉은 군대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과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 국방부 제1차관을 거쳐 1984년 소련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었으나, 마티아스 루스트의 붉은 광장 착륙 사건으로 해임되었다. 이후 감찰총감단에서 활동했으며, 10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옙파토리야 출신 - 파울로 리
    파울로 리는 고려인 아버지와 우크라이나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우크라이나 배우이자 성우로, 영화, 연극,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우크라이나 영토방위군에 입대하여 전투 중 사망했다.
  • 러시아의 백세인 - 니콜라이 돌레잘
    니콜라이 돌레잘은 소련의 원자력 공학자로, 흑연 감속 원자로 설계와 가압 경수로 개념 개척을 통해 소련 원자력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옵닌스크 및 벨로야르스크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주도하고 레닌상 등 다양한 훈장과 상을 수여받았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이름이 명명되었다.
  • 러시아의 백세인 - 나탈리아 빌리코제
    나탈리아 빌리코제는 20세기 초 로마노프 가문 사칭과 사기 행각을 벌인 인물로, 유럽 귀족들을 대상으로 금전적 이득을 취했으며 1930년대 체포 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세르게이 소콜로프 (원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84년의 소콜로프
1984년의 소콜로프
출생일1911년 7월 1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예우파토리아
사망일2012년 8월 31일
사망지러시아, 모스크바
안장지노보데비치 묘지
배우자마리아 사모일로브나 소콜로바
자녀2명
군 경력
소속소비에트 연방
복무 기간1932년 – 1987년
군종소비에트 육군
계급소련방 원수
참전장고봉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서훈소련 영웅
명예 훈장
정치 경력
소속 정당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1937년–1987년)
국방부 장관소비에트 연방 국방부 장관
임기 시작1984년 12월 22일
임기 종료1987년 5월 29일
총리니콜라이 티호노프
니콜라이 리즈코프
이전드미트리 우스티노프
이후드미트리 야조프
정치국 후보 위원소련 공산당 정치국
임기 시작1986년 3월 6일
임기 종료1987년 6월 26일
기타 정보
출신 학교고리코프 장갑전차학교

2.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1932년 붉은 군대에 입대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다. 1934년 고리코프 장갑 전차 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소련 극동 지역에서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을 역임하며 경력을 쌓았고, 1938년에는 소련-일본 국경 분쟁 중 하나인 하산 호 전투(장고봉 사건)에 참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소전이 발발하자 1941년부터 동부 전선과 카렐리야 전선 등에서 복무하며 주요 직책을 거쳤다.

2. 1. 유년 시절과 혁명

러시아 제국군 장교의 아들로 태어난[1] 소콜로프의 어린 시절은 러시아 혁명의 격동 속에서 보냈다. 그의 가족은 뱌트카 주 코텔니치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지역 소비자 연합에서 일하다가 콤소몰 활동에 참여했다. 1932년, 소콜로프는 붉은 군대에 입대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다. 고리키 기갑 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극동 지역에서 복무하며 다양한 부대를 지휘하여 두각을 나타냈고, 특히 소련-일본 국경 분쟁 중 하산 호 전투에 참전했다. 그는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나치 독일에 맞서 싸웠다.

2. 2. 붉은 군대 입대와 초기 경력

1911년 7월 1일, 러시아 제국 크림반도의 예우파토리아에서 러시아 제국군 장교의 아들로 태어났다.[1] 그의 어린 시절은 러시아 혁명의 격동기를 거쳤으며, 가족이 뱌트카 주 코텔니치로 이주한 후 지역 소비자 연합에서 일하다가 콤소몰 활동에 참여했다.

1932년 5월 붉은 군대에 입대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다. 1934년 11월 고리키 기갑 학교를 졸업한 후 극동 지역에서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을 차례로 역임했다. 1938년 7월에는 소련-일본 국경 분쟁 중 하나인 하산 호 전투(장고봉 사건)에 참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과의 독소전이 발발하자 1941년 6월부터 9월까지 전차 연대 참모장으로 동부 전선에서 싸웠다. 같은 해 10월부터는 카렐리야 전선으로 이동하여 자동차 장갑 전차국 과장 보좌를 맡았고, 1942년 4월에는 과장, 6월에는 국장으로 승진했다. 1943년 1월부터는 카렐리야 전선의 장갑 전차·기계화병 사령관국 참모장을 지냈으며, 같은 해 대령으로 진급했다. 1944년 3월부터 9월까지는 제32군의 장갑 전차·기계화병 사령관을 역임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독소전에서는 1941년 6월부터 9월까지 전차 연대 참모장으로 동부 전선에서 싸웠다. 같은 해 10월부터 카렐리야 전선의 자동차 장갑 전차국 과장 보좌를 맡았고, 1942년 4월에는 과장, 6월에는 동국 국장으로 승진했다. 1943년 1월부터는 카렐리야 전선의 장갑 전차·기계화병 사령관국 참모장을 맡았으며, 같은 해에 대령으로 진급했다. 1944년 3월부터 9월까지는 카렐리야 전선 제32군의 장갑 전차·기계화병 사령관을 역임했다.

3. 전후 군 경력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소콜로프는 군사 교육을 계속 받았다. 1947년 11월에는 장갑 전차·기계화병 군사 아카데미를, 1951년에는 참모본부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했다. 이후 기계화 사단장(1952년), 모스크바 군관구 참모장(1960년),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1965년) 등 주요 지휘관 및 참모직을 역임하며 소장(1953년), 중장(1959년), 대장(1963년), 상급대장(1967년)으로 꾸준히 진급했다.

1967년 4월부터 1984년까지는 국방 제1차관을 지냈다. 이 기간 동안 1966년 3월부터 중앙위원회 위원 후보가 되었고, 1968년부터는 정식 위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제7기부터 제10기까지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역임하며 정치적인 역할도 수행했다. 1978년 2월에는 군인으로서 오를 수 있는 최고 계급인 소련 방위군 원수가 되었다.

1984년 12월 20일,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국방상이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국방상에 취임했다. 하지만 그는 전임자들과 달리 소련 공산당 정치국 정식 위원이 아닌 후보에 머물렀다. 1987년 5월, 서독의 청년 마티아스 루스트가 경비행기를 몰고 모스크바붉은 광장에 착륙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국방상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국방상 해임 이후에는 군 고문 등으로 활동했으며, 2011년 7월 1일에는 100세 생일을 맞아 당시 대통령이었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로부터 축하를 받았다. 2012년 8월 31일, 모스크바에서 향년 101세로 사망했다. 공교롭게도 그의 부인 마리야는 그가 사망하기 3일 전에 세상을 떠났다.

3. 1. 고등 군사 교육 및 지휘관 경력

1934년 11월 고리코프 장갑 전차 학교를 졸업한 후 극동 지역에서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을 역임했으며, 1938년 7월에는 장고봉 사건에 참가했다.

독소전 발발 후 1941년 6월부터 9월까지 전차 연대 참모장으로 동부 전선에서 활동했다. 같은 해 10월부터 카렐리야 전선으로 이동하여 자동차 장갑 전차국 과장 보좌를 시작으로, 1942년 4월에는 과장, 6월에는 국장으로 승진했다. 1943년 1월, 동 전선의 장갑 전차·기계화병 사령관국 참모장으로 임명되었고, 그해 대령 계급으로 진급했다. 1944년 3월부터 9월까지는 제32군 장갑 전차·기계화병 사령관을 맡았다.

전후 1947년 11월 장갑 전차·기계화병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전차 연대장으로 부임했으며, 1948년 5월에는 전차 사단 참모장이 되었다. 1951년 참모본부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한 뒤, 1952년 1월부터 기계화 사단장을 역임했다. 이후 꾸준히 진급하여 1953년 8월 소장, 1959년 5월 중장 계급을 달았다.

1960년 1월부터 1964년 7월까지 모스크바 군관구 참모장을 지냈고, 재임 중이던 1963년 4월 대장으로 진급했다. 1964년 7월에는 모스크바 군관구 제1부사령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1965년 10월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며, 1967년 4월 국방 제1차관을 겸임하게 되었고 같은 해 상급대장으로 진급했다.

3. 2. 참모 경력 및 군관구 사령관

독소전에서는 1941년 6월부터 9월까지 전차 연대 참모장으로 동부 전선에서 싸웠다. 같은 해 10월부터 카렐리야 전선의 자동차 장갑 전차국 과장 보좌, 1942년 4월부터 과장, 6월부터 해당 부서의 국장으로 활동했다. 1943년 1월부터는 카렐리야 전선의 장갑 전차·기계화병 사령관국 참모장을 맡았으며, 같은 해 대령으로 진급했다. 1944년 3월부터 9월까지는 해당 전선의 제32군 장갑 전차·기계화병 사령관을 역임했다.

1947년 11월 장갑 전차·기계화병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한 후 전차 연대장으로 임명되었고, 1948년 5월에는 전차 사단 참모장이 되었다. 1951년 참모본부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1952년 1월부터 기계화 사단장으로 복무했다. 1953년 8월에 소장, 1959년 5월에 중장으로 진급했다.

1960년 1월부터 1964년 7월까지 모스크바 군관구 참모장을 맡았으며, 재임 중인 1963년 4월에 대장으로 진급했다. 1964년 7월부터는 모스크바 군관구 제1부사령관이 되었다.

1965년 10월부터 1967년까지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을 지냈으며, 1967년 4월에는 국방 제1차관을 겸임하게 되었고, 같은 해 상급대장으로 진급했다. 그는 1984년까지 국방 제1차관직을 유지했다.

3. 3. 국방 제1차관

1965년 10월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1967년 4월부터는 국방 제1차관을 겸임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상급대장으로 진급하였다. 그는 1984년까지 국방 제1차관직을 유지했다.

국방 제1차관 재임 중 정치 활동에도 참여하여, 1966년 3월부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후보가 되었고, 1968년부터는 정식 위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제7기부터 제10기까지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지냈다.

1978년 2월에는 소련 방위군 원수 계급으로 진급하였다.

3. 4.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지휘

소콜로프는 1978년 소련 원수로 진급했다. 그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소련 지상군을 지휘했으며, 1979년 12월 27일 소련 지상군의 주요 침공 작전을 직접 이끌었다. 전쟁 중 그의 행동과 지휘 전략은 그를 소련 내에서 가장 존경받는 원수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80년 4월 28일에는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

3. 5. 소련 국방장관 임명과 해임

1984년 12월 20일, 전임 국방상 드미트리 우스티노프가 사망하면서 후임 소련 국방부 장관에 취임했다. 전임자인 우스티노프가 크렘린의 킹 메이커라고 불릴 정도로 실력자였던 것에 비해, 소콜로프는 순수한 직업 군인으로 눈에 띄지 않는 존재였다. 또한, 안드레이 그레치코와 우스티노프 두 전임자가 정치국원이었던 것에 비해, 소콜로프는 의결권이 없는 정치국원 후보로 머물렀다 (1985년~1987년).

1986년 10월, 대서양 북동부의 버뮤다 해역에서 K-219 (원자력 잠수함)가 화재로 침몰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에 대해 함장이 기항 명령을 어기고 자침했다고 하여 소콜로프 본인이 강경하게 엄벌을 주장하여 함장은 극형에 처해질 뻔했다.

그러나 1987년 5월, 서독의 청년인 마티아스 루스트가 세스나기로 붉은 광장에 착륙한 사건의 책임을 지는 형태로 국방상에서 해임되었다. 공교롭게도 루스트 사건으로 인한 소콜로프의 실각으로 K-219 잠수함 함장은 극형을 면했다.

4. 국방장관 해임 이후

(내용 없음)

4. 1. 러시아 연방 국방부 고문

1987년 6월부터 1989년 7월까지 감찰총감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독립 국가 연합 통합군 총사령관의 고문을 지내기도 했다. 1992년부터는 러시아 연방 국방부 장관의 고문으로 활동했다. 2001년 7월에는 우크라이나 크림반도의 명예 시민으로 추대되었다. 2002년부터 2012년까지는 모스크바 전쟁 및 군사 참전용사 협회에서 군 참전용사 클럽을 이끌었다. 100세 생일을 맞았을 때 그는 "군 복무의 명성은 한때 가졌던 중요성을 되찾을 것"이라는 말을 남겼다.[2]

5. 사망

소콜로프는 2012년 8월 31일, 모스크바에서 향년 10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망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의 아내 마리아 사모일로브나 소콜로바(1919년 12월 16일 ~ 2012년 8월 28일)는 70년간 결혼 생활을 함께 했으며, 소콜로프가 사망하기 3일 전에 먼저 세상을 떠났다. 소콜로프는 2012년 9월 3일, 모스크바노보데비치 묘지에 군사적 예우를 갖추어 아내의 곁에 안장되었다.

6. 가족

그는 두 아들을 두었는데, 두 아들 모두 소련군에서 복무하며 대장 계급까지 올랐다.

이름생년월일계급주요 경력비고
발레리 세르게예비치 소콜로프1940년 9월 30일대장현 지휘참모 군사 아카데미 강사
블라디미르 세르게예비치 소콜로프1947년 1월 22일대장아프가니스탄 전쟁제40군 참모장퇴역


7. 서훈 내역

;러시아


  • 조국 훈장;
  • * 2등급 (2001년 6월 21일) – 국방력 강화를 위한 탁월한 공헌 및 청소년의 애국심 교육에 적극적인 기여
  • * 3등급 (1996년 6월 30일) – 국가에 대한 공헌 및 러시아 연방군의 발전 및 개혁에 대한 개인적 기여
  • * 4등급 (2009년 11월 2일)
  •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훈장 (2011년 6월 23일) – 국방력 강화에 대한 기여 및 장기적인 공공 활동
  • 명예 훈장 (2006년 7월 1일) – 국방력 강화에 대한 공헌 및 청소년의 애국심 교육에 대한 노력
  • 주코프 훈장 (1995년 4월 25일) – 1941년-1945년의 대조국 전쟁 중 전투 작전에서 부대 지휘에 대한 행동


;소련

  • 소련 영웅 (1980년 4월 28일)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에 대한 국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데 나타난 개인적 용기와 부대 지휘
  • 레닌 훈장 3회 (1971년 6월 30일, 1980년 4월 28일, 1986년 6월 30일)
  • 적기 훈장 2회 (1953년 4월 20일, 1968년 2월 22일)
  • 수보로프 훈장, 1등급 (1982년 5월 6일)
  • 애국 전쟁 훈장, 1등급 (1985년 4월 6일)
  • 적성 훈장 2회 (1943년 1월 14일, 1947년 11월 6일)
  • 소련군 조국 봉사 훈장, 3등급 (1975년 4월 30일)
  • 용기 훈장
  • 전투 공로 훈장
  •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탄생 100주년 기념 메달
  • 소련 국경 수비 우수 메달
  • 소련 북극 방어 훈장
  • 1941-1945년 대조국 전쟁에서 독일에 대한 승리 메달
  • 흠 없는 복무 메달 1등급
  • 기념 메달


;러시아 비정부 기구

;아프가니스탄

  • 적기 훈장 (1982)
  • 사우르 혁명 훈장 (1984)


;불가리아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훈장 2회 (1985, 1986)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1급 훈장 (1974)
  • "불가리아 인민군 25주년" 메달 (1969)
  • "파시즘 승리 30주년" 메달 (1975)
  • "불가리아 인민군 30주년" 메달 (1974)
  • "무장 형제애 강화" 메달 (1977)
  •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불가리아 해방 100주년" 메달 (1978)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탄생 90주년" 메달 (1974)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탄생 100주년" 메달 (1983)
  • "불가리아 1300주년" 메달 (1982)
  • "파시즘 승리 40주년" 메달 (1985)


;헝가리

  • 루비가 있는 헝가리 공화국 국기 훈장 (1986)
  • "군사 협력" 메달, 1등급 (1980)


;베트남

  • 호치민 훈장 (1985)
  • "군사적 용맹에 대한" 훈장, 1등급 (1983)


;동독

  • 카를 마르크스 훈장 (1986)
  • "무장 형제애" 메달 (1980)
  • "국민인민군 30주년" 메달 (1986)


;요르단

  • 독립 훈장, 1등급 (1977)


;북한

  • "한국 해방 40주년" 메달 (1985)


;쿠바

  • 플라야 기론 훈장 (1986)
  • "혁명군 20주년" 메달 (1978)
  • "혁명군 30주년" 메달 (1986)


;몽골

  • 수흐바타르 훈장 2회 (1971, 1986)
  • 적기 훈장 (1982)
  • "대일 승리 30주년" 메달 (1976)
  • 할힌골에서의 승리 30주년 메달 (1969)
  • "할힌골에서의 승리 40주년" 메달 (1979)
  • 몽골 인민 혁명 50주년 메달 (1972)
  • "몽골 인민 혁명 60주년" 메달 (1982)
  • "몽골 인민군 50주년" 메달 (1971)
  • "몽골 인민 공화국 군대 60주년" 메달 (1982)


;폴란드

  • 폴란드 공화국 공로 훈장, 2등급 (1985)
  • 폴로니아 레스티투타 훈장, 2, 3등급 (1968, 1971)


;루마니아

  • 튜더 블라디미레스쿠 훈장, 1등급 (1969)
  • 8월 23일 훈장 (1974)
  • "파시즘으로부터의 해방 루마니아 30주년" 메달 (1974)
  • "군사적 공로" 메달 (1980)


;체코슬로바키아

  • 클레멘트 고트발트 훈장 (1985)
  • "무장 우호 강화" 메달, 1등급 (1972)
  •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 40주년" 메달 (1985)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50주년" 메달 (1971)


;핀란드

2001년 7월, 90번째 생일에 "명예 크림인" 칭호를 수여받았으며, 예브파토리아의 명예 시민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Соколов Сергей Леонидович http://warheroes.ru/[...]
[2] 웹사이트 Маршал, Герой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Сергей Соколов отмечает 100-летие в кругу семьи : ИТАР-ТАСС Урал http://www.tass-ural[...] 2011-07-01
[3] 뉴스 Globe and Mail https://www.theglobe[...]
[4] 뉴스 Медведев поздравил экс-министра обороны СССР Соколова со 100-летием http://www.rian.ru/s[...] RIA NOVOSTI 2011-07-01
[5] 뉴스 Маршал-долгожитель скончался на боевом посту http://www.vesti.ru/[...] Вести.ru 2012-08-31
[6] 웹인용 오늘의 경제소사/ 5월 28일 (1708) 루스트 사건 http://economy.hanko[...] 2010-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