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비아 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문학은 중세 시대부터 구교회 슬라브어 문학을 시작으로 발전해왔다. 중세 시대에는 종교적 저술과 서사시가 주를 이루었으며, 오스만 제국 점령기에는 인쇄소 활동이 두드러졌다. 근세 이후 구전 민요와 서사시가 세르비아 문학을 지배했고, 낭만주의와 사실주의가 등장하며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 네고시,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 등 많은 작가들이 활동했다. 20세기에는 상징주의와 심리 소설 등 유럽 문학의 영향을 받아 모데르나가 형성되었고, 이보 안드리치, 밀로라드 파비치 등 노벨 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하며 현대 문학이 발전했다. 21세기에는 두샨 코바체비치, 빌리아나 스르블야노비치 등 극작가와 류보미르 시모비치 등 시인이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작가들이 유럽연합 문학상을 수상하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문화 - 슬라바 (전통)
    슬라바는 남슬라브족의 가족 연례 행사로, 기독교를 받아들인 조상과 수호 성인을 숭배하는 의식이며, 세르비아 정체성의 중요한 표지로서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에 등재되었다.
세르비아 문학
지도
기본 정보
언어세르비아어
문자키릴 문자, 로마자
역사
기원12세기
13세기
황금시대19세기
장르 및 양식
장르민요
서사시
발라드
로맨스
소설
드라마
양식사실주의
낭만주의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영향
영향 받은 문학비잔틴 문학
중세 문학
슬라브 문학
유럽 문학
영향을 준 문학크로아티아 문학
주요 작가
작가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
브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
페타르 페트로비치 녜고시
브란코 라디체비치
조반 요바노비치 즈마이
라자 코스티치
스테반 스레마츠
페타르 코치치
보리슬라브 스탄코비치
밀로스 크르냔스키
이보 안드리치
메샤 셀리모비치
다닐로 키시
밀로라드 파비치
두샨 코바체비치
고란 페트로비치
즐라타 코칸코비치
기타
관련 항목세르비아 문화
세르비아어

2. 역사

세르비아 문학은 구교회 슬라브어 문학 시기인 콘스탄티누스 대제 때부터 비잔틴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교회 의식과 성서 본문이 슬라브어로 번역되었고, 이후 라틴어 작품을 포함한 다양한 기독교 관련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와 그 제자들의 업적을 기리는 장르와 운율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세르비아 중세 문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세 문학은 약 500개의 다양한 장르를 포함할 정도로 풍부했으며, 주로 역사, 법, 신학 등이 혼합된 작품들이었다.[1] 사바 성인, 예피미야, 스테판 라자레비치, 콘스탄틴 코스테네츠키 등이 이 시대의 대표적인 작가들이다.[1]

근세 이후에는 민요와 서사시가 구전으로 전해지며 세르비아 문학을 이끌었다. 14세기 코소보 전투와 같은 역사적 사건은 세르비아 서사시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고, 세르비아 민족의 정체성과 정신을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3] 헤르더, 야코프 그림, 괴테 등이 세르비아 서사시를 연구했다.[2] 오스만 제국 지배 기간 동안 크르노예비치 인쇄소 등 여러 인쇄소들이 세르비아어로 된 책을 출판하며 문학을 이어갔다.

바로크 시대에는 가브릴 스테파노비치 벤클로비치와 같은 작가들이 초기 언어 개혁을 시작하며 세르비아 문학을 재건했다.[5] 계몽주의 시대에는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와 같은 작가들이 새로운 문화 모델을 형성했다. 고전주의 시대에는 알렉시예 베질리치, 요반 스테리야 포포비치 등이 활동했다.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 네고시는 산의 화관을 통해 세르비아 서사시의 기초를 다졌다.[7]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는 세르비아어와 알파벳 개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7] 낭만주의 시대에는 브란코 라디체비치 등이, 사실주의 시대에는 야코브 이그냐토비치 등이 활동했다.

20세기 초, 세르비아 문학은 '모데르나'라는 흐름을 통해 상징주의와 심리 소설의 영향을 받았다. 요반 두치치, 밀란 라키치와 같은 시인 외교관들이 대표적이었다.[11] 전간기에는 다양한 문학 운동이 나타났으며, 초현실주의는 "벨그라드 그룹"이 주도했다. 이보 안드리치는 196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1945년부터 1948년까지 지배적이었지만,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비교적 단명했다. 1970년대부터는 밀로라드 파비치, 보리스라브 페키치, 다닐로 키시 등이 실험적인 작품들을 선보였다.

21세기에도 세르비아 문학은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조란 지브코비치 (세계 판타지 상 수상), 옐레나 렝골드 (유럽연합 문학상 수상) 등이 국제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13] [14] [15] [16] [17]

2. 1. 중세 및 근세 이후 문학

구교회 슬라브어 문학은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부터 비잔틴 모델을 기반으로 창작되었다. 처음에는 교회 의식과 성서 본문이 슬라브어로 번역되었고, 곧 이후에는 여러 분야에서 필요한 지식을 얻은 라틴어 작품을 포함하여 기독교적 삶의 가치에 관한 다른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기독교 문학이 슬라브족을 교육했지만, 독창적인 작품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그 대신, 슬라브족의 키릴과 메토디우스와 그들의 슬라브 제자들을 성인이자 슬라브어 문자의 창시자로 기리는 것과 관련된 장르와 운율이라는 더 좁은 측면이 사용되었다. 의례 장르는 슬라브어로 ''žitije''(전기), ''pohvala''(찬사), ''službe''(교회 의식)로 알려진 성행전, 설교학 및 찬송가였으며, 이는 사실상 산문, 수사법 및 시를 의미한다. 최초의 슬라브어 작품이 의례 문학의 정전적 형식으로 되어 있었고 문학 언어가 의례 슬라브어였다는 사실은 그 이후의 발전을 규정했다. 특히 세르비아의 중세 슬라브 문학은 이 고전 슬라브 문학을 모델로 삼았다. 세르비아 문학의 새로운 주제들은 모두 고전적인 의례 장르 내에서 만들어졌다.[1]

세르비아 중세 문학은 약 500개의 별개 장르를 가진 매우 풍부한 문학이다. 중세 작품은 주로 역사, 법 이론, 신학, 저술 및 어원학이 혼합된 것이다.[1] 중세 세르비아 문학에는 여러 편의 시가 있었지만, 극작품은 몇 편밖에 없으며, 출판된 소설은 대부분 각색과 번역이었다.[1] 세르비아에서 가장 초기의 저술은 종교 작품이었다. 역사적으로 종교는 정치적, 군사적 격변에도 불구하고 지속된 최초의 기관이었다. 종교는 역사와 정책을 기록하는 것의 가치를 최초로 인식한 조직이었다. 세르비아의 초기 종교 문서는 10세기와 11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2세기에 사바 성인은 종교 저술의 예술 형식을 발전시켰다. 그는 이전 작품을 바탕으로 이러한 저술에 예술적 측면을 더하기 위해 노력했다.

주목할 만한 중세 작가로는 사바 성인, 예피미야, 스테판 라자레비치 및 콘스탄틴 코스테네츠키 등이 있다.[1] 이 시대는 이후 국가 문학의 고전이 된 작가들의 몇몇 위대한 작품을 탄생시켰다.[1] 중세 문학은 데산카 막시모비치, 미오드라그 파블로비치, 바스코 포파, 마티야 베치코비치 등 많은 현대 시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



구전으로 세대를 거쳐 전해지는 민요와 서사시가 근세 이후 세르비아 문학을 지배했다. 14세기의 코소보 전투와 같은 역사적 사건은 세르비아 서사시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사시는 세르비아 민족 문학의 백미로 여겨지며, 세르비아의 국가 의식, 정체성 및 정신의 핵심 요소이다.[3] 서사시의 영향은 시가 쓰이고 인쇄된 후에도 계속되었다. 그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구슬레 연주자이자 서사시 작가로는 라슈코 할아버지, 맹인 지바나, 테샨 포드루고비치 및 맹인 예차 등이 있다.[1]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완전히 허구적인 시는 "비역사적 순환"을 구성한다. 이후 코소보 전투 전, 중, 후의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시들이 등장했다. 특별한 순환은 세르비아의 전설적인 영웅인 마르코 크랄예비치를 중심으로 하며, 이후 하이두크(보병)와 우스코크(병사) 및 19세기 세르비아의 해방에 관한 시가 있다. 가장 잘 알려진 민요 중에는 ''주고비치 가문 어머니의 죽음''과 괴테, 월터 스콧, 푸슈킨 및 메리메에 의해 유럽 언어로 번역된 ''아산 아가의 귀족 아내의 애가''(1646)가 있다. 세르비아 민속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이야기 중 하나는 "아홉 마리 공작과 황금 사과"이다.[4]

오스만 제국의 세르비아 점령 기간 동안 인쇄소가 여러 곳에서 활동했다. 여기에는 주로 오늘날 세르비아가 아닌 베네치아에서 활동한 크르노예비치 인쇄소, 부코비치 인쇄소, 고라즈데 인쇄소 및 벨그라드 인쇄소가 포함된다. 이러한 인쇄소와 개별 출판사는 국가가 없는 시대에 세르비아어로 된 책의 유일한 출처였다.

2. 2. 바로크, 계몽주의, 고전주의

보이보디나의 세르비아 문학은 중세 전통을 기반으로 발전했으며, 구세르비아어와 러시아바로크 양식의 영향을 받아 슬라브-세르비아어로 꽃을 피웠다. 바로크는 오스만 제국의 침략으로 중단되었던 세르비아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재건되어 다시 두각을 나타냈다.[5]

이 시대의 주목할 만한 바로크 작가로는 여러 장르의 수많은 작품을 집필하고 초기 언어 개혁을 시작한 가브릴 스테파노비치 벤클로비치가 있다. 그 당시 다른 중요한 작가들로는 디미트리예 류바비치, 포드고리차 백작 죠르제 브란코비치, 안드리야 즈마예비치, 바실리예 3세 페트로비치-네고시, 모이시예 푸트니크, 파블레 율리나츠, 마르코 옐리세이치, 요아킴 부이치, 루카 밀로바노프 게오르기예비치, 니카노르 그루이치, 요반 수보티치, 요반 라이치, 자하리예 오르펠린, 시메온 피슈체비치, 게라심 젤리치 등이 있다.[5]

외세 지배 기간 동안 자체 기관이 없었던 세르비아인들은 러시아 작가와 교육자들을 초청하여 국가 교육을 지원했다. 이러한 작가들의 유입으로 산문보다는 시가 더 두드러졌다. 극과 연극도 시작되었다. 오늘날 스렘스키 카를로브치에 있는 김나지움은 18세기 수년 동안 에마누엘 코자친스키가 이끌었던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그는 1734년에 주목할 만한 바로크 작품인 ''Traedokomedija''를 집필했다.

계몽주의 시대에는 마리아 테레지아가 실시한 역사적 개혁과 함께 새로운 문화 모델이 형성되었다. 계몽주의 작가로는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 아타나시예 스토이코비치, 예브스타티예 미하일로비치, 아타나시예 니콜리치 등이 있다. 세르비아 계몽주의는 명백한 정치적, 문화적, 종교적 이유로 유럽 규모의 주목할 만한 작품을 제작하지 못했지만, 모든 예술 분야에 걸쳐 확장되었다.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는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의 ''Život i priključenija'' (Život i priključenija|생애와 모험sr)가 꼽힌다.

고전주의는 계몽주의 시대의 핵심 가치를 옹호했던 알렉시예 베질리치의 시를 통해 도입되었다. 이 시대의 가장 주목할 만한 극작가는 요반 스테리야 포포비치였지만, 그의 작품에는 낭만주의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6] 반면, 가장 잘 알려진 세르비아 고전주의 시인이자 최초의 세르비아 시 운동의 창시자는 루키얀 무시츠키였다.

2. 3.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한 후, 세르비아 독립 운동은 현대 세르비아 문학의 최초 작품들을 촉발시켰다.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 네고시는 1847년 작 시 ''산의 화관''을 통해 세르비아 서사시의 기초를 다졌으며, 이는 호머의 작품에 기반을 둔 세르비아 서사시의 초석을 대표한다.[7]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는 요한 볼프강 폰 괴테와 레오폴트 폰 랑케의 지인이었으며, 민요와 서사시를 책 형태로 처음 수집하고 출판하였다. 부크 카라지치는 최고의 세르비아 언어학자로 여겨지며, 듀로 다니치치와 함께 현대 세르비아어와 알파벳 개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7]

브란코 라디체비치는 낭만주의 시의 개척자로, 고전주의 규범과 객관주의를 거부하고 자신의 예술에서 직접적인 경험과 감정을 표현하는 데 집중했다. 시 ''Đački rastanak|학생들의 이별sh''과 ''Tuga i opomena|슬픔과 경고sh''는 그의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여겨진다. 다른 주목할 만한 낭만주의 작가로는 요반 그르치치 밀렌코, 코스타 트리프코비치, 니콜라 1세, 요반 일리치가 있다.

낭만주의 시대 작가들은 새롭게 개혁된 세르비아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요반 요바노비치 즈마이의 ''Đulići uveoci''와 어린이를 위한 시, 라자 코스티치의 ''산타 마리아 델라 살루테'', 듀라 야크시치의 여러 시와 같이 세르비아 문학의 걸작으로 여겨지는 여러 작품을 썼다. 여행기는 류보미르 네나도비치에 의해 소개되었고 19세기에 등장한 새로운 문학 형식이었다.

사실주의는 낭만주의와 함께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주요 주제는 국가의 사회 집단과 계급, 도시와 농촌 인구의 차이, 다양한 유형의 인물 탐구였다. 야코브 이그냐토비치와 슈테판 미트로프 류비샤가 사실주의 작품을 출판했다. 스베토자르 초로비치는 보스니아 위기 이후 무슬림 인구의 변화가 가장 극심했던 그의 고향 헤르체고비나를 묘사했다. 시모 마타불과 이보 치피코는 남아드리아해의 풍경을 그렸다. 치피코의 서정적인 글은 특히 ''거미''에서 악화되는 사회적 조건에 대해 독자에게 경고했다. 주목할 만한 사실주의 작가로는 얀코 베셀리노비치, 라자 라자레비치, 밀로반 글리시치, 스테반 스레마츠, 라도예 도마노비치, 스베톨리크 랑코비치, 벨코 M. 밀리체비치, 보리사브 스탄코비치가 있다. 보리사브 스탄코비치의 ''불순한 피''는 이 시대의 가장 강력한 세르비아 소설 중 하나로 여겨진다. 상인과 지주들의 도시인 브라녜를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1903년부터 1911년까지의 오랜 구 세르비아에 대한 투쟁과 발칸 전쟁 이후 이 지역에서 터키인들이 물러나면서 함께 사라져 가는 곳이었다. 페타르 코치치는 서정적인 산문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독립과 세르비아와의 통합에 대한 열망으로 잘 알려져 있다. 코치치의 희곡 ''법정 앞의 오소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다른 국가를 지배하려는 성향 때문에 조롱받는다.

두브로브니크 문학의 유산은 특히 두브로브니크의 세르비아 가톨릭 운동 회원들, 즉 마티야 반, 비드 불레티치 부카소비치, 이보 보이노비치 덕분에 세르비아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8][9]

이 시대의 유일한 주목할 만한 시인은 보이슬라브 일리치였다. 그의 시는 순수한 사실주의가 아니지만 대부분 후기 낭만주의적이지만 다른 사실주의 작품과 여러 가지 중요한 요소를 공유한다. 주요 희극과 극 작가는 세르비아와 그 광범위한 지역에서 인기를 누린 브라니슬라브 누시치였다. 이 기간 동안 새로운 문학 장르가 탐구되었다. 라자르 코마르치치는 개척적인 SF 작가가 되었다.[10]

2. 4. 현대 문학

20세기 초, 세르비아 문학은 '모데르나'라는 흐름을 맞이했는데, 이는 유럽의 상징주의와 심리 소설의 영향을 받았지만, 문학적 기교보다는 분위기와 미적 요소를 중시했다. 요반 두치치와 밀란 라키치 같은 시인 외교관들이 이 시기 대표적인 작가들이었다. 알렉사 샨티치는 애수와 진심이 담긴 시로 인기를 얻었다.[11]

벨코 페트로비치, 밀루틴 보이치 등 다른 시인들은 각자의 길을 걸으며, 구 세르비아를 위한 투쟁, 발칸 전쟁, 1차 세계 대전 등의 격변 속에서 애국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보그단 포포비치, 요반 스켈리치 같은 비평가들은 세르비아 문학을 세계 문학의 방향으로 이끌었다.

20세기에 세르비아 문학은 번성하여 많은 작가들이 등장했다. 옐레나 디미트리예비치와 이시도라 세쿨리치는 20세기 초 여성 작가로, 특히 세쿨리치는 뛰어난 수필을 썼다. 전간기에는 밀로시 크르냐스키의 수마트라주의, 라데 드라이낙의 최면주의, 류보미르 미치치의 제니티즘 등 다양한 문학 운동이 나타났다. 초현실주의는 마르코 리스티치와 코차 포포비치가 이끄는 "벨그라드 그룹"이 주도했다. 라스트코 페트로비치와 몸칠로 나스타시예비치는 주목할 만한 아방가르드 작가였다.

이보 안드리치는 196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밀로시 크르냐스키, 메샤 셀리모비치, 보리스라브 페키치, 브란코 밀코비치, 다닐로 키시, 밀로라드 파비치 등 많은 작가들이 세르비아 문학을 풍요롭게 했다. 데산카 막시모비치는 70년 동안 "유고슬라비아 시의 여왕"으로 불리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브란코 촐피치는 세르비아 아동 문학에서 가장 사랑받는 작가이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1945년부터 1948년까지 지배적이었지만,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비교적 단명했다. 안토니예 이사코비치, 미하일로 랄리치, 메샤 셀리모비치, 밀로반 질라스 등은 공산주의 시대의 복잡한 삶과 도덕성을 다루었다.

1970년대부터는 실험적인 작품들이 등장했고, 밀로라드 파비치, 보리스라브 페키치, 다닐로 키시 등이 이러한 경향을 이끌었다. 미오드라그 파블로비치는 20세기 세계 문학에서 저명한 작가 중 한 명이었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 사후, 골리 오토크 섬은 문학의 새로운 주제가 되었고, 드라고슬라브 미하일로비치의 「골리 오토크(Goli Otok)」 등이 이를 다루었다.

밀로라드 파비치는 「카자르인의 사전」으로 유명하며, 두샨 코바체비치와 빌리아나 스르블랴노비치는 현대 극작가로 활동하고 있다.[12] 류보미르 시모비치는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반 주요 시인 중 한 명이다. 스베틀라나 벨마르-얀코비치 등은 오늘날 세르비아의 대표적인 여성 작가들이다.

조란 지브코비치는 세계 판타지 상을 수상했으며, 옐레나 렝골드, 우글예샤 샤이티나츠 등은 유럽연합 문학상을 수상했다.[13] [14] [15] [16] [17]

2. 5. 21세기 문학

두샨 코바체비치는 대중과 비평가 모두에게 찬사를 받은 여러 희곡과 각본을 집필했다


두샨 코바체비치와 빌리아나 스르블야노비치는 저명한 현대 극작가들이다.[13]

류보미르 시모비치는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반 주요 시인 중 한 명이다.[13]

스베틀라나 벨마르-얀코비치, 그로즈다나 올루이치, 고르다나 쿠이치는 오늘날 세르비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여성 작가들이다.

조란 지브코비치,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비치, 블라디슬라브 바야츠, 이고르 마로예비치, 스베티슬라브 바사라는 주목할 만한 작가들이다. 지브코비치의 작품은 20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그는 세계 판타지 상을 수상했다.[13] [14]

유럽 연합 문학상을 수상한 세르비아어 작가로는 옐레나 렝골드, 우글예샤 샤이티나츠, 다르코 투셰브야코비치,[15] 타냐 스투파르-트리푼노비치,[16] 라나 바스타시치가 있다.[17]

참조

[1] 웹사이트 Stara književnost http://www.rastko.rs[...] rastko.rs 2013-03-20
[2] 웹사이트 The oral tradition http://www.rastko.rs[...] Rastko
[3] 서적 Yugoslavia and Its Historians: Understanding the Balkan Wars of the 1990s Stan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Volksmärchen der Serben: Der goldene Apfelbaum und die neun Pfauinnen http://www.zeno.org/[...]
[5] 웹사이트 Od stare k novoj književnosti (Barokne tendencije) http://www.rastko.rs[...] rastko.rs 2020-08-04
[6] 웹사이트 Prosvećenost i počeci nove književnosti http://www.rastko.rs[...] rastko.rs 2013-03-20
[7] 웹사이트 Стара српска књижевност – ИСТОРИЈСКА БИБЛИОТЕКА http://www.istorijsk[...] 2020-08-05
[8] 웹사이트 Među Lavom i Drokunom https://www.vreme.co[...] Vreme 2020-04-28
[9] 간행물 The idea of "brava dubrovačka" in the traditional epic poems Prilozi za knjizevnost, jezik, istoriju i folklor
[10] 웹사이트 Lazar Komarčić, srpski sf pisac http://static.astron[...] 2020-08-05
[11] 서적 Oblikovanje kanona srpske poezije u antologijama Bogdana Popovića, Zorana Mišića i Miodraga Pavlovića University of Belgrade
[12] 웹사이트 Dictionary of the Khazars – Милорад Павић https://web.archive.[...] 2019-04-26
[13] 웹사이트 Prof. dr Zoran Živković: ,,Nisam rekao poslednju proznu reč" – Tvoj Magazin https://tvojmagazin.[...] 2020-08-05
[14] 웹사이트 Zoran Zivkovic, 2009 World Fantasy Guest of Honor https://locusmag.com[...] 2021-02-06
[15] 웹사이트 Winning Authors 2009–2019 https://www.euprizel[...] 2021-02-06
[16] 웹사이트 Tanja Stupar-Trifunović https://www.euprizel[...] 2021-02-06
[17] 웹사이트 Lana Bastašić https://web.archive.[...] 2021-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