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비아의 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의 구는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 단위로, 중앙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로 구성된다. 1990년대 코소보 분쟁 이후, UNMIK는 코소보의 행정 구역을 개편하여 7개의 구를 신설했지만, 세르비아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1992년 법령에 따른 5개의 구를 주장한다. 중앙 세르비아에는 17개, 보이보디나에는 7개의 구가 있으며, 코소보에는 UNMIK 개편 이후 7개의 구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 -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는 세르비아의 자치주였으나 자치권 축소, 코소보 전쟁 등을 거쳐 2008년 독립을 선언하고 현재는 세르비아와 UNMIK의 행정 구역 체제가 공존하고 있다.
  •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 - 중앙세르비아
    중앙세르비아는 세르비아 공화국 내에서 보이보디나와 코소보 자치주를 제외한 지역을 지칭하는 지리적, 행정적 용어로, 슈마디야, 티목 계곡 등을 포함하며 다양한 지형과 풍부한 자원을 가진 지역이다.
  •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 -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는 세르비아의 자치주였으나 자치권 축소, 코소보 전쟁 등을 거쳐 2008년 독립을 선언하고 현재는 세르비아와 UNMIK의 행정 구역 체제가 공존하고 있다.
  • 세르비아의 구 - 프리즈렌구 (세르비아)
    프리즈렌구는 코소보 남서부에 위치한 지방 자치체로, 프리즈렌을 포함한 여러 도시들을 관할하며 역사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아 다양한 문화 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 세르비아의 구 - 피로트구
    피로트구는 세르비아에 위치한 지방 자치체로, 바부슈니차, 디미트로브그라드, 벨라팔란카 등의 도시를 포함하며, 융단 제조, 온천, 문화 유적, 산업 등의 특징과 농업, 경공업, 섬유 및 관광 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세르비아의 구
개요
국가세르비아
유형행정 구역
설치 시기1992년
관할 구역 수24개 (코소보 제외 시 29개) + 베오그라드
인구 범위77,341명 (토플리차) – 607,178명 (남바치카)
면적 범위1,248km² (포두나블레) – 6,140km² (즐라티보르)
지도
현재 세르비아의 구 지도
세르비아의 구 지도
명칭
세르비아어Округ / Okrug (오크루그)
독일어Kreis (크라이스)

2. 역사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은 1992년 1월 29일 세르비아 정부의 포고령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으며, 2007년 12월 29일 세르비아 의회에서 통과된 《세르비아의 영토 구성에 관한 법률》[10]에 따라 지정되었다.

세르비아는 29개의 구(중앙세르비아 17개, 보이보디나 7개, 코소보 5개)와 1개의 특별시(베오그라드)로 나뉜다.[11]

코소보는 1999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244호에 따라 유엔이 관할하는 자치주가 되었으며, 2000년 유엔 코소보 임시행정부에 의해 행정 구역이 개편되었다. 세르비아 정부는 이러한 행정 구역 개편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2. 1.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 변천사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은 1992년 1월 29일 세르비아 정부의 포고령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다. 이 포고령은 부처 및 기타 국가 기관이 지정된 지방 자치 단체별로 지역 사무소를 설치하여 중앙 정부 밖에서 업무를 수행하도록 규정했다.[2] 2005년 공공 행정법은 "행정구"라는 용어로 구의 법적 정의를 제공했다.[3]

2006년, 세르비아 정부는 행정구에 관한 포고령을 제정하여 구의 명칭을 ''행정구''로 변경했다.[4]

2007년 12월 29일, 세르비아 의회에서 채택된 《세르비아의 영토 구성에 관한 법률》[10]에 따라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이 지정되었다. 이 법률에 따르면 세르비아는 지역 행정을 담당하는 시와 지방 자치체, 특별 행정 구역인 베오그라드 시와 자치주로 구성된다. 이 법에서는 구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1992년 1월 29일 법률 제정 당시 세르비아 정부는 구를 국가 기관의 지역 거점과 관련 부처의 정책을 실행하는 행정 구역으로 정의했다. 현재 세르비아는 29개의 구(중앙세르비아에 17개, 보이보디나에 7개, 코소보에 5개)와 1개의 특별시(베오그라드 시)로 나뉜다.[11] 베오그라드 시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갖는 특별 행정 구역이다.

1999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244호에 따라 코소보유엔의 관할 하에 놓이게 되었고, 2000년 유엔 코소보 임시행정부에 의해 코소보의 행정 구역이 개편되었다. 세르비아 정부는 이 개편을 인정하지 않고 2000년 이전의 행정 구역만을 인정하고 있다.[7]

3. 중앙세르비아의 구

중앙세르비아의 구


중앙세르비아에는 17개의 구가 있다. 각 구의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구청 소재지면적 (km²)인구 (2011년)인구 밀도 (km², 2011년)기초 자치체집락 수
베오그라드 시베오그라드3222.68km21,639,121508.6km2style="text-align:left"|159
보르 구보르3507km2123,84835.3km2style="text-align:left"|90
브라니체보 구포자레바츠3865km2180,48046.6km2style="text-align:left"|
야블라니차 구레스코바츠2769km2215,46377.8km2style="text-align:left"|336
콜루바라 구발레보2474km2174,22870.4km2style="text-align:left"|218
마치바 구샤바츠3268km2297,77891.1km2style="text-align:left"|228
모라비차 구차차크3016km2212,14970.3km2style="text-align:left"|206
니샤바 구니시2729km2373,404136.8km2style="text-align:left"|285
프치나 구브라네3520km2158,71745km2style="text-align:left"|363
피로트 구피로트2761km292,27733.4km2style="text-align:left"|214
포두나블레 구스메데레보1248km2198,184158.8km2style="text-align:left"|58
포모라블레 구야고디나2614km2212,83981.4km2style="text-align:left"|191
라시나 구크루셰바츠2667km2240,46390.1km2style="text-align:left"|296
라슈카 구크랄레보3918km2300,10276.5km2style="text-align:left"|359
슈마디야 구크라구예바츠2387km2290,900121.8km2style="text-align:left"|174
토플리차 구프로쿠플레2231km290,60040.6km2style="text-align:left"|267
자예차르 구자예차르3623km2118,29532.6km2align=left|173
즐라티보르 구우지체6140km2284,72946.3km2style="text-align:left"|438


3. 1. 베오그라드시

베오그라드시


'''베오그라드시'''(''Grad Beograd'')는 중앙세르비아에 있는 구로, 세르비아의 수도인 베오그라드를 행정 중심지로 한다. 면적은 3222.68km2이며, 2002년 기준으로 인구는 1,576,124명, 인구 밀도는 488명/km2이다. 베오그라드시는 아래와 같이 17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159개의 마을이 있다.

지방 자치체영문 표기
바라예보Barajevo
추카리차Čukarica
그로츠카Grocka
라자레바츠Lazarevac
믈라데노바츠Mladenovac
노비베오그라드Novi Beograd
오브레노바츠Obrenovac
팔릴룰라Palilula
라코비차Rakovica
사브스키베나츠Savski Venac
소포트Sopot
스타리그라드Stari Grad
수르친Surčin
보주도바츠Voždovac
브라차르Vračar
제문Zemun
즈베즈다라Zvezdara


3. 2. 보르 구



'''보르 구'''(''Borski okrug'')는 세르비아 동부에 위치한 구로, 중앙세르비아에 속하며 행정 중심지는 보르이다. 면적은 3,507km2이고, 인구는 2002년 기준으로 146,551명, 2022년 기준으로 101,100명이며 인구 밀도는 2002년 기준 41.8km2, 2022년 기준 28.8km2이다.

지방 자치체인구 (2002년 기준)
보르 (Bor)55,817
클라도보 (Kladovo)23,622
마이단페크 (Majdanpek)23,706
네고틴 (Negotin)43,551
합계146,551



보르 구는 다음 4개의 지방 자치체와 90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 보르 (Bor)
  • 클라도보 (Kladovo)
  • 마이단페크 (Majdanpek)
  • 네고틴 (Negotin)

3. 3. 브라니체보 구

Braničevski okrug|브라니체보 구sr세르비아 중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포자레바츠이다. 2002년 인구 조사 기준 인구는 200,503명이며, 인구 밀도는 51.9명/km2이다.

행정 중심지포자레바츠
면적3865km2
인구 (2002년 기준)200,503명
인구 밀도51.9명/km2
지방 자치체


3. 4. 야블라니차 구

'''야블라니차 구'''(''Jablanički okrug'')는 세르비아 중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레스코바츠이다.

2002년 인구2011년 인구2022년 인구
인구240,923215,463184,502
면적 (km2)2769km2
인구 밀도 (명/km2)87.077.866.6



야블라니차 구에는 다음과 같은 지방 자치체가 있다.



야블라니차 구에는 총 336개의 마을이 있다.

3. 5. 콜루바라 구

콜루바라 구(세르비아어: ''Kolubarski okrug'')는 세르비아 중서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발레보이며 면적은 2474km2, 인구는 174,228명(2011년 인구 조사 기준), 인구 밀도는 70.4명/km2이다.

콜루바라 구의 지방 자치체와 인구 (2011년 기준)
자치체면적 (km²)인구
오세치나 (Osečina)319km212,537
우브 (Ub)456km229,101
라이코바츠 (Lajkovac)186km215,341
발레보 (Valjevo)905km290,312
미오니차 (Mionica)329km214,429
리그 (Ljig)279km212,508
합계2474km2174,228



콜루바라 구는 6개의 지방 자치체와 218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콜루바라 구 지도

3. 6. 마치바 구



'''마치바 구'''(''Mačvanski okrug'')는 세르비아 서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샤바츠이며 면적은 3268km2, 인구는 297,778명(2011년 인구 조사 기준), 인구 밀도는 91.1명/km2이다.

자치구면적 (km2)인구 (2002년)인구 (2011년)
보가티치38434,44128,883
샤바츠795122,893115,884
로즈니차61286,41379,327
블라디미르치33820,37317,462
코첼레바25715,63613,129
말리즈보르니크18414,07612,482
크루판34220,19217,295
류보비야35615,60113,316
합계3,268329,625297,778



마치바 구에는 다음과 같은 지방 자치체가 있다.


  • 보가티치 (Bogatić)
  • 샤바츠 (Šabac)
  • 로즈니차 (Loznica)
  • 블라디미르치 (Vladimirci)
  • 코첼레바 (Koceljeva)
  • 말리즈보르니크 (Mali Zvornik)
  • 크루판 (Krupanj)
  • 류보비야 (Ljubovija)
[5]

3. 7. 모라비차 구



'''모라비차 구'''(''Moravički okrug'')는 세르비아 중서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차차크이며 면적은 3016km2, 인구는 224,772명(2002년 인구 조사 기준), 인구 밀도는 74.5km2이다.



연도인구
1948년218,351
1953년231,687
1961년241,986
1971년248,949
1981년253,273
1991년246,740
2002년224,772
2011년212,149
2022년189,281


3. 8. 니샤바 구



'''니샤바 구'''(세르비아어: ''Nišavski okrug'')는 세르비아 중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니시이며 면적은 2729km2, 인구는 381,757명(2002년 인구 조사 기준), 인구 밀도는 139.9명/km2이다.

자치구 및 도시면적 (km²)인구 (2002년 기준)인구 밀도 (명/km²)
알렉시나츠 (Aleksinac)
스브를리그 (Svrljig)
메로시나 (Merošina)
라잔 (Ražanj)
돌레바츠 (Doljevac)
가진한 (Gadžin Han)
니시 시
메디야나 (Medijana)
니슈카바냐 (Niška Banja)
팔릴룰라 (Palilula)
판텔레이 (Pantelej)
츠르베니크르스트 (Crveni Krst)
합계2729km2381,757139.9


3. 9. 프치나 구



'''프치나 구'''(''Pčinjski okrug'')는 세르비아 남부에 위치한 구로, 중앙세르비아에 속한다. 행정 중심지는 브라네이며, 면적은 3520km2이다. 2002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227,690명이 거주하며, 인구 밀도는 64.7/km2이다.

지방 자치체인구 (2002년 기준)
블라디친한 (Vladičin Han)
수르둘리차 (Surdulica)
보실레그라드 (Bosilegrad)
트르고비슈테 (Trgovište)
브라네 (Vranje)
부야노바츠 (Bujanovac)
프레셰보 (Preševo)
합계227,690명



프치나 구에는 363개의 마을이 있다.

3. 10. 피로트 구

Пиротски округ|Pirotski okrugsr
피로트 구 지도


'''피로트 구'''는 세르비아 남동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피로트이며 면적은 2761km2, 인구는 105,654명(2002년 인구 조사 기준), 인구 밀도는 38.3/km2이다.

지방 자치체인구 (2002년 기준)
벨라팔란카(Bela Palanka)14,381
피로트(Pirot)63,791
바부슈니차(Babušnica)15,734
디미트로브그라드(Dimitrovgrad)11,748
합계105,654


3. 11. 포두나블레 구



'''포두나블레 구'''(세르비아어: Podunavski okrug / Подунавски округ)는 세르비아 중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스메데레보이며 면적은 1248km2, 인구는 2011년 기준으로 198,184명, 인구 밀도는 158.8/km2이다.

지방 자치체면적 (km2)인구 (2002년)인구 (2011년)
스메데레보 (Smederevo)-210,290198,184
스메데레브스카팔란카 (Smederevska Palanka)---
벨리카플라나 (Velika Plana)---
합계1248km2210,290198,184



포두나블레 구에는 3개의 지방 자치체가 속해 있다.

[5]

3. 12. 포모라블레 구



'''포모라블레 구'''(세르비아어: Pomoravski okrug)는 세르비아 중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야고디나이며 면적은 2614km2이다. 2002년 인구 조사 기준 인구는 227,435명이고, 인구 밀도는 이다.

지방 자치체인구 (2002년 기준)
야고디나 (Jagodina)70,894
추프리야 (Ćuprija)33,567
파라친 (Paraćin)58,301
스빌라이나츠 (Svilajnac)25,511
데스포토바츠 (Despotovac)25,611
레코바츠 (Rekovac)13,551



포모라블레 구는 6개의 지방 자치체와 191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5]

3. 13. 라시나 구

'''라시나 구'''(''Rasinski okrug'')는 세르비아 중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크루셰바츠이다. 라시나 구는 다음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 바르바린 (Varvarin)
  • 트르스테니크 (Trstenik)
  • 치체바츠 (Ćićevac)
  • 크루셰바츠 (Kruševac)
  • 알렉산드로바츠 (Aleksandrovac)
  • 브루스 (Brus)


라시나 구 정보
행정 중심지크루셰바츠
면적2,667 km2
인구 (2002년 기준)259,441 명
인구 밀도96 명/km2
마을 수296


3. 14. 라슈카 구

(km²)인구
(2002)인구
(2011)인구 밀도
(km², 2002)인구 밀도
(km², 2011)기초 자치체집락 수라슈카 구
(Raški okrug)크랄레보3,918291,230300,10274.376.5style="text-align:left"|359



라슈카 구는 5개의 지방 자치체(크랄레보, 브르냐치카바냐, 라슈카, 노비파자르, 투틴)와 359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3. 15. 슈마디야 구

슈마디야구(Šumadijski okrug)는 세르비아 중부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크라구예바츠이며 면적은 2387km2, 인구는 2011년 기준으로 290,900명, 인구 밀도는 121.8명/km2이다.

지방 자치체면적 (km2)인구 (2002년)인구 (2011년)인구 밀도 (명/km2, 2002년)인구 밀도 (명/km2, 2011년)
아란젤로바츠(Aranđelovac)
토폴라(Topola)
라차(Rača)
바토치나(Batočina)
크니치(Knić)
라포보(Lapovo)
아에로드롬(Aerodrom)
피바라(Pivara)
스타노보(Stanovo)
스타리그라드(Stari Grad)
스트라가리(Stragari)
합계2387km2298,778290,900125.2121.8


3. 16. 토플리차 구

(2002년 기준)인구 밀도
(명/km2)지방 자치체마을 수
토플리차 구 지도
프로쿠플레2231km2102,07545.7style="text-align:left"|267


3. 17. 자예차르 구

자예차르 구 지도


'''자예차르 구'''(''Zaječarski okrug'')는 세르비아 동부에 위치한 구로, 중앙세르비아에 속한다. 행정 중심지는 자예차르이며, 면적은 3623km2이다. 201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118,295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 밀도는 32.6km2이다.

자예차르 구는 다음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자예차르 구의 인구 변화[5]
연도인구
1948214,862
1953216,640
1961213,054
1971206,077
1981194,171
1991178,656
2002137,561
2011118,295
202296,715


3. 18. 즐라티보르 구

'''즐라티보르 구'''(세르비아어: Zlatiborski okrug / Златиборски округ)는 세르비아 서부에 위치한 구로 중앙세르비아에 속한다. 행정 중심지는 우지체이며 면적은 6140km2이다. 201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284,72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 밀도는 46.3km2이다.

즐라티보르 구의 지방 자치체와 정보[5]
자치체면적 (km²)인구 (2002년)인구 (2011년)정착지 수
아릴레 (Arilje)
바이나바슈타 (Bajina Bašta)
차예티나 (Čajetina)
코셰리치 (Kosjerić)
노바바로시 (Nova Varoš)
포제가 (Požega)
프리보이 (Priboj)
프리예폴레 (Prijepolje)
셰니차 (Sjenica)
우지체 시 (Užice)
합계6140km2313,396명284,729명438개






2002년 인구 조사 기준 즐라티보르 구의 민족 구성[5]
민족인구 (명)
세르비아인295,760
보스니아인12,964
무슬림2,841
몬테네그로인498
유고슬라브인254
크로아티아인149
기타930


4. 보이보디나의 구

보이보디나는 세르비아 북부에 위치한 자치주로, 7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각 구는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며, 여러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다.

소재지면적 (km2)2022년 인구인구 밀도 (km2당)
중앙바나트 구
(
)
즈레냐닌3256km2157,71148.4
북바치카 구
(
)
수보티차1784km2160,16389.8
북바나트 구
(
)
키킨다2329km2117,89650.6
남바치카 구
(--)
노비사드4016km2607,178151.2
남바나트 구
(--)
판체보4245km2260,24461.3
스렘 구
(
)
스렘스카미트로비차3486km2282,54781.1
서바치카 구
(--)
솜보르2420km2154,49163.8



각 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해당 구의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4. 1. 중앙바나트 구

'''중앙바나트 구'''(Srednjebanatski okrug|스레드네바나트스키 오크루그sr)는 세르비아 북동부에 위치한 구로 보이보디나 지방에 속한다. 행정 중심지는 즈레냐닌이며 면적은 3,256km2, 인구는 157,711명(2022년 기준), 인구 밀도는 48.4명/km2이다.

중앙바나트 구의 지방 자치체
지방 자치체면적 (km2)인구 (2022년 기준)
즈레냐닌 시1327km2106,562
노비베체이609km219,476
노바크르냐234km28,020
세차니523km29,927
지티슈테563km213,726



중앙바나트 구는 5개 지방 자치체(즈레냐닌 시, 노비베체이, 노바크르냐, 세차니, 지티슈테)와 55개 정착지로 구성되어 있다.

4. 2. 북바치카 구



'''북바치카 구'''(세르비아어: Севернобачки округ / Severnobački okrug)는 세르비아 북부 보이보디나 지방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수보티차이며 면적은 1784km2, 인구는 160,163명(2022년 기준), 인구 밀도는 89.8명/km2이다.

지방 자치체면적 (km²)인구 (2022년 기준)정착지 수
수보티차 시
바치카토폴라
말리이조시
합계1784km2160,163명45개


4. 3. 북바나트 구



북바나트 구는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위치한 구이다.

소재지면적 (km2)2022년 인구인구 밀도 (km2당)지방 자치체 및 도시정착지
북바나트 구
(Severnobanatski okrug)
키킨다2,329117,89650.650


4. 4. 남바치카 구

'''남바치카 구'''(Južnobački okrug|Јужнобачки округsr)는 세르비아 북부 보이보디나 지방의 바치카 지역 남부에 위치한 구로, 노비사드를 행정 중심지로 삼고 있다.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남바치카 구의 인구는 607,178명이며, 면적은 4016km2이다. 인구 밀도는 151.2명/km²이다.

남바치카 구에 속한 지방 자치체는 다음과 같다.

지방 자치체
노비사드 시
바치
바치카팔란카
바치키페트로바츠
베체이
베오친
스르보브란
스렘스키카를로브치
테메린
티텔
브르바스
자발



남바치카 구에는 총 77개의 정착지가 있다.

4. 5. 남바나트 구

'''남바나트 구'''(Južnobanatski okrug|Јужнобанатски округsr)는 세르비아 동부에 위치한 구로 보이보디나 지방의 바나트 지역에 속한다.

2022년 인구 조사 기준, 인구는 260,244명이며 면적은 4245km2이다. 행정 중심지는 판체보이며, 8개의 지방 자치체와 94개의 정착촌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방 자치체면적 (km2)인구 (2022년)
알리부나르 (Alibunar)602km217,156
벨라크르바 (Bela Crkva)353km214,735
코빈 (Kovin)730km229,791
코바치차 (Kovačica)419km221,020
오포보 (Opovo)203km29,425
판체보 시 (Pančevo)755km2115,934
플란디슈테 (Plandište)383km29,427
브르샤츠 시 (Vršac)800km242,756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른 남바나트 구의 민족 분포는 다음과 같다.

민족 분포 (2011년)
민족인구비율 (%)
세르비아인208,47270.77
루마니아인18,4556.26
헝가리인13,5194.6
슬로바키아인13,3374.53
마케도니아인7,0872.41
롬인6,8412.32
기타26,5929.11


4. 6. 스렘 구

Sremski okrug|스렘 구sr세르비아 북서부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스렘스카 미트로비차 시이다.

소재지면적 (km2)2022년 인구인구 밀도 (km2당)지방 자치체 및 도시정착지
스렘스카 미트로비차3,486282,54781.1109


4. 7. 서바치카 구

(2002년 기준)인구밀도
(명/)지방 자치체마을 수콜루바라구
(Kolubarski okrug)
발레보2474km2192,20477.7style="text-align:left"|218


5.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의 구

세르비아의 법에 따르면, 코소보는 세르비아의 일부로 간주되며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로 불린다. 1992년 법령에 따라 코소보 지역에는 5개의 구가 설치되었다.[5] 그러나 1999년 코소보 전쟁 이후 코소보는 UNMIK의 통치를 받게 되었고, 2000년에 UNMIK은 코소보의 행정 구역을 변경하여 기존 5개 구를 폐지하고 7개의 새로운 구를 설치했다. 이 새로운 구획은 2008년 코소보 독립 이후 코소보에서 채택되었으나, 세르비아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1992년 법령에 따른 5개 구를 주장한다.[5]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에 설치되었던 5개의 구는 다음과 같다.

행정 중심지면적 (km2)인구 (2002년)인구 밀도 (명/km2)지방 자치체
코소보 구프리슈티나3310km2570,835172.5
코소보-포모라블레 구그닐라네1389km2184,864133.1
코소브스카 미트로비차 구코소브스카 미트로비차2053km2234,262114.1
페치 구페치2459km2351,680143.2
프리즈렌 구프리즈렌2196km2319,330145.4


5. 1. 코소보 구

Косовски округ|코소브스키 오크루그sr세르비아의 법에 따라 세르비아의 일부로 간주되는 코소보 지역에 위치한 구이다.[5] 1992년 법령은 코소보 영토에 5개의 구를 정의하고 있으나, 1999년 코소보 전쟁 이후 코소보는 UNMIK의 유엔 행정부의 통치를 받았다. 2000년 UNMIK 행정부는 코소보 영토의 조직을 변경하여 5개의 구를 모두 폐지하고 7개의 새로운 구를 만들었으며, 이는 2008년 코소보 독립 이후 코소보에 의해 채택되었다. 세르비아 정부는 이러한 조치를 인정하지 않고 2000년 이전의 5개 구를 주장한다.[5]

코소브스키 오크루그


항목내용
행정 중심지프리슈티나
면적3310km2
인구 (2002년)570,835명
인구 밀도172.5명/km2
관련 지방 자치체



Косовско-поморавски округ|코소브스코-포모라브스키 오크루그sr세르비아의 법에 따라 세르비아의 일부로 간주되는 코소보 지역에 위치한 구이다.[5]

코소브스코-포모라브스키 오크루그


항목내용
행정 중심지그니라네
면적1389km2
인구 (2002년)184,864명
인구 밀도133.1명/km2
관련 지방 자치체



Косовско-митровачки округ|코소브스코-미트로바치 오크루그sr세르비아의 법에 따라 세르비아의 일부로 간주되는 코소보 지역에 위치한 구이다.[5]

코소브스코-미트로바치 오크루그


항목내용
행정 중심지코소브스카 미트로비차
면적2053km2
인구 (2002년)234,262명
인구 밀도114.1명/km2
관련 지방 자치체



Пећки округ|페치 오크루그sr세르비아의 법에 따라 세르비아의 일부로 간주되는 코소보 지역에 위치한 구이다.[5]

항목내용
행정 중심지페치
면적2459km2
인구 (2002년)351,680명
인구 밀도143.2명/km2
관련 지방 자치체



Призренски округ|프리즈렌스키 오크루그sr세르비아의 법에 따라 세르비아의 일부로 간주되는 코소보 지역에 위치한 구이다.[5]

항목내용
행정 중심지프리즈렌
면적2196km2
인구 (2002년)319,330명
인구 밀도145.4명/km2
관련 지방 자치체


5. 2. 코소보포모라블레 구

Косовско-поморавски округ|코소브스코-포모라브스키 오크루그sr는 세르비아 법에 따라 코소보에 설치된 구이다. 그닐라네를 중심지로 하며 면적은 1389km2이다. 2002년 인구는 184,864명이었고, 인구 밀도는 133.1/km2였다.

이 구에는 다음의 지방 자치체가 있다.

1999년부터 코소보는 코소보 전쟁 이후 UNMIK의 유엔 행정부의 통치를 받았다. 2000년, UNMIK 행정부는 코소보 영토의 조직을 변경하면서 이 구를 폐지하고, 새로운 길란구를 설치했다. 이후 길란구는 2008년 독립 선언 이후 코소보에 의해 채택되었지만, 세르비아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5]

5. 3.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구 (세르비아)

Косовско-митровачки округ|코소브스코-미트로바치 오크루그sr는 세르비아가 코소보에 설치한 행정구로,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를 중심으로 여섯 개의 지방 자치체[5]를 포함한다. 면적은 2,053km2이며 2002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234,262명이 거주하고, 인구 밀도는 114.1명/km2이다.[5]

지방 자치체면적 (km2)인구 (2002년 기준)인구 밀도 (명/km2)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레포사비치
스르비차
부치트른
주빈포토크
즈베찬
합계2,053234,262114.1



하지만 1999년 코소보 전쟁 이후 코소보는 UNMIK의 유엔 행정부 통치를 받았다.[5] 2000년 UNMIK는 코소보 영토의 행정 구역을 변경하면서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구를 폐지하고 미트로비차구를 신설했다.[5] 세르비아 정부는 이 조치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5]

5. 4. 페치 구 (세르비아)

페치 구(Пећки округ|Pećki okrugsr)는 세르비아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에 위치한 구로, 행정 중심지는 페치이며 면적은 2,459 km2, 2002년 인구는 351,680명(인구 밀도는 143.2명/km2)이다.

지방 자치체면적 (km2)2002년 인구2011년 인구
데차니
자코비차
이스토크
클리나
페치


5. 5. 프리즈렌 구 (세르비아)

'''프리즈렌 구''' (Prizrenski okrug|Призренски округsr)는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으로, 코소보 남부에 위치해 있다. 코소보는 1999년 이후로 유엔의 통치를 받고 있으며, 2008년에는 독립을 선언했다. 세르비아 정부는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으며, 코소보를 자국의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 행정 중심지는 프리즈렌이며, 면적은 2196km2, 2022년 인구는 319,330명, 인구 밀도는 145.4명/km2이다.

지방 자치체
고라
오라호바츠
프리즈렌
수바 레카


6. 코소보의 구 (UNMIK 개편 이후)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코소보는 유엔 코소보 임시 행정부(UNMIK)에 의해 관리되었으며, UNMIK는 코소보 지역을 7개 구로 재편했다. 세르비아는 이 구역 개편을 인정하지 않았다.

6. 1. 자코비차 구 (자코비차 군)

6. 2. 질란 구 (그닐라네 군)

원본 소스에서 질란 구(그닐라네 군)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3. 미트로비차 구 (코소브스카 미트로비차 군)

원본 소스에 '미트로비차 구'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6. 4. 페야 군 (페치 군)

이전 출력에서는 주어진 문서에 '세르비아의 구' 중 '페야 군(페치 군)'에 대한 정보가 없었기 때문에 결과를 생성할 수 없었다. '페야 군(페치 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면,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6. 5. 프리슈티나 군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세르비아의 구' 문서 내에 '프리슈티나 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마찬가지로 주어진 문서 내용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결과물은 이전과 동일하다.

6. 6. 프리즈렌 군

요청하신 '세르비아의 구' 문서의 '프리즈렌 군' 섹션은 제공된 원본 소스에 해당 내용이 없기 때문에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에서 이미 이 점을 명시했습니다.

6. 7. 페리자이 군 (우로셰바츠 군)

페리자이 군(우로셰바츠 군)에 대한 내용은 원본 문서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세르비아의 구' 문서의 '페리자이 군 (우로셰바츠 군)'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Facts about Serbia http://www.arhiva.sr[...] Government of Serbia 2008-09-29
[2] 웹사이트 Uredba o načinu vršenja poslova ministarstava i posebnih organizacija van njihovog sedišta http://www.arhiva.dr[...] 2023-02-26
[3] 웹사이트 Law on State Administration http://www.voa.mod.g[...] 2023-02-26
[4] 웹사이트 Uredba o upravnim okruzima — Викизворник https://sr.wikisourc[...] 2023-02-26
[5] 웹사이트 Zakon o teritorijalnoj organizaciji Srbije http://www.parlament[...] National Assembly of Serbia
[6] 웹사이트 Zakon o teritorijalnoj organizaciji Republike Srbije http://www.drzavnaup[...] Parliament of Serbia 2008-12-04
[7] 웹사이트 Facts about Serbia http://www.arhiva.se[...] Official website of Government of Serbia 2008-06-28
[8] 문서 ウラル山脈
[9] 문서 アジア
[10] 웹인용 "Zakon o teritorijalnoj organizaciji Srbije" http://www.parlament[...] 세르비아 의회
[11] 웹인용 Facts about Serbia http://www.arhiva.se[...] Official website of Government of Serbia 2008-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