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고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고틴은 세르비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지명 유래에 대해 로망스어, 슬라브어, 켈트어 기원 설이 존재한다. 고대에는 트라키아인, 켈트족,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중세 시대에는 불가리아 제국의 일부였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작은 마을이었으나, 1804년 제1차 세르비아 봉기 이후 세르비아 독립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네고틴은 1948년 이후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 제조업, 상업이며, 매년 음악 축제인 '모크라냐체비 다니'가 열린다. 또한, 스테반 모크라냐츠, 하이두크 벨코 등 많은 저명한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네고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네고틴 |
로마자 표기 | Negotin |
다른 이름 | 네고틴 |
언어별 명칭 | sr-Cyrl: Неготин (네고틴) ro: Negotin (네고틴) |
위치 | 세르비아 |
지리 좌표 | 44 |
구글 지도 검색어 | 네고틴 |
행정 구역 | |
국가 | 세르비아 |
지역 | 남부 및 동부 세르비아 |
구 | 보르 구 |
자치체 | 네고틴 시 |
구성 지역 | 39개 정착지 |
인물 | |
시장 | 블라디미르 벨리치코비치 |
면적 | |
자치체 | 1089km² |
인구 | |
인구 (2022년) | 28261명 |
도시 인구 (2022년) | 14647명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하계 시간대 | CEST |
UTC 오프셋 (하계) | +2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19300 |
지역 번호 | +381(0)19 |
차량 번호판 | NG |
웹사이트 | www.negotin.rs |
네고틴 전경 | |
![]() | |
![]() | |
![]() | |
![]() | |
![]() | |
![]() | |
![]() | |
![]() |
2. 역사
1914년 7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세르비아에 선전포고를 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 세르비아군은 초반에는 승리했지만, 1915/16년 겨울, 독일, 불가리아 연합군의 공격에 밀려 망명을 선택했다. 네고틴은 곧 점령되어 1918년 가을까지 점령 상태가 유지되었다.
1815년 제2차 세르비아 봉기는 초기에는 네고틴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1833년 밀로쉬 오브레노비치 공작의 외교와 스테반 스테바노비치 텐카의 전술 덕분에 거의 전투 없이 해방되었다.[18] 이후 네고틴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1929년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1929년부터 1941년까지는 모라바 바노비나에 속했다.
1878년 독립 이전까지 네고틴은 지역 문화, 교육, 종교 중심지로 발전했다. 1824년에는 최초의 공립 학교가, 1839년에는 김나지움이 문을 열었으며, 1876년에는 대성당이 건설되었다. 스테반 모크라냐츠, 조르제 스타노예비치 등 많은 네고틴 출신 인물들이 유럽에서 교육받고 돌아와 활동했다. 문화 생활도 활발해져 합창단 및 예술 단체가 많이 생겨났다. 그러나 자예차르가 니시와 더 가깝고 교통이 편리해 지역 중심지로 성장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네고틴은 규모와 중요성 면에서 자예차르에 밀렸다.
2. 1. 명칭의 유래
네고틴의 지명 어원은 불분명하며, 그 배경에 대해 몇 가지 가능성이 있다.- '''로망스어 기원설''': '상업적인 장소'(cf. 루마니아어 "negoț" 또는 스페인어 "negocios")와 네고틴이 상당한 루마니아인 소수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에 위치해 있다는 사실은 북마케도니아의 지명 네고티노가 아로마니아인의 존재와 유사한 경우이다.
- '''슬라브어 기원설''': 원시 슬라브어 "''něga''"(нѣгa)는 "돌봄"을 의미하며, 접미사 "-ota//-otina"는 "겪거나 수행된 행위"를 의미하므로 네고틴은 "치유를 위한 은둔의 장소"로 해석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도시가 늪지대에 고립되어 위치해 있다는 점은 슬라브어 가설을 뒷받침한다.
- 1842년 세멘[sic]의 저서 ''O Perevode Manassijnoj letopisi na slovenskij jazyk. (De versione Chronicorum Manassis in linguam slovenicam secundum duo apographa: Vaticanum et patriarchalis bibliothecae, cum primis lineis historiae Bulgarorum.)''는 라틴어의 ''Antigonia''를 세르비아어-슬라브어 변형으로 Něgotinъ (즉, '''Нѣготинъ''')으로 제시하며, 이는 슬라브인이 로마 제국의 모에시아에 도착한 후 변경된 것이다.[3]
- "네고틴"은 켈트어 단어 "''neges''"와 "''tin''"에서 유래되었을 수도 있으며, 이는 "전쟁의 요새"를 의미한다.[4]
''네고틴''은 1530년에 정착지로 처음 언급되었다.
2. 2. 고대
트라키아인이 이 지역을 지배했으며, 기원전 279년 이후에는 켈트족의 스코르디스키가 진출했다. 기원전 1세기의 로마 정복으로 고대 발칸 부족들은 약화되었다. 모에시아이는 트라키아-다키아 부족으로, 기원전 30년에 로마 집정관이었던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휘하의 로마군에게 패배했다. 이 지역은 87년 도미티아누스 황제에 의해 모에시아 인페리오르로 조직되었다. 이후 다키아 레메시아나 속주에 포함되었다.헬레니즘 종교의 영향은 로비네와 탐니치의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증명되었으며, 이곳에서 헤라클레스가 숭배되었다. 부코보에서 제우스, 헤라클레스, 디오니소스의 부조가 발견되었다.[5]
셀리슈테의 로마 유적지는 묘지와 함께 로글리에보 마을에서 발굴되었다. 네고틴의 유적지에서 기원후 250년에서 320년 사이의 은과 금으로 된 핀이 발견되었다.[6]
2. 3. 중세
초기 중세 시대에 이곳에 정착한 최초의 슬라브족은 티모차니였다.9세기부터 11세기까지, 그리고 13세기에는 오늘날 북동 세르비아 지역이 불가리아 제국의 일부였다.[7][8][9][10]
2. 4. 오스만 제국 시대
18세기 초까지 네고틴은 룸의 오스만 제국 영토 내에서 전략적 중요성이나 문화적 중요성이 거의 없는 작은 마을이었다. 크라이나의 나히야에 속해 있었고, 비딘 산자크의 다른 일부 지역과 함께 발리데 술탄(각 통치 술탄의 어머니)의 와크프로서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가지고 있었다. 모든 세금은 현지 동방 정교회 기독교도 세르비아인 또는 블라흐 크네즈가 징수했으며, 무슬림 국가 관리자가 징수하지 않았다.18세기 초 오스트리아는 네고틴을 요새 도시로 만들기 위해 대대적인 건설을 했고, 남동부 영토의 거점으로 삼았다. (1717년부터 1739년까지 이곳을 점령했는데, 당시에는 새롭게 설립된 테메슈바르 바나트의 일부였다.) 터키의 점령 기간이 다시 이어진 후, 네고틴은 하이두크 벨코의 반란군에 의해 제1차 세르비아 봉기 중인 1804년에 일시적으로 점령되었다.
2. 5. 세르비아 독립 이후
1815년 제2차 세르비아 봉기는 초기에는 네고틴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밀로쉬 오브레노비치 공작의 외교와 스테반 스테바노비치 텐카의 전술 덕분에 1833년에 거의 전투 없이 완전히 해방되었다.[18]1878년 공식적인 독립 선언 이전까지 네고틴은 지역 문화, 교육, 종교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1824년에는 최초의 공립 학교가, 1839년에는 김나지움이 문을 열었다. 1876년에는 웅장한 새 대성당이 건설되었다.
많은 네고틴 출신 인물들이 유럽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 대표적으로 세르비아 5대 작곡가 중 한 명인 스테반 모크라냐츠와 베오그라드 대학교 총장이 된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 조르제 스타노예비치가 있다.
문화 생활도 활발해져 많은 합창단 및 예술 단체가 생겨났다. 대부분의 교육 기관은 베오그라드에 문을 연 지 몇 달 만에 개관되었다.
한편, 자예차르가 니시와 더 가깝고 교통이 편리하여 지역 중심지로 성장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 자예차르는 규모와 중요성 면에서 네고틴을 능가했다.
1903년 알렉산다르 오브레노비치 국왕과 드라가 마신 왕비가 살해된 사건은 도시의 운명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발칸 전쟁 (1912–1913)도 이 지역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지리
네고틴은 세르비아 보르 구에 위치한 도시로, 루마니아, 불가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네고틴의 기후 정보는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상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하며, 자료 출처는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이다.[18]
3. 1. 기후
네고틴의 기후는 1981년부터 2010년까지(극값은 1961년부터 2010년까지) 관측된 자료와[18] 1991년부터 2020년까지(극값은 1961년부터 2020년까지) 관측된 자료를[11][12]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월 | 1981년–2010년 평균 기온 (°C) | 1991년–2020년 평균 기온 (°C) | 1981년–2010년 강수량 (mm) | 1991년–2020년 강수량 (mm) | 1981년–2010년 일조 시간 | 1991년–2020년 일조 시간 |
---|---|---|---|---|---|---|
1월 | 0.3°C | 0.6°C | 41.8mm | 47.9mm | 80.2 | 80.3 |
2월 | 1.9°C | 2.5°C | 44.1mm | 46.7mm | 99.0 | 104.3 |
3월 | 6.6°C | 7.3°C | 47.6mm | 46.3mm | 141.3 | 158.2 |
4월 | 12.2°C | 12.9°C | 53.5mm | 48.8mm | 185.5 | 200.7 |
5월 | 17.7°C | 18.1°C | 50.8mm | 57.8mm | 243.1 | 250.0 |
6월 | 21.3°C | 22.2°C | 59.2mm | 61.3mm | 279.8 | 290.2 |
7월 | 23.5°C | 24.1°C | 49.4mm | 55.7mm | 310.1 | 323.3 |
8월 | 22.8°C | 23.7°C | 47.5mm | 42.7mm | 284.1 | 300.5 |
9월 | 17.6°C | 18.1°C | 45.4mm | 54.6mm | 208.4 | 213.5 |
10월 | 11.6°C | 12.1°C | 49.5mm | 57.2mm | 139.0 | 144.0 |
11월 | 5.5°C | 6.3°C | 58.4mm | 56mm | 76.8 | 72.9 |
12월 | 1.1°C | 1.4°C | 66.4mm | 60mm | 62.0 | 62.7 |
연간 | 11.8°C | 12.4°C | 613.6mm | 635mm | 2109.2 | 2200.6 |
구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C) | 21°C | 23.5°C | 26.8°C | 32°C | 35.5°C | 41.2°C | 42.6°C | 40.4°C | 37.7°C | 32.5°C | 25.9°C | 21.3°C | 42.6°C |
최저 기온 (°C) | -28.5°C | -27.5°C | -19°C | -4.9°C | 1°C | 3.1°C | 7.5°C | 5.6°C | -3.6°C | -7.6°C | -13.7°C | -22°C | -28.5°C |
- 연평균 기온은 11.8°C(1981-2010)에서 12.4°C(1991-2020)로 상승했다.
- 연평균 강수량은 613.6mm(1981-2010)에서 635mm(1991-2020)로 증가했다.
- 연평균 일조 시간은 2109.2시간(1981-2010)에서 2200.6시간(1991-2020)으로 증가했다.
- 최고 기온 극값은 42.6°C이며, 최저 기온 극값은 -28.5°C이다.
3. 2. 행정 구역
네고틴 시에는 네고틴 외에 다음과 같은 정착지들이 포함되어 있다. (괄호 안은 인구)정착지명 | 인구 |
---|---|
알렉산드로바츠 | 588 |
브라체바츠 | 533 |
브레스토바츠 | 355 |
부코브체 | 1442 |
크르노마스니차 | 272 |
추브라 | 557 |
두플랴네 | 564 |
두샤노바츠 | 882 |
야부코바츠 | 1884 |
예세니차 | 581 |
카르불로보 | 520 |
코비슈니차 | 1355 |
코빌로보 | 411 |
말라 카메니차 | 392 |
말라니차 | 683 |
미하일로바츠 | 718 |
밀로셰보 | 517 |
모크란예 | 710 |
플라브나 | 953 |
포포비차 | 487 |
프라호보 | 1506 |
라두예바츠 | 1540 |
라야츠 | 436 |
레치카 | 469 |
로글레보 | 183 |
사마리노바츠 | 464 |
샤르카멘 | 374 |
시콜레 | 838 |
슬라티나 | 479 |
스메도바츠 | 163 |
스르보보 | 502 |
슈투비크 | 939 |
탐니치 | 349 |
트르냐네 | 479 |
우로비차 | 1191 |
벨르코보 | 206 |
비드로바츠 | 822 |
브라트나 | 316 |
4. 인구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네고틴 시의 인구는 37,056명이며, 그 중 16,882명이 네고틴 시에 거주하고 있다. 네고틴 자치구는 대부분 세르비아계 민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블라흐족이 다수인 정착촌(코빌로보)과 상대적으로 블라흐족이 많은 민족 혼합 정착촌(알렉산드로바츠)도 존재한다. 20세기부터 시작된 세르비아화 과정으로 인해 블라흐족 인구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14]
4. 1. 인구 변화
연도 | 인구 |
---|---|
1948년 | 63,447명 |
1953년 | 64,358명 |
1961년 | 65,409명 |
1971년 | 63,706명 |
1981년 | 63,973명 |
1991년 | 59,559명 |
2002년 | 43,418명 |
2011년 | 37,056명 |
2022년 | 28,261명 |
2011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네고틴 시에는 37,056명의 인구가 있으며, 이 중 16,882명이 네고틴 시에 거주하고 있다.
4. 2. 민족 구성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네고틴 자치구의 대부분의 정착지는 세르비아계 민족이 다수를 차지했다. 블라흐족이 다수인 정착지는 코빌로보이며, 상대적으로 블라흐족이 많은 민족 혼합 정착지는 알렉산드로바츠이다. 이전 인구 조사에서는 블라흐족 인구 비율이 더 높았지만, 20세기부터 시작된 세르비아화 과정으로 인해 세르비아족을 선호하면서 그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14] 예를 들어 1921년 인구 조사에서 네고틴 자치구 인구는 32,591명이었는데, 이 중 17,201명(53%)이 블라흐족, 15,340명(47%)이 세르비아족 및 혼혈 가족, 50명이 기타였다.자치구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4]
민족 집단 | 인구 (2011년) | % |
---|---|---|
세르비아인 | 29,461 | 79.50% |
블라흐족 | 3,382 | 9.13% |
로마니 | 441 | 1.19% |
루마니아인 (자칭) | 274 | 0.74% |
마케도니아인 | 73 | 0.20% |
불가리아인 | 61 | 0.16% |
몬테네그로인 | 50 | 0.13% |
크로아티아인 | 32 | 0.09% |
기타 | 3,282 | 8.86% |
총계 | 37,056 |
5. 경제
네고틴 주변 마을 주민들은 대부분 서유럽 국가에서 객원 근로자로 일하는 가족 구성원들의 지원을 받는다. 이 지방 자치 단체의 가장 큰 고용주는 화학 산업 프라호보(Prahovo)이지만, 이 회사는 세르비아의 다른 많은 회사와 마찬가지로 재정 상태가 좋지 않다. 농업은 소득 창출보다는 부업이다. 머스캣은 네고틴의 유명한 와인이다.
2018년 기준 핵심 활동별 법인에 등록된 총 고용 인원수는 다음과 같다.
활동 | 총계 |
---|---|
농업, 임업 및 어업 | 116 |
광업 및 채석업 | 13 |
제조업 | 1,442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 | 280 |
수도 공급; 하수도, 폐기물 관리 및 정화 활동 | 127 |
건설업 | 154 |
도매 및 소매 무역,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 | 1,264 |
운송 및 보관 | 321 |
숙박 및 식품 서비스 | 335 |
정보 및 통신 | 57 |
금융 및 보험 활동 | 80 |
부동산 활동 | 15 |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 | 183 |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 | 179 |
공공 행정 및 국방; 의무 사회 보장 | 636 |
교육 | 574 |
인간 건강 및 사회 복지 활동 | 721 |
예술,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 | 84 |
기타 서비스 활동 | 149 |
개인 농업 종사자 | 943 |
총계 | 7,675 |
6. 문화
1878년 공식적인 독립 선언 이전까지 네고틴은 지역 문화, 교육, 종교 중심지로서의 입지를 구축하는 데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1824년에는 최초의 공립 학교가, 1839년에는 김나지움이 문을 열었다. 구 성모 마리아 교회는 네고틴 주교에게 너무 작아졌고, 1876년에는 웅장한 새 대성당이 건설되었다.[16]
스테반 모크라냐츠와 조르제 스타노예비치를 포함한 많은 네고틴 출신 사람들이 교육과 계몽을 찾아 유명한 유럽 대학으로 갔다. 문화 생활은 번성하여 많은 합창단 및 기타 예술 단체가 생겨났다. 대부분의 교육 기관은 베오그라드에 문을 연 지 몇 달 만에 개관되었다(예: 공공 도서관).
이 시기에 정부와 지방 공무원 사이에서 도시를 다뉴브 강둑으로 옮기자는 아이디어가 처음으로 굳건해졌다. 비록 다른 행정부에서도 시도했지만, 이 일은 한 번도 일어나지 않았다. 도시는 옮기기에는 너무 컸다. 네고틴은 다뉴브 강에서 약 약 6.44km 떨어져 있어 강을 이용한 운송이 가능했지만, 도시의 위치는 강보다 낮아서 항상 많은 늪과 연못으로 둘러싸여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자예차르는 니시와 더 가까워 지역 중심지로 서서히 자리를 잡았다. 특히 철도 건설로 인해 이러한 장점은 더욱 분명해졌다. 네고틴은 베오그라드와 더 가깝지만, 접근하기 어려운 산악 지형을 통과해야 하는 반면, 자예차르는 남쪽으로 가는 길이 더 쉬웠기 때문에 운송 측면에서 유리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 자예차르는 규모와 중요성 측면에서 네고틴을 능가했다.
두 왕조의 권력 다툼은 1903년 반란군 장교들이 세르비아의 국왕과 왕비인 알렉산다르 오브레노비치와 드라가 마신을 살해한 사건으로 이어졌지만, 이 사건은 도시의 운명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발칸 전쟁 (1912–1913)도 이 지역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지역의 부대는 두 전쟁의 거의 모든 전투에 참여하여 존경과 영광을 얻었다.
6. 1. 모크라냐체비 다니
매년 열리는 음악 축제인 '''모크라냐체비 다니'''는 세르비아 작곡가 스테반 모크라냐츠를 기리기 위해 1966년부터 네고틴에서 개최되어 왔다. 세르비아와 구 유고슬라비아 공화국 출신의 저명한 연주자들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명한 피아니스트와 합창단도 이 축제에 참여한다.[16]6. 2. 교육
1878년 공식적인 독립 선언 이전까지 네고틴은 지역 문화, 교육, 종교 중심지로서의 입지를 구축하는 데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1824년에는 최초의 공립 학교가, 1839년에는 김나지움이 문을 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구 성모 마리아 교회는 네고틴 주교에게 너무 작아졌고, 1876년에는 웅장한 새 대성당이 건설되었다.동시에 많은 네고틴 출신 사람들이 교육과 계몽을 찾아 유명한 유럽 대학으로 갔는데, 예를 들어 세르비아 5대 작곡가 중 한 명인 스테반 모크라냐츠와 나중에 베오그라드 대학교 총장이 된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 조르제 스타노예비치가 있다.
문화 생활은 번성하여 많은 합창단 및 기타 예술 단체가 생겨났다. 대부분의 교육 기관은 베오그라드에 문을 연 지 몇 달 만에 개관되었다(예: 공공 도서관).
이 마을에는 고아원 1개, 유치원 및 보육 시설 1개, 초등학교 3개, 고등학교 4개(일부는 직업 학교)가 있다. 장애 아동을 위한 초등학교도 있다.
6. 3. 박물관 및 유적지
네고틴 박물관에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시대까지의 다양한 고고학적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1952년에는 네고틴 역사 기록 보관소가 설립되었다. 네고틴 시에는 여러 갤러리, 기념물, 교회, 수도원 및 고고학 유적지가 있다. 인근의 철문 국립 공원에는 광활한 경치, 사냥터, 하이킹 코스가 있는데, 일부 코스는 표지판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아 경험자에게만 하이킹을 권장한다.
7. 저명한 인물
- 하이두크 벨코(보이보다 벨코 페트로비치)는 19세기 초 독립 투사로 네고틴 출신이다. 그는 남쪽 자예차르 근처 레노바츠에서 태어났지만, 오스만 제국의 공격으로부터 네고틴을 방어하다가 사망했다.[1]
- 조르제 스타노예비치는 세르비아의 물리학자이자 응용 물리학 및 전기학 교수였으며, 해당 분야와 컬러 사진을 연구했다. 그의 동상은 그의 이름을 딴 네고틴 시내 광장 중앙과 베오그라드의 베오그라디안카 앞, 세르비아 전력 공사 본사 옆에 세워져 있다. 세르비아 전력 공사에서는 매년 ''조르제 스타노예비치 상''을 수여한다.[1]
- 부크 카라지치는 젊은 시절 제1차 세르비아 봉기 지도부에 의해 네고틴으로 보내져 시 치안 판사의 서기 및 하이두크 벨코의 필경사로 일했다. 이는 그가 평생 동안 가졌던 유일한 봉급을 받는 직업이었다.[1]
- 그 외 네고틴 출신 인물은 다음과 같다.[1]
- 아나 솜로: 세르비아-이스라엘 작가, 편집자, 번역가
- 옐레나 토마셰비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8에서 세르비아를 대표
- 미오드라그 코야디노비치: 세르비아-캐나다 작가이자 학자
- 보얀 알렉산드로비치: 2004년에 말라즈니차 루마니아 정교회를 건축
- 두산 파르불로비치: 티모크의 블라흐 소수 민족 권리 운동가
참조
[1]
간행물
Serbian municipalities 2006
[2]
웹사이트
Census 2022 - excel table {{!}} ABOUT CENSUS
https://popis2022.st[...]
2024-09-06
[3]
서적
Cf on Googlebooks
https://books.google[...]
[4]
간행물
"Red & White-Serbian-Celtic Parallels"
Glas srpski
2000
[5]
웹사이트
CEEOL - Obsolete Link
http://www.ceeol.com[...]
2017-12-28
[6]
웹사이트
Specific Variants of Gold and Silver
http://www.doiserbia[...]
2017-12-28
[7]
웹사이트
Euratlas Periodis Web - Map of Europe in Year 900
https://www.euratlas[...]
[8]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Sixth to the Late Twelf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7-12-29
[9]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10]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11]
웹사이트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91–2020
https://www.hidmet.g[...]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22-04-20
[12]
웹사이트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81–2010
http://www.hidmet.go[...]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17-02-25
[13]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3-11
[14]
웹사이트
Попис становништва, домаћинстава и станова 2011.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6-12-16
[15]
웹사이트
MUNICIPALITIES AND REGIONS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9.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9-12-28
[16]
웹사이트
Mokranjac Days
https://www.toon.org[...]
2024-09-06
[17]
웹인용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3-11
[18]
웹인용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81–2010
http://www.hidmet.go[...]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17-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